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23533A - 액체봉입식 마운트 - Google Patents

액체봉입식 마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23533A
KR20030023533A KR1020020055199A KR20020055199A KR20030023533A KR 20030023533 A KR20030023533 A KR 20030023533A KR 1020020055199 A KR1020020055199 A KR 1020020055199A KR 20020055199 A KR20020055199 A KR 20020055199A KR 20030023533 A KR20030023533 A KR 200300235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damping
stud
chamber
elastic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51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까다구니아끼
구즈까와미쓰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가부시끼가이샤 후꼬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가부시끼가이샤 후꼬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0300235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3533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3/00Units comprising springs of the non-fluid type as well a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fluid springs
    • F16F13/04Units comprising springs of the non-fluid type as well a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fluid springs comprising both a plastics spring and a damper, e.g. a friction damper
    • F16F13/06Units comprising springs of the non-fluid type as well a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fluid springs comprising both a plastics spring and a damper, e.g. a friction damper the damper being a fluid damper, e.g. the plastics spring not forming a part of the wall of the fluid chamber of the damper
    • F16F13/08Units comprising springs of the non-fluid type as well a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fluid springs comprising both a plastics spring and a damper, e.g. a friction damper the damper being a fluid damper, e.g. the plastics spring not forming a part of the wall of the fluid chamber of the damper the plastics spring forming at least a part of the wall of the fluid chamber of the damp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77/00Seal for a joint or juncture
    • Y10S277/916Seal including vibration dampening fea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ined Devices Of Dampers And Springs (AREA)
  • Component Parts Of Construction Machinery (AREA)

Abstract

피(被)마운트장치의 튀어오름에 의하여 스터드(stud)와 케이스와의 사이에서 이반(離反)방향의 상대이동이 있을때에도, 양호한 감쇠성능을 얻을 수 있는 액체봉입식마운트(mount)를 제공한다.
탄성체(16)와, 탄성체(16)를 관통하는 스터드(13)와, 일단측이 개구하고, 또한 타단측에 저면을 가지는 튜브 형상을 이루며, 내부에 점성액 L을 수용하고, 상기 일단부의 개구부에 상기 탄성체(16) 및 상기 스터드(13)를 장착하는 것으로 상기 점성액 L이 봉입되는 케이스(11)와, 상기 점성액 L에 잠기는 상태에서 상기 스터드(13)에 장착된 제1의 감쇠부재(14)를 구비한 액체봉입식마운트에 있어서, 상기 제1의 감쇠부재(14)와 상기 탄성체(16)의 사이에, 상기 점성액(L)에 잠기는 상태에서 상기 케이스(11) 또는 상기 탄성체(16)에 장착된 제2의 감쇠판(15)을 또한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액체봉입식 마운트{LIQUID TYPE MOUNT}
본 발명은, 액체봉입식(液體封入式)마운트에 관한 것이다.
유압셔블 등의 작업차량에 있어서는, 작업시와 주행시에 발생하는 진동과 충격이 운전실(cub)에 전달되는 것을 저감하기 위하여, 운전실을 액체봉입식마운트를 통하여 차체프레임에 장착하고 있다.
도10은, 종래의 액체봉입식마운트의 제1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저면을 가지는 튜브형상의 케이스(31)의 내부에, 스터드(stud)(33)의 하단에 취착된 감쇠부재(34)가 수납되어 있다. 감쇠부재(34)는, 케이스(31)의 내경보다도 약간 작은 지름을 가지는 원반형상을 이루며, 그 외주부와 케이스(31)와의 사이에 환상(環狀)(annular)의 간극을 형성하고 있다. 스터드(33)는, 케이스(31)의 내부에 삽입된 튜브형상의 탄성체(36)의 축심위치에 장착되어 있으며, 튜브형상의 탄성체 (36)를 통하여 케이스(31)에 유지되어 있다. 탄성체(36)의 하면에는, 요부 (凹部)(36a)가 형성되어 있다. 탄성체(36)에 의하여 밀봉된 케이스(31)의 내부에는 요부(36a) 내의 도중까지 점성액(L)이 봉입되어 있으며, 요부(36a) 내의 상부에는 점성액(L)에 의해 밀봉된 공기실이 형성되어 있다.
케이스(31) 및 스터드(33)는 각각 운전실 및 차체프레임의 어느 한쪽에 설치되어 있다. 차량에 발생하는 진동과 충격에 의하여, 케이스(31)와 스터드(33)가 상대운동하고, 감쇠부재(34)가 점성액 L을 교반한다. 이때 발생하는 감쇠력에 의하여 완충작용이 이루어지고, 운전실에 전해지는 진동 및 충격을 적게하고 있다.
도11은, 종래의 액체봉입식마운트의 제2예를 나타내고 있으며, 큰 하중이 작용하여 큰 변위(變位)가 있는 경우에도, 탄성체의 파손을 막을 수 있는 일본국 공개특허 헤이세이 7-127683호 공보에 기재된 액체봉입식마운트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저면을 가지는 튜브형상의 케이스(41)의 내부에, 스터드(43)의 하단에 장착된 감쇠부재(44)가 수용되어 있다. 상하로 관통하는 오리피스공(44a)을 가지는 감쇠부재 (44)는, 케이스(41)의 내경보다도 약간 작은 지름을 가지는 원반형상을 이루며, 그 외주부와 케이스(41)와의 사이에 환상의 간극을 형성하고 있다. 케이스(41)와 감쇠부재(44)와의 사이에는 코일스프링(48)이 설치되며, 그 상하단은 각각, 케이스(41)의 저면과 감쇠부재(44)에 연결되어 있다. 케이스(41)의 상부에 장착된 튜브형상의 탄성체(46)의 내주(內周)에 슬리브(47)가 장착되어 있으며, 스터드(43)는 슬리브 (47)의 내주에 기밀적(氣密的)(airtight)으로 접하여 상하로 슬라이딩이 가능하게 유지되어 있다. 또, 탄성체(46)의 하단에는 벨로우즈(bellows)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벨로우즈(49)의 하단부는 감쇠부재(44)와 스터드(43)와의 부착부에 기밀적으로 장착되어 있다. 탄성체(46)는, 벨로우즈(49) 및 감쇠부재(44)에 의하여 밀봉된 케이스(41)의 내부에는, 점성액(L)이 봉입되어 있다.
스터드(43)에 큰 하중이 작용하여도 스프링(48)에 의하여 지지되며, 탄성체 (46)에는 하중이 작용하지 않으므로, 탄성체(46)의 파손을 막을수 있다. 그리고, 상하방향의 완충은, 감쇠부재(44)와 스프링(48)이 행하며, 횡방향의 완충은 탄성체 (46)가 행한다. 이 양쪽의 완충작용에 의하여 운전실에 전해지는 진동 및 충격을 적게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액체봉입식마운트에는, 이하와 같은 문제가 있다.
감쇠력은, 감쇠부재(34, 44)의 상측와 하측과의 압력차에 의하여 케이스(31, 41)와의 사이의 간극에서 조여져 흐르는 점성액 L의 압력손실에 의하여 발생한다. 이 때문에, 스터드(33, 43)가 내려가는 방향에 있어서는, 감쇠부재(34, 44)의 하측은 고압이 되어 상측과의 압력차도 크게 되므로, 큰 감쇠력을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스터드(33, 43)가 오르는 방향에 있어서는, 제1예의 종래기술에서는 요부(36a)내의 공기가 압축되며, 제2예의 종래기술에서는 벨로우즈(49)내부의 공기가 압축되어 벨로우즈(49)가 수축하므로, 감쇠부재(34, 44)의 상측은 충분하게 고압이 되지는 않는다. 이 때문에 감쇠부재(34, 44)의 상측과 하측과의 압력차는 충분히 크게 될수 없으므로, 감쇠력이 저하해버린다.
또한, 오르는 방향의 큰 하중이 스터드(33, 43)에 걸리면, 감쇠부재(34, 44)의 상측의 압력이 충분히 높아지지 않고, 또한 감쇠부재(34, 44)의 양측에서 하중에 대응하는 압력차가 발생하기 때문에, 감쇠부재(34, 44)의 하측의 압력이 저하하여 캐비테이션(cavitation)이 발생해버려, 상기 간극을 흐르는 점성액 L의 유량이극단적으로 감소하고, 감쇠력이 크게 저하해버린다.
본 발명은,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뛰어난 감쇠성능을 얻을 수 있는 액체봉입식마운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1은, 본발명의 제1실시형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2는, 본발명의 제2실시형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3은, 본발명의 제2실시형태의 다른 형태를 나타내는 측면단면도이다.
도4는, 본발명의 제3실시형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5는, 본발명의 테이퍼형상의 케이스의 작용설명도이다.
도6은, 본발명의 제4실시형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7은, 제4실시형태의 간극의 작용설명도이다.
도8은, 본발명의 제4실시형태의 다른 형태를 나타내는 측면단면도이다.
도9는, 본발명의 제5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10은, 종래기술의 액체봉입식 마운트의 단면도이다.
도11은, 종래기술의 액체봉입식 마운트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21 : 케이스, 12, 22 : 튜브형상케이스, 13, 23 : 스터드(stud),
14, 24 : 감쇠부재, 15, 25 : 감쇠판, 16, 26 : 탄성체,
27 : 슬리브(sleev), 28 : 코일스프링, 71 : 케이스,
73 : 스터드(stud), 74 : 감쇠부재, 75a, 75b, 75c : 원통형플레이트,
76 : 탄성체, 76a, 76b, 76c, 76d : 적층탄성체,
77 : 플레이트, 79 : 탄성체, L : 점성액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관한 실시형태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1을 기초로하여 제1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도1(a)는, 액체봉입식마운트의 평면도이며, 도1(b)는 그 A-A단면도이다.
케이스(11)는, 컵부(11a)와, 부착공(11b)및 고정용 클로(claw)(11c)가 설치된 부착판(11d)을 가지고 있다. 또, 컵부(11a)의 중간부의 약간 아래쪽에는 단차(段差)(11e)가 설치되어 있으며, 단차(11e)보다 하방의 케이스(11)의 내경은 약간 작아져 있다.
케이스(11)의 내부에는, 스터드(13)의 하단에 코킹(calking) 등의 수단에 의하여 고착된 감쇠부재(14)가 수납되어 있다. 감쇠부재(14)는, 단차(11e)보다 하방의 케이스 내경보다도 약간 작은 지름을 가지는 원형을 이루며, 그 외주부와 케이스(11)와의 사이에 환상의 간극 H1을 형성하고 있다.
스터드(13)는, 상단부중심으로 나사공(13a)을 가지는 원주형상이고, 상면단부(上面端部)에는 회전제지 핀(57)이 부착되어 있다.
케이스(11)의 단차(11e)에는, 감쇠판(15)이 장착되어 있다. 감쇠판(15)은, 단차(11e)보다 상방의 케이스(11)의 내경과 대략 동일한 외경을 가지는 원반형상을이루며, 그 중심에는 스터드(13)의 외경보다 약간 작은 지름의 공(15a)이 설치되어, 스터드(13)와의 사이에 환상의 간극 H2를 형성하고 있다. 여기서, 스터드(13)의 외경 및 감쇠판(15)의 공(15a)의 지름은 재료가공시에 치수의 정도(precision)가 확보되고, 또 탄성체(16)의 횡방향탄성변형량도 그다지 크지않기 때문에, 치수의 정도가 유지된 안정된 품질의 간극 H2가 형성된다.
또, 상기감쇠판(15)은 전체로서 환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일체로 또는 복수의 분할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또, 감쇠판(15)을 상기와 같은 단차(11e)부에 장착하는 구성이외에, 예를들어 케이스(11)로부터 안쪽에 돌출한 핀과 돌출부재(도시하지않음)에 장착하도록 하여도 좋다.
스터드(13)는, 튜브형상케이스(12)와 함께 튜브형상의 탄성체(16)에 의해 서로 동심(同心)위치에 접합되어 있으며, 탄성체(16)를 케이스(11)에 삽입하므로서, 탄성체(16)를 통하여 케이스(11)의 축심(軸心)위치에 유지되어 있다.
튜브형상케이스(12)는, 케이스(11)의 내경보다 작은 지름을 가지는 원통부 (12a)와 부착공(12b)이 설치된 부착판(12c)를 가지고 있다. 또한, 케이스(11)의 부착판(11d)의 부착공(11b)과, 튜브형상케이스(12)의 부착판(12c)의 부착공(12b)과는, 탄성체(16)를 케이스(11)에 삽입하여 넣을 때에 일치하는 위치관계에 있다.
튜브형상의 탄성체(16)는, 고무나 수지 등으로 성형됨과 동시에 하면에는 소정의 요부(16a)을 가지고 있으며, 케이스(11)의 단차(11e)에 감쇠판(15)을 눌러붙여서 케이스(11)에 삽입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요부(16a)는 둘레방향에 환상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들어 스터드(13)를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위치에 이산적(離散的)으로 복수개(예를들어2개)의 요부를 설치하여도 좋고, 또 반경이 다른 위치에 각각 요부를 설치하여도 좋다. 그리고, 케이스(11)의 고정용 클로(11c)를 튜브형상케이스(12)의 부착판(12c)의 측면을 감싸듯 구부려 코킹하므로서, 케이스(11)에 튜브형상케이스(12)를 고착하여 탄성체(16)의 장착을 완성시키고 있다.
탄성체(16)에 의하여 밀봉된 케이스(11)의 내부에는, 탄성체(16)의 요부 (16a)의 도중까지 실리콘오일 등의 점성액 L이 봉입되어 있으며, 요부(16a)내의 상부에는 점성액 L에 의하여 밀봉된 공기실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케이스(11)의 저면에는 점성액 L의 주입용의 공(孔)이 설치되어 있으며, 마개(plug)(58)에 의하여 닫혀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여, 케이스(11)의 내부는 감쇠부재(14) 및 감쇠판(15)에 의하여, 하방으로부터 a실(19a), b실(19b), c실(19c)로 분할된다. 또한, a실(19a)과 b실(19b)과는 환상간극 H1을 통하여 연통(連通)하고 있으며, b실(19b)과 c실(19c)과는 환상간극 H2를 통하여 연통하고 있다. 또, c실(19c)은 상술한 공기실을 포함하고 있다.
차량에 발생하는 진동과 충격에 의하여, 운전실등의 피마운트장치가 하방으로 움직일 경우, 스터드(13)는 하방으로 눌려져, 감쇠부재(14)의 하측의 a실(19a)은 고압이 됨과 동시에 b실(19b)과의 차압(differential pressure)이 커지게 되며, 점성액(L)은 환상간극 H1을 통과해 b실(19b)에 흐른다. 또, 감쇠판(15)의 양측에 있어서도 차압이 발생하고 스터드(13)의 이동에 따라 c실(19c)의 공기가 압축되어점성액(L)은 환상간극 H2를 통과해 c실(19c)에도 흘러들어간다. 점성액 L이 환상간극 H1, H2 로 조여져 흐를 때의 압력손실에 의하여 큰 감쇠력을 얻을 수 있다. 이 때, 간극 H2의 정도가 확보되어있으므로, 간극H2에 의한 안정되고 큰 감쇠력을 얻을 수 있다.
운전실의 피마운트장치가 상방으로 움직일 경우, 스터드(13)는 상방으로 눌려져, 감쇠부재(14)의 상측의 b실(19b)은 상방으로 감쇠판(15)이 설치되어 있는 것때문에, 도10의 경우와 달리 b실(19b)은 고압이 될 수 가 있고, a실(19a)과의 차압이 커짐과 동시에, 점성액 L은 환상간극 H1을 통과해 a실(19a)로 흐른다. 또, 감쇠판(15)의 양측에 있어서도 차압이 발생하고, 점성액 L은 환상간극 H2를 통과해 c실(19c)로부터 b실(19b)에도 흘러들어간다. 점성액 L이 환상간극H1, H2를 흐를 때의 저항에 의하여 큰 감쇠력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오르는 방향의 큰 하중이 스터드(13)에 작용한 경우에도, b실(19b)을 고압으로 할수 있어, 하중에 대응하여 a실(19a)a과의 차압이 커져도 a실(19a)에서 캐비테이션이 발생하는 정도까지는 a실(19a)의 압력을 저하시키지 않는다.이 때문에, 캐비테이션의 발생을 방지할수 있으므로, 점성액L의 환상간극H1, H2에서의 흐름을 확보하므로서 큰 감쇠력을 얻을 수 있다.
이것으로, 스터드(13)가 올라갈 때에도 내려갈 때와 동일하게, 감쇠부재(14)의 상하의 차압을 크게할수 있으므로, 상하양방향에 대하여 양호한 감쇠력을 얻을 수 있음과 동시에, 감쇠판(15)에서의 감쇠력도 얻을 수 있다. 이 때, 동일하게 간극 H2의 정도가 확보되어 있으므로, 간극 H2에 의한 안정되고 큰 감쇠력을 얻을수있다.
횡방향의 충격이 스터드(13)에 걸린 경우에는, 탄성체(16)에 의하여 완충할수 있다.
오르는 방향에 대하여도, 감쇠판(15)이 스토퍼(stopper)의 기능을 가지고 있어, 감쇠부재(14)를 멈추게 한다. 이 때, 탄성체(16)에 의하여 단차(11e)에 눌려붙여져있는 감쇠판(15)은, 탄성체(16)를 휘게하여 상방으로 슬라이딩이 가능하므로, 감쇠부재(14)의 감쇠판(15)으로의 충돌을 탄성체(16)에 의해 완충할수 있다.
다음으로, 도2에 의거하여 제2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도2(a)는, 액체봉입식마운트의 평면도이며, 도2(b)는 그 B-B 단면도이다.
케이스(21)는, 컵부(21a)와, 부착공(21b) 및 고정용 클로(21c)가 설치된 부착판(21d)을 가지고 있다. 또, 컵부(21a)의 중간부의 약간 윗쪽에는 단차(21e)가 설치되어 있으며, 단차(21e)보다 하방의 케이스(21)의 내경은 약간 작게되어 있고, 또한 앞을 향하여 서서히 내경은 작아지고 있다.
케이스(21)의 내부에는, 스터드(23)의 하단에 보울트(59)에 의하여 고착된 감쇠부재(24)가 수납되어 있다. 감쇠부재(24)는, 단차(21e)보다 하방의 케이스 내경보다 약간 작은 지름을 가지는 컵형상을 이루며, 저면측이 위를 향하여 고착되어 있으며, 그 외주부와 케이스(21)와의 사이에 환상의 간극 H1 을 형성하고 있다. 또, 저면에는, 후술하는 점성액을 봉입한 후에, 감쇠부재(24)의 하방에 고이는 공기를 상방으로 배출하기 위하여, 소공(24a)이 설치되어 있다.
케이스(21)와 감쇠부재(24)와의 사이에는 코일스프링(28)이 설치되어 있다.컵형상의 감쇠부재(24)는, 코일스프링(28)의 옆으로미끄러짐을 방지하는 리테이너로서의 기능도 가지고 있다.
스터드(23)는, 상단부중심에 나사공(23a)을 가지는 원주형상으로, 상면단부에는 회전제지 핀(57)이 부착되어 있다. 스터드(23)의 외주면에는, 2유화몰리브덴 (molibdenum disulfide)(MOS2)소성과 경질크롬도금 등의 표면처리, 또는 인산망간 피막처리 등의 윤활성을 향상하는 표면처리가 되어 있다.
슬리브(27)는 원통형으로, 동·납 계통 등의 윤활성이 양호한 재질, 또는 탄소강 강관 등에 인산망간 피막처리 등의 표면처리가 된 것으로 되며, 스터드(23)와 기밀적으로 접하는 내경을 가지고, 스터드(23)를 축방향으로 슬라이딩이 가능하게 유지되어 있다. 또, 슬리브(27)는 상단부와 하단부의 내면에 각각 둘레방향(周方向)의 홈을 가지며, 상방의 홈에는 스크레이퍼(scraper)(27a)를, 하방의 홈에는 오일실(oil seal)(27b)을 장착하고 있다. 슬리브(27)는, 튜브형상케이스(22)와 함께 튜브형상의 탄성체(26)에 의해 서로 동심위치에 접합되어 있으며, 탄성체(26)를 케이스(21)에 삽입하는 것으로, 탄성체(26)를 통하여 케이스(21)의 축심위치에서 슬리브(27)의 하단이 단차(21e)의 근방이 되도록 유지하고 있다. 이것으로, 스터드 (23)도 탄성체(26) 및 슬리브(27)를 통하여 케이스(21)의 축심위치에 유지된다.
튜브형상케이스(22)는, 케이스(21)의 내경보다도 작은 지름을 가지는 원통부 (22a)와, 부착공(22b)이 설치된 부착판(22c)을 가지고 있다. 또한, 케이스(21)의 부착판(21d)의 부착공(21b)과, 튜브형상케이스(22)의 부착판(22c)의 부착공(22b)과는, 탄성체(26)를 케이스(21)에 삽입하여 넣었을 때에 일치하는 위치관계에 있다.
튜브형상의 탄성체(26)는, 고무와 수지 등으로 성형됨과 동시에 하면에는 둘레방향의 요부(26a)를 가지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요부(26a)는 둘레방향으로 환상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스터드(23)를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위치에 이산적으로 복수개(예를들어2개)의 요부를 설치하여도 좋고, 또 반경이 다른 위치로 각각 요부를 설치하여도 좋다. 또, 탄성체(26)는 그 하면외주부보다도 하방으로 슬리브(27)의 하단이 약간 돌출하도록 슬리브(27)를 감싸서 접합하고 있으며, 케이스(21)의 상기 단차(21e)에 감쇠판(25)을 눌러붙여 케이스 (21)에 삽입하고 있다. 그리고, 케이스(21)의 고정용 클로를 튜브형상케이스(22)의 부착판(22c)의 측면을 감싸듯이 구부려 코킹하므로서, 케이스(21)에 튜브형상케이스(22)를 고착하여 탄성체(26)의 장착을 완성시키고 있다.
또한, 감쇠판(25)은 전체적으로 환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일체로, 또는 복수의 분할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또, 감쇠판(25)을 상기와 같은 단차(21e)부에 장착하는 구성 이외에, 예를들어 케이스(21)로부터 안쪽으로 돌출한 핀, 돌출부재(도시하지않음)또는, 케이스(21)의 내면의 상기 테이퍼부(내경이 하방으로 향하여 서서히 작아지는 부위)에 장착하도록 하여도 좋다.
케이스(21)의 단차(21e)부에 장착된 감쇠판(25)은, 단차(21e)보다 상방의 케이스(21)의 내경과 대략 동일한 외경을 가지는 원반형상을 이루며, 그 중심에는 슬리브(27) 하단부를 감싸는 탄성체(26)의 외경보다도 약간 큰 지름의 공(25a)이 설치되어, 슬리브(27)의 하단부의 탄성체(26)와의 사이에 환상의 간극 H2를 형성하고있다. 여기서, 슬리브(27)의 외경 및 감쇠판(25)의 공(25a)의 지름은 재료가공 시에 치수의 정도가 확보되고, 또 탄성체(26)의 횡방향 탄성변형량도 그다지 커지지 않아, 치수 정도가 유지된 안정된 품질의 간극 H2가 형성되도록 하고 있다.
탄성체(26)에 의해 밀봉된 케이스(21)의 내부에는, 탄성체(26)의 요부(26a)의 도중까지 실린콘오일 등의 점성액 L이 봉입되어 있으며, 요부(26a) 내의 상부에는 점성액 L에 의해 밀봉된 공기실이 형성되어 있다. 또, 케이스(21)의 저면에는 점성액 L의 주입용의 공이 설치되어 있으며, 마개(58)에 의해 닫혀져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여, 케이스(21)의 내부는 감쇠부재(24) 및 감쇠판(25)에 의해, 하방으로부터 a실(29a), b실(29b), c실(29c) 로 분할된다. 또한, a실(29a)과 b실(29b)과는 환상간극 H1및 소공(24a)을 통하여 연통되어 있으며, b실(29b)과 c실(29c)과는 간극 H2 를 통하여 연통하고 있다. 또, c실(29c)은 상기 공기실을 포함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스터드(23)에 장착된 감쇠부재(24)의 상방에 케이스(21)에 장착된 감쇠판(25)을 설치하고, 감쇠부재(24) 및 감쇠판(25)에 의하여 케이스(21)의 내부를 a실(29a), b실(29b), c실(29c)로 분할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으므로, 제1실시형태와 동일한 작용에 의해 상하 양방향에 대하여 양호한 감쇠력을 얻을수 있다. 이 때, 동일하게 간극 H2의 정도가 확보되어 있으므로, 간극 H2에 의한 안정된 큰 감쇠력을 얻을수 있다.
또, 스터드(23)가 슬리브(27)에 의하여 슬라이딩이 가능하게 보호유지되어 있으므로, 스터드(23)에 큰 하중이 작용하여도 코일스프링(28)에 의해 지지되어,탄성체(26)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도11의 종래기술로 설명한 벨로우즈에서는, 제작이 복잡하고 또한 파손의 가능성을 가지고 있는 것에 대하여, 윤활성이 좋은 표면처리를 한 스터드(23)와, 스크레이퍼(27)및 오일실(27b)을 내면에 가지고 윤활성이 좋은 재료로 된 슬리브(27)와의 조합에 의하여, 비용이 싸고 신뢰성, 내구성이 양호하며, 점성액 L의 누출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단차(21e)보다 하방의 케이스(21)의 내경은 서서히 작아지므로, 스터드(23)가 내려가고 감쇠부재(24)가 내려감에 따라, 환상간극 H1은 서서히 좁아져 감쇠력이 순조롭게 커진다. 이것으로, 스트로크엔드에서의 충격을 방지할수 있다. 또, 단차(21e)보다 하방의 케이스(21)의 내경은 서서히 작아져 있으므로, 감쇠부재 (24)와 케이스(21)와의 환상간극 H1은 감쇠부재(24)의 하단측이 상단측보다도 좁으므로, 케이스(21)로부터 받는 반력(reaction force)은 하단측이 서서히 커진다. 이때문에, 스터드(23)의 상단부를 요동 시키는 횡방향진동(회전모멘트)에 대해서는, 이것을 억제하여 감쇠시키는 반력의 합력(合力)이 감쇠부재(24)의 하부에 작용하므로, 큰 진동억제효과를 얻을수 있다.
또, 스터드(23)가 슬리브(27)를 통하여 축방향으로 슬라이딩이 가능하므로, 스터드(23)가 하강할 때, 탄성체(23)를 하방으로 잡아끌지 않으므로, 탄성체(26)의 하면의 요부에 형성한 공기실의 용량이 유지되어, b실(29b)에서의 점성액 L이 공기실을 포함하는 c실(29c)로 유입하기 쉽다. 따라서, 이 유입에서의 압력손실에 의하여 큰 감쇠력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스터드(23)의 윤활성을 향상하는 표면처리와, 슬리브(27)를 윤활성이 양호한 재질로부터되는 것을 함께 실시한 예로 설명하였지만, 어느 한쪽만의 실시이더라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수 있다.
또, 감쇠부재(24)의 형상으로서는 컵형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들어, 기둥형, 또는 상방 및 하방으로 각각 개방한 요부를 가지는 단면 H형상이여도 좋고, 이들의 형상에서도 상기와 동일한 감쇠효과 및 요동 진동 억제효과를 얻을수 있다.
또,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리브(27)에 DU부시(bush) 등의 드라이베어링 (27c)을 삽입한 구성이여도 좋다. 이 때, 스터드(24)에는 경질크롬도금처리를 하는 편이 바람직하다.
또한,스크레이퍼(27a) 및 오일실(27b)의 장착위치는 상기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위치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어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리브(27)의 상단부 근방에 병설하여도 상관없다.
다음으로, 도4에 의거하여 제3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도4(a)는, 액체봉입식마운트의 평면도이며, 도4(b)는 그 C-C단면도이다. 또, 도1의 구성요소와 동일한 요소에는, 동일부호를 붙이고 있다.
케이스(51)는, 컵부(51a)와, 부착공(51b) 및 고정용 클로(51c)가 설치된 부착판(51d)을 가지고 있다. 또, 컵부(51a)의 중간부의 약간 아래쪽에는 단차(51e)가 설치되어 있으며, 단차(51e)보다도 하방의 케이스(51)의 내경은 약간 작아져 있다. 또한, 단차(51e)보다도 하방의 케이스(51)는 내경이 하방으로 향하여 서서히 작아지는 테이퍼형상을 이루고 있고, 소정 높이위치까지는 경사각도1로, 이것보다 하방에서는 경사각도2(단,1<2)로 경사하고 있다.
케이스(51)의 내부에는, 스터드(13)의 하단에 코킹 등의 수단에 의해 고착된 감쇠부재(14)가 수납되어 있다. 감쇠부재(14)는, 상기 경사각도(2)의 테이퍼부의 하단부의 케이스 내경보다도 약간 큰 지름을 가진 원형을 이루며, 그 외주부와 케이스(51)와의 사이에 환상의 간극 H1을 형성하고 있다.
스터드(13)는, 상단부중심에 나사공(13a)을 가진 원주형상으로, 상면단부에는 회전제지 핀(57)이 부착되어 있다.
케이스(51)의 단차(51e)부에는, 감쇠판(15)이 장착되어 있다. 감쇠판(15)은, 단차(51e)보다도 상방의 케이스(51)의 내경과 대략 동일한 외경을 가진 원반형상을 이루며, 그 중심에는 스터드(13)의 외경보다도 약간 큰 지름의 공(15a)이 설치되어, 스터드(13)와의 사이에 환상의 간극 H2을 형성하고 있다.
스터드(13)는, 튜브형상케이스(12)와 함께 튜브형상의 탄성체(16)에 의하여 서로 동심위치에 접합되어 있으며, 탄성체(16)를 케이스(51)에 삽입하는 것으로, 탄성체(16)를 통하여 케이스(51)의 축심위치에 유지되고 있다.
튜브형상케이스(12)는, 케이스(51)의 내경보다도 작은 지름을 가진 원통부 (12a)와, 부착공(12b)이 설치된 부착판(12c)을 가지고 있다. 또한, 케이스(51)의 부착판(51d)의 부착공(51b)과 튜브형상케이스(12)의 부착판(12c)의 부착공(12b)과는, 탄성체(16)를 케이스(51)에 삽입하여 넣었을 때에 일치하는 위치관계에 있다.
튜브형상의 탄성체(16)는, 고무나 수지 등으로 성형됨과 동시에 하면에는 둘레방향의 요부(16a)를 가지고 있으며, 케이스(51)의 상기 단차(51e)에 감쇠판(15)을 눌러붙여 케이스(51)에 삽입되어 있다. 그리고, 케이스의 고정용 클로(51c)를튜브형상케이스(12)의 부착판(12c)의 측면을 감싸듯이 구부려 코킹하므로서, 케이스(51)에 튜브형상의 케이스(12)를 고착하고, 탄성체(16)의 장착을 완성시키고 있다.
탄성체(16)에 의해 밀봉된 케이스(51)의 내부에는, 탄성체(16)의 요부(16a)의 도중까지 실리콘오일등의 점성액 L이 봉입되어 있으며, 요부(16a) 내의 상부에는 점성액 L에 의해 밀봉된 공기실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케이스(51)의 저면에는 점성액L의 주입용의 공이 설치되어 있으며, 마개(58)에 의해 닫혀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여, 케이스(51)의 내부는 감쇠부재(14) 및 감쇠판(15)에 의하여, 하방으로부터 a실(19a), b실(19b), c실(19c)로 분할된다. 또, a실(19a) 과 b실(19b)과는 환상간극 H1을 통하여 연통하고 있으며, b실(19b)과 c실(19c)과는 환상간극 H2를 통하여 연통하고 있다. 또, c실(19c)은 상기 공기실을 포함하고 있다.
차량에 발생하는 진동과 충격에 의하여, 운전실 등의 피마운트장치가 하방으로 움직이는 경우, 스터드(13)는 하방으로 눌러지고, 감쇠부재(14)의 하측의 a실 (19a)은 고압이 됨과 동시에 b실(19b) 과의 차압이 커져서, 점성액 L은 환상간극 H1 을 통과하고 b실(19b)로 흘러들어간다. 또, 감쇠판(15)의 양측에 있어서도 차압이 발생하고, 스터드(13)의 이동에 따라 c실(19c)의 공기가 압축되어, 점성액 L은 환상간극 H2를 통과하여 c실(19c)로 흘러들어간다. 점성액 L 이 환상간극 H1, H2 으로 조여져 흐를 때의 압력손실에 의하여 큰 감쇠력을 얻을 수 있다.
이때, 케이스(51)는 하방으로 향하여 테이퍼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본예에서는, 2단계로 서서히 내경이 작아지는 경사각도를 가지고 있다. 이 때문에,스터드(13)의 하방으로의 이동에 따라서, 감쇠부재(14)의 외주부의 환상간극 H1은 2단계로 감소하므로,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환상간극 H1 에서의 압력손실에 의한 감쇠력은 2단계로 서서히 커지게 된다. 즉, 진동의 진폭의 크기에 따라서 감쇠력을 크게할수 있음과 동시에, 스토퍼에 접촉하기 (예를들면, 감쇠부재14의 하면부가 케이스51의 저면에 접촉한다)전에 감쇠력을 한층 크게 하여 스토퍼 접촉시의 충격(꽝하고 닿는 감각)을 완충할 수 있다.
또한, 케이스(51)는 하방으로 향하여 서서히 내경이 작아지며, 또한 상하로 그 경사각도가 다르도록 테이퍼형상을 이루고 있으면 좋고, 상하로 경사각도가 다르도록 곡면의 테이퍼형상이어도 좋은 것을 물론이다.
또, 운전실 등의 피마운트장치가 상방으로 움직일 경우, 스터드(13)는 상방으로 당겨져, 감쇠부재(14)의 상측의 b실(19b)은 상방으로 감쇠판(15)이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하여, 도10의 경우와 달리 b실(19b)은 고압으로 될 수 있으며, a실(19a)과의 차압이 커짐과 동시에, 점성액 L은 환상간극 H1을 통과하여 a실(19a)로 흘러들어간다. 또, 감쇠판(15)의 양측에 있어서도 차압이 발생하고, 점성액 L은 환상간극H2 를 통과하여 c(19c)로부터 b실(19b)로 흘러들어간다. 점성액 L이 환상간극 H1, H2를 흘러갈 때의 압력손실에 의하여 큰 감쇠력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오르는 방향의 큰 하중이 스터드(13)에 작용한 경우에도, b실(19b)을 고압으로 할 수 있으므로, 하중에 대응하여 a실(19a)의 압력이 b실(19b)보다도 내려가도라도, a실(19a)에서 캐비테이션이 발생하는 정도까지는 a실(19a)의 압력을 저하시키기 않는다. 이 때문에, 캐비테이션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점성액L의 환상간극 H1, H2 에서의 흐름을 확보하므로서 큰 감쇠력을 얻을 수 있다.
이것으로, 스터드(13)가 올라갈 때에도 내려갈 때와 같이, 감쇠부재(14)의 상하의 차압을 크게 할수 있으므로, 상하 양방향에 대하여 양호한 감쇠력을 얻을 수 있음과 동시에, 감쇠판(15)에서의 감쇠력도 얻을수 있다.
횡방향의 충격이 스터드(13)에 걸린 경우에는, 탄성체(16)에 의하여 완충할 수 있다.
오르는 방향에 대해서는, 감쇠판(15)이 스토퍼의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감쇠부재(14)를 받아멈추게 한다. 이 때, 탄성체(16)에 의하여 단차(51e)에 눌러붙여지고 있는 감쇠판(15)은, 탄성체(16)를 휘어서 상방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므로, 감쇠부재(14)의 감쇠판(15)으로의 충돌을 탄성체(16)에 의하여 완충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감쇠부재(14) 및 감쇠판(15)이 모두 금속제라도, 또 각별히 충돌완충용 탄성체를 설치하지않아도, 상기 충돌을 완충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에 의거하여 제4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도6(a)은, 액체봉입식마운트의 평면도이며, 도6(b)은 그 D-D 단면도이다. 또한, 도2의 구성요소와 동일한 요소에는, 동일부호를 붙였다.
케이스(61)는, 컵부(61a)와, 부착공(61b) 및 고정용 클로(61c)가 설치된 부착판(61d)을 가지고 있다. 또, 컵부(61a)의 중간부의 약간 위쪽에는 단차(61e)가 설치되어, 단차(61e)보다도 하방의 케이스(61)는 내경은 약간 작아져 있다. 또한, 단차(61e)보다도 하방의 케이스(61)는 내경이 하방으로 향하여 서서히 작아지는 테이퍼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소정 높이의 중간위치까지는 경사각도1로, 이것보다도 하방에서는 경사각도2(단,1<2)로 경사하고 있다.
케이스(61)의 내부에는, 스터드(23)의 하단에 볼트(59)에 의하여 고착된 감쇠부재(24)가 수납되어 있다. 감쇠부재(24)는, 상기 경사각도2의 테이퍼부의 하단부의 케이스 내경보다도 약간 큰 지름을 가진 하방에 개구(開口)한 컵형상을 이루며, 저면측을 위로 향하여 고착되어 있다. 감쇠부재(24)의 외주측면은 스터드(23)의 축심(軸芯)방향(즉 상하 작동방향)에 대략 평행으로 형성되어 있어, 그 외주측면과 케이스(61)와의 사이에 환상의 간극 H1을 형성하고 있다. 또, 감쇠부재(24)의 저면에는, 후술하는 점성액을 봉입한 후에, 감쇠부재(24)의 컵형상 내측에 고이는 공기를 상방으로 배출하기 위하여, 소공(24a)이 설치되어 있다.
케이스(61)와 감쇠부재(24)와의 사이에는 코일스프링(28)이 설치되어 있다. 컵형상의 감쇠부재(24)는, 코일스프링(28)의 옆미끄러짐을 막는 리테이너로서의 기능도 가지고 있다.
스터드(23)는, 상단부중심에 나사공(23a)을 가진 원주형상으로, 상면단부에는 회전제지 핀(57)이 장착되어 있다. 스터드(23)의 외주면에는, 2유화몰리브덴 (MOS2) 소성이나 망간계 인산염 피막생성 등의 윤활성을 향상하는 표면처리가 되어 있다.
슬리브(27)는 원통형으로, 동·납계 등의 윤활성이 양호한 재질로 되어 있으며, 스터드(23)와 기밀적으로 접하는 내경을 가지며, 스터드(23)를 축방향으로 슬라이딩이 가능하게 유지하고 있다. 또, 슬리브(27)는 상단부와 하단부의 내면에 각각 둘레방향의 홈을 가지며, 상방의 홈에는 스크레이퍼(27a)를, 하방의 홈에는 오일실(27b)을 장착하고 있다. 슬리브(27)는, 튜브형상케이스(22)와 함께 튜브형상의 탄성체(26)에 의하여 서로 동심위치에 접합하고 있으며, 탄성체(26)를 케이스(61)에 삽입하므로서, 탄성체(26)를 통하여 케이스(61)의 축심위치에서 슬리브(27)의 하단이 단차(61e)의 근방이 되도록 유지되고 있다. 이것으로, 스터드(23)도 탄성체(26) 및 슬리브(27)를 통하여 케이스(61)의 축심위치에 유지되고 있다.
튜브형상케이스(22)는, 케이스(61)의 내경보다도 작은 지름을 가진 원통부(22a)와, 부착공(22b)이 설치된 부착판(22c)을 가지고 있다. 또, 케이스(61)의 부착판(61d)의 부착공(61b)과,튜브형상케이스(22)의 부착판(22c)의 부착공(22b)과는, 탄성체(26)를 케이스(61)에 삽입하여 넣었을 때에 일치하는 위치관계에 있다.
튜브형상의 탄성체(26)는, 고무나 수지등으로 성형됨과 동시에 하면에는 둘레방향의 요부(26a)를 가지고 있다. 또, 탄성체(26)는, 그 하면외주부보다도 하방으로 슬리브(27)의 하단이 약간 돌출하도록 슬리브(27)를 감싸서 접합하고 있으며, 케이스(61)의 상기 단차(61e)에 감쇠판(25)를 눌러붙여 케이스(61)에 삽입되어 있다. 그리고, 케이스(61)의 고정용 클로(61c)를 튜브형상케이스(22)의 부착판(22c)의 측면을 감싸듯이 구부려 코킹하므로서, 케이스(61)에 튜브형상케이스(22)를 고착하여, 탄성체(26)의 장착을 완성시키고 있다.
케이스(61)의 단차(61e)부에 장착된 감쇠판(25)은, 단차(61e)보다도 상방의 케이스(61)의 내경과 대략 동일한 외경을 가진 원반형상을 이루며, 그 중심에는 슬리브(27)의 하단부를 감싸는 탄성체(26)의 외경보다도 약간 큰 지름의 공(25a)이 설치되며, 슬리브(27) 하단부의 탄성체(26)와의 사이에 환상의 간극 H2를 형성하고 있다.
탄성체(26)에 의하여 밀봉된 케이스(61)의 내부에는, 탄성체(26)의 요부(26a)의 도중까지 실리콘오일 등의 점성액 L이 봉입되어 있으며, 요부(26a)내의 상부에는 점성액 L에 의하여 밀봉된 공기실이 형성되어 있다. 또, 케이스(61)의 저면에는 점성액L의 주입용 구멍이 설치되며 마개(58)에 의하여 닫혀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여, 케이스(61) 내부는, 감쇠부재(24) 및 감쇠판(25)에 의하여, 하방으로부터 a실(29a), b실(29b), c실(29c)로 분할되어 있다. 또한, a실(29a)과 b실(29b)과는 환상간극 H1 및 소공(24a)을 통하여 연통하고 있으며, b실(29b)과 c실(29c)과는 환상간극 H2을 통하여 연통하고 있다. 또, c실(29c)은 상기 공기실을 포함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스터드(23)에 장착된 감쇠부재(24)의 상방에 케이스(61)에 장착한 감쇠판(25)을 설치하여, 감쇠부재(24) 및 감쇠판(25)에 의하여 케이스(61)의 내부를 a실(29a), b실(29b), c실(29c)로 분할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으므로, 제1실시형태와 동일한 작용에 의하여, 감쇠부재(24)의 상방으로의 이동시에 b실(29b) 내를 고압으로 할 수가 있으며, 상하 양방향에 대하여 양호한 감쇠력을 얻을수 있다.
또, 제2실시형태와 동일하게, 스터드(23)가 슬리브(27)에 의하여 슬라이딩이 가능하게 유지되어 있으므로, 스터드(23)에 큰 하중이 작용하여도 코일스프링(28)에 의하여 지지되며, 탄성체(26)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윤활성이 좋은 표면처리를 한 스터드(23)와 윤활성이 좋은 재료에 의해 이루어진 슬리브(27)와의 조합에 의하여, 비용이 싸고 신뢰성과 내구성이 양호하고, 점성액L의 누출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단차(61e)보다 하방의 케이스(61)는 하방을 향하여 2단계의 경사로 서서히 내경이 작어지는 테이퍼형상을 이루고 있으므로, 도5에 도시한 것과 같이, 스터드(23)의 하강감쇠부재(24)가 내려감에 따라서, 환상간극 H1은 서서히 2단계로 좁아지며, 2단계로 서서히 커지는 감쇠력을 얻을수 있다. 이것으로, 스트로크엔드에서의 (즉 스토퍼에 닿을때의) 충격을 방지할 수가 있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케이스(61)의 내경을 서서히 작아지게 형성하고 있으며, 감쇠부재(24)의 외주측면과 케이스(61)와의 환상간극 H1을 상방보다도 하방이 작아지도록하여, 감쇠부재(24)의 외주측면에 작용하는 반력의 합력이 하방으로 발생하도록 하고 있다. 즉,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감쇠부재(24)의 하단부에서의 간극 H1L은 상단부에서의 간극 HIU 보다도 좁아져 있으므로, 감쇠부재(24)의 외주측면이 케이스(61)에 접근한 때에 점성액 L을 통하여 케이스(61)로부터 받는 반력은, 하단부에서의 반력 FL이 가장크고, 상단부에서의 반력FU가 가장 작다. 이때문에, 감쇠부재(24)의 외주측면에 작용하는 반력의 합력F0의 작용점은 외주측면의 높이방향 중앙부보다도 하방위치가 된다. 따라서, 예를들어 스터드(23)의 상단부에 좌우 요동과 같은 횡방향진동이 발생하여 그 상단부에 회전모멘트M가 작용했을 때에, 감쇠부재(24)를 케이스(61)에 접근시키는 따위의 모멘트가 발생하지만,상기와 같이 케이스로부터 받는 반력의 합력FO이 감쇠부재(24)의 외주측면의 하방위치에 작용하므로, 회전모멘트를 억제하여 상기 횡방향진동을 감쇠하는 효과가 커지며, 스터드(23)의 진동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케이스(61)는 하방을 향하여 서서히 내경이 작어지며, 또한 상하로 그 경사각도가 다르도록 테이퍼형상을 이루고 있으면 좋고, 상하에서 그 경사각도가 다르도록 곡면의 테이퍼형상이여도 좋은 것은 물론이다.
또, 스터드(23)가 슬리브(27)를 통하여 축방향으로 슬라이딩이 가능하므로, 스터드(23)가 하강일때, 탄성체(26)를 잡아당기는 일이 없으므로, 탄성체(26)의 하면의 요부에 형성한 공기실의 용량이 유지되어 점성액이 공기실로 유입하기 쉽다. 따라서, 이 유입에서의 압력손실에 의하여 큰 감쇠력을 얻을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 있어서, 스터드(23)의 횡방향진동의 억제효과를 얻기 위하여, 감쇠부재(24)의 외주측면과 케이스(61)와의 환상간극 H1을 상방보다도 하방을 좁게한 구성으로하여, 케이스(61)의 내면을 하방으로 내려감에 따라서 지름이 작아지도록 테이퍼형상으로하며, 또한 감쇠부재의 외주측면을 스터드(23)의 축방향으로 대략 평행한 형상으로 했지만,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예를들어 감쇠부재(24)의 외경을 상부보다도 하부를 크게한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또는, 예를들어 도8에 도시한 바와같이, 케이스(61)의 컵부(61)의 내면은 원통형상(즉 테이퍼면을 가지고 있지않은 형상)으로 하고, 또한 감쇠부재(24a)의 외경을 상부보다도 하부를 크게한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이처럼, 스터드(23)의 횡방향진동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진동의 중심에서 벗어남에 따라서, 상기 간극 H1이 작아지도록 하면 된다.
또, 감쇠부재(24, 24a)의 형상으로서는, 상기와 같은 컵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들어 기둥형상, 또는 상방 및 하방으로 각각 개방한 요부를 가지는 단면 H형상이여도 좋고, 이들 형상에서도 상기와 같은 감쇠효과 및 횡방향진동 억제효과를 얻을수 있다.
이상 설명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감쇠판(15, 25)은 각각 단차(11e, 21e, 51e, 61e)에 의하여 하방으로의 움직임이 구속되는 예를 설명했지만, 탄성체(16, 26)의 하면에 접합하는 구조로 하여도 상관없다. 이경우에는, 단차(51e, 61e)는 불필요하다.
다음으로, 도9에 의거하여 제5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또한, 이제까지와 동일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인다.
도9에 있어서, 케이스(71)는, 상방으로 개구한 컵부(71a)와, 도시하지 않은 부착공 및 고정용 클로(71c)가 설치된 부착판(71d)을 가지고 있다. 부착판(71d)보다도 하방의 케이스(71)는 내경이 하방으로 향하여 서서히 작아지는 테이퍼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소정높이위치까지는 경사각도1로, 이보다도 하방에서는 경사각도2(단,1<2) 로 경사지고 있다.
케이스(71)의 내부에서는, 스터드(73)의 하단에 고착된 감쇠부재(74)가 수납되어 있다. 감쇠부재(74)는 하방으로 개구한 컵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감쇠부재(74)의 외주측면의 하부에는, 케이스(71)의 상부의 테이퍼면과 대향하고, 또한 경사각도1과 대략 동등한 경사각도를 가지는 테이퍼부를 형성하고 있으며,그 외주측면과 케이스(71)와의 사이에는 환상의 간극 H1을 형성하고 있다. 또, 감쇠부재(74)의 외주측면의 상부에는, 경사각도1로 경사진 위를 향한 테이퍼부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1 1 으로 설정하고 있다. 또한, 감쇠부재(74)의 저면에는, 점성액을 봉입한 후에, 감쇠부재(74)의 컵형상내측에 고이는 공기를 상방으로 배출하기 위하여, 도시하지 않은 소공이 설치되어 있다.
또, 케이스(71)와 감쇠부재(74)와의 사이에는 코일스프링(28)이 설치되어 있다. 컵 형상의 감쇠부재(74)는, 코일스프링(28)의 옆으로미끄러짐을 방지하는 리테이너로서의 기능도 가지고 있다.
스터드(73)는, 상단부중심에 나사공(73a)를 가지는 원주형상을 이루며, 슬리브(27)내에 슬라이딩이 가능하게 끼워져 있다. 슬리브(27)는 상술한 것과 동일하게 상단부와 하단부의 내면에 도시하지 않은 스크레이퍼(27) 및 오일실을 장착하고 있다. 원통형상으로 구성된 탄성체(76)는, 슬리브(27)의 외측에 복수의 원통형플레이트(75a, 75b, 75c)를 통하여 복수의 적층탄성체(76a, 76b, 76c, 76d)가 동심형상으로서 환상으로 적층되어 접착된 적층구성으로 되어 있다. 적층탄성체(76a, 76b, 76c, 76d)는, 고무나 수지등으로 성형된다.
탄성체(76)의 하방에는, 원반형상의 플레이트(77)가 케이스의 부착판(71d) 및 외측의 원통형플레이트(75c)와 함께 고정용 클로(71c)의하여 일체적으로 고착되어 배치되어 있다. 플레이트(77)의 중앙부에는 슬리브(27)의 외경보다도 약간 큰 지름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플레이트(77)의 상기 중앙공부(孔部) 및 하면에는 탄성체(79)가 접착되어, 상기 중앙공에 슬리브(27)가 삽입되어 있다. 슬리브(27)와상기 중앙공부에 설치한 탄성체(79)와의 사이에는, 환상의 간극 H2을 형성하고 있다.
또, 탄성체(79)의 하부에는, 감쇠부재(74)의 외주측면의 상부에 형성한 상기 경사각도1의 테이퍼부에 대향하고, 또한 대략 경사각도1로 경사진 환상의 테이퍼면을 형성하고, 이것에 이은 상부에는 경사각도2(단,1<2,2 2)로 경사지는 환상의 테이퍼면을 형성하고 있다. 이 탄성체(79)와 감쇠부재(74)의 외주측면의 상부와의 사이에는, 환상의 간극 H3을 형성하고 있다.
탄성체(76)와 스터드(73)와 탄성체(79)에 의하여 밀봉된 케이스(71)의 내부에는, 탄성체(76)와 플레이트(77)와의 사이의 공간의 도중까지 실리콘오일등의 점성액 L이 봉입되며, 상기 공간내의 상부에는 점성액애 L 에 의하여 밀봉된 공기실이 형성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에 의하여, 케이스(71)의 내부의 오일봉입실은 감쇠부재(74)와 플레이트(77)에 접착된 탄성체(79)에 의하여 하방으로부터 a실(29a), b실(29b), c실(29c)로 분할되어 있다. 또한, a실(29a)과 b실(29b)과는 환상극간 H1 및 환상간극 H3를 통하여 연통되어 있으며, b실(29b)과 c실(29c) 과는 환상간극H2을 통하여 연통되어 있다. 또, c실(29c)은 상술의 공기실을 포함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스터드(73)의 상하움직임에 따라, 감쇠부재(74)와 케이스(71)와의 사이에 간극 H1 및 감쇠부재(74)와 탄성체(79)와의 사이의 간극 H3이 서서히 증감하므로, 점성액 L의 상기 상하간극 H1, H3에서의 조임에 의한 압력손실에서의 감쇠력이 증감한다. 즉,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운전실의 하중과 밸런스된 중립위치로부터의 감쇠부재(74)의 하강에 따라서, 간극 H1이 케이스(71)의 테이퍼면의 경사각도1에서는 순조롭게 좁아지며, 경사각도2의 범위에 도달하면, 이것보다 한층 급격히 좁아져서, 감쇠력은 2단계로 변화하여, 스트로크엔드의 앞에서 커지며, 스토퍼에 닿을 때의 충격을 완충한다. 또, 중립위치로부터의 상승에 따라서, 동일하게 감쇠력이 서서히 상승하고, 스토퍼 접촉 전에 감쇠력이 한층 커진다. 따라서, 이 때, 하강방향의 감쇠력의 증가의 경사보다도 상승방향의 증가의 경사가 크(즉,1 1,2 2)므로, 진동완충시의 인간(오퍼레이터)에게는 기분좋은 감각으로 매치한다.)
또한, 케이스(71)는 하방으로 향하여 서서히 내경이 작아지며, 또한 상하로 그 경사각도가 다르도록 테이퍼형상을 이루고 있으면 좋고, 상하로 그 경사각도가 다르도록 곡면의 테이퍼형상이어도 좋다. 또, 탄성체(79)의 하부에 형성하고 있는 환상의 테이퍼면도, 상하로 그 경사각도가 다르도록 한 곡면의 테이퍼형상이어도 좋다. 이것으로, 단계적으로 경사각도가 변하도록 한 테이퍼면을 가지는 것보다도 순조롭게 감쇠력이 증가한다.
또, 감쇠부재(74)의 형상으로서는 상기와 같은 컵형상에 한정된 것이아니고, 예를들어 기둥형상, 또는 상방 및 하방으로 각각 개방한 요부를 갖게 한 단면 H 형상으로 하여도 좋고, 이들 형상으로 상기와 동일한 감쇠효과 및 횡방향진동 억제효과를 얻을수 있다.
또, 이상 설명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감쇠부재의 지름이나 케이스의 지름 등의 치수, 및 탄성체와 점성액의 특성 등은, 시방서에 따라서 변경이 가능한 것은물론이다.
또, 상기 공기실은 탄성체(16, 26, 76)의 하면의 요부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지만, 여기에 한정된 것이 아니고, 예를들어 탄성체(26, 76)와 슬리브(27)에 의하여, 또는 탄성체(16, 26, 76)와 스터드(13, 23)에 의하여 형성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간극 H2는 b실(29b)과 c실(29c)을 분리하여 상기 공기실을 형성한 것이면 좋고, 따라서 감쇠판(15, 25)과 탄성체(16, 26), 감쇠판(15, 25)과 스터드(12, 23), 감쇠판(15, 25)과 슬리브(27), 탄성체(79)와 스터드(73) 또는 탄성체(79)와 슬리브(27)에 의하여 형성하여도 좋다.
또, 감쇠판(15, 25) 등을 케이스의 단차부에 장착하고 있지만 이 구성에 한정되지않고, 예를들어 케이스로부터 안쪽으로 돌출시킨 핀이나 돌출부재에 장착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스터드에 장착된 감쇠부재의 상방에, 케이스측에 고정된 감쇠판을 가지고 있으므로, 스터드가 상방향의 하중을 받은 경우에, 스터드측의 감쇠부재의 상측을 스터드가 하방향의 하중을 받은 경우의 감쇠부재의 하측과 동일하게 고압으로 할 수 있다. 이것으로, 스터드측의 감쇠부재의 양측에 큰 차압을 발생시킬수 있으며, 스터드가 상방향으로 움직이는 경우에도 하방향으로 움직이게 하는 경우와 동일한 큰 감쇠력을 얻을수 있다.
그리고, 이때, 감쇠력이 스터드의 상승 또는 하강의 스트로크량에 따라서 서서히 커지므로, 진동의 진폭이 커져도 확실하게 감쇠력을 발생시키어 진동을 감쇠시킬수 있다. 또한, 감쇠부재의 스트로크엔드 전에 감쇠력을 크게 하여 스트로크엔드에서의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으므로, 운전실의 거주성을 향상할수 있다.
또, 감쇠부재의 외부측면과 케이스와의 간극이 상방보다 하단부쪽이 작아져 있으므로, 점성액 L을 통하여 케이스측면으로부터 받는 반력은 하방이 크고, 그 합력은 감쇠부재의 하측에 가하여진다. 이 때문에, 스터드의 상단부에 횡방향에 가하여지는 진동에 의한 회전모멘트에 대하여, 이것을 작게하는 방향의 모멘트가 감쇠부재의 하측에 발생하므로, 횡진동을 억제하는 효과가 크다.
또, 스터드측의 감쇠부재의 양측에 큰 차압을 발생시킬수 있으므로, 스터드에 상방향의 큰 하중이 작용한 경우에도, 캐비테이션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어, 안정된 큰 감쇠력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양호한 감쇠성능을 가지는 액체식 마운트를 얻을 수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탄성체와, 탄성체를 관통하는 스터드와, 일단측이 개구하고, 또한 타단측에 저면을 가지는 튜브형상을 이루며, 내부에 점성액을 수용하고, 상기 일단측의 개구부에 상기 탄성체 및 상기 스터드를 끼워넣으므로서 상기 점성액이 봉입되는 케이스와, 상기 점성액에 잠기는 상태에서 상기 스터드에 장착된 감쇠부재를 구비한 액체봉입식마운트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점성액에 잠기는 부분의 벽면을, 하방으로 감에 따라서 내경이 서서히 작아지며, 또한 상하로 경사각도가 다르게 형성하고, 상기 감쇠부재의 외주측면을 상기 케이스의 경사면에 대향시킨 구성으로 되어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케이스와 감쇠부재의 외주측면과의 사이의 간극이 스터드의 하강 즉, 감쇠부재의 하강에 따라서 서서히 좁아지므로, 이 간극을 통하는 점성액의 압력손실에 의한 감쇠력을 순조롭게 크게 할수 있으며, 진폭에 따라, 즉 진폭이 클 때에는 큰 감쇠력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케이스의 경사면의 경사각도를 복수단으로 형성하므로서, 다단으로 감쇠력을 변화시킬수 있기때문에, 스터드(13) 등이 스토퍼에 닿기 전에 감쇠력을 크게 하도록 설정하고, 스토퍼에 접촉할 때의 충격을 완충할수 있다. 또, 케이스의 복수의 경사각도를 임의로 설정하는 것으로, 감쇠력을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Claims (1)

  1. 탄성체(16, 26, 76)와 탄성체(16, 26, 76)을 관통하는 스터드(13, 23, 73)와, 일단측이 개구하고 또한 타단측에 저면을 가지는 튜브형상을 이루며, 내부에 점성액(L)을 수용하고, 상기 일단측의 개구부에 상기 탄성체(16, 26, 76) 및 상기 스터드(13, 23, 74)를 끼워넣으므로서 상기 점성액(L)이 봉입되는 케이스(51, 21, 71)와, 상기 점성액(L)에 잠기는 상태로 상기 스터드(13, 23, 73)에 장착된 감쇠부재(14, 24, 74)를 구비한 액체봉입식마운트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51, 21, 71)의 점성액(L)에 잠기는 부분의 벽면을, 하방으로 감에 따라서 내경이 서서히 작아지게 되며, 또한 상하로 경사각도가 다르게 형성하고,
    상기 감쇠부재(14, 24, 74)의 외주측면을 상기 케이스(51, 61, 71)의 경사면에 대향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봉입식마운트. `
KR1020020055199A 2001-09-12 2002-09-12 액체봉입식 마운트 KR2003002353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276428 2001-09-12
JP2001276428A JP4764578B2 (ja) 2001-09-12 2001-09-12 作業車両のキャブと車体フレーム間に取り付けられる液体封入式マウン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3533A true KR20030023533A (ko) 2003-03-19

Family

ID=191011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5199A KR20030023533A (ko) 2001-09-12 2002-09-12 액체봉입식 마운트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6715745B2 (ko)
JP (1) JP4764578B2 (ko)
KR (1) KR20030023533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5715A (ko) * 2002-05-01 2003-11-07 가부시키가이샤 후코쿠 액체봉입식 마운트장치
JP2005170212A (ja) * 2003-12-10 2005-06-30 Fukoku Co Ltd 建設機械
EP2294330A1 (en) * 2008-04-02 2011-03-16 Lord Corporation A construction vehicle cab suspension surface effect liquid mount
US20090289472A1 (en) * 2008-04-02 2009-11-26 Catanzarite David M Construction vehicle cab suspension mount
JP5496485B2 (ja) 2008-10-03 2014-05-21 株式会社小松製作所 液体封入マウント
IT1393550B1 (it) * 2009-04-03 2012-04-27 Lord Corp Elevatore a forca con dispositivo anti-vibrazioni
WO2011114784A1 (ja) * 2010-03-19 2011-09-22 東洋ゴム工業株式会社 防振装置および防振装置の製造方法
DE102011120726B4 (de) * 2011-12-12 2015-11-05 Carl Freudenberg Kg Hydrolageranordnung und deren Verwendung
KR20160089396A (ko) * 2013-11-25 2016-07-27 로오드 코포레이션 댐핑 유체 장치들, 시스템들 및 방법들
EP3209898B1 (en) * 2014-10-24 2020-06-03 LORD Corporation Damping fluid devices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10438A (en) * 1984-02-09 1986-09-09 Continental Gummi-Werke Aktiengesellschaft Hydraulically damped elastic mounting
JPS59166195A (ja) * 1984-03-06 1984-09-19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洗濯機の水位検知装置
US5516176A (en) * 1991-11-06 1996-05-14 Kabushiki Kaisha Komatsu Seisakusho Resilient supporting device for operator cabin
JP3084544B2 (ja) * 1993-10-28 2000-09-04 株式会社フコク 液体封入式マウント装置
DE69505436T2 (de) * 1994-02-15 1999-06-10 Fukoku Kk Flüssigkeitsgefülltes Lager
JPH07269635A (ja) * 1994-03-25 1995-10-20 Fukoku Co Ltd 液体封入式マウント
JP3526117B2 (ja) * 1994-11-07 2004-05-10 株式会社小松製作所 液体封入サスペンション
JPH08338468A (ja) * 1995-06-09 1996-12-24 Fukoku Co Ltd 液体封入式マウント
JP4154705B2 (ja) * 1998-01-20 2008-09-24 株式会社フコク 高粘性液封入マウント装置
JP4625994B2 (ja) * 1999-02-25 2011-02-02 株式会社フコク 高粘性液封入マウント装置
JP2001241488A (ja) * 2000-03-01 2001-09-07 Komatsu Ltd 液体封入式マウン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30047882A1 (en) 2003-03-13
JP2003083390A (ja) 2003-03-19
JP4764578B2 (ja) 2011-09-07
US6715745B2 (en) 2004-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200719A1 (en) Fluid-filled cylindrical vibration-damping device
US5024461A (en) Upper support for shock absorber in suspension system, having elastically supported resonance member
JPH0788872B2 (ja) 流体封入式筒型マウント装置の製造方法
KR20030023533A (ko) 액체봉입식 마운트
US5213313A (en) Fluid-filled cylindrical elastic mount having lateral and radial elastic walls for desired axial and diametric spring characteristics
WO2018164167A1 (ja) 緩衝器
US5145155A (en) Method of manufacturing fluid-filled elastic mount having fluid injection hole for filling pressure-receiving and equilibrium chambers
EP2894370B1 (en) Liquid filled mount
JP2011214633A (ja) シリンダ装置
JP2008115881A (ja) シリンダ装置
WO2022130968A1 (ja) 液圧機器のシール装置および緩衝器
US5087021A (en) Fluid-filled cylindrical elastic mount having annular fluid chamber and annular movable member to provide restricted resonance portion
US5310168A (en) Fluid-filled cylindrical elastic mount having annular fluid chamber with constant cross sectional area over the entire circumference
JP5280923B2 (ja) 防振装置
US6669181B2 (en) Vibration isolating apparatus
JP3891334B2 (ja) 液体封入式マウント
JPS633762B2 (ko)
JPS6110138A (ja) 流体入りブツシユ
JPS62200047A (ja) 流体入り防振リンク装置
EP0410455A1 (en) Fluid-filled cylindrical elastic mount having annular fluid chamber with constant cross sectional area over the entire circumference
JPH0524837Y2 (ko)
JP2001241488A (ja) 液体封入式マウント
CN103206478B (zh) 减震器的组合结构件
JPH0740751Y2 (ja) 流体封入式筒型マウント装置
WO2023095570A1 (ja) 液圧機器のシール装置および緩衝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