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18797A - 숙성 녹차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숙성 녹차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18797A
KR20030018797A KR1020010053358A KR20010053358A KR20030018797A KR 20030018797 A KR20030018797 A KR 20030018797A KR 1020010053358 A KR1020010053358 A KR 1020010053358A KR 20010053358 A KR20010053358 A KR 20010053358A KR 20030018797 A KR20030018797 A KR 200300187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een tea
tea
aged
aging
roa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33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20770B1 (ko
Inventor
김현정
백주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태평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태평양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태평양
Priority to KR10-2001-00533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20770B1/ko
Publication of KR200300187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87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07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077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06Treating tea before extraction; Preparations produced thereby
    • A23F3/14Tea preparations, e.g.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23V2250/214Tea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0Drying, dehydrat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Tea And Coffe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호성이 증가된 녹차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녹차재료(녹차잎)을 채취하고 찌거나 볶음 처리를 하는 1차 가공 후, 숙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성차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숙성단계는 1차 가공된 녹차재료를 질소 충진하거나 진공포장 상태에서 -10℃∼40℃에서 1일∼3년간 보존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숙성과정을 거침으로써, 녹차 특유의 해조류 향미 및 감칠맛이 증가하고, 떫은맛과 쓴맛이 감소하게 된다. 한편, 상기 숙성 후, 원적외선 드럼 배전기로 60∼130℃에서 5∼40분 동안 원적외선 파장 5∼100㎛로 배전처리하는 2차 가공단계를 거칠 수도 있다.

Description

숙성 녹차 및 그 제조방법{Matured green tea and a method for preparing the matured green tea}
본 발명은 기호성이 증가된 녹차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녹차의 제조공정 중 1차 가공이 끝난 녹차원료를 숙성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성된 녹차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이 숙성처리를 함으로써, 해조류 향미와 감칠맛이 증가하고 떫은맛 및 쓴맛이 감소된 녹차를 제공할 수 있다.
녹차는 동백나무과의카멜리아 시넨시스(Camellia Sinensis)의 싹이나 잎을 이용하여 차엽 속에 존재하는 산화 효소를 화열(火熱)이나 증기로 실활(失活)시켜 제조한 것으로서, 기원전부터 기호차로서 음용되어져 왔고 녹차에 함유된 여러 성분들의 약리적인 메커니즘이 점차 밝혀짐에 따라 그 가치가 일반인들에게도 인식되어지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녹차의 주성분인 폴리페놀에 의한 항산화 작용, 항암작용, 혈중 콜레스테롤 저하작용, 항노화 작용, 중금속 해독 작용, 충치 예방 및 구취 제거 작용 등의 효과들이 입증되면서 크게 주목되고 있다.
녹차의 맛은 쓴맛과 떫은맛을 기본으로 하여, 여기에 감칠맛과 단맛이 가해져 차의 맛을 낸다. 차잎 중에는 쓴맛과 떫은맛을 내는 폴리페놀, 쓴맛이 있는 카페인과 사포닌, 감칠맛을 내는 아미노산류, 감미가 있는 당류 등 여러 가지 맛 성분이 함유되어 있는데, 상기 여러 가지 성분의 조합에 의하여 녹차의 제조방법에 따라 각기 조금씩 다른 맛을 내게 된다.
차의 향기 성분은 차잎 중에 함유되어 있는 휘발성 성분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으로서, 녹차의 경우 약 300종 이상이 향기 성분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녹차의 향기는 한 가지 성분에 의해 나타나는 것이 아니고, 여러 가지 성분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나타나는데, 화학적으로 볼 때 탄화수소류, 알코올류, 알데하이드류, 케톤류, 에스테르류, 락톤류, 산류, 페놀류, 기타 함유화합물, 또는 함질소 화합물 등의 여러 가지가 있다. 향기 형태에 따라서 풋풋하고 산듯한 향을 내는 성분은 청엽알콜과 그 에스테르류이고, 리나룰은 상큼한 꽃향기, 제라니올은 장미꽃 향기, 자스민 락톤과 락톤류는 복숭아꽃 향기, 디메틸 설파이드는 파래 냄새, 피라진류나 피롤류는 가열에 의한 구수한 향기, 2,4-헵타디에날은 차잎이 묵었을 때 나는 냄새를 낸다.
차 생잎에는 향기가 적고 향기의 근원이 되는 물질이 불휘발성 형태로 존재하고 있으나, 적채와 동시에 차잎이 손상을 받아 효소가 작용하며, 지질 성분이 분해되어 향기 성분이 생성된다. 녹차는 채엽 후, 반발효차나 발효차 즉, 우롱차나 홍차를 만들 때 거치는 공정인 위조 단계를 거치지 않고 바로 솥에 덖거나 증기로 쪄서 효소 활성을 정지시키기 때문에 향기 성분의 생성이 적고, 가열에 의해 생잎 중의 향기 성분이 휘발되어 제거될 수도 있기 때문에, 향기가 현저히 감소하게 된다. 그러나, 한편, 제조 공정 중의 가열 처리에 의해서 질소화합물이 생성되는데, 상기 질소 성분은 주로 아미노산류와 당류의 반응에 의해 생성된 피라진, 피롤류 등으로서, 이들은 구수하고 산뜻한 열처리 향을 내는 주체가 된다. 따라서, 덖어서 만드는 덖음차와 가열 처리한 번차는 이러한 가열 향기 성분이 많이 함유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녹차는 제조과정에 다라 크게 덖음차(솥에 볶아 수분을 없애는 차)와 증제차(쪄서 만든 차)로 나눌 수 있는데, 두 경우 모두 차 잎의 수분을 말리고 비벼서 모양을 만들어 가는 기본적인 원리는 같다. 즉, 차나무로부터 차 생엽을 채취한 후, 덖거나 증기로 쪄서 녹차엽 중의 폴리페놀 옥시다아제(polyphenol oxidase)를 불활시켜 발효를 억제시킨 후, 유념() 공정과 건조 공정을 거침으로써 수분함량 4∼5% 정도의 신선한 녹차엽을 얻을 수 있다. 녹차의 채엽부터 이러한 건조공정까지를 1차 가공이라고 부르며, 상기 1차 가공한 녹차를 2차 가공으로서 녹차의 저장성을 높이고 녹차 특유의 구수한 향기가 생성되도록 재건조를 하는데, 이를 배전처리라 한다.
녹차의 품질은 일반적으로 쓴맛과 떫은맛이 적으며 감칠맛이 높고 신선한 향미가 있는 것이 우수한 것으로 판단되고 있다. 종래의 녹차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녹차의 채취후 찌거나 볶음 처리를 하는 1차 가공 직후의 차는 거친 풋내가 남아 있어, 2차 가공인 배전처리를 통해 이러한 풋내를 제거하고 구수한 열처리향을 얻게 된다. 그러나 배전처리시 풋내를 제거하기 위해 과도한 열처리를 하기 쉽고, 이런 경우 구수한 향이 과도로 생성되어 신선한 녹차의 향미가 떨어질 뿐만 아니라, 아미노산류의 향기성분 전환으로 인해 감칠맛이 감소하게 된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1차 가공 직후의 황차를 적절한 조건으로 숙성시킴으로써 2차 가공인 배전처리를 하지 않거나, 또는 기존 방법에 비해 약하게 함으로써, 녹차고유의 맛이 파괴되지 않고, 쓴맛과 떫은맛이 적고 감칠맛이 높으며, 신선향 향미를 가진 기호성이 우수한 녹차를 제조하는 방법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녹차의 제조공정 중, 녹차 원료 채취 후 가열공정인 1차 가공이 끝난 녹차 원료를 일정기간 숙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성차의 제조방법 및 이러한 방법에 의하여 제조되는 숙성차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숙성은 -10∼40℃의 온도범위에서 실시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0∼30℃의 온도범위가 적당하다. 온도가 -10℃ 이하이면, 숙성 작용이 일어나지 않는 문제가 있고, 40℃ 이상이면 부패되는 문제점이 있다.
숙성기간은 1일 내지 3년의 기간으로 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6개월 재지 2년의 기간이 적당하다. 숙성기간이 지나치게 길어지면, 변질되어 녹차의 특성을 잃어버려 좋지 않다.
숙성은 질소충전 또는 진공의 조건에서 할 수 있다. 상기 숙성은 발효와는 구별되는 것으로서, 아무리 저온이라고 해도 녹차의 특성상 산소와 접촉시에는 산패되기 때문에 산소가 없는 조건에서 숙성되어야 한다. 이와 같은 숙성에 의하여, 녹차의 서로 다른 맛들이 서로 조화될 수 있도록 하는 기회를 부여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첨가물로서 아미노산, 파래, 김, 숯 등을 첨가할 수 있다. 아미노산, 파래, 김 등은 녹차의 감칠맛, 즉 풍미를 증진시키며, 숯은 녹차의 바람직하지 않은 풍미를 제거하는데 효과가 있다. 상기 첨가물은 필요에 따라 당업자가 용이하게 선택하여 적당하게 첨가할 수 있다. 아미노산, 파래, 김 등은 1차 공정 과정에서도 첨가될 수 있으며, 숯은 숙성과정에서 첨가되는 것이 좋다.
상기 숙성 후 2차 가공단계를 거칠 수도 있다. 2차 가공은 원적외선 드럼 배전기로 60∼130℃에서 5∼40분 동안 원적외선 파장 5∼100㎛로 배전처리 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배전처리 시간은 20∼40분으로 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자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다른 녹차의 제조 공정은 숙성공정 및 배전처리를 제외하고는 일반적인 녹차 가공방법에 따른다. 일반적으로, 녹차는 제조과정에 다라 크게 덖음차(솥에 볶아 수분을 없애는 차)와 증제차(쪄서 만든 차)로 나눌 수 있는데, 두 경우 모두 차 잎의 수분을 말리고 비벼서 모양을 만들어 가는 기본적인 원리는 같다. 즉, 차나무로부터 차 생엽을 채엽한 후, 덖거나 증기로 쪄서 녹차엽 중의 폴리페놀 옥시다아제(polyphenol oxidase)를 불활시켜 발효를 억제시킨 후, 유념 공정과 건조 공정을 거침으로써 수분함량 4∼5% 정도의 신선한 녹차엽을 얻을 수 있다. 녹차의 채엽부터 이러한 건조공정까지를 1차 가공이라고 부른다.
종래에는 상기 1차 가공한 녹차에서 떫은맛이나 풋내 등 불쾌한 맛을 없애는 2차 가공과정을 거쳤는데, 주로 고온에서 원적외선에 의한 배전처리를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인위적인 2차 가공을 거치지 않고서도, 떫은맛이나 풋내 등을 없앨 뿐 아니라, 녹차 고유의 향취를 그대로 간직할 수 있도록 숙성과정을 거친다. 즉 2차 가공의 경우, 소비자의 구미에 맞도록 배전처리를 함으로써 불쾌한 맛은 없앴으나, 오히려 녹차 고유의 맛을 잃어버리게 하는 단점이 있었는데,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단점을 보강한 것이다.
1차 가공 후 얻어지는 녹차(일반적으로 "황차"라고 한다.)에 있어서는, 녹차에서 방출된 다양한 성분에 의한 각각의 맛이 조화를 이루지 못하여 불쾌한 향취와 맛을 유발하게 되는데, 본원발명에서와 같은 숙성이라는 과정을 거침으로써, 상기 맛들이 서로 어우러지고 조화하게 된다. 그 결과, 별도의 2차 가공을 거치지 않거니, 최소한의 2차 가공만으로도 종래의 1차 가공 녹차에서 발생하였던 불쾌한 맛을 없애고, 오히려, 녹차 고유의 맛을 증진시킬 수 있게된 것이다. 상기 숙성과정에 의하여, 서로 다른 특성을 가진 녹차 성분 각각의 맛들이 서로 조화된다는 것은 하기의 실시예 및 시험예의 결과로부터 충분히 입증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 비교예 및 시험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예 1]
채엽된 녹차엽 60kg을 90kg/hour의 증기압력으로 45초간 증열한 후, 즉시 냉각시키고 90℃의 열풍으로 30분간 조유()공정을 거쳐 20분간 유념한 후, 건조하여 수분함량을 4∼5%가 되도록 1차 가공을 끝낸다. 1차 가공을 끝낸 녹차를 알류미늄 봉투에 넣은 후 질소 충진하여 10℃에서 5개월 동안 숙성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1과 같은 1차 가공 공정을 거친 후, 녹차를 알류미늄 봉투에 넣은 후 진공포장하여 10℃에서 5개월 동안 숙성하였다. 첨가물로서 파래를 첨가하였다. 파래는 1차 공정과정에서 녹차잎과 같이 처리되었다.
[실시예 3]
실시예 1과 같은 1차 가공 공정을 거친 후, 녹차를 알류미늄 봉투에 넣은 후 진공포장하여 20℃에서 5개월 동안 숙성하였다.
[실시예 4]
실시예 1과 같은 1차 가공 공정을 거친 후, 녹차를 알류미늄 봉투에 넣은 후 진공포장하여 20℃에서 2년 동안 숙성하였다.
[실시예 5]
실시예 1과 같은 1차 가공 공정을 거친 후, 녹차를 알류미늄 봉투에 넣은 후 진공포장하여 30℃에서 2년 동안 숙성하였다.
[실시예 6]
실시예 1과 같이 숙성한 녹차를 초기투입온도 60℃, 말기 배출온도 120℃의 조건으로 20분간 배전처리 하였다.
[실시예 7]
실시예 2와 같이 숙성한 녹차를 초기투입온도 60℃, 말기 배출온도 120℃의 조건으로 20분간 배전처리 하였다.
[실시예 8]
실시예 3과 같이 숙성한 녹차를 초기투입온도 60℃, 말기 배출온도 120℃의 조건으로 20분간 배전처리 하였다.
[실시예 9]
실시예 4과 같이 숙성한 녹차를 초기투입온도 60℃, 말기 배출온도 120℃의 조건으로 20분간 배전처리 하였다.
[실시예 10]
실시예 5와 같이 숙성한 녹차를 초기투입온도 60℃, 말기 배출온도 120℃의 조건으로 20분간 배전처리 하였다.
[비교예 1]
실시예 1과 같은 1차 가공 공정을 거친 후, 녹차를 알류미늄 봉투에 넣은 후 진공포장하여 -70℃에 2년 동안 저장하였다.
[비교예 2]
실시예 1과 같은 1차 가공 공정을 거친 후, 녹차를 알류미늄 봉투에 넣은 후 진공포장하여 50℃에서 2년 동안 저장하였다.
[비교예 3]
실시예 1과 같은 1차 가공 공정을 거친 후, 녹차를 알류미늄 봉투에 넣은 후 공기를 포함한 상태로 20℃에서 2년 동안 저장하였다.
[비교예 4]
비교예 1과 같이 숙성한 녹차를 초기투입온도 60℃, 말기 배출온도 120℃의 조건으로 20분간 배전처리 하였다.
[비교예 5]
비교예 2와 같이 숙성한 녹차를 초기투입온도 60℃, 말기 배출온도 120℃의 조건으로 20분간 배전처리 하였다.
[비교예 6]
비교예 3과 같이 숙성한 녹차를 초기투입온도 60℃, 말기 배출온도 120℃의 조건으로 20분간 배전처리 하였다.
[시험예 1] 성분분석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방법으로 제조한 녹차에 대하여 아미노산, 카테킨 및 카페인 분석을 실시하였다. 즉, 80℃의 온수 100㎖에 각각의 조건에 따라 제조된 녹차 0.5g을 넣고 30분간 우려낸 후, 그 추출액을 HPLC로 분석하였고 분석조건은 다음과 같다.
1) 카테킨과 카페인 (동시분석법)
C-18 컬럼을 사용하고 이동상은 22% THF 였으며 유속은 0.8㎖/min, 샘플은 10㎕ 주입하고, 검출기는 280nm 조건에서 분석하였다.
2) 아미노산
C-18컬럼을 사용하고 시료는 OPA(오르소-프탈산)를 유도체화 한 후, 이동상은 pH7.2인 아세트산 나트륨 완충용액(sodium acetate buffer)(THF상 0.3%)+pH7.2인 아세트산 나트륨 완충용액 : 메탄올 : 아세토니트릴 = 1 : 2 : 2로 혼합하여 사용하였고 검출기는 338nm 조건에서 분석하였다.
결과는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하기 표 1에서 성분의 함량단위는 중량%이다.
구 분 아미노산 카테킨 카페인
실시예 1 3.10 10.1 3.2
실시예 2 3.05 10.25 3.1
실시예 3 2.98 10.08 3.0
실시예 4 3.02 10.12 3.12
실시예 5 3.10 10.24 3.0
비교예 1 3.10 11.3 3.3
비교예 2 2.80 9.2 2.9
비교예 3 1.50 7.2 2.5
상기 성분 분석결과, 실시예 및 비교예 1에서는, 2차 가공을 하지 않은 숙성에 의하여 아미노산 , 카테킨, 카페인의 변화가 크지 않았으나 비교예 2, 비교예 3에서는 아미노산 및 카테킨의 함량이 현저히 줄어들었다. 즉, 질소충진 및 진공포장을 함으로써 숙성 중에도 이와 같이 녹차에서의 중요한 성분의 변화를 방지할 수 있었다
[시험예 2] 향기 성분 분석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방법으로 제조한 녹차에 대하여 향기성분 분석을실시하였다. 즉, 녹차시료 5g을 취하여 12mL용량의 vial에 넣고 25℃ 실온에서 30분간 SPME/PDMS를 사용하여 휘발성 물질을 흡착시켰다. 흡착된 SPME fiber는 GC의 injector(210℃)에서 3분간 탈착하여 주입하였다. GC의 분석조건은 :
column은 DB-1, 0.53 nm*30M; carrier gas(헬륨)는 7.0 mL/min (평균속도: 47cm/sec); make-up gas는 41mL/min; air는 300mL/min; H2는, 40mL/min; Oven temperature는 40℃에서 2분 및 8℃/min의 속도로 230℃까지 상승시킨 후 7분 동안 유지; injector는 210℃; detector 250 ℃ 였다.
상기 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하기 표 2에 나타나 있는 것은 GC의 면적비이다.
구 분 1-펜텐-3-올(변질취) 시스-3-헥세닐헥사노에이트 페닐 알콜 리나룰 제라니올
실시예 1 0.02 0.25 0.3 1 0.8
실시예 2 0.03 0.21 0.4 0.8 0.87
실시예 3 0.02 0.22 0.35 0.9 0.89
실시예 4 0.01 0.24 0.36 0.85 0.92
실시예 5 0.015 0.22 0.31 0.78 0.79
비교예 1 0.01 0.24 0.05 0.5 0.56
비교예 2 0.2 0.15 0.08 0.45 0.45
비교예 3 0.6 0.01 0.10 0.33 0.24
상기 향기 성분 분석결과, 숙성효과를 나타내는 중요한 성분인 시스-헥세닐 헥사노에이트, 페닐 알콜, 리나룰, 제라니올의 함량이 실시예에서는 증가한 반면, 비교예에서는 녹차 고유의 향미에 해당하는 것이 아니라 저장 중 발생하는 것으로 바람직하지 못한 향미인 변질취에 해당하는 1-펜텐-3-올의 함량이 증가하였다.
[시험예 3] 관능검사
각각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녹차를 80℃의 온수 100㎖에 2g씩 2분간 우려낸 후, 훈련된 전문패널 10명에게 시음을 시킨 후 9점 척도법으로 관능검사를 실시하여 평균값을 표 3 에 나타내었다.
풋내 어린잎의 풀냄새 구수한 맛 탄내 발효취 감칠맛 쓴맛 떫은맛 전체적 조화도
실시예 1 4.1 6.2 2.3 0.2 0.1 4.5 3.5 3.4 6.5
실시예 2 4.2 5.8 2.2 0.1 0.2 4.6 3.4 3.2 6.4
실시예 3 3.9 5.3 1.8 0.1 0.1 4.3 3.3 3.4 6.2
실시예 4 3.8 6.2 1.5 0.2 0.2 4.6 3.4 3.3 5.9
실시예 5 4.2 6.3 1.6 0.1 0.2 4.5 3.2 3.2 5.8
실시예 6 2.1 4.2 5.2 0.8 0.1 5.1 3.1 2.9 6.8
실시예 7 1.5 5.6 5.6 0.5 0.2 5.2 3.0 2.8 7.0
실시예 8 2.2 5.8 5.8 0.6 0.3 5.1 3.1 2.6 7.2
실시예 9 1.6 5.5 5.5 0.8 0.2 5.2 3.0 2.7 7.1
실시예 10 1.5 5.6 5.6 0.9 0.3 5.0 2.9 2.8 6.9
비교예 1 7.2 5.2 1.8 0.1 0.1 3.8 4.5 4.5 4.1
비교예 2 6.8 3.2 1.5 0.2 1 3.2 4.3 4.2 3.8
비교예 3 6.6 3.0 1.6 0.1 5 2.5 4.4 4.3 2.5
비교예 4 5.5 2.1 4.1 0.9 0.1 4.1 3.9 4.1 4.5
비교예 5 5.3 2.5 4.2 0.8 0.8 3.5 4.0 4.3 4.4
비교예 6 5.1 2.3 4.3 0.4 3.2 3.0 3.9 4.2 3.8
상기에서는, 9점 척도법에 따라, 그 자극의 정도가 없는 것을 0으로 하고, 가장 강한 자극을 9로 하였다.
상기의 훈련된 관능검사 요원에 의한 관능검사 결과, 실시예에 의해 제조된 녹차의 경우풋내, 쓴맛, 떫은맛이 감소하였으며, 어린잎의 풀냄새, 감칠맛이 증가하였다. 반면, 비교예2, 3, 5, 6에서는 발효취가 증가하였다. 한편, 첨가물은 별도의 뚜렷한 향취를 나타내지 않고 녹차의 향취와 어우러짐을 알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녹차의 제조공정 중 녹차잎을 채취하고 찌거나 볶음 처리를 하는 1차 가공 후, 숙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함으로써 해조류 향미와 감칠맛이 증가하고 떫은맛 및 쓴맛이 감소하는 녹차를 제조할 수 있다.

Claims (8)

  1. 녹차 원료 채취 후 찌거나 볶아서 건조하는 1차 가공단계; 및
    상기 1차 가공이 끝난 녹차 원료를 일정기간 숙성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성 녹차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숙성 온도는 -10℃∼40℃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성 녹차의 제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숙성기간은 1일 내지 3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성 녹차의 제조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숙성은 질소충전 또는 진공의 조건에서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성 녹차의 제조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숙성단계 후에, 원적외선 배전기로 60℃∼130℃에서 5∼40분 동안 원적외선 파장 5∼100㎛로 배전처리하는 2차 가공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성 녹차의 제조방법.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첨가물로서 아미노산, 파래,김 및 숯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성 녹차의 제조방법.
  7.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하여 제조된 숙성 녹차.
  8. 제 6항에 의하여 제조된 숙성 녹차.
KR10-2001-0053358A 2001-08-31 2001-08-31 숙성 녹차 및 그 제조방법 KR1004207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3358A KR100420770B1 (ko) 2001-08-31 2001-08-31 숙성 녹차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3358A KR100420770B1 (ko) 2001-08-31 2001-08-31 숙성 녹차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8797A true KR20030018797A (ko) 2003-03-06
KR100420770B1 KR100420770B1 (ko) 2004-03-02

Family

ID=277218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3358A KR100420770B1 (ko) 2001-08-31 2001-08-31 숙성 녹차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20770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2064B1 (ko) * 2002-03-04 2004-03-11 김동현 녹차엑기스 제조방법
KR20190117879A (ko) 2018-04-09 2019-10-17 두리기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잎차 제조방법
CN115500405A (zh) * 2022-10-10 2022-12-23 赵宇 一种茶叶熟化工艺
KR102597353B1 (ko) 2022-08-19 2023-11-01 장범기 향미가 개선된 녹차 및 그 제조방법
CN117941757A (zh) * 2024-03-14 2024-04-30 毕节市茶业发展有限公司 一种绿茶改黄茶的加工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8566A (ko) 2018-02-14 2019-08-22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울금 잎차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34738A (ja) * 1985-04-11 1986-10-20 Mitsui Norin Kk 緑茶飲料の製造方法
KR100214154B1 (ko) * 1995-03-30 1999-08-02 미나미 이조 두충차의 제조 방법
JPH09228646A (ja) * 1996-02-26 1997-09-02 Marufuji Shiitopairu Kk 双方向移動台車付き仮設テント
KR100213830B1 (ko) * 1997-03-20 1999-08-02 김동태 녹차분말차의 제조방법
KR100235109B1 (ko) * 1997-09-13 1999-12-15 서경배 냉녹차의 제조방법
JP3148167B2 (ja) * 1997-10-29 2001-03-19 株式会社有明のり 熟成茶材及び飲用茶類の製造法
JP2000004788A (ja) * 1998-06-26 2000-01-11 Shunichi Yagi 緑茶の製茶方法
KR20010104791A (ko) * 2000-05-15 2001-11-28 박영훈 민들레차제조방법
KR100383553B1 (ko) * 2001-01-18 2003-05-12 전중석 발향 녹차의 제조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2064B1 (ko) * 2002-03-04 2004-03-11 김동현 녹차엑기스 제조방법
KR20190117879A (ko) 2018-04-09 2019-10-17 두리기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잎차 제조방법
KR102597353B1 (ko) 2022-08-19 2023-11-01 장범기 향미가 개선된 녹차 및 그 제조방법
CN115500405A (zh) * 2022-10-10 2022-12-23 赵宇 一种茶叶熟化工艺
CN117941757A (zh) * 2024-03-14 2024-04-30 毕节市茶业发展有限公司 一种绿茶改黄茶的加工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20770B1 (ko) 2004-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ou Fermentation: The key step in the processing of black tea
TWI483682B (zh) Roasted coffee beans and baked coffee beans
JP2020110189A (ja) 半発酵茶、半発酵茶を含む混合茶、半発酵茶又は混合茶からの抽出物、抽出物を含む飲食物及び半発酵茶の製造方法
WO2010137575A1 (ja) 焙じウーロン茶及びこれを用いた茶飲料
KR100420770B1 (ko) 숙성 녹차 및 그 제조방법
KR20100064577A (ko) 기호성이 우수한 대나무통 숙성 녹차 및 그 제조 방법
KR100916196B1 (ko) 발효녹차의 제조방법
KR101024454B1 (ko) 발효 숙성 녹차의 제조 방법
KR20080061645A (ko) 향미가 개선된 저카페인 녹차의 제조방법
JP5896280B2 (ja) 茶の加工方法およびその製造方法により作られた機能性のある茶及びその茶を使用した機能性食品
KR101351641B1 (ko) 가을 감잎을 이용한 부분발효차의 제조방법
JPH08173111A (ja) コーヒー葉茶及びその製造方法
JP4111414B2 (ja) 密封容器入り緑茶飲料及びその製造方法
EP0478859B1 (en) Process for improving the qualities of coffee beans
KR102703360B1 (ko) 전통식 장류 공법을 활용한 발효커피 제조 방법
KR102597353B1 (ko) 향미가 개선된 녹차 및 그 제조방법
KR100432930B1 (ko) 구황차(九黃茶) 및 그 제조방법
JP2019062755A (ja) 半発酵茶の風香味改善方法及び半発酵茶の製造方法
KR101315322B1 (ko) 증제 녹차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2284919B1 (ko) 쑥 발효숙성 차 제조방법
JP2022156827A (ja) 茶葉の香味改善方法
KR20170133554A (ko) 쑥을 함유하는 쑥-커피 및 그 제조방법
Uthai et al. Process optimization, antioxidant activity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green tea made from young fragrant rice leaves cultivar Damgatondam.
JP2020068765A (ja) 顆粒茶の製造方法
KR102230842B1 (ko) 커피가 함유된 막걸리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2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