KR20030023753A - 버스바 접속단자 - Google Patents

버스바 접속단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23753A
KR20030023753A KR10-2003-7002056A KR20037002056A KR20030023753A KR 20030023753 A KR20030023753 A KR 20030023753A KR 20037002056 A KR20037002056 A KR 20037002056A KR 20030023753 A KR20030023753 A KR 200300237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 bar
connecting plate
connection terminal
terminal
thickn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020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39063B1 (ko
Inventor
오카시타히로시
가와카미쥰이치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237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37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90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906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3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clamping member acted on by screw or nu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5/00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Landscapes

  • Installation Of Bus-Bars (AREA)
  • Breakers (AREA)

Abstract

버스바와 버스바 접속단자와의 사이에 안정된 양호한 전기적 및 열적 접속관계를 확립할 수 있는 버스바 접속단자를 얻기위해 전기기기에 접속되는 도체부분에 접속된 지지부분과, 지지부분에 접속되어 다수의 버스바에 교호로 겹쳐서 접속되는 다수의 접속판부분을 구비하고, 다수의 접속판부분이 적어도 버스바의 판두께와 같은 판두께를 가지고 서로 버스바의 판두께 보다도 큰 간격으로 이간해서 되는 버스바 접속단자에서 접속판부분과 지지부분과의 사이에 설치된 얇은 부분인 가요성부분을 구비한 것이다.
지지부분은 다수의 접속판부분이 가요성부분을 통해서 접속된 도체블록으로하고 또는 접속판부분과 연속된 일체의 도체블록으로 할 수도 있다.
또, 도체블록은 지지부분, 접속판부분 및 가요성부분을 포함한 단면형상의 압출성형 소재를 소정치수로 절단 가공한 것도 된다.

Description

버스바 접속단자{BUSBAR CONNECTING TERMINAL}
도 7은 종래의 버스바 접속단자를 갖는 서랍형 회로차단기를 표시하는 개략 정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버스바를 생략한 상태를 표시하는 개략 측면도이고, 도 9는 도 7에 표시하는 종래의 버스바 접속단자를 표시하는 정면도이고, 도 10은 도 9의 평면도이고, 도 11은 도 9의 버스바 접속단자의 분해 정면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정면도이고 도 13은 도 7에 표시하는 종래의 버스바 접속단자에 버스바를 접속한 상태를 표시하는 정면도이고, 도 14는 도 13의 평면도이다.
도 7 및 도 8에서 대전류 통전되는 전기기기인 서랍형 회로차단기(10)는 서랍틀(10a)과, 이 서랍틀(10a)내에 장착된 회로차단기(10b)로 이루어지고 서랍틀 (10a)에는 합성수지로 형성되어 버스바 접속단자(30)을 보존하는 부착베이스(10c)가 설치되어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부착베이스(10c)에 의해 보존된 버스바 접속단자(30)의 내단에는 회로차단기(10b)의 단자가 접속되어 있다.
부착베이스(10c)에는 보강판(40)도 설치되어 있어 서랍틀(10a)의 각극에 접속되는 버스바 접속단자(30)에 단락사고등의 과대한 전류에 의해 각극의 버스바 접속단자(30)간에 도 8에 화살표로 표시한바와 같은 전자력이 작용해도 부착베이스 (10c)가 파괴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이 보강판(40)은 또 버스바 접속단자(30)와 버스바(50)와의 접속시에 각 버스바 접속단자(30)에 접속되는 버스바(50)의 질량에 의해 부착베이스(10c)에 과대한 하중이 작용해서 부착베이스(10c)가 파괴되는 것도 방지하고 있다.
통상, 예를들면 4000 내지 6300암페어 플레임의 대용량의 회로차단기에 사용되는 버스바 접속단자는 예를들면 도 9 내지 도 14에 표시한바와 같은 구조를 가지고 회로차단기(10b)의 부하측단자(도시하지 않음)와 버스바(50)의 열대류에 의한 온도상승을 억제하기 위해 수직부와 수평부를 갖는 수직변환구조이고, 수평단자 (31)와 수직단자(33)를 납땜용접등에 의해 접합한 것이다.
도 11 및 도 12에 잘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수평단자(31)에는 수직단자 (33)의 U자형의 절결(33b)을 감합시키기 위한 제1의 위치 결정홈(31a)과, 보강판 (40)에 나사로 고정하기 위한 다수의 부착공(31b)과 부착베이스(10c)에 감합시키기 위한 절결(31c)이 형성되어 있다.
수직단자(33)에는 버스바(50)를 후술하는 버스바 접속나사(도시않음)에 의해 나사 고정시키기 위한 다수의 부착공(33a)과 수평단자(31)에 접합시키기 위한 U자형의 절결(33b)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종래의 버스바 접속단자에서는 정격전류에 의해 결정되는 규정의 버스바(50)를 접속하기 위해 다수의 수직단자(33)간의 간격 L1(도 10)이 규정의 버스바(50)의 판두께 보다도 큰 치수로 설정되어 있다.
예를들면 규정의 버스바(50)의 판두께(L0)가 10mm인 경우 수직단자(33)의 간격(L1)은 약간의 여유가 주어져 10.5mm 내지 11.5mm에 설정되어 있다.
또, 버스바(50)간의 간격(도 14 참조)은 버스바(50)의 판두께(L0)와 적어도 같은 만큼 필요하므로 수직단자(33)의 판두께를(L0)보다도 작게 할 수가 없다.
이 때문에 도 13 및 도 14에 표시한바와 같이 버스바 접속단자(30)의 수직단자(33)의 사이에 버스바(50)를 삽입해서 버스바 접속용 볼트(60) 및 너트(65)로 조여서 수직단자(33)와 버스바(50)을 서로 확실하게 접속시키면 수직단자(33)가 도 14에 표시한바와 같이 구부려 변형된다.
이 상태에서는 수직단자(33)와 버스바(50)사이의 접촉부는 수직단자(33)와 버스바(50)와 겹친부분(S1)이 아니고, 수직단자(33)의 단면에서 수직단자(33)가 구부려진 위치와의 사이의 부분(S2)만이 되고, 이들의 도체간의 전기적 접촉면적이 본래 얻어져야할 면적 보다도 작아져 버린다.
이 때문에 버스바(50)와 수직단자(33)사이의 전기적 접촉저항이 증대해 버린다. 또 회로차단기(10b)의 내부발열을 버스바 접속단자(30)를 통해서 버스바(50)에 방산이 어려워지게하여 회로차단기(10b)의 온도가 충분히 내려가지 않는다는 과제가 있었다.
또, 도 11 및 도 12 에 표시한바와 같이 여러개의 버스바(50)를 접속하기 위해 수평단자(31)에 복수의 위치결정용의 홈(31a)을 형성해야 하며 또 각각 구멍 (33a) 및 절결(33b)을 갖는 다수의 수직단자(33)를 제작해야하며 또 이들 다수의 부품을 서로 납땜 접합해야 하므로 버스바 접속단자(30)의 제작비용이 높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한 버스바 접속단자를 제공하는 것이고, 버스바와 버스바 접속단자 사이에 안정된 양호한 전기적 및 열적 접속관계를 확립할 수 있는 버스바 접속단자를 얻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또 제조가 용이하고 신뢰성이 높고 값싼 버스바 접속단자를 얻는데도 있다.
(발명의 개시)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버스바 접속단자는
(1) 전기기기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도체부분과 상기 도체부분에 접속된 지지부분과, 상기 지지부분에 접속되어 지지되어 다수의 버스바에 교호로 겹쳐서 접속되는 다수의 접속판 부분을 구비하고, 상기 다수의 접속판 부분이 적어도 상기 버스바의 판두께와 같은 판두께를 갖고 서로 상기 버스바의 판두께 보다도 큰 간격으로 이간해서 된 버스바 접속단자에서 상기 접속판부분과 상기 지지부분 사이에 설치된 가요성 부분을 구비한 것이다.
(2) 상기 가요성 부분은 상기 접속판부분의 판두께 보다도 두께가 얇은 두께로도 할 수 있고,
(3) 상기 지지부분은 상기 도체부분에 접속되고 또 다수의 상기 접속판부분이 상기 가요성 부분을 통해서 접속된 도체블록으로 할 수도 있다.
(4) 또 상기 지지부분과 상기 접속판부분은 연속한 일체의 도체블록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5) 또 상기 도체블록은 상기 지지부분, 상기 접속판부분 및 상기 가요성 부분을 포함하는 단면형상의 압출성형소재를 소정치수로 절단 가공한 것으로 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은 버스바 접속단자에 관한 것으로 특히 회로차단기등 대전류 통전을 하는 전기기기의 단자에 다수의 버스바를 접속하기 위한 버스바 접속단자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버스바 접속단자의 실시 형태를 표시하는 정면도,
도 2는 도 1의 버스바 접속단자의 평면도,
도 3은 도 1의 버스바 접속단자를 분해해서 표시하는 분해 정면도,
도 4는 도 1의 수직단자의 단면도,
도 5는 도 1의 버스바 접속단자에 버스바를 접속한 상태를 표시하는 정면도,
도 6은 도 5의 버스바 접속단자의 평면도,
도 7은 종래의 버스바 접속단자를 갖는 서랍형 회로차단기를 표시하는 개략 정면도,
도 8은 도 7의 버스바를 생략한 상태를 표시하는 개략 측면도,
도 9는 도 7에 표시하는 종래의 버스바 접속단자를 표시하는 정면도,
도 10은 도 9의 평면도,
도 11은 도 9의 버스바 접속단자의 분해 정면도,
도 12는 도 11의 정면도.
도 13은 도 7에 표시하는 종래의 버스바 접속단자에 버스바를 접속한 상태를 표시하는 정면도,
도 14는 도 13의 평면도.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도 1 내지 도 6에는 본 발명의 버스바 접속단자의 한 실시형태를 표시하고 있으나 여기서는 버스바 접속단자는 대전류 통전을 하는 전기기기인 회로차단기의 단자에 다수의 버스바를 접속하기 위한 버스바 접속단자로 표시하고 있다.
이들 도면에서 도 1은 본 발명의 버스바 접속단자의 실시형태를 표시하는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버스바 접속단자의 평면도, 도 3은 도 1의 버스바 접속단자를 분해해서 표시하는 분해 정면도, 도 4는 도 1의 수직단자의 단면도, 도 5는 도1의 버스바 접속단자에 버스바를 접속한 상태를 표시하는 정면도, 그리고 도 6은 도 5의 버스바 접속단자의 평면도이다.
이들 도면에서 본 발명의 버스바 접속단자(70)는 회로차단기등의 전기기기(도 7참조)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도체부분(71)과, 도 5 및 도 6에 표시한바와 같이 다수의 버스바(50)에 교호로 겹쳐서 접속되는 다수의 서로 평행하게 이간한 접속판부분(73)과, 일단에서 도체부분(71)에는 납땜등에 의해 강제적으로 접속지지되고, 또, 타단에서 다수의 접속판부분(73)을 서로 평행하게 지지하고, 이들의 도체부분(71)과 접속판부분(73)을 서로 접속해서 지지하는 지지부분(72)을 구비하고 있다.
도체부분(71)은 도시하지 않은 전기기기와의 접속을 위해 절결부(71c) 및 구멍(71b)등 도 7 내지 도 14에 표시하는 것과 거의 같은 구조를 가지고 있으나, 지지부분(72)과 접속되는 단부분(71a)에는 홈등이 가공되어 있지않고 지지부분(72)에 형성된 홈(72e)내에 수용되어 납땜등에 의해 확실하게 고정되어 있다.
지지부분(72)은 도시한예에서는 단일의 도체블록 부재로 구성되어 있고, 도 7 내지 도 14에 표시한 종래의 접속단자에서는 이 지지부분에 상당하는 부분이 다수의 판부재로 구성되어 있는 것과 다르다.
또, 도체부분(71)을 수용하기 위한 홈(72e)이 설치되어 있다.
다수의 접속판부분(73)의 각각은 도 4에 잘표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접속해야할 버스바(50)의 판두께(L0)와, 같은 판두께(L1)를 가지고 접속된 버스바(50)의 간격이 너무 작지않은 적절한 치수인 L1이 되도록 하고 있다.
또, 접속판부분(73)의 간격(L2)는 버스바의 판두께(L0)보다도 근소하게 큰 간격(L2)로 버스바(50)의 삽입이 용이하게 되도록 되어 있다.
또, 버스바(50)를 사이에 삽입해서 도시하지 않은 볼트 및 너트로 체결하기 위한 볼트구멍(73d)를 가지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수의 접속판부분(73)은 각각 전기적 및 열적으로 충분한 접촉면적을 제공하도록 충분한 크기의 치수(S3)(도 4 및 도 6 참조)의 접촉면부분(73b)을 가지고, 또 가소성부분(74)을 통해서 지지부분(72)에 지지되어 있다. 가소성부분(74)은 접속판부분(73)의 판두께(L1) 보다도 작은 두께(L3)를 갖는 얇은 부분이다.
이 가요성부분(74)은 도 4와 도6을 비교하면 알 수 있듯이 두께(L0)의 버스바(50)를 접속판두께(73)과 교호가 되도록끼고 체결부재인 볼트(60)와 너트(65)로 체결한 경우에 가요성부분(74)이 쉽게 휘여 변형해서 접속판부분(73)의 S3로 표시되는 접촉면부분(73b)의 전체가 버스바(50)에 밀착할 수 있게 작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버스바(50)와 접속판부분(73)과의 사이의 전기적 접촉저항이 증대하는 일이 없고, 또 이 사이의 열의 이동도 방해되지 않고 회로차단기(10b)등의 전기기기로부터 열을 충분히 방산 시킬 수가 있다.
가요성부분(74)은 도시한예에서는 거의 원형 단면의 홈(73c)으로서 형성되어있으나 구형등의 다각형이거나 타원형이라도 특히 불편하지는 않다.
지지부분(72), 접속판부분(73) 및 가요성부분(74)은 연속된 일체의 도체블록 (75)으로 형성되어 있고, 도시한 예에서는 도체블록(75)은 지지부분(72), 접촉판부분(73) 및 가요성부분(74)을 포함한 도 4의 것과 같은 단면형상의 압출성형 장척소재를 버스바 접속단자로서 적당한 소정치수로 절단가공한 것이다.
이 때문에 종래에 필요했던 제작공정 즉 도 11 및 도12에 표시한바와 같은 다수의 수평단자(31)를 제작하고 이들에게 다수의 위치결정용의 홈(31a)을 형성하고, 또 각각의 구멍(53a) 및 절결(33b)를 갖는 다수의 수직단자(33)를 제작하고, 또, 이들의 다수의 부품을 서로 납땜 접합해서 조립한다는 공정이 불필요하게 되고버스바 접속단자의 제작비용이 값싸게되고, 또 도체블록은 조립된 것이 아니기 때문에 그 신뢰성이 높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회로차단기에 버스바를 접속하기 위해 사용되는 버스바 접속단자를 예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버스바 접속단자는 일반적으로 버스바에 배선되는 전자접촉기 및 개폐기등의 다른 전기기기에도 사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관한 버스바 접속단자는 특히 회로차단기등의 대전류 통전을 하는 전기기기의 단자에 다수의 버스바를 접속하기 위한 버스바 접속단자로 유용하다.

Claims (3)

  1. 전기기기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도체부분과, 다수의 버스바에 교호로 겹쳐서 접속되는 다수의 접속판부분과, 상기 도체부분 및 상기 접속판부분을 서로 접속하고 지지하는 지지부분을 구비하고, 상기 다수의 접속판부분이 적어도 상기 버스바의 판두께와 같은 판두께를 가지고, 상기 버스바의 판두께 보다도 큰 간격으로 서로 이간해서 된 버스바 접속단자에서 상기 접속판부분과 상기 지지부분 사이에 설치된 가요성부분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바 접속단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부분은 상기 접속판부분의 판두께 보다도 작은 두께를 가진 얇은 부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바 접속단자.
  3. 제1항 또는 제2항의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분, 상기 접속판부분 및 상기 가요성부분은 연속한 일체의 도체블록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바 접속단자.
KR10-2003-7002056A 2001-06-14 2001-06-14 버스바 접속단자 KR1005390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1/005071 WO2002103872A1 (fr) 2001-06-14 2001-06-14 Borne de connexion de barres omnib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3753A true KR20030023753A (ko) 2003-03-19
KR100539063B1 KR100539063B1 (ko) 2005-12-26

Family

ID=117374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2056A KR100539063B1 (ko) 2001-06-14 2001-06-14 버스바 접속단자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1396917B1 (ko)
JP (1) JPWO2002103872A1 (ko)
KR (1) KR100539063B1 (ko)
CN (1) CN1312815C (ko)
DE (1) DE60123484T2 (ko)
TW (1) TW531937B (ko)
WO (1) WO2002103872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4932B1 (ko) * 2006-09-12 2008-03-19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버스바조립체
KR100890155B1 (ko) * 2007-03-20 2009-03-20 이승철 버스바의 체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14131B2 (en) * 2008-02-05 2011-09-06 Siemens Industry, Inc. Riser bus bar positioning block
US7798833B2 (en) * 2009-01-13 2010-09-21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Low inductance busbar assembly
DE102011006115B4 (de) * 2011-03-25 2014-01-30 Schneider Electric Sachsenwerk Gmbh Elektrische Schaltanlage, insbesondere Mittelspannungsschaltanlage
JP5947514B2 (ja) * 2011-09-27 2016-07-06 矢崎総業株式会社 アース端子被取付具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196267B (de) * 1963-07-31 1965-07-08 Bbc Brown Boveri & Cie Klemmvorrichtung fuer eine Vielzahl von parallel zu schaltenden Leitungen
JPS569183Y2 (ko) * 1976-05-21 1981-02-27
JPS5479988U (ko) * 1977-11-18 1979-06-06
JPS6233454Y2 (ko) * 1981-03-30 1987-08-27
JPS59207517A (ja) * 1983-05-10 1984-11-24 富士電機株式会社 しや断器の断路接触子
JPS61412U (ja) * 1984-06-06 1986-01-06 富士電機株式会社 引出形しや断器の断路部構造
JPS61156414U (ko) * 1985-03-19 1986-09-27
US5011421A (en) * 1990-03-05 1991-04-30 Westinghouse Electric Corp. Plane change connector assembly
JPH0720012U (ja) * 1993-09-08 1995-04-07 株式会社東芝 引出形電気機器箱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4932B1 (ko) * 2006-09-12 2008-03-19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버스바조립체
KR100890155B1 (ko) * 2007-03-20 2009-03-20 이승철 버스바의 체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312815C (zh) 2007-04-25
EP1396917A1 (en) 2004-03-10
CN1446392A (zh) 2003-10-01
EP1396917A4 (en) 2004-09-29
EP1396917B1 (en) 2006-09-27
WO2002103872A1 (fr) 2002-12-27
TW531937B (en) 2003-05-11
DE60123484D1 (de) 2006-11-09
JPWO2002103872A1 (ja) 2004-10-07
KR100539063B1 (ko) 2005-12-26
DE60123484T2 (de) 2007-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6791B1 (ko) 진공차단기의 주회로 단자 어셈블리
KR100952773B1 (ko) 인쇄회로기판 연결용 버스바 터미널
JP4341464B2 (ja) 電気機器の端子装置
CN212622762U (zh) 无源电流传感器及用于该无源电流传感器的组件
US6800807B2 (en) Electric junction box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US6359770B1 (en) Power distribution circuit board with bullet connectors
JP2004127703A (ja) ヒュージブルリンクユニット
KR20120060809A (ko) 회로 차단기
US7713070B2 (en) Electric connection box
KR100539063B1 (ko) 버스바 접속단자
KR20130067316A (ko) 전자장치용 접속구조
CN105990753B (zh) 连接电路板的固定元件、汇流条以及配备有该固定元件和汇流条的车辆配电器
US6358099B1 (en) Telecommunications power distribution panel
JP2004328939A (ja) 電気接続箱
EP2261943B1 (en) Insertion terminal and switch
JP5441260B2 (ja) ヒュージブルリンクユニット
JP2004127704A (ja) ヒュージブルリンクユニット
JP2006230152A (ja) 分電盤の幹線バー接続構造
JP2020126766A (ja) クリップ部接続構造、電気接続箱、及びワイヤハーネス
US6154118A (en) Circuit protective device with 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element and electric junction box with the device
JP4177247B2 (ja) バスバーのヒューズ接続構造とそれを備える電気接続箱
JP2004186005A (ja) ヒュージブルリンクユニット
JP4228940B2 (ja) 電気接続箱
JP2023031441A (ja) 端子の固定構造
JPH11205953A (ja) 電気接続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21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