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14758A - 기억 매체가 탑재된 검출기를 구비한 사출 성형기 - Google Patents

기억 매체가 탑재된 검출기를 구비한 사출 성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14758A
KR20030014758A KR10-2003-7000665A KR20037000665A KR20030014758A KR 20030014758 A KR20030014758 A KR 20030014758A KR 20037000665 A KR20037000665 A KR 20037000665A KR 20030014758 A KR20030014758 A KR 200300147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tector
molding machine
information
injection molding
cont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006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41167B1 (ko
Inventor
후지타겐지
Original Assignee
스미도모쥬기가이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도모쥬기가이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도모쥬기가이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147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47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11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116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76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5/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 B29C2945/76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29C2945/76003Measured parameter
    • B29C2945/7611Velocity
    • B29C2945/76113Velocity linear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5/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 B29C2945/76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29C2945/76003Measured parameter
    • B29C2945/7611Velocity
    • B29C2945/7612Velocity rotational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5/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 B29C2945/76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29C2945/76177Location of measurement
    • B29C2945/7618Injection unit
    • B29C2945/76214Injection unit drive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5/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 B29C2945/76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29C2945/76177Location of measurement
    • B29C2945/76224Closure or clamping unit
    • B29C2945/7623Closure or clamping unit clamping or closing drive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Manufacturing Optical Record Carriers (AREA)
  • Geophysics And Detection Of Objects (AREA)

Abstract

사출 성형기는 구동부와, 구동부에 의해 구동되는 피구동부와, 피구동부의 구동 상황을 검출하는 검출기를 구비하고, 검출기에는 기억 매체가 탑재된다. 기억 매체에는 검출기를 식별하기 위한 검출기 정보, 구동부의 원점 위치 정보, 사출 성형기를 식별하기 위한 성형기 정보를 기억시킨다. 사출 성형기의 컨트롤러의 정보와의 비교를 한다.

Description

기억 매체가 탑재된 검출기를 구비한 사출 성형기{Injection molding machine having detector with storage medium}
사출 성형기에 있어서는 가열 실린더 내에 있어서 가열되고 용해된 수지를 고압으로 사출하고, 금형의 캐비티 공간에 충전하고, 캐비티 공간 내에 있어서 냉각하여 고체화시키고, 금형을 개방하여 성형품을 취출한다.
이 때문에 이 사출 성형기에는 복수의 구동부 및 해당 구동부에 의해 구동되는 피구동부가 설치되어 있다. 또, 해당 피구동부의 속도나 위치 등 피구동부의 구동 상황을 검출하기 위해서 검출기가 피구동부 또는 구동부 등에 구비되어 있다.
예를 들면, 전동 사출 성형기에는 사출용 서보 모터, 스크류 회전용 서보 모터, 금형 체결용 서보 모터 등의 복수의 모터가 구동부로서 설치되어 있다. 또, 스크류(screw), 크로스 헤드(cross head) 등이 피구동부로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서보 모터의 출력축에는 로터리 엔코더(rotary encoder) 등의 회전 검출기가 설치되어 있다. 예를 들면, 회전 검출기는 서보 모터의 회전수나 회전양을 인식하고 인식한 회전수나 회전양을 나타내는 검출 신호를 출력한다. 이 검출 신호는서보 모터의 출력축에서 구동되는 피구동부의 속도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신호로서 이용된다. 피구동부의 속도 제어를 하는 경우에는 컨트롤러가 회전 검출기로부터의 검출 신호를 받는다. 컨트롤러는 검출 신호에서 나타나는 속도에 따라 서보 모터의 회전수나 회전양을 제어한다. 즉, 컨트롤러는 피구동부를 지령 속도에 맞추도록 서보 모터의 회전수나 회전양의 제어를 한다.
도 1은 종래의 전동 사출 성형기에 있어서의 서보 모터의 피드백(feedback) 제어계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또, 이 블럭도는 설명을 간략화하기 위해서 최소한의 구성 요소만을 나타내고 있고, 실제의 피드백 제어계는 이보다 복잡한 구성으로 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서보 모터(21)의 출력축(25)에 회전 검출기(22)가 설치된다. 회전 검출기(22)로부터의 검출 신호는 인터페이스 회로(23)를 경유하여 컨트롤러(20)에 입력된다. 인터페이스 회로(23)는 회전 검출기(22)로부터의 신호를 컨트롤러(20)에서의 디지털 처리에 적절한 신호로 변환한다. 컨트롤러(20)는 회전 검출기(22)로부터 취득한 서보 모터(21)의 회전수나 회전양의 정보에 의해 드라이버(24)를 개재하여 서보 모터(21)의 회전수나 회전양을 제어한다.
그런데, 회전 검출기(22)를 서보 모터(21)의 출력축(25)에 부착했을 때에는 서보 모터(21)의 원점 위치를 계측하고, 원점 위치 정보로서 보존하는 것이 필요하다. 서보 모터(21)의 회전수나 회전양을 제어하기 위해서는 원점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회전수나 회전양을 인식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또, 회전 검출기(22)를 식별하기 위해서 컨트롤러(20)에는 서보 모터(21)의원점 위치 정보에 더하여 검출기 정보가 보존된다. 검출기 정보라는 것은 회전 검출기를 개별적으로 식별할 수 있는 개별 정보로, 예를 들면 「회전 검출기의 형식」, 「일련 번호」, 「버젼 번호」 등 , 수치나 알파벳(alphabet) 등의 기호로 나타나는 정보가 해당한다. 컨트롤러(20)는 사출 성형기에 하나 구비되지만, 통상은 컨트롤러(20)는 사출 성형기에 있어서의 복수의 서보 모터를 병렬적으로 제어한다. 따라서, 복수의 검출 신호가 복수의 회전 검출기로부터 컨트롤러(20)에 입력된다. 이 경우, 입력된 검출 신호가 어느 회전 검출기로부터의 것인지 식별을 할 필요가 있다. 또, 입력된 검출 신호가 정규의 회전 검출기로부터 얻어진 것일까라고 하는 식별을 할 필요도 있다.
이와 같이, 종래의 전동 사출 성형기에서는 서보 모터(21)의 원점 위치 정보는, 이 서보 모터(21)의 출력축(25)에 설치된 회전 검출기(22)의 검출기 정보와 조합되어, 회전 검출기(22)의 서보 모터(21)에의 부착 후, 컨트롤러(20)에 내장되어 있는 메모리(26)에 보존되어 있다. 또, 인터페이스 회로(23)가 메모리를 내장하고 있는 경우는, 이 메모리에 서보 모터(21)의 원점 위치 정보 및 검출기 정보가 보존된다.
그러나, 상술의 종래의 사출 성형기에서는 회전 검출기(22)를 교환한 경우에, 회전 검출기(22)의 교환 때마다 사출 성형기의 원점 위치 검출 동작을 행하고, 서보 모터(21)의 원점 위치 정보와 회전 검출기(22)의 검출기 정보를 메모리(26)에 다시 보존하지 않으면 안 된다. 이 때에 회전 검출기가 교환된 후에 원점 위치의 정보의 입력 등의 설정 조작을 잊어버린 경우나 잘못하여 다른 종류의 회전 검출기가 서보 모터(21)에 부착된 채로 사출 성형기가 운전될 경우 등에, 사출 성형기가 오동작을 한다.
또, 상술의 종래의 사출 성형기에서는 원점 위치 정보 및 검출기 정보를 가지는 인터페이스 회로(23) 혹은 컨트롤러(20)를 교환한 경우나, 회전 검출기(22)와, 원점 위치 정보 및 검출기 정보를 가지는 인터페이스 회로(23) 혹은 컨트롤러(20)를 교환한 경우에, 서보 모터(21)의 원점 위치 정보와 회전 검출기(22)의 검출기 정보를 해당 교환 때마다 다시 보존하지 않으면 안 된다. 따라서, 각각의 교환 작업이 번잡하게 되고, 그 결과 교환 작업 때마다 유지 보수를 위한 인위적 지원을 필요로 하게되어 불편하다.
본 발명은 사출 성형기, 특히 기억 매체가 탑재된 검출기를 구비한 사출 성형기로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전동 사출 성형기의 서보 모터의 피드백 제어계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와 관련되는 사출 성형기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내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와 관련되는 사출 성형기(40)의 계량 모터(55)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을 이용한 피드백 제어계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4는 사출 성형기를 신규로 설치하는 경우에 대해서, 1칩 마이크로 컴퓨터의 메모리에 보존되어 있는 정보 및 컨트롤러 내의 메모리에 보존되어 있는 정보의 내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5는 도 3에 나타내는 회전 검출기(62)를 교환하는 경우에 대해서, 1칩 마이크로 컴퓨터의 메모리에 보존되어 있는 정보 및 컨트롤러 내의 메모리에 보존되어 있는 정보의 내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6은 도 3에 나타내는 컨트롤러(34)를 교환하는 경우에 대해서, 1칩 마이크로 컴퓨터의 메모리에 보존되어 있는 정보 및 컨트롤러 내의 메모리에 보존되어 있는 정보의 내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7은 도 2에 나타내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와 관련되는 사출 성형기에의 통상의 전원 투입시에 있어서의 1칩 마이크로 컴퓨터의 메모리에 보존되어 있는 정보 및 컨트롤러 내의 메모리에 보존되어 있는 정보의 내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와 관련되는 내장식(built in type)의 사출 성형기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9는 도 8에 나타내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와 관련되는 사출 성형기(90)의 계량 모터(105)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을 이용한 피드백 제어계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와 관련된 것으로 직선 운동을 검출하는 검출기를 구비한 사출 성형기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나타내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와 관련되는 사출 성형기(150)의 사출용 피스톤(165)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을 이용한 피드백 제어계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12는 도 10에 나타내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와 관련되는 사출 성형기(150)의 금형 체결용 피스톤(187)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을 이용한 피드백 제어계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
그래서, 본 발명의 목적은,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에 의해 구동되는 피구동부와, 상기 피구동부의 구동 상황을 검출하는 검출기를 구비하고, 상기 검출기에는 기억 매체가 탑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 성형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기억 매체와 컨트롤러의 메모리에는, 각각에 공통의 정보가 기억되고, 검출기를 교환한 경우, 인터페이스 회로 혹은 컨트롤러를 교환한 경우, 또는, 검출기 및 인터페이스 회로 혹은 컨트롤러를 교환한 경우 등에, 상기 공통의 정보의 비교나 고쳐 쓰기가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각각의 교환 작업이 용이하게 되고, 운영자 자신이어도 교환 작업에 사출 성형기의 오동작이 발생하지 않게 해당 교환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즉, 사출 성형기의 유지 보수가 간편하게 되고, 해당 교환 작업 후에 사출 성형기를 용이하게 정상 운영으로 끌어올리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기억 매체는 1칩 마이크로 컴퓨터이어도 좋다. 1칩 마이크로 컴퓨터는 메모리를 가지고 염가로 제공되고 있어 기억 매체로서 적합하다.
기억 매체에는 상기 사출 성형기를 식별하기 위한 성형기 정보를 더 기억시켜도 좋다. 또, 검출기 정보는 검출기의 형식, 일련 번호, 또는 버젼 번호 중의 어느 정보를 포함해도 좋다. 또, 성형기 정보는 기번(機番) 및 구동부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해도 좋다. 성형기 정보는 또한 가소화 용량 또는 금형 체결 용량에 관한 정보를 포함해도 좋다. 구동부는 모터이어도 좋고, 검출기는 모터의 출력축에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구동부는 압유의 공급에 기초하여 작동해도 좋다. 사출 성형기는 구동부에 의한 구동을 피구동부에 전달하는 구동 전달부를 더 구비하고, 검출기는 구동 전달부에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또, 검출기는 구동부 또는 피구동부에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검출기는 피구동부의 회전 또는 위치 혹은 속도를 검출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에 의해 구동되는 피구동부와, 상기 피구동부의 구동 상황을 검출하여 검출 신호를 출력하는 검출기와, 상기 검출 신호를 받아 상기 구동부에 의한 구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구비한 사출 성형기로서, 상기 검출기에는 상기 검출기를 식별하기 위한 검출기 정보를 기억시킨 기억 매체가 탑재되고, 상기 기억 매체에는 상기 구동부의 원점 위치 정보 및 상기 사출 성형기를 식별하기 위한 성형기 정보를 기억시키고, 상기 컨트롤러에는 상기 성형기 정보가 기억된 메모리가 내장되고, 상기 메모리에는 상기 원점 위치 정보및 상기 검출기 정보를 기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 성형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컨트롤러에도 동일한 검출기 정보나 원점 위치 정보를 보존하여 비교를 할 수 있고, 회전 검출기가 교환된 후의 설정 조작 잊어버림에 의한 사출 성형기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검출기 정보 및 원점 위치 정보에 더하여 성형기 정보를 기억 매체 및 컨트롤러에 보존함으로써, 컨트롤러만이 교환될 경우와, 회전 검출기와 컨트롤러가 교환될 경우의 판별을 확실히 할 수 있다.
컨트롤러는 상기 기억 매체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검출기 정보와 상기 메모리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검출기 정보를 비교하고, 불일치의 경우는 그 취지를 보고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또, 컨트롤러는 또한 상기 기억 매체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원점 위치 정보와 상기 메모리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원점 위치 정보를 비교하고, 불일치의 경우는 그 취지를 보고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불일치의 보고가 이루어짐으로써 사출 성형기의 구동 전에 올바른 설정 조작이 촉구된다. 이에 의해 검출기가 교환된 후의 설정 조작 잊어버림에 의한 사출 성형기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컨트롤러는 또한 기억 매체에 기억되어 있는 성형기 정보와 메모리에 기억되어 있는 성형기 정보를 비교하고, 불일치의 경우는 그 취지를 보고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이 보고에 의해, 컨트롤러만이 교환된 경우와, 회전 검출기와 컨트롤러가 동시에 교환된 경우의 판별을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컨트롤러만이 교환된 경우는, 컨트롤러는 기억 매체에 보존되어 있는 원점 위치 정보를 그대로 읽어내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원점 위치의 검출 및 설정의 동작을 재차 행할 필요가 없어진다.
도 2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와 관련되는 사출 성형기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전동 사출 성형기(40)는 사출 장치(50) 및 금형 체결 장치(70)로 구성된다.
사출 장치(50)는 가열 실린더(51)를 구비하고, 가열 실린더(51)에는 호퍼(hopper)(52)가 설치된다. 또, 가열 실린더(51) 내에는 스크류(53)가 진퇴 가능하게 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스크류(53)의 후단은 지지 부재(54)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지지 부재(54)에는 서보 모터 등의 계량 모터(55)가 구동부로서 부착되고, 계량(計量) 모터(55)의 회전이 계량 모터(55)의 출력축(61)에 부착된 타이밍 벨트(56)를 개재하여 피구동부의 스크류(53)에 전달되도록 되어 있다. 계량 모터(55)의 출력축(61)의 후단에는 회전 검출기(62)가 직결하고 있다. 회전 검출기(62)는 계량 모터(55)의 회전수 또는 회전양을 인식하고 스크류(53)의 구동 상황을 나타내는 스크류(53)의 회전 속도를 검출한다.
사출 장치(50)는 또한 스크류(53)와 평행으로 나사축(57)을 회전 가능하게 구비한다. 나사축(57)의 후단은 서보 모터 등의 사출 모터(59)의 출력축(63)에 부착된 타이밍 벨트(timing belt)(58)를 개재하여 사출 모터(59)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사출 모터(59)에 의해 나사축(57)을 회전시킬 수 있다. 나사축(57)의 전단은 지지 부재(54)에 고정된 너트(nut)(60)와 결합된다. 따라서, 구동부인 사출 모터(59)를 구동하고, 타이밍 벨트(58)를 개재하여 구동 전달부인 나사축(57)을 회전시키면 지지 부재(54)는 전후진 가능하게 된다. 그 결과, 피구동부의 스크류(53)를 전후진시킬 수 있다. 사출 모터(59)의 출력축(63)의 후단에는 위치 검출기(64)가 직결(直結)하고 있다. 위치 검출기(64)는 사출 모터(59)의 회전수 또는 회전양을인식하고 스크류(53)의 구동 상황을 나타내는 스크류(53)의 위치를 검출한다.
금형 체결 장치(70)는 가동측의 금형(71)이 부착된 가동 플래튼(72)과, 고정측의 금형(73)이 부착된 고정 플래튼(74)을 포함한다. 가동 플래튼(72)과 고정 플래튼(74)은 타이 바(tie bar)(75)에 의해 연결된다. 가동 플래튼(72)은 타이 바(75)를 따라 슬라이딩(sliding) 가능하다. 또, 금형 체결 장치(70)는 일단이 가동 플래튼(72)과 연결되고, 타단이 토글 서포트(toggle support)(76)와 연결되는 토글 기구(77)를 포함한다. 토글 서포트(76)의 중앙에 있어서는, 볼 나사축(79)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볼 나사축(79)에는 토글 기구(77)에 설치된 크로스 헤드(cross head)(80)에 형성된 너트(81)가 결합되어 있다. 또, 볼 나사축(79)의 후단에는 풀리(pulley)(82)가 설치되고, 서보 모터 등의 금형 체결 모터(78)의 출력축(83)과 풀리(82)의 사이에는 타이밍 벨트(84)가 장설(張設)되어 있다.
따라서, 금형 체결 장치(70)에 있어서 구동부인 금형 체결 모터(78)를 구동하면, 금형 체결 모터(78)의 회전이 타이밍 벨트(84)를 개재하여 구동 전달부인 볼 나사축(79)에 전달된다. 그리고, 볼 나사축(79) 및 너트(81)에 의해 운동 방향이 회전 운동으로부터 직선 운동에 변환되고 토글 기구(77)가 이동하게 된다. 토글 기구(77)의 작동에 의해 가동 플래튼(72)은 타이 바(75)를 따라 슬라이딩하고, 금형 폐쇄, 금형 체결 및 금형 개방이 이루어진다. 금형 체결 모터(78)의 출력축(83)의 후단에는 위치 검출기(85)가 직결하고 있다. 위치 검출기(85)는 금형 체결 모터(78)의 회전수 또는 회전양을 인식하고, 볼 나사축(79)의 회전에 수반하여 진퇴하는 크로스 헤드(80) 또는 토글 기구(77)에 의해 크로스 헤드(80)에 연결된 피구동부인 가동 플래튼(72)의 위치를 검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와 관련되는 사출 성형기의 구동부의 하나인 계량 모터(55)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을 이용한 피드백 제어계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 또, 이 블럭도는 설명을 간략화 하기 위해서, 최소한의 구성 요소만을 나타내고 있고, 실제의 피드백 제어계는 이보다 복잡한 구성으로 된다.
도 3을 참조하면, 도 2를 이용하여 설명한 것처럼 본 실시예에서는 구동부인 계량 모터(55)가 피구동부인 스크류(53)를 구동하고, 계량 모터(55)의 출력축(61)에 회전 검출기(62)가 설치되어 있다. 회전 검출기(62)는 계량 모터(55)의 회전수 또는 회전양을 인식하고 스크류(53)의 회전 속도를 검출한다. 회전 검출기(62)에는 여러 가지 형태의 것이 있지만, 예를 들면, 로터리 엔코더(rotary encoder)가 해당한다.
회전 검출기(62)로부터의 검출 신호는 인터페이스 회로(36)를 경유하여 컨트롤러(34)에 입력된다. 컨트롤러(34)는 회전 검출기(62)에서 인식된 계량 모터(55)의 회전수 또는 회전양의 정보에 의해, 드라이버(37)를 개재하여 계량 모터(55)의 회전수 또는 회전양을 제어한다.
회전 검출기(62)에는 1칩 마이크로 컴퓨터(38)가 기억 매체로서 탑재되어 있다. 1칩 마이크로 컴퓨터(38)에는 계량 모터(55)의 원점 위치 정보 및 회전 검출기(62)의 검출기 정보를 기억시키고 있다. 1칩 마이크로 컴퓨터(38)는 메모리를 가지고 염가로 제공되고 있어 기억 매체로서 적합하다.
계량 모터(55)의 회전수 또는 회전양을 제어하기 위해서는 원점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회전수 또는 회전양을 검출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원점 위치 정보가 요구된다. 따라서, 원점 위치 정보를 정상적으로 기억시킴으로써 계량 모터(55)에 의해 구동되는 스크류(53)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검출기 정보로서 「회전 검출기의 형식」, 「일련 번호ㆍ버젼 번호」가 사용된다.
「회전 검출기의 형식」의 정보에 의해 사출ㆍ계량ㆍ금형 체결ㆍ축출기(ejector) 등의 각 구동부에 관한 것으로, 정규의 형식의 회전 검출기가 부착되어 있는지를 파악할 수 있다. 여기에서는 계량 모터(55)에 관한 것으로 정규의 형식의 회전 검출기가 부착되어 있는지 어떤지를 파악할 수 있다.
그런데, 동일 형식의 회전 검출기이어도 검출 방법의 개선 등이 있는 경우에, 컨트롤러 측의 소프트웨어의 변경을 수반하는 경우가 있다. 또, 회전 검출기의 교환 작업을 할 때에 어느 버젼(version)의 회전 검출기가 탑재되어 있었는지 불명인 경우가 있다. 즉, 해당 버젼의 회전 검출기에 적절한 컨트롤러 측의 소프트웨어를 회전 검출기의 교환과 동시에 제공할 필요가 있다. 그래서, 「일련 번호ㆍ버젼 번호」를 보존해 둠으로써 어느 버젼의 검출기가 탑재되어도 컨트롤러가 검출기의 버젼을 판별하고 자동적으로 최적인 소프트웨어를 제공할 수 있다.
단지, 개별의 회전 검출기를 식별할 수 있는 한, 「회전 검출기의 형식」,「일련 번호ㆍ버젼 번호」에 한정되지 않고, 어떠한 정보를 사용해도 좋다.
또, 회전 검출기(62)에는 미리 1칩 마이크로 컴퓨터(38)를 붙이고, 게다가 1칩 마이크로 컴퓨터(38)의 메모리에 미리 검출기 정보를 기입한 것을 제공하는 것으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또 1칩 마이크로 컴퓨터(38)의 메모리에 성형기 정보도 기억시킬 수 있다. 성형기 정보는 사출 성형기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이다. 어느 공장에 있어서 사출 성형기가 설치되는 것은 1대만으로 한정되지 않고, 복수대의 사출 성형기가 설치되는 것이 보통이다. 그리고, 이 경우 복수대의 사출 성형기를 일괄 감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성형기 정보의 존재에 의해 복수대의 사출 성형기를 일괄 감시하고 식별할 수 있다.
성형기 정보로서, 사출 성형기 마다 주어지는 「기번」, 검출기를 사용하고 있는 사출 성형기 내의 「구동 부위」에 관한 정보, 「가소화 용량ㆍ금형 체결 용량」에 관한 정보 등이 사용된다.
「기번」은 각 성형기 고유의 번호이다. 동일한 기번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개체 판별을 확실히 할 수 있다. 또, 「기번」에는 사출 성형기의 시리즈(series) 명을 포함해도 좋다.
또, 사용하고 있는 「구동 부위」의 정보에 의해, 1대의 사출 성형기에서 동일 형식의 검출기가 복수개 사용되고 있는 경우에, 이들을 바꿔 넣었을 때에 바꿔 넣는다라는 취지를 판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구동 부위」에 관한 정보는, 예를 들면, IJ(사출), MD(금형 체결), EJ(축출기), RO(계량) 등, 기호화하여 입력된다.
또, 의외의 고장 등에 의해 컨트롤러(34) 및 검출기(62)의 데이터는 이상한 데이터로 변화되는 것이 생각될 수 있다. 따라서, 성형기 정보로서 「가소화 용량ㆍ금형 체결 용량」 등, 「기번」 및 사용하고 있는 「구동 부위」 이외의 정보를 보존해 둠으로써 컨트롤러(34)의 메모리(35)의 데이터와 검출기(62)의 1칩 마이크로 컴퓨터(38)의 데이터의 비교를 할 때에 보다 많은 데이터의 비교를 할 수 있다. 그 결과 두 데이터의 정확성을 늘릴 수 있다.
단지, 개별의 사출 성형기를 식별할 수 있는 한은 상술의 정보에 한정되지 않고 어떠한 정보를 사용해도 좋다.
상술과 같은 1칩 마이크로 컴퓨터(38)를 가지는 회전 검출기(62)를 계량 모터(55)의 출력축에 부착했을 때에는, 계량 모터(55)의 원점 위치를 계측하고, 그 원점 위치 정보를 검출기 정보, 성형기 정보와 함께 1칩 마이크로 컴퓨터(38) 내의 메모리에 보존한다. 1칩 마이크로 컴퓨터(38) 내의 메모리에의 데이터 보존은 주지의 기술로 할 수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컨트롤러(34)를 통하여 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즉, 컨트롤러(34)에는 디스플레이, 키보드 등의 데이터 입력 장치가 조합되고, 이 데이터 입력 장치에 의해 필요한 정보를 입력하여 컨트롤러(34) 경유로 1칩 마이크로 컴퓨터(38) 내의 메모리에 기입을 한다. 이를 위해 컨트롤러(34)와 1칩 마이크로 컴퓨터(38)의 사이를 전용선(30)으로 접속하고 있다. 컨트롤러(34)는 전용선(30)을 통해 1칩 마이크로 컴퓨터(38)에의 데이터 입력만이 아니고 1칩 마이크로 컴퓨터(38)로부터의 데이터 읽어냄도 행한다.
본 형태에서는, 또한 컨트롤러(34) 내의 메모리(35)에도, 상기의 원점 위치 정보, 회전 검출기(62)의 검출기 정보, 성형기 정보를 기억시키도록 하고 있다. 이는 후술하듯이 컨트롤러(34)에 있어서, 1칩 마이크로 컴퓨터(38)에 기억되어 있는원점 위치 정보, 회전 검출기(62)의 검출기 정보, 성형기 정보와, 컨트롤러(34) 내의 메모리(35)에 기억되어 있는 원점 위치 정보, 회전 검출기(62)의 검출기 정보, 성형기 정보와의 비교를 하기 위해서 이다. 컨트롤러(34)는 사출 성형기에의 전원이 투입되었을 때에는 반드시 상술의 비교를 하고, 불일치가 있으면, 그 취지를 알람(alarm)으로 보고하고, 불일치의 내용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한다.
또, 성형기 정보에 대해서는 사출 성형기의 제조 단계에서 컨트롤러(34) 내의 메모리(35)에 기억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회전 검출기(62), 인터페이스 회로(36) 혹은 컨트롤러(34)를 교환한 경우에, 계량 모터(53)의 원점 위치 정보나 회전 검출기(62)의 검출기 정보를 재차 다시 보존할 필요가 없다.
다음에,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여러 가지 경우에 따른 상기의 정보의 보존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4는 전동 사출 성형기(40)를 신규로 설치하는 경우에 대해서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 회전 검출기(62)에 붙여져 있는 1칩 마이크로 컴퓨터(38)의 메모리에는 검출기 정보만이 기입되어 있다. 한편, 컨트롤러(34) 내의 메모리(35)에는 성형기 정보만이 기입되어 있다.
설치 후, 전동 사출 성형기(40)의 전원이 투입되면, 컨트롤러(34)는 1칩 마이크로 컴퓨터(38)의 메모리로부터 정보를 읽어내지만, 검출기 정보만 얻어진다. 한편, 컨트롤러(34) 내의 메모리(35)에는 성형기 정보만이 존재한다. 이 경우, 컨트롤러(34)는 사출 성형기의 신규 설치로 판별하고, 이하의 동작을 실행한다.
컨트롤러(34)는 1칩 마이크로 컴퓨터(38)의 메모리 및 컨트롤러(34) 내의 메모리(35)의 검출기 정보, 원점 위치 정보, 성형기 정보에 대해서 비교를 실행하지만, 일치는 얻어지지 않는다. 이 경우, 컨트롤러(34)는 1칩 마이크로 컴퓨터(38)의 메모리로부터 읽어낸 검출기 정보를 메모리(35)에 보존함과 동시에, 메모리(35)에 기억되어 있는 성형기 정보를 읽어내어 1칩 마이크로 컴퓨터(38)의 메모리에 기입한다. 컨트롤러(34)는 또 정보의 불일치를 나타내는 알람을 출력시키고, 원점 위치 정보의 불일치를 디스플레이에 표시시킨다. 이 표시에 의해 운영자는 계량 모터(55)의 원점 위치 검출 동작을 행한다. 운영자는 검출한 원점 위치를 데이터 입력장치로부터 컨트롤러(34)를 개재하여 1칩 마이크로 컴퓨터(38)의 메모리 및 컨트롤러(34) 내의 메모리(35)에 기입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하여 1칩 마이크로 컴퓨터(38)의 메모리 및 컨트롤러(34) 내의 메모리(35)에는 각각 동일한 검출기 정보, 원점 위치 정보, 성형기 정보가 기입되게 된다. 따라서, 이후 컨트롤러(34)가 전술의 비교 동작을 실행하면 모두 일치하므로 이후의 제어 동작이 가능한 상태로 된다.
도 5는 이미 설치되어 있는 회전 검출기를 교환하는 경우에 대해서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 신규의 회전 검출기를 설치하는 경우와, 중고품의 회전 검출기를 설치하는 경우가 생가될 수 있다. 그러나, 어느 쪽의 경우도 컨트롤러(34)에 의한 비교의 결과, 불일치로 된다. 이하에서는 신규의 회전 검출기를 설치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경우 회전 검출기(62)에 붙여져 있는 1칩 마이크로 컴퓨터(38)의 메모리에는 검출기 정보만 기입되어 있다. 한편, 컨트롤러(34) 내의 메모리(35)에는 성형기 정보 이외, 이전의 회전 검출기의 구검출기 정보 및 구원점 위치 정보가 기입되어 있다. 컨트롤러(34)는 신규의 회전 검출기(62)의 교환인 것으로 판별하고 이하의 동작을 실행한다.
회전 검출기의 교환 후, 전동 사출 성형기(40)의 전원이 투입되면, 컨트롤러(34)는 1칩 마이크로 컴퓨터(38)의 메모리로부터 검출기 정보를 읽어내고, 컨트롤러(34) 내의 메모리(35)로부터 읽어낸 검출기 정보와의 비교를 한다. 검출기 정보, 원점 위치 정보, 및 성형기 정보의 어느 것도 일치하지 않는다.
이 경우, 컨트롤러(34)는 메모리(35)에 기억되어 있는 구검출기 정보를 소거하여 1칩 마이크로 컴퓨터(38)의 메모리로부터 읽어낸 검출기 정보를 덧쓰기 보존함과 동시에, 메모리(35)에 기억되어 있는 성형기 정보를 1칩 마이크로 컴퓨터(38)의 메모리에 기입한다.
컨트롤러(34)는 또 정보의 불일치를 나타내는 알람을 출력시키고, 원점 위치 정보의 불일치를 디스플레이에 표시시킨다. 이 표시에 의해 운영자는 계량 모터(55)의 원점 위치 검출 동작을 하고, 검출한 원점 위치 정보를 1칩 마이크로 컴퓨터(38)의 메모리에 기입한다. 운영자는 또 데이터 입력장치로부터 컨트롤러(34)를 개재하여 컨트롤러(34) 내의 메모리(35)의 구원점 위치 정보를 소거하고 새로운 원점 위치 정보를 덧쓰기 보존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하여, 1칩 마이크로 컴퓨터(38)의 메모리 및 컨트롤러(34) 내의 메모리(35)에는 각각 동일한 검출기 정보, 원점 위치 정보, 성형기정보가 기입되게 된다. 따라서, 이후 컨트롤러(34)가 전술의 비교 동작을 실행하면 모두 일치하므로 이후의 제어 동작이 가능한 상태로 된다.
또, 교환되는 것이 신규의 회전 검출기가 아니고 중고품의 회전 검출기인 경우에는, 도 3에 있어서 1칩 마이크로 컴퓨터(38)의 메모리에는 이전의 사출 성형기의 구원점 위치 정보 및 구성형기 정보가 기입되어 있는 점에 있어서 상술의 설명과 다르다. 이 경우, 컨트롤러(34)는 중고품의 회전 검출기가 교환된 것으로 판별하고, 1칩 마이크로 컴퓨터(38)의 메모리에 있어서의 원점 위치 정보 및 성형기 정보의 고쳐 쓰기를 함과 동시에 메모리(35)에 있어서의 검출기 정보 및 원점 위치 정보의 고쳐 쓰기를 행하게 된다.
도 6은 이미 설치되어 있는 전동 사출 성형기에 있어서의 컨트롤러(34)를 교환하는 경우에 대해서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 회전 검출기(62)에 붙여져 있는 1칩 마이크로 컴퓨터(38)의 메모리에는 검출기 정보, 원점 위치 정보, 성형기 정보가 기입되어 있다. 이들은 갱신될 필요가 없는 것이다.
한편, 신규의 컨트롤러(34)의 교환이 완료의 단계에서, 그 컨트롤러(34) 내의 메모리(35)에 해당 사출 성형기의 성형기 정보를 기입한다. 이 성형기 정보는 1칩 마이크로 컴퓨터(38)의 메모리의 성형기 정보와 동일하기 때문에 컨트롤러(34)는 컨트롤러 자체의 교환으로 판별하여 이하의 동작을 실행한다.
컨트롤러(34)의 교환 후, 전동 사출 성형기(40)의 전원이 투입되면, 컨트롤러(34)는 1칩 마이크로 컴퓨터(38)의 메모리로부터 정보를 읽어내고, 컨트롤러(34) 내의 메모리(35)로부터 읽어낸 정보와의 비교를 한다. 검출기 정보 및 원점 위치정보는 일치하지 않고 성형기 정보만이 일치한다.
컨트롤러 자체의 교환인 경우에는, 정보가 전부 일치하고 있지 않아도, 컨트롤러(34)는 알람을 출력시키지 않고, 불일치의 표시도 하지 않는다. 이후 1칩 마이크로 컴퓨터(38)의 메모리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는 모두 올바른 것으로 하여, 1칩 마이크로 컴퓨터(38)의 메모리로부터 읽어낸 검출기 정보 및 원점 위치 정보를 각각 메모리(35)에 기억시킨다. 컨트롤러(34)가 전술의 비교 동작을 실행하면 모두 일치하므로 이후의 제어 동작이 가능한 상태로 된다.
여기서, 1칩 마이크로 컴퓨터(38)의 메모리 및 컨트롤러(34) 내의 메모리(35)에 성형기 정보도 기억시키도록 하고 있는 것은 이하의 이유에 의한다.
1칩 마이크로 컴퓨터(38)의 메모리 및 컨트롤러(34) 내의 메모리(35)에 성형기 정보가 기억되어 있지 않으면, 예를 들면, 회전 검출기를 다른 중고품의 회전 검출기로 교환하고, 동시에 컨트롤러를 교환하는 경우에, 1칩 마이크로 컴퓨터(38)의 메모리에는 검출기 정보와 원점 위치 정보가 기억되어 있지만, 컨트롤러(34) 내의 메모리(35)에는 검출기 정보도 원점 위치 정보도 어느 쪽도 없다. 따라서, 성형기 정보가 기억되어 있지 않으면, 컨트롤러만이 교환되었는지, 그렇지 않으면 회전 검출기와 컨트롤러가 동시에 교환되었는지의 구별을 할 수 없다. 이에 대해, 성형기 정보가 있음으로써, 상술의 경우에, 컨트롤러만이 교환되었을 때에는 성형기 정보가 일치하고, 회전 검출기와 컨트롤러가 동시에 교환되었을 때에는 성형기 정보는 일치하지 않기 때문에, 상술의 구별을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컨트롤러만이 교환될 경우는, 컨트롤러(34)는 1칩 마이크로 컴퓨터(35)의 메모리에 보존되어 있는 원점 위치 정보를 그대로 읽어내 오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원점 위치의 검출 및 설정의 동작을 재차 할 필요가 없다.
도 7은 전동 사출 성형기(40)에 전원이 투입된 경우, 즉, 전동 사출 성형기(40)의 통상의 운전 개시의 경우에 대해서 나타내고 있다.
전술과 같이, 컨트롤러(34)는 전동 사출 성형기(40)에 전원이 투입되면, 1칩 마이크로 컴퓨터(38)의 메모리에 기억되어 있는 검출기 정보, 원점 위치 정보, 성형기 정보를 각각 메모리(35)에 기억되어 있는 검출기 정보, 원점 위치 정보, 성형기 정보와 비교한다. 통상의 운전 개시의 경우에는 이것들은 모두 일치한다. 따라서, 곧바로 이후의 제어 동작이 가능한 상태로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도 4 및 도 6에 나타나듯이 컨트롤러를 교환한 경우는, 종래와 같이 계량 모터(55)의 원점 위치 정보, 회전 검출기(62)의 검출기 정보를 다시 보존할 필요는 없고, 교환 종료후의 어떠한 설정 조작도 불필요하다. 따라서, 유지 보수를 위한 인위적 지원을 필요로 하는 일 없이 운영자 자신에 의해 용이하게, 교환 작업에 사출 성형기의 오동작이 발생하지 않도록 해당 교환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즉, 전동 사출 성형기(40)의 유지 보수가 간편하게 되고 해당 교환 작업 후에 전동 사출 성형기(40)를 용이하게 정상 동작으로 끌어올리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도 4 및 도 5에 나타나듯이, 회전 검출기(62)의 교환 종료 후에는 반드시 검출기 정보 및 원점 위치 정보의 비교를 하고, 일치하고 있지 않으면 그 취지가 보고되어 원점 위치 정보의 검출 및 입력 작업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회전 검출기(62)가 교환된 후에, 만일 원점 위치 정보의 입력 작업이 이어져버린 경우에, 종래는 사출 성형기가 그대로 운전되면 오동작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었지만, 이것을 운전 전에 방지할 수 있다.
또, 동일 종류의 회전 검출기는 동일한 형식을 가진다. 어떤 구동부에 관한 회전 검출기를 교환하는 경우에, 잘못하여 다른 종류의 형식의 회전 검출기가 부착된 경우에는 사출 성형기의 오동작의 원인으로 된다. 이에 대해 본 발명에 의하면 회전 검출기의 형식의 비교를 하고, 불일치의 경우에는 그것이 표시되므로, 잘못하여 다른 종류의 형식의 회전 검출기가 부착되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또, 상술의 실시예에서는 편의상 계량 모터(55)에 관해서 설명을 했지만, 사출 모터(59) 및 금형 체결 모터(78)의 경우도, 본 발명을 이용한 같은 피드백 제어계를 적용할 수 있다. 즉, 사출 모터(59)의 출력축(63)에 설치된 위치 검출기(64)에 의한 스크류(53)의 위치의 검출에 기초하여 피드백 제어 및 금형 체결 모터(78)의 출력축(83)에 설치된 위치 검출기(85)에 의해 볼 나사축(79)의 회전에 수반하여 진퇴하는 크로스 헤드(80) 또는 토글 기구(77)에 의해 크로스 헤드(80)에 연결된 가동 플래튼(72)의 위치의 검출에 기초한 피드백 제어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와 관련되는 사출 성형기에 대해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와 관련되는 내장식의 전동 사출 성형기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전동 사출 성형기(90)는 사출 장치(100) 및 금형 체결 장치(120)로 구성된다.
사출 장치(100)는 가열 실린더(101)를 구비하고, 가열 실린더(101)에는 호퍼(102)가 설치된다. 또, 가열 실린더(101) 내에는 스크류(103)가 진퇴 가증하게 한편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가열 실린더(101)의 후방에는 구동부 케이스(104)가 설치되어 있다. 구동부 케이스(104)의 내부에는 전방부에 계량 모터(105)가 후방부에 사출 모터(106)가 서로 동일한 축 상에 설치된다.
구동부인 계량 모터(105)는 제 1 스프라인(spline)(107)을 개재하여 피구동부인 스크류(103)를 회전시킨다. 즉, 제 1 스프라인(107)은 계량 모터(105)에 의한 구동을 스크류(103)에 전달하는 구동 전달부로서의 기능을 수행한다. 제 1 스프라인(107)에는 회전 검출기(108)가 설치되어 있다. 회전 검출기(108)는 제 1 스프라인(107)의 회전수 또는 회전양을 인식하고, 스크류(103)의 구동 상황을 나타내는 스크류(103)의 회전 속도를 검출한다.
또, 구동부인 사출 모터(106)는 제 2 스프라인(109)을 개재하여 볼 나사축(110)을 회전시킨다. 볼 나사축(110)은 볼 나사축(110)에 결합하는 볼 너트(ball nut)(111)을 개재하여 직선 운동한다. 그 결과 피구동부인 스크류(103)가 전후진 가능하게 된다. 즉, 볼 나사축(110)은 사출 모터(106)에 의한 구동을 스크류(103)에 전달하는 구동 전달부로서의 기능을 수행한다. 볼 나사축(110)의 후단에는 위치 검출기(112)가 설치되어 있다. 위치 검출기(112)는 볼 나사축(110)의 회전수 또는 회전양을 인식하고, 스크류(103)의 구동 상황을 나타내는 스크류(103)의 위치를 검출한다.
금형 체결 장치(120)는 가동측의 금형(121)이 부착된 가동 플래튼(122)과,고정측의 금형(123)이 부착된 고정 플래튼(124)을 포함한다. 가동 플래튼(122)과 고정 플래튼(124)은 타이 바(125)에 의해 연결된다. 가동 플래튼(122)은 타이 바(125)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다. 또, 금형 체결 장치(120)는 일단이 가동 플래튼(122)과 연결하고, 타단이 토글 서포트(126)와 연결하는 토글 기구(127)를 포함한다. 토글 서포트(126)의 중앙에 있어서는, 너트(130)가 부착되어 있다. 너트(130)에 결합하고 있는 볼 나사축(128)은 전단이 크로스 헤드(129)에 연결되고, 후단은 금형 체결 모터(131)에 연결되어 있다.
금형 체결 장치(120)에 있어서, 구동부인 금형 체결 모터(131)를 구동하면, 금형 체결 모터(131)의 회전이 스프라인(132)에 의해 직선 운동으로 변환된다. 이에 의해 볼 나사축(128) 및 너트(130)를 개재하여 크로스 헤드(129)를 구동시키고, 크로스 헤드(129)를 진퇴시킬 수 있다. 크로스 헤드(129)의 구동에 의해, 토글 기구(127)가 작동되어지고, 피구동부인 가동 플래튼(122)은 타이 바(125)를 따라 슬라이딩한다. 금형 폐쇄, 금형 체결 및 금형 개방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스프라인(132)은 금형 체결 모터(131)에 의한 구동을 크로스 헤드(129)에 전달하는 구동 전달부로서의 기능을 수행한다. 스프라인(132)에는 위치 검출기(133)가 설치되어 있다. 위치 검출기(133)는 스프라인(132)의 회전수 또는 회전양을 인식하고, 크로스 헤드(129)의 구동 상황을 나타내는 크로스 헤드(129)의 위치를 검출한다.
또, 금형 체결 장치(120)의 가동 플래튼(122)의 중앙에는, 금형 개방 후에 성형품을 금형(121)으로부터 떨어지게 해야만 하는 출출기 핀(140)이 설치되어 있다. 구동부인 축출기 모터(141) 중의 도시하지 않는 스프라인에 의해, 축출기모터(141)의 회전 운동이 직선 운동으로 변환된다. 이 직선 운동에 의해, 축출기 크로스 헤드(142)를 구동시키고, 피구동부인 축출기 핀(140)을 직선적으로 진퇴 동작시킬 수 있다. 여기서, 축출기 모터(141) 중의 도시하지 않는 스프라인은 축출기 모터(141)에 의한 구동을 축출기 크로스 헤드(142)에 전달하는 구동 전달부로서의 기능을 수행한다. 해당 스프라인에는 위치 검출기(143)가 설치되어 있다. 위치 검출기(143)는 해당 스프라인의 회전수 또는 회전양을 인식하고, 축출기 크로스 헤드(142)의 위치를 검출한다.
도 9는 도 8에 나타내는 내장식의 전동 사출 성형기(100)의 구동부의 하나인 계량 모터(105)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을 이용한 피드백 제어계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 또, 이 블럭도는 설명을 간략화하기 위해서 최소한의 구성 요소만을 나타내고 있고, 실제의 피드백 제어계는 이보다 복잡한 구성으로 된다.
도 9를 참조하면, 도 8을 이용하여 설명한 것처럼, 본 실시예에서는 구동부인 계량 모터(105)가 피구동부인 스크류(103)를 구동하고, 회전 검출기(108)에 의해 구동 전달부인 제 1 스프라인(107)의 회전수 또는 회전양을 검출한다.
피드백 제어의 방법 및 여러 가지 경우에 따른 원점 위치 정보, 검출기 정보, 성형기 정보의 보존 방법에 대해서는 제 1 실시예와 같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또, 사출 모터(106), 금형 체결 모터(131) 및 축출기 모터(141)에 관한 경우도, 본 발명을 이용한 피드백 제어계를 적용할 수 있다. 즉, 볼 나사축(110)의 후단에 설치된 위치 검출기(112)에 의한 스크류(103)의 위치의 검출에 기초한 피드백제어, 스프라인(132)에 설치된 위치 검출기(133)에 의한 크로스 헤드(129)의 위치의 검출에 기초한 피드백 제어, 및 위치 검출기(143)에 의한 축출기 크로스 헤드(142)의 위치의 검출에 기초한 피드백 제어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와 관련되는 직선 운동을 검출하는 검출기를 구비한 사출 성형기에 대해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와 관련된 것으로 직선 운동을 검출하는 검출기를 구비한 유압식 사출 성형기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유압식 사출 성형기(150)는 사출 장치(160) 및 금형 체결 장치(180)로 구성된다.
사출 장치(160)는 가열 실린더(161)를 구비하고, 가열 실린더(161)에는 호퍼(162)가 설치된다, 또, 가열 실린더(161) 내에는 스크류(163)가 진퇴 가능하게 한편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스크류(163)의 후방에는 사출용 실린더(164)가 설치된다. 사출용 실린더(164) 내에는 직선적으로 이동 가능한 사출용 피스톤(165)이 설치되어 있다. 구동부인 사출용 피스톤(165)은 기름 경로(168 및 169)로부터의 압유의 공급에 기초하여 왕복 작동한다. 사출용 피스톤(165)에 의해 스크류(163)의 후단에 설치되어 있는 롯드(rod)(166)를 개재하여 피구동부인 스크류(163)는 전후진 할 수가 있다. 사출용 피스톤(165)에는 위치 검출기(167)가 설치되어 있다. 위치 검출기(167)는 스크류(163)의 위치를 검출한다.
또, 사출용 피스톤(165)의 후방에는 스크류(163)를 회전시키는 스크류 모터(170)가 스크류(163), 사출용 실린더(164), 및 사출용 피스톤(165)과 동일한축 상에 설치된다.
금형 체결 장치(180)는 가동측의 금형(181)이 부착된 가동 플래튼(182)과, 고정측의 금형(183)이 부착된 고정 플래튼(184)을 포함한다. 가동 플래튼(182)과 고정 플래튼(184)은 타이 바(185)에 의해 연결된다. 가동 플래튼(182)은 타이 바(185)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다.
또, 금형 체결 장치(180)는 가동 플래튼(182)의 후방(도 10 중의 좌측)에는, 금형 체결용 실린더(186)를 구비한다. 금형 체결용 실린더(186) 내에는 금형 체결용 피스톤(187)이 진퇴 가능하게 설치된다. 구동부인 금형 체결용 피스톤(187)은 기름 경로(189, 190 및 191)로부터의 압유의 공급에 기초하여 왕복 작동하고, 피구동부인 가동 플래튼(182)을 전후진시킬 수 있다. 가동 플래튼(182)에는 위치 검출기(188)가 설치되어 있다. 위치 검출기(188)는 가동 플래튼(182)의 구동 상황을 나타내는 가동 플래튼(182)의 위치를 검출한다.
도 11은 도 10에 나타내는 유압식 사출 성형기(150)의 사출 장치(160)의 구동부인 사출용 피스톤(165)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을 이용한 피드백 제어계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 또, 이 블럭도는 설명을 간략화하기 위해서 최소한의 구성 요소만을 나타내고 있고, 실제의 피드백 제어계는 이보다 복잡한 구성으로 된다.
도 11을 참조하면, 도 10을 이용하여 설명한 것처럼, 본 실시 형태에서는, 구동부인 사출용 피스톤(165)은 피구동부인 스크류(163)를 구동하고, 사출용 피스톤(165)에는 스크류(163)의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기(167)가 설치되어 있다.피드백 제어의 방법 및 여러 가지 경우에 따른 원점 위치 정보, 검출기 정보, 성형기 정보의 보존 방법에 대해서는 제 1 실시예와 같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2는 도 10에 나타내는 유압식 사출 성형기(150)의 금형 체결 장치(180)의 구동부인 금형 체결용 피스톤(187)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을 이용한 피드백 제어계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 또 이 블럭도는 설명을 간략화하기 위해서 최소한의 구성 요소만을 나타내고 있고, 실제의 피드백 제어계는 이보다 복잡한 구성으로 된다.
도 12를 참조하면, 도 10을 이용하여 설명한 것처럼, 본 실시 형태에서는, 구동부인 금형 체결용 피스톤(187)은 피구동부인 가동 플래튼(182)을 구동하고, 가동 플래튼(182)에는 가동 플래튼(182)의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기(188)가 설치되어 있다. 피드백 제어의 방법 및 여러 가지 경우에 따른 원점 위치 정보, 검출기 정보, 성형기 정보의 보존 방법에 대해서는 제 1 실시예와 같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또, 직선 운동을 검출하는 검출기를 구비한 사출 성형기의 예로서, 유압 사출 성형기를 들었지만, 구동부에 리니어 모터(linear motor)를 이용한 사출 성형기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요지의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 또, 본 출원은 2001년 5월 24일에 출원된 일본 우선권 출원 2001-155729 및, 2002년 3월 6일에 출원된 일본 우선권 출원 2002-060053에 기초한 것으로 그의 전체 내용이 참조된다.

Claims (20)

  1.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에 의해 구동되는 피구동부와, 상기 피구동부의 구동 상황을 검출하는 검출기를 구비한 사출 성형기에 있어서,
    상기 검출기에는 기억 매체가 탑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 성형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 매체는 1칩 마이크로 컴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 성형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 매체에 상기 검출기를 식별하기 위한 검출기 정보를 기억시키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 성형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 매체에 상기 구동부의 원점 위치 정보를 더 기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 성형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 매체에 상기 사출 성형기를 식별하기 위한 성형기 정보를 더 기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 성형기.
  6.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는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기 정보는 검출기의 형식, 일련 번호, 또는 버젼 번호 중의 몇 개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 성형기.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기 정보는 기번 및 구동 부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 성형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기 정보는 또한 가소화 용량 또는 금형 체결 용량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 성형기.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 성형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기는,상기 모터의 출력축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 성형기.
  11.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에 의한 구동을 상기 피구동부에 전달하는 구동 전달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검출기는 상기 구동 전달부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 성형기.
  12.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기는 상기 구동부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 성형기.
  13.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기는 상기 피구동부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 성형기.
  14. 제1항 내지 제8항, 제12항,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압유의 공급에 기초하여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 성형기.
  15.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기는 피구동부의 회전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 성형기.
  16.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기는 피구동부의 위치 또는 속도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 성형기.
  17.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에 의해 구동되는 피구동부와, 상기 피구동부의 구동 상황을 검출하여 검출 신호를 출력하는 검출기와, 상기 검출 신호를 받아 상기 구동부에 의한 구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구비한 사출 성형기에 있어서,
    상기 검출기에는 기억 매체가 탑재되고, 상기 컨트롤러에는 메모리가 내장되고, 상기 기억 매체와 상기 메모리에는 각각에 공통의 정보를 기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 성형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의 정보는 상기 검출기를 식별하기 위한 검출기 정보이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기억 매체에 기억되어 있는 검출기 정보와 상기 메모리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검출기 정보를 비교하고, 불일치의 경우는 그 취지를 보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 성형기.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의 정보는 상기 구동부의 원점 위치 정보이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기억 매체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원점 위치 정보와 상기 메모리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원점 위치 정보를 비교하고, 불일치의 경우는 그 취지를 보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 성형기.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의 정보는 상기 사출 성형기를 식별하기 위한 성형기 정보이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기억 매체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성형기 정보와 상기 메모리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성형기 정보를 비교하고, 불일치의 경우는 그 취지를 보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 성형기.
KR1020037000665A 2001-05-24 2002-05-23 기억매체가 탑재된 검출기를 구비한 사출성형기 KR1005411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155729 2001-05-24
JP2001155729 2001-05-24
JPJP-P-2002-00060053 2002-03-06
JP2002060053 2002-03-06
PCT/JP2002/005019 WO2002094537A1 (fr) 2001-05-24 2002-05-23 Machine a mouler par injection comportant un capteur avec support de donne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4758A true KR20030014758A (ko) 2003-02-19
KR100541167B1 KR100541167B1 (ko) 2006-01-10

Family

ID=266156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0665A KR100541167B1 (ko) 2001-05-24 2002-05-23 기억매체가 탑재된 검출기를 구비한 사출성형기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6761552B2 (ko)
EP (1) EP1396330B1 (ko)
JP (1) JP4005922B2 (ko)
KR (1) KR100541167B1 (ko)
CN (1) CN100548621C (ko)
AT (1) ATE474705T1 (ko)
DE (1) DE60237080D1 (ko)
HK (1) HK1060712A1 (ko)
TW (1) TWI228447B (ko)
WO (1) WO200209453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28128B2 (ja) * 2006-01-17 2011-07-20 株式会社ハーモニック・ドライブ・システムズ 多軸モータ位置検出信号伝達装置
EP1886790B1 (en) * 2006-08-08 2013-10-16 Fanuc Corporation Injection molding machine
JP4629747B2 (ja) * 2008-02-26 2011-02-09 日精樹脂工業株式会社 型締装置の制御方法
US10356136B2 (en) 2012-10-19 2019-07-16 Sococo, Inc. Bridging physical and virtual spaces
EP2496397A4 (en) * 2009-11-02 2015-10-14 Mold Masters 2007 Ltd DATABASE FOR INJECTION MOLD AND INTEGRATION WITH INJECTION MOLDING MACHINE AND AUXILIARY COMPONENTS
DE102010000941A1 (de) * 2010-01-15 2011-07-21 Krones Ag, 93073 Messvorrichtung
US8425216B2 (en) 2011-03-11 2013-04-23 Mold-Masters (2007) Limited Cycle counting system for injection molding assembly
JP2017205881A (ja) * 2016-05-16 2017-11-24 株式会社日本製鋼所 駆動軸が複数のサーボモータにより同期制御される電動射出成形機
WO2021162043A1 (ja) * 2020-02-14 2021-08-19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射出成形機システム、射出成形機
US11872737B2 (en) * 2020-07-30 2024-01-16 Promess, Inc. System and apparatus for injection molding
WO2022210991A1 (ja) * 2021-03-31 2022-10-06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成形品製造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09541A (ja) * 1985-03-12 1986-09-17 レオン自動機株式会社 寸法および流量の一定した生地帯の連続生産装置
JPS61252126A (ja) * 1985-05-02 1986-11-10 Toshiba Mach Co Ltd 型締力自動調整装置
US5032525A (en) * 1988-03-31 1991-07-16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Air Force Qualitative process automation for autoclave cure of composite parts
JPH0767606B2 (ja) * 1988-11-09 1995-07-26 東洋機械金属株式会社 型開閉装置の原点出し方法
JPH0310823A (ja) * 1989-06-09 1991-01-18 Sumitomo Heavy Ind Ltd 射出成形機の監視装置
JP3053236B2 (ja) * 1991-02-21 2000-06-19 川崎油工株式会社 塑性材料成形プレスの原点出し方法
DE4129577C2 (de) * 1991-09-06 1999-11-25 Mueller Arnold Gmbh Co Kg Meßsystem zur Drehwinkelmessung
JP2527110B2 (ja) * 1992-06-30 1996-08-21 日精樹脂工業株式会社 射出成形機の金型交換方法及び装置
JP3294737B2 (ja) * 1994-10-13 2002-06-24 ドクトル・ヨハネス・ハイデンハイン・ゲゼルシヤフト・ミツト・ベシユ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 位置測定装置
JPH11105089A (ja) * 1997-10-06 1999-04-20 Sankyo Kasei Co Ltd 射出成形機並びに射出成形方法
US6190585B1 (en) * 1998-10-23 2001-02-20 Universal Ventures insulated-runner injection molding method with metered injection to form insulated runner
EP1391286B1 (en) * 1999-04-13 2006-08-02 Fanuc Ltd Method, apparatus, and medium for forming molding condition and molding machine
JP2001053357A (ja) * 1999-08-09 2001-02-23 Sumitomo Heavy Ind Ltd レーザ制御装置及びレーザ制御方法
JP4376375B2 (ja) * 1999-10-06 2009-12-02 東芝機械株式会社 射出成形機の温度制御装置
US6616871B1 (en) * 1999-11-05 2003-09-09 Toshiba Kikai Kabushiki Kaisha Filling step control method of injection molding ma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005922B2 (ja) 2007-11-14
EP1396330B1 (en) 2010-07-21
US20030110009A1 (en) 2003-06-12
EP1396330A1 (en) 2004-03-10
ATE474705T1 (de) 2010-08-15
TWI228447B (en) 2005-03-01
JPWO2002094537A1 (ja) 2004-09-02
KR100541167B1 (ko) 2006-01-10
US6761552B2 (en) 2004-07-13
EP1396330A4 (en) 2007-04-18
CN100548621C (zh) 2009-10-14
WO2002094537A1 (fr) 2002-11-28
CN1462231A (zh) 2003-12-17
DE60237080D1 (de) 2010-09-02
HK1060712A1 (en) 2004-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41167B1 (ko) 기억매체가 탑재된 검출기를 구비한 사출성형기
US6616872B2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separating force of molded product from mold
JP4108906B2 (ja) 射出成形機における異常検知方法
EP3199322B1 (en) Injection molding system
JP2002172670A (ja) 射出成形機の異物検出方法
US20080057146A1 (en) Mold clamping device of injection molding machine
JP2015030240A (ja) 電動機械および電動機械の電力監視方法
EP3546185B1 (en) Injection molding machine
CN100482443C (zh) 用于注塑机的控制装置
EP0487734B1 (en) Injection molding machine provided with metallic core driving device
US20060241805A1 (en) Control device for use in injection molding machine
US8229591B2 (en) Method for sequence programming of an injection molding cycle of an injection molding machine
JP5121471B2 (ja) 成形機
US6988222B2 (en) Power failure detection and response
EP0804324A1 (en) Compensating for efficiency variations in electric motors
US20220179551A1 (en) Preview display function for operation of injection molding machine
JP2013056516A (ja) 射出成形機のノズルタッチ制御装置
JP4263661B2 (ja) 成形機の監視表示方法
EP3715088B1 (en) Molding machine and computer program
US20040051194A1 (en) Malfunction detection method in injection molding machines
JP7348022B2 (ja) 射出成形機管理装置及び射出成形機
JP3484629B2 (ja) 射出成形機の自己診断装置
JP3631894B2 (ja) 射出成形機
JP4405855B2 (ja) 成形機の監視表示方法
JPH03114805A (ja) トグル式型締装置における位置検出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9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