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18075A - 부품 장착 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 상기 방법을실시하기 위한 부품 장착 장치 및 상기 부품 장착 장치를위한 이송 장치 - Google Patents

부품 장착 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 상기 방법을실시하기 위한 부품 장착 장치 및 상기 부품 장착 장치를위한 이송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18075A
KR20030018075A KR10-2003-7001807A KR20037001807A KR20030018075A KR 20030018075 A KR20030018075 A KR 20030018075A KR 20037001807 A KR20037001807 A KR 20037001807A KR 20030018075 A KR20030018075 A KR 200300180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port
component
sections
component mounting
proc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018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에르빈 벡크
랄프 블뢰머
Original Assignee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0300180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8075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061Tools for holding the circuit boards during processing; handling transport of printed circuit boar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17Conductor or circuit manufacturing
    • Y10T29/49124On flat or curved insulated base, e.g., printed circuit, etc.
    • Y10T29/4913Assembling to base an electrical component, e.g., capacitor,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53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 Y10T29/53087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with signal, scale, illuminator, or optical viewer
    • Y10T29/53091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with signal, scale, illuminator, or optical viewer for work-holder for assembly or disassembl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53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 Y10T29/5313Means to assemble electrical device
    • Y10T29/53174Means to fasten electrical component to wiring board, base, or substra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53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 Y10T29/5313Means to assemble electrical device
    • Y10T29/53187Multiple station assembly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ntainer, Conveyance, Adherence, Positioning, Of Wafer (AREA)
  • Supply And Installment Of Electrical Components (AREA)
  • Exposure And Positioning Against Photoresist Photosensitive Materials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 Intermediate Stations On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품 장착 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 상기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부품 장착 장치 및 상기 부품 장착 장치를 위한 이송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수송 구간(130, 140)의 주 수송 방향(HT)이 전환되고 부품 써포트(110, 120, 120-R)가 역 수송 방향(GT)으로 수송됨으로써 상기 부품 장착 장치의 최적화된 다목적 작동이 가능해진다.

Description

부품 장착 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 상기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부품 장착 장치 및 상기 부품 장착 장치를 위한 이송 장치 {METHOD FOR THE OPERATION OF A COMPONENT PLACEMENT UNIT, COMPONENT PLACEMENT UNIT FOR CARRYING OUT SAID METHOD AND FEED DEVICE FOR SAID COMPONENT PLACEMENT UNIT}
예컨대 전기 프린트 회로 기판과 같은 부품 써포트에 부품을 장착하기 위한 종래의 부품 장착 장치는 예컨대 스크린 프린터, 자동 부품 장착기, 납땜 로(furnace) 또는 테스트 장치와 같은 다수의 처리 로케이션 및 실질적으로는 일직선으로 진행되는 수송 구간을 가지며, 상기 수송 구간에 의해 상기 처리 로케이션이 서로 연결된다. 각각의 부품 써포트에 장착되는 전기 부품의 수에 따라서 상기 수송 구간은 상기 부품 써포트가 부품 장착 장치에 의해 다수의 처리 로케이션에서 동시에 평행하게 처리될 수 있도록 하거나 상대적으로 많은 수의 전기 부품일 경우에는 직렬로 처리될 수 있도록 한다. 그 결과, 한편으로는 처리 로케이션에서의 수정 작업이 필요없이 매우 다양한 부품을 필요로 하는 서브어셈블리가 모두 장착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는 덜 복잡한 다수의 부품이 자동 부품 장착기에 의해 부품 써포트에 평행하게 동시에 장착될 수 있으며, 이어서 상기 부품 써포트는 예컨대 공통의 납땜 로 내로 가이드될 수 있다.
종래의 부품 장착 장치의 경우, 부품 써포트가 부품 장착 장치의 시작 지점에 있는 영역에 송출되고 공급 장치에 의해 상기 부품 장착 장치 내로 삽입된다. 수송 구간에 의해 상기 부품 써포트는 처리 로케이션을 통해 가이드되고 거기서 처리된다. 처리가 종결된 후에는, 부품 장착 장치의 끝 지점에서 최종 처리된 부품 써포트를 픽업할 필요가 있다. 예컨대, 부품 써포트의 양 측면이 처리되어야만 할 경우에는 상기 부품 써포트를 추가의 외부 수송 구간을 거쳐서 부품 장착 장치의 시작 지점으로 역 수송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이를 위해서는 최종 처리된 부품 써포트가 외부 수송 구간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하는 추가의 수송 로케이션 뿐만 아니라 외부 수송 구간도 필요하다. 상기 수송 로케이션 및 외부 수송 구간은 추가 공간을 필요로 하고 처리 시간을 증대시킨다. 왜냐하면, 부품 써포트가 부품 장착 장치의 시작 지점으로 역 수송되기 전에 상기 부품 써포트는 우선 전체 장치를 통과해야만 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배열에 의해서는 부품 장착 장치의 다양한 처리 로케이션이 최적으로 이용될 수 없다.
본 발명은 부품 써포트에 전기 부품들을 장착하기 위한 부품 장착 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 상기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부품 장착 장치 및 상기 부품 장착 장치를 위한 이송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수의 처리 로케이션 및 다수의 수송 구간을 갖는 부품 장착 장치의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송 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 부품 장착기 및 이송 장치를 갖는 부품 장착 장치의 섹션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에 따른 부품 장착 장치의 섹션에 대한 개략적인 기능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부품 장착 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 상기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부품 장착 장치 및 상기 부품 장착 장치를 위한 이송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으며, 상기 이송 장치는 필요한 처리 시간 및 달성가능한 작업 처리량에 있어서 최적의 처리를 보장한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른 독립 청구항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종속항에 제시된다.
본 발명은 부품 써포트에 전기 부품들을 장착하기 위한 부품 장착 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며, 이때 상기 부품 장착 장치는 다수의 처리 로케이션을 갖는다. 상기 처리 로케이션은 하나 이상의 수송 구간에 의해 서로 연결되며, 상기 수송 구간에 의해 상기 부품 써포트는 주 수송 방향으로 수송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경우 부품 써포트는 주 수송 방향으로 수송 구간을 거쳐서 처리 로케이션으로 수송된다. 상기 부품 써포트 및/또는 전기 부품들은 처리 로케이션에서 처리된다. 또한 적어도 일시적으로 하나 이상의 수송 구간의 주 수송 방향이 전환됨으로써, 상기 부품 써포트는 역 수송 방향으로 하나의 처리 로케이션으로부터 다른 처리 로케이션으로 수송된다.
본 발명에 의해, 이미 부품 장착 장치의 최종 처리 로케이션을 통과한 부품 써포트가 상기 처리 로케이션과 연결된 수송 구간에 의해 다시 한번 상기 부품 장착 장치의 임의의 다른 처리 로케이션으로 수송될 수 있다. 이는 예컨대 부품 써포트의 양 측면에 상이한 또는 동일한 부품들이 장착될 때 의미가 있다. 또한 예컨대 로와 같은 특정 처리 장치를 되풀이하여 통과하는 것과 같이 처리 단계를 반복 실행할 필요가 있을 수도 있다. 또한 자동 부품 장착기의 부품 장착 로케이션의 최적의 사용 효율을 달성하기 위해서, 주 수송 방향과 역 수송 방향으로의 가변적인 수송에 의해 아직 모든 부품이 장착되지 않은 부품 써포트를 자동 부품 장착기 사이에서 수송하는 것이 상기 자동 부품 장착기를 통과하는 통과 시간의 최적화에 있어서 중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관점에 따르면, 부품 써포트를 역 수송 방향으로 수송하기 전에 하나 이상의 수송 구간에서 역 수송 방향으로 수송하는 것이 최적화에 있어서 중요한지 아닌지를 테스트하는 것이 필요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예컨대 자동 부품 장착기의 모든 부품 장착 로케이션에, 부품이 장착되어야만 할 부품 써포트가 직접 공급되는지 아닌지를 테스트할 수 있기 때문에, 자동 부품 장착기로의 공급 수송은 필요하지 않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자동 부품 장착기에 존재하는 수송 구간은 부품 써포트를 역 수송 방향으로 역 수송하기 위해 원활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관점에 따르면, 역 수송 방향으로 수송되어야만 하는 부품 써포트는 처리 로케이션에, 또는 처리 로케이션 사이에 일시 저장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이를 위해, 상이한 수의 부품 써포트를 수용할 수 있는 일시 저장기가 존재할 수 있다. 선택가능한 수의 부품 써포트가 상기 일시 저장기 내에 도달하게 되면, 부품 장착 장치의 하나 이상의 수송 구간에서 역 수송 방향으로의 수송이 실행될 수 있다. 그럼으로써, 상기 부품 장착 장치의 수송 구간은 역 수송 방향으로의 수송에 의해 잠시 동안만 부하를 받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부품 장착 장치도 제공된다. 상기와 같은 부품 장착 장치는 다수의 처리 로케이션 및 하나 이상의 이송 구간을 갖는다. 상기 부품 장착 장치의 수송 구간의 주 수송 방향은 하나의 처리 로케이션으로부터 다른 처리 로케이션으로의 수송을 위해 선택적으로 전환될수 있다.
상기 수송 구간 및/또는 처리 로케이션은 제어 장치와 커플링될 수 있다. 상기 제어 장치에 의해 수송 구간의 상태에 관한 정보에 근거하여 수송 구간의 사용 효율을 테스트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 장치에 의해, 주 수송 방향의 전환 및 부품 써포트의 역 수송 방향으로의 수송이 처리 로케이션에 의해 실행된 부품 써포트의 처리에 나쁜 영향을 끼치는 일 없이 가능한지에 대한 확실한 진술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관점에 따르면, 부품 장착 장치를 위한 이송 장치가 제공되며, 상기 이송 장치는 적어도 두 개의 수송 구간 및 상기 수송 구간에 의해 연결되는, 부품 써포트 및/또는 전기 부품 처리를 위한 다수의 처리 로케이션을 갖는 부품 장착 장치에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이송 장치는 적어도 두 개의 부분 수송 구간을 가지며, 상기 부분 수송 구간은 수직으로 및/또는 수평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적어도 일시적으로 수송 구간과 일직선 상에 놓이게 된다. 상기 이송 장치의 부분 수송 구간의 주 수송 방향은 선택적으로 전환될 수 있다. 수송 구간 사이에서의 부품 써포트의 전환 또는 이송이 가능하다. 예컨대, 부품 장착 장치의 두 개 이상의 수송 구간에서는 각각의 자유로운 수송 구간의 선택적인 사용에 의해, 주 수송 방향으로의 처리가 지연되지 않는 방식으로 역 수송 방향으로의 수송 작동이 최적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을 참고로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해 더 자세히 설명된다.
도 1에서 볼 수 있듯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부품 장착 장치는 다수의 처리 로케이션(150-1, 150-2, 150-3, 160-1, 160-2, 170, 180 및 190)을 갖는다. 상기 상이한 처리 로케이션은 예컨대 부품 써포트용 공급 장치(170), 납땜 페이스트로 부품 써포트를 프린팅하기 위한 스크린 프린팅 장치(180), 자동 부품 장착기(150-1, 150-2, 150-3), 특수 자동 부품 장착기(160-1, 160-2) 또는 납땜 로(190) 일 수 있다. 그러나, 예컨대 테스트 장치와 같은 다른 처리 로케이션도 가능하다.
상기 처리 로케이션은 다수의 수송 구간(130 및 140)과 교차한다. 즉, 수송 구간(130)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상기 수송 구간(130 및 140)은 각각 개별 처리 로케이션에 매칭된 다수의 섹션들로 분할된다. 도 1에 도시된 부품 장착 장치의 상이한 지점에서 부품이 장착될 부품 써포트(110)를 볼 수 있다. 예컨대 부품 써포트(110)는 공급 장치(170) 내에 배치된다. 각각 두 개의 부품 써포트(110)는 각각의 자동 부품 장착기(150-1, 150-2, 150-3) 내에 배치된다.
상기 부품 장착 장치의 주 수송 방향은 화살표(HT)로 표시되고 공급 장치(170)로부터 스크린 프린터(180)를 거쳐서 자동 부품 장착기(150-1, 150-2, 150-3)로 연장되어서, 상기 자동 부품 장착기(150-1, 150-2, 150-3)로부터 특수 자동 부품 장착기(160-1, 160-2)를 거쳐서 납땜 로(190) 까지 연장된다. 주 수송 방향(HT)으로 볼 때 마지막인 자동 부품 장착기(150-3)에는 두 개의 부품 써포트(110)가 픽업 위치에 있음을 볼 수 있으며, 상기 픽업 위치로부터 나와 상기 부품 써포트(110)는 수송 구간(130)에 의해 특수 자동 부품 장착기(160-1 및 160-2)로 공급된다. 두 개의 추가 부품 써포트(110)는 상기 주 수송 방향(HT)에서 마지막인 자동 부품 장착기(150-3)의 유입구 섹션에 도시된다. 상기 추가 부품 써포트(110)는 픽업 위치에 존재하는 부품 써포트(110)가 수송 구간에 의해 자동 부품 장착기(150-3)로부터 제거된 후에 자동 부품 장착기(150-3)의 부품 장착 위치로 수송된다.
마찬가지로 도 1에서 볼 수 있듯이, 특수 자동 부품 장착기(160-2) 내에 하나의 부품 써포트(110)가 배치되고 납땜 로(190) 내에 3개의 부품 써포트(110)가 배치된다. 이에 관련하여, 도 1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부품 장착 장치를 작동시키는 임의의 시점에 개별 처리 로케이션 및 수송 구간(130, 140)이 채워져 있음을 알 수 있다. 처리 로케이션 하부에 도시된 수송 구간(140)은 다수의 섹션(140-1, 140-2, 140-3 및 140-4)으로 분할된다. 상기 섹션(140-1)은 공급 장치(170) 및 스크린 프린터(180)의 영역에서 연장된다. 상기 섹션(140-2 및140-3)은 자동 부품 장착기(150-1, 150-2 및 150-3)의 영역에서 두 개의 평행한 수송 구간을 형성한다. 상기 섹션(140-4)은 특수 자동 부품 장착기(160-1 및 160-2) 및 납땜 로(190)의 영역에서 연장된다. 상기 섹션(140-4)에서 수송 구간(140)은 모든 부품이 장착된 다수의 부품 써포트(120)에 의해 채워진다.
상기 섹션(140-1, 140-2, 140-3 및 140-4) 상에 역 수송 방향(GT)으로 수송되는 부품 써포트(120-R)가 배치되며, 상기 부품 써포트(120-R)는 본 발명에 따르면 역 수송 방향으로 수송된다. 상기 부품 써포트(120-R)는 이미 모든 부품들이 장착되었거나 부분적으로 장착되었거나 또는 이미 납땜된 상태일 수 있다.
납땜 로(190) 및 특수 자동 부품 장착기(160)의 영역에 배치된 수송 구간(140)의 섹션(140-4)은 모든 부품들 또는 일부분이 장착된, 및/또는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납땜된 다수의 부품 써포트(120-R)를 일시 저장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부품 써포트(120-R)는 부품 장착 장치의 역 수송 방향(GT)으로 수송되어야만 한다. 자동 부품 장착기(150-1, 150-2 및 150-3)의 하부에 도시되고 거기에 할당된 수송 구간(140-2 및 140-3)은 예컨대 자동 부품 장착기(150-1, 150-2 및 150-3)의 평행 작동시 이송 장치(200-1, 200-2, 200-3 및 200-4)에 의해 자동 부품 장착기(150-1, 150-2, 150-3) 사이에서 매우 자주 전환된다. 따라서, 모든 부품이 장착된 부품 써포트(120-R)는 연속적으로 역 수송 방향(GT)으로 수송 구간(140-2, 140-3)의 상부에 있는 자동 부품 장착기(150-1, 150-2, 150-3)의 영역에 수송될 수 없다. 따라서, 모든 부품들 또는 일부분이 장착된, 및/또는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납땜된 부품 써포트(120-R)가 수송 구간(140)의 섹션(140-4)에 일시 저장될 필요가 있다. 상기 자동 부품 장착기(150-1, 150-2, 150-3)의 수송 구간(140-2 및 140-3)을 역 수송 방향(GT)으로 연속해서 통과할 수 있게 될 경우, 즉 임의의 시점에 아직 모든 부품이 장착되지 않은 부품 써포트(110)가 주 수송 방향(HT)으로 자동 부품 장착기(150-1, 150-2, 150-3)의 수송 구간(140-2 및 140-3) 상에 수송되지 않을 경우에는, 일시 저장된 부품 써포트(120-R)가 수송 구간(140-2 및 140-3)을 거쳐서 역 수송 방향(GT)으로 수송될 수 있다. 상기 수송 구간(140-2 및 140-3)은 각각 이송 장치(200-1, 200-2, 200-3, 200-4)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따라서, 수송 구간(140-2, 140-3) 상에서 부품 장착 장치의 역 수송 방향(GT)으로의 수송은 하나의 수송 구간(140-2)으로부터 다른 수송 구간(140-3)으로, 그리고 그 반대로 임의로 전환될 수 있다. 왜냐하면, 상기 이송 장치(200-1, 200-3, 200-3, 200-4)에 의해 수송 구간(140-2, 140-3)의 각각의 부분 섹션 후에 수송 구간(140-2, 140-3)의 전환이 가능해지기 때문이다. 상기 이송 장치(200-1, 200-2, 200-3, 200-4)는 부품 장착 장치의 사용 효율을 더욱 증대시키는 추가의 일시 저장기를 가질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송 장치(200-3)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상기 이송 장치(200-3)는 다수의 지점에서 부품 장착 장치의 수송 구간(130-1, 130-2, 140-2 및 140-3)에 면해있고 예컨대 컨베이어 벨트 방식으로 형성된 부분 수송 구간(210)에 의해, 상기 수송 구간(210)에 의해 수송된 부품 써포트(110, 120 및 120-R)를 수용하거나 상기 부품 써포트(110, 120 및 120-R)를 상기 수송 구간(210)으로 송출할 수 있다.
상기 공급 장치(200-3)에 의해 일직선 상에 놓여있는 수송 구간들(130-1, 130-2, 140-2 및 140-3)이 부분 수송 구간(210)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평행한 이중 수송 구간 또는 다중 수송 구간으로 형성된 수송 구간(130-1, 130-2, 140-2 및 140-3)의 경우 이송 장치(200-3)의 부분 수송 구간(210)도 수송 구간(130-1, 130-2 및 140-2, 140-3)과 동일한 간격에서 평행하게 연장된다.
부분 수송 구간(210)은 화살표에 의해 수직 방향 및 수평 방향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수직 및/또는 수평으로 이동될 수 있다. 그럼으로써, 상기 수송 구간(130-1, 130-2, 140-2 및 140-3) 상에서 수송된 부품 써포트(110, 120 및 120-R)가 선택적으로 수송 구간(130-1, 130-2, 140-2 또는 140-3) 중 하나로 이송될 수 있다. 즉, 주 수송 방향(HT)으로나 또는 역 수송 방향(GT)으로 공급 장치(200-3)에 수송될 수 있는 부품 써포트(110, 120 또는 120-R)가 상기 부품 써포트(110, 120 또는 120-R)가 그 쪽으로 수송되는 수송 구간(130-1, 130-2, 140-2 또는 140-3)으로부터 임의의 다른 수송 구간(130-1, 130-2, 140-2 또는 140-3)으로 이송되어서, 상기 다른 수송 구간(130-1, 130-2, 140-2 또는 140-3) 상에서 연속해서 수송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이송 장치(200-3)는 추가로 일시 저장기(250)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일시 저장기(250)는 추가의 부분 수송 구간(260)을 가지며, 상기 수송 구간(260)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송 구간(130-1, 130-2, 140-2 및 140-3)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추가의 부분 수송 구간은 추가로 또는 선택적으로 수직으로도 이동될 수 있다. 그럼으로써, 상기 수송 구간(130-1, 130-2, 140-2 및 140-3)으로부터 부품 써포트(110, 120 또는 120-R)가 일시 저장기(250)의 추가의 부분 수송 구간(260) 상에 저장될 수 있고, 이어서 상기 추가의 부분 수송 구간(260)과 함께 수송 경로로부터 이동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이송 장치(200-3)의 부분 수송 구간(210)은 상기 수송 구간(130-1, 130-2, 140-2 및 140-3)의 수송 경로 내로 이동될 수 있기 때문에, 일직선 상에 놓여있는 수송 구간 간의 연결이 가능해진다.
필요시에는 상기 부분 수송 구간(210)은 수송 구간(130-1, 130-2, 140-2 및 140-3)의 수송 경로에서 부분 수송 구간(260)에 대해 다시 한번 전환될 수 있고 저장된 부품 써포트(110, 120 또는 120-R)는 일시 저장기(250)로부터 수송 구간의 수송 경로 내로 제공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부품 장착 장치의 섹션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 및 개략적인 기능도이며, 상기 부품 장착 장치는 4개의 자동 부품 장착기(150-1, 150-2, 150-3 및 150-4) 및 5개의 이송 장치(200-1, 200-2, 200-3, 200-4 및 200-5)를 갖는다. 상기 부품 장착 장치는 상기 자동 부품 장착기(150-1, 150-2, 150-3 및 150-4)의 영역에서 두 개의 평행한 수송 구간(140-2 및 140-3)을 갖는다. 주 수송 방향(HT)으로 볼 때, 상기 부품 장착 장치의 섹션의 시작 지점과 끝 지점에서 각각 하나의 수송 구간(140-1 및 140-4)을 볼 수 있다. 상기 수송 구간(140-1 및 140-4)에 의해 부품 써포트(110, 120 및 120-R)가 부품 장착 장치의 다른 처리 로케이션으로부터, 또는 상기 다른 처리 로케이션 쪽으로 수송된다. 주 수송 방향(HT)으로 볼 때 각각의 자동 부품 장착기(150-1, 150-2, 150-3 및 150-4)의 시작 지점과 끝 지점에이송 장치(200-1, 200-2, 200-3, 200-4 및 200-5)가 배치된다
상기 이송 장치(200-1, 200-2, 200-3, 200-4 및 200-5)에 의해 부품 써포트(110, 120 및 120-R)가 각각의 자동 부품 장착기(150-1, 150-2, 150-3 및 150-4)의 시작 지점과 끝 지점에서 평행한 수송 구간(140-2 및 140-3) 사이에서 이송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자동 부품 장착기(150-1, 150-2, 150-3 및 150-4)의 평행 작동시 중간에 있는 두 개의 자동 부품 장착기(150-2 및 150-3)에서는 이미 부품이 장착된 부품 써포트(120)를 연속 수송하기 위한 각각 하나의 수송 구간(140-2 또는 140-3)이, 그리고 부품이 장착될 부품 써포트(110)의 수송을 위한 수송 구간(140-3 또는 140-2)이 이용될 수 있어야만 한다.
주 수송 방향(HT)으로 볼 때 첫 번째인 자동 부품 장착기(150-1)의 경우, 부품이 장착되지 않은 부품 써포트(110)를 공급하기 위해 수송 구간(140-2 또는 140-3)이 사용된다. 다른 수송 구간(140-3 또는 140-2)은 단지 이미 부품이 장착된 부품 써포트(120-R)를 역 수송 방향(GT)으로 수송하기 위해서만 사용될 수 있다.
주 수송 방향(HT)으로 볼 때 마지막인 자동 부품 장착기(150-4)의 경우, 이미 부품이 장착된 부품 써포트(120)를 주 수송 방향(HT)으로 수송하기 위해 수송 구간(140-2 또는 140-3) 중 하나가 이용될 수 있어야만 한다. 상기 수송 구간(140-2 또는 140-3) 중 다른 수송 구간은 단지 역 수송 방향(GT)으로의 수송을 위해서만 이용될 수 있다.
중간에 있는 두 개의 자동 부품 장착기(150-2 및 150-3)의 경우 주 수송 방향(HT)으로 볼 때 후속하는 자동 부품 장착기(150-3 또는 150-4)에 공급되는 것을방해하지 않으면서 역 수송 방향(GT)으로 수송 구간(140-2 및 140-3) 중 하나를 연속 사용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따라서, 좀 더 개선시키기 위해서는 중간에 있는 3개의 이송 장치(200-2, 200-3 및 200-4)에 일시 저장기(250)가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일시 저장기(250) 내에 역 수송 방향(GT)으로 수송되는 부품 써포트(120-R)가 일시 저장될 수 있다.
자동 부품 장착기(150-3 및 150-4)의 모든 부품 장착 로케이션이 이미 다 채워져 있기 때문에, 중간에 있는 자동 부품 장착기(150-2 및 150-3)의 수송 구간이 주 수송 방향(HT)으로 볼 때 이미 부품이 장착된 부품 써포트(120)를 수송하거나 부품이 장착되지 않은 부품 써포트(110)를 공급하는데 사용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자동 부품 장착기(150-2 및 150-3)에서 비어있는 각각의 수송 구간(140-2 및 140-3)이 역 수송 방향(GT)으로 수송되는 부품 써포트(120-R)의 수송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역 수송 방향(GT)으로의 수송에 의해 처리 로케이션에서의 처리가 방해받는 일 없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부품 장착 장치의 효율적인 작동이 가능해진다.

Claims (14)

  1. 부품 써포트(110, 120, 120-R)에 전기 부품들을 장착하기 위한 장치를 작동시키는 방법으로서,
    상기 부품 장착 장치가 하나 이상의 수송 구간(130, 140)에 의해 연결되는 다수의 처리 로케이션(150, 160, 170, 180, 190)을 가지며, 상기 수송 구간(130, 140)에 의해 상기 부품 써포트(110, 120, 120-R)가 주 수송 방향(HT)으로 수송되며,
    하기의 단계:
    - 상기 부품 써포트(110, 120)를 상기 주 수송 방향(HT)으로 상기 수송 구간(130, 140)을 거쳐서 상기 처리 로케이션(150, 160, 170, 180, 190)으로 수송하는 단계,
    - 상기 부품 써포트(110, 120) 및/또는 전기 부품들을 상기 처리 로케이션(150, 160, 170, 180, 190)에서 처리하는 단계,
    - 상기 부품 써포트(120-R)를 역 수송 방향(GT)으로 하나의 처리 로케이션(150, 160, 170, 180, 190)으로부터 다른 처리 로케이션(150, 160, 170, 180, 190)으로 수송하면서, 하나 이상의 수송 구간(130, 140)의 주 수송 방향(HT)을 적어도 일시적으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기 부품 장착 장치의 작동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 써포트(120-R)를 상기 역 수송 방향(GT)으로 수송한 후에 다시 한번 상기 주 수송 방향(HT)으로 상기 처리 로케이션(150, 160, 170, 180, 190)으로 수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부품 장착 장치의 작동 방법.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주 수송 방향(HT)의 전환 이전에, 상기 역 수송 방향(GT)으로의 수송을 위한 수송 구간(130, 140)이 비어있는지 아닌지를 테스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부품 장착 장치의 작동 방법.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 써포트(120-R)를 상기 역 수송 방향(GT)으로 수송하기 전에 일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부품 장착 장치의 작동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 써포트(120-R)를 일시 저장후에 상기 역 수송 방향(GT)으로 개별적으로 수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부품 장착 장치의 작동 방법.
  6. 다수의 처리 로케이션(150, 160, 170, 180, 190) 및 하나 이상의 수송 구간(130, 140)을 갖는,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송 구간(130, 140)의 주 수송 방향(HT)이 하나의 처리 로케이션(150, 160, 170, 180, 190)으로부터 다른 처리 로케이션(150, 160, 170, 180, 190)으로의 수송을 위해 선택적으로 전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부품 장착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수송 구간(130, 140) 및/또는 처리 로케이션(150, 160, 170, 180, 190)과 커플링된 제어 장치가 제공되며, 상기 제어 장치에 의해 상기 수송 구간(130, 140)의 상태에 관한 검출된 정보들에 근거하여, 상기 처리 로케이션(150, 160, 170, 180, 190)에 의한 처리에 악 영향을 미치는 일 없이 상기 주 수송 방향(HT)의 전환이 실행될 수 있는지를 테스트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부품 장착 장치.
  8. 제 6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두 개 이상의 수송 구간(130, 140) 및 하나 이상의 이송 장치(200)가 제공되며, 상기 수송 구간 및 이송 장치에 의해 상기 부품 써포트(110, 120, 120-R)가 상기 수송 구간(130, 140) 사이에서 수송될 수 있으며,
    상기 이송 장치(200)의 주 수송 방향(HT)이 선택적으로 전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부품 장착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수송 구간(130)이 상기 처리 로케이션(150, 160, 170, 180, 190)을 통해 연장되고 상기 이송 장치(200)가 진행 방향으로 볼 때상기 처리 로케이션(150, 160, 170, 180, 190)의 앞 및/또는 뒤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부품 장착 장치.
  10. 제 8항 또는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장치(200)가 일시 저장기(250)를 가지며, 상기 일시 저장기(250) 내에 처리된 및/또는 처리되지 않은 부품 써포트(110, 120, 120-R)가 저장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부품 장착 장치.
  11. 이송 장치(200)가 적어도 하나의 부분 수송 구간(210)을 가지며, 상기 부분 수송 구간(210)은 수직 및/또는 수평으로 이동될 수 있고 적어도 일시적으로 상기 수송 구간(130, 140)과 일직선 상에 놓이게 되는, 부품 써포트(110, 120, 120-R)를 위한 적어도 두 개의 수송 구간(130, 140) 및 상기 부품 써포트 및/또는 전기 부품들을 처리하기 위한, 상기 수송 구간(130, 140)에 의해 연결되는 다수의 처리 로케이션(150, 160, 170, 180, 190)을 갖는 부품 장착 장치용 공급 장치(200)에 있어서,
    상기 이송 장치(200)의 상기 부분 수송 구간(210)의 주 수송 방향(HT)이 선택적으로 전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장착 장치용 공급 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장치(200)는 일시 저장기(250)를 가지며, 상기 일시 저장기(250)내에 부품 써포트(110, 120, 120-R)가 저장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장착 장치용 공급 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일시 저장기(250)는 수평 및/또는 수직으로 이동가능한 부분 수송 구간(260)으로 형성되며, 상기 부분 수송 구간(250)은 상기 부품 써포트(110, 120, 120-R)의 저장 또는 송출을 위해 적어도 일시적으로 상기 수송 구간(130, 140)과 일직선 상에 놓이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장착 장치용 공급 장치.
  14. 제 11항 내지 제 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송 구간(130, 140)이 각각 서로에 대해 고정된 간격을 갖는 다수의 평행한 수송 구간(130, 140)으로서 형성되며,
    상기 부분 수송 구간(210, 260)이 다수에 상응하는 수의 평행한 부분 수송 구간(210, 260)으로서 형성되고, 상기 부분 수송 구간(210, 260)은 서로에 대해 고정된 간격을 가지며,
    상기 평행한 부분 수송 구간(210, 260)이 상기 수송 구간(130, 140)에 대해 수평 및/또는 수직으로 이동가능한 공통의 써포트 위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장착 장치용 공급 장치.
KR10-2003-7001807A 2000-08-10 2001-08-02 부품 장착 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 상기 방법을실시하기 위한 부품 장착 장치 및 상기 부품 장착 장치를위한 이송 장치 KR2003001807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039201.6 2000-08-10
DE10039201A DE10039201A1 (de) 2000-08-10 2000-08-10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Bestückanlage, Bestückanlage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und Übergabeeinrichtung für die Bestückanlage
PCT/DE2001/002934 WO2002013589A1 (de) 2000-08-10 2001-08-02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bestückanlage, bestückanlage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und übergabeeinrichtung für die bestückanlag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8075A true KR20030018075A (ko) 2003-03-04

Family

ID=76520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1807A KR20030018075A (ko) 2000-08-10 2001-08-02 부품 장착 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 상기 방법을실시하기 위한 부품 장착 장치 및 상기 부품 장착 장치를위한 이송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040117983A1 (ko)
EP (1) EP1308074B1 (ko)
JP (1) JP2004506319A (ko)
KR (1) KR20030018075A (ko)
CN (1) CN1225957C (ko)
DE (2) DE10039201A1 (ko)
WO (1) WO200201358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29514B2 (en) * 2003-01-17 2004-12-07 Motorola, Inc. Balancing workloads in an electronics assembly factory
WO2011135960A1 (ja) 2010-04-29 2011-11-03 富士機械製造株式会社 製造作業機
JP5750235B2 (ja) 2010-04-29 2015-07-15 富士機械製造株式会社 製造作業機
US9961816B2 (en) * 2013-06-07 2018-05-01 Fuji Machine Mfg. Co., Ltd. Electronic apparatus assembly machine and similar assembly machine
JP5833172B2 (ja) * 2014-04-15 2015-12-16 富士機械製造株式会社 製造作業機
DE102016122308B4 (de) * 2016-11-21 2018-08-02 Asm Assembly Systems Gmbh & Co. Kg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räumlichen Speichern von Bauelementen zwischen Bearbeitungsstationen
WO2021069328A1 (de) 2019-10-07 2021-04-15 Pink Gmbh Thermosysteme Anlage und verfahren zum verbinden von elektronischen baugruppen
DE102019134410C5 (de) * 2019-12-13 2022-07-07 Pink Gmbh Thermosysteme Anlage und Verfahren zum Verbinden von elektronischen Baugruppen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08662A (en) * 1973-03-05 1974-05-07 Universal Instruments Corp Automatic component process system
CA1317897C (en) * 1987-07-14 1993-05-18 Henricus J. J. Bouwens Apparatus for the transport of carriers from and to a positioning device and selection device for use in such an apparatus
AT398923B (de) * 1989-04-04 1995-02-27 Sticht Walter Fertigungsanlage mit parallel- und nebenförderwegen
DE59006753D1 (de) * 1989-06-16 1994-09-15 Atotech Deutschland Gmbh Verfahren zum Behandeln von stückförmigen Teilen in Durchlaufanlagen, sowie Vorrichtung zur Durchfürung dieses Verfahrens.
DE4041239A1 (de) * 1990-12-19 1992-07-02 Siemens Ag Fertigungseinrichtung fuer aus teilkomponenten zusammenfuegbare funktionseinheiten
JP3560722B2 (ja) * 1996-03-12 2004-09-0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基板搬送方法及び装置
JP3202929B2 (ja) * 1996-09-13 2001-08-27 東京エレクトロン株式会社 処理システム
JP4207288B2 (ja) * 1998-04-20 2009-01-14 株式会社デンソー 組立加工装置
JP2003517735A (ja) * 1999-12-16 2003-05-27 シーメンス アクチエンゲゼルシヤフト 実装基板のための複数の搬送距離区分を備えた実装装置
US6572702B1 (en) * 1999-12-21 2003-06-03 Speedline Technologies, Inc. High speed electronic assembly system and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308074A1 (de) 2003-05-07
CN1225957C (zh) 2005-11-02
DE10039201A1 (de) 2002-02-28
CN1436441A (zh) 2003-08-13
EP1308074B1 (de) 2009-02-25
JP2004506319A (ja) 2004-02-26
US20040117983A1 (en) 2004-06-24
WO2002013589A1 (de) 2002-02-14
DE50114729D1 (de) 2009-04-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355802B (zh) 丝网印刷机
US5659947A (en) Device for automatically populating a top and a bottom side of printed-circuit boards with SMD components
JP4883072B2 (ja) 電子部品実装システム
US7434675B1 (en) Facility for fitting component carriers with electric components
WO2010038437A1 (ja) 電子部品実装システムおよび電子部品実装方法
KR20030018075A (ko) 부품 장착 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 상기 방법을실시하기 위한 부품 장착 장치 및 상기 부품 장착 장치를위한 이송 장치
JP2010087449A (ja) 電子部品実装システム
KR100423525B1 (ko) 기판에 소자를 설비하기 위한 방법
JPH09172298A (ja) 電子部品実装機
US20030154596A1 (en) Production line for one-sided and two-sided assembly of printed citcuits boards
US6524100B2 (en) Facility for the thermal treatment of workpieces
KR100402311B1 (ko) 반도체 소자 테스트 시스템과 그의 제어방법
JP4799195B2 (ja) 生産ラインシステム
JP5126449B2 (ja) スクリーン印刷システムおよびスクリーン印刷方法
JP2002217592A (ja) 電子部品実装装置
JP3117821B2 (ja) プリント基板実装機
JP2004104147A (ja) 電子部品装着装置における部品供給装置
JP5126448B2 (ja) 電子部品実装ラインおよび電子部品実装方法
KR100271055B1 (ko) 부품장착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하여 제조한 전자회로기판
JP5077496B2 (ja) 電子部品実装ラインおよび電子部品実装方法
JPH11177290A (ja) 電子部品実装ライン
KR870000578B1 (ko) 트랜스퍼 머시인(Transfer machine)
GB2326980A (en) Chip components mounting apparatus
JPH09331191A (ja) プリント基板供給装置、およびプリント基板供給方法
JPH05369A (ja) 自動はんだ付け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