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14635A - 가습기 - Google Patents

가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14635A
KR20030014635A KR1020020046687A KR20020046687A KR20030014635A KR 20030014635 A KR20030014635 A KR 20030014635A KR 1020020046687 A KR1020020046687 A KR 1020020046687A KR 20020046687 A KR20020046687 A KR 20020046687A KR 20030014635 A KR20030014635 A KR 200300146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 path
water
fan
partition wall
humidif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66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00615B1 (ko
Inventor
시마다가즈아끼
야마구찌마사오
우메즈히또시
요시다교꼬
Original Assignee
산요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산요 덴키 구우쵸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요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산요 덴키 구우쵸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요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146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46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06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0615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0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 F24F6/04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stationary unheated wet elements
    • F24F6/043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stationary unheated wet elements with self-sucking action, e.g. wic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2006/006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with water treat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2006/008Air-humidifier with water reservo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03/00Devices or apparatus used for air treatment
    • F24F2203/10Rotary wheel
    • F24F2203/1024Rotary wheel combined with a humidifi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36Modules, e.g. for an easy mounting or transport

Abstract

본 발명은 부품수의 증가를 억제하면서 내구성이 우수한 송풍기 부착 가습기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공기 흡입구 및 토출구(9)를 갖고, 급수 탱크(13)로부터 급수된 물을 소정의 수위까지 담는 수조(16)를 내장한 외장 케이스(1)와, 수조에 설치된 가습 필터(17)와, 외장 케이스 내에 설치되고 가습 필터에 송풍하여 이 가습 필터에 침투한 물을 기화하는 송풍기(22)를 구비한다. 그리고, 이 송풍기(22)가 가습 필터의 상방 위치에 횡방향으로 설치된 시로코 팬, 팬 케이싱(22B) 및 팬 모터로 구성된 가습기이며, 팬 케이싱(22)에는, 공기 흡입구에 연통하는 흡입측 유로와 가습 필터 통과후의 가습 공기를 토출구로 안내하는 토출측 유로를 구획하기 위한 유로 구획벽(26)이 일체 성형된다.

Description

가습기{HUMIDIFIER}
본 발명은 가습 필터 및 가습 필터에 송풍하는 송풍기를 구비한 가습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러한 종류의 가습기는, 측면(배면을 포함)에 공기 흡입구를 갖는 동시에 상부에 토출구를 갖고, 저부에는 급수 탱크로부터 급수되는 물을 소정의 수위까지 담아두는 수조를 설치한 외장 케이스와, 상기 수조에 설치된 가습 필터와, 외장 케이스 내에 설치되며 상기 가습 필터에 송풍하여 가습 필터에 침투한 물을 기화하는 송풍기를 구비하며, 또한, 일반적으로는 이 송풍기가 시로코 팬과, 이 시로코 팬을 수용하는 팬 케이싱과, 상기 시로코 팬을 회전 구동시키는 팬 모터로 구성된다.
그런데, 상기한 가습기에는, 외장 케이스의 측면의 공기 흡입구에 연통하는 흡입측 유로와 가습 필터 통과 후의 가습 공기를 상기 토출구에 안내하는 토출측 유로를 구획하는 구획벽이, 팬 케이싱과는 별개 부품으로 구성되는 관계로, 부품수의 증가나 구성의 복잡화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는 뿐만 아니라, 조립 작업성에도 나쁘고, 게다가 조립 강도면에서도 뒤쳐진 것이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사정을 감안하여 만들어진 것으로, 부품수의 증가를 억제하면서, 내구성이 우수한 송풍기 부착 가습기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청구항 1 기재의 발명은, 공기 흡입구 및 토출구를 갖고, 급수 탱크로부터 급수된 물을 소정의 수위까지 담아두는 수조를 내장한 외장 케이스와, 수조에 설치된 가습 필터와, 외장 케이스 내에 설치되고 가습 필터에 송풍하여 이 가습 필터에 침투한 물을 기화하는 송풍기를 구비하고, 이 송풍기는 가습 필터의 상방 위치에 횡방향으로 설치된 시로코 팬, 팬 케이싱 및 팬 모터로 구성된 가습기이며, 상기 팬 케이싱에는 공기 흡입구에 연통하는 흡입측 유로와 가습 필터 통과후의 가습 공기를 상기 토출구에 안내하는 토출측 유로를 구획하는 구획벽이 일체 성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2 기재의 발명은, 공기 흡입구 및 토출구를 갖고, 급수 탱크로부터 급수된 물을 소정의 수위까지 담아두는 수조를 내장한 외장 케이스와, 수조에 설치된 가습 필터와, 외장 케이스 내에 설치되고 가습 필터에 송풍하여 이 가습 필터에 침투한 물을 기화하는 송풍기를 구비하고, 이 송풍기는 가습 필터의 상방 위치에 횡방향으로 설치된 시로코 팬, 팬 케이싱 및 팬 모터로 구성된 가습기이며, 상기 팬 케이싱에는, 공기 흡입구에 연통하는 흡입측 유로와 가습 필터 통과 후의 가습 공기를 상기 토출구에 안내하는 토출측 유로를 구획하기 위한 유로 구획벽 및 팬 케이싱 내의 바람을 불어내기 위한 송풍구를 개설한 수평 구획벽이 각각 일체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3 기재의 발명은, 청구항 1 또는 2에 기재된 가습기에 있어서, 상기 팬 케이싱은, 유로 구획벽 및 수평 구획벽의 쌍방을 거쳐서 외장 케이스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4 기재의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가습기에 있어서, 상기 팬 케이싱은 좌우로 2분할 형성되고, 또한 그 분할 형성된 각 분할케이싱의 맞닿는 측 단부를 서로 접합하는 것에 의해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5 기재의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가습기에 있어서, 상기 한쪽의 분할 케이싱의 유로 구획벽은, 상기 팬 모터와 외장 케이스의 전방 패널의 사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를 도시한 가습기의 외관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를 도시한 가습기의 요부 종단면도.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를 도시한 가습기의 요부 횡단면도.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를 도시한 송풍기의 팬 케이싱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를 도시한 패널, 가습 필터, 급수 탱크 및 탱크 수용실 덮개판을 케이스 본체로부터 떼어낸 상태의 분해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 가습기
1 : 외장 케이스
1A : 케이스 본체
6 : 전방 패널
9 : 토출구
11 : 공기 흡입구
13 : 카트리지식 급수 탱크 (급수 탱크)
14 : 물받이부
16 : 수조
16A : 보조 수조부 (수조)
17 : 가습 필터
22 : 송풍기
22A : 시로코 팬
22B : 팬 케이싱
22M : 팬 모터
23 : 송풍구
24 : 분할 케이싱
24A : 맞닿는 측 단부
25 : 분할 케이싱
25A : 맞닿는 측 단부
26 : 수평 구획벽
27 : 유로 구획벽
32 : 제균용 전극
34 : 수위 검출 전극
35 : 보호 부재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1 내지 도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1 내지 도5에 있어서, 도면부호 1은 가습기(A)의 외장 케이스이고, 이 외장 케이스(1)는 각각 합성수지로 형성된 케이스 본체(1A)를 구성하는 천정판(2), 바닥판(3), 주연 측판(4) 및 탱크 덮개판(5)과, 케이스 본체(1A)에 대하여 착탈 가능한 전방 패널(6)로 구성되며, 상기 천정판(2)에는 표시부 겸용의 조작부(7)가 설치되어 있고, 이 천정판(2)의 전방 단부에 위치하여 천정판(2)과 일체 성형된 토출 가이드 격자(8)를 갖는 가로로 긴 토출구(9)가 형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조작부(7)의 주위에는 기복(起伏) 가능하게 설치된 운반용의 コ자형의 손잡이(1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주연 측판(4)의 상부에는, 그의 배면부와 한쪽의 측면부에 나란히 있는 격자형의 공기 흡입구(11)가 형성되고, 이 공기 흡입구(11)에는 공기 정화 필터(12)가 장착되어 있고, 주연 측판(4)에는 상기 천정판(2)이 나사(도시 생략) 고정됨과 동시에, 상기 바닥판(3)도 마찬가지로 나사(도시 생략) 고정된다.
상기 바닥판(3)에는, 도2 및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부에 카트리지식급수 탱크(13)로부터 공급되는 가습용 물을 받는 물받이부(14)가 형성됨과 동시에, 바닥판(3)과 일체 성형된 구획벽(15)을 협지하는 다른 부분측에 급수 탱크(13)로부터 물받이부(14)로 급수된 물을 소정 수위까지 받는 수조(16)가 형성되어 있고, 이 수조(16)에는 하단부가 수조(16) 내의 물에 침지된 상태로 가습 필터(17)가 설치된다.
상기 바닥판(3)의 외주 전체에는 주연벽(18)이 바닥판(3)과 일체로 성형되어 있고, 그리고 이 주연벽(18)의 전방 측벽부(18A)는, 물받이부(14)보다도 물받이부(14)로부터 떨어진 부분(X)의 높이를 약 10 내지 30 ㎜ 높게 설정하였다.
상기 전방 패널(6)은 그 좌우 양단부에 복수의 계지부(19)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이 복수의 계지부(19)는 주연 측판(4)의 좌우 양단부에 형성된 결합부(20)에 각각 계착됨으로써, 케이스 본체(1A) 전방면의 개방면(Z)이 뒤집혀 있다. 도면부호 21은 외장 케이스(1) 내에 수용된 상태의 급수 탱크(13)에 대향하여 전방 패널(6)에 설치된 급수 탱크(13)의 수량 확인창이다.
도면부호 22는 케이스 본체(1A) 내의 상부에 횡방향으로 설치된 송풍기이며, 이 송풍기(22)는 팬 모터(22M)와, 이 팬 모터(22M)의 모터축에 저어널된 시로코 팬(22A)과 이 시로코 팬(22A)을 수용한 팬 케이싱(22B)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송풍기(22)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 정화 필터(12) 및 공기 흡입구(11)를 거쳐서 외장 케이스(1) 내의 흡입측 공기 유로(가)에 흡인된 실내 공기를 시로코 팬(12A)으로 가속하여, 팬 케이싱(22B)의 송풍구(23)로부터 하향으로 불어내고, 가습필터(17)에 송풍하는 것에 의해, 그 가습 필터(17)를 통과시키고, 이때 가습 필터(17)에 침투한 물을 기화시키고, 이 가습된 공기를 불어내기측 공기 유로(나) 및 토출구(9)를 거쳐서 피조화실에 토출한다.
상기 팬 케이싱(22B)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에 2분할된 분할 케이싱(24, 25)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이러한 좌우의 분할 케이싱(24, 25)은, 각각 합성 수지로 성형된 것으로, 흡입측 공기 유로(가)와 불어내기측 공기 유로(나)를 구획하는 유로 구획벽(26) 및 상기 송풍구(23)로 된 수평 구획벽(27)을 일체 성형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팬 케이싱(22B)은, 상기 각 분할 케이싱(24, 25)의 맞닿는 측 단부(24A, 25A) 사이를 서로 맞닿게 하고 나사(28)에 의해 접합함으로써 조립된 것이다.
또한, 상기 팬 케이싱(22B)은, 상기 유로 구획벽(26) 및 수평 구획벽(27)을 각각 외장 케이스(1)에 나사(도시 생략) 고정함으로써, 상기 유로 구획벽(26) 및 수평 구획벽(27)의 쌍방을 거쳐서 외장 케이스(1)에 고정시킨다. 또한, 상기 수평 구획벽(27)의 우측 단부는, 상기 구획벽(15)의 상단에 나사(도시 생략) 고정되고, 이렇게 하여 상기 팬 케이싱(22B), 유로 구획벽(26) 및 수평 구획벽(27)은 외장 케이스(1)의 조립 강도를 높이는 구조체로써 작용한다.
또한, 상기 한쪽(우측 방향)의 분할 케이싱(25)에 일체 성형된 유로 구획벽(26)은, 상기 송풍기(22)의 팬 모터(22M)의 전방을 덮음으로써 팬 모터(22M)와 외장 케이스(1)의 전방 패널(6)과의 사이에 위치된다.
상기 가습 필터(17)는 그 하부가 상기 수조(16) 내에 채워진 물에 침지된 상태이고, 그 수조(16)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전방 패널(6)을 케이스 본체(1A)로부터 떼어낸 상태의 케이스 본체(1A) 전방면의 개방면(Z)으로부터 수조(16)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수조(16)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긴쪽 방향의 일측의 구석 부분에 연결로(30)를 거쳐서 상기 물받이부(14)에 연결되는 보조 수조부(16A)를 갖고, 이 보조 수조부(16A)에는 수조(16)내에 채워진 가습용 물(수돗물)을 제균하기 위한 한 쌍의 제균용 전극(31, 32)이 홀더(33)에 보유 지지되어 설치됨과 동시에, 이들 한 쌍의 제균용 전극(31, 32)에 인접한 상태에서 하나의 수위 검출 전극(34)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한 쌍의 제균용 전극(31, 32) 및 하나의 수위 검출 전극(34)은 각각 하부가 물에 침지된 상태에서 보조 수조부(16A)에 설치된다. 또한, 통상 수위 검출 전극(34)은 제균용 전극(31, 32)과 같이 한 쌍의 전극을 필요로 하지만, 수위 검출 전극(34)과 대향하는 측의 한 쪽의 제균용 전극(31)이 다른 쪽의 수위 검출 전극을 겸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면부호 35는 상기 제균용 전극(31, 32) 및 수위 검출 전극(34)과 가습 필터(17) 사이에, 즉 제균용 전극(31, 32) 및 수위 검출 전극(34)과 케이스 본체(1A)의 개방면(Z)과의 사이에 설치된 통기성을 갖는 보호 부재(35)이고, 이 보호 부재(35)는 합성 수지로 성형된 격자형의 다공 부재로 구성되며, 상기 가습 필터(17)의 소제, 점검, 교환 시나 가습 필터(17)를 취출하여 수조(16)의 소제를 행할 때에는 상기 제균용 전극(31, 32) 및 수위 검출 전극(34)에 사람의 손가락이 닿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보호 부재(35)는 그 양단부가 케이스 본체(1A)[주연 측판(4)의 내면] 에 대향되어 설치된 가이드 홈(37, 37) 사이에 삽입된 케이스 본체(1A) 내에 고정되며, 또한 그 가이드 홈(37, 37) 사이에 삽입된 상태의 보호 부재(35)는 상기 송풍기(22)의 송풍구(23)가 설치된 수평 구획벽(27)에 의해 빠지는 것이 방지된다.
또, 도2 중의 도면부호 38은 가습기의 운전을 제어하는 제어부이고, 도면부호 39는 가습 필터(17)를 억제하는 필터 압박구이고, 이 필터 압박구(39)는 탄성력을 갖는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내부에 수돗물 등의 가습용 물이 수용된 급수 탱크(13)를 외장 케이스(1) 내에 고정하고, 이 급수 탱크(13) 내의 물은 물받이부(14)로 적하 공급되고, 이 물은 물받이부(14)로부터 연결로(30)를 거쳐서 보조 수조(16A)에 공급되며, 수조(16) 내에는 소정의 물이 담겨진다. 이 수조(16) 내에 담겨진 물은 모세관 현상에 의해 가습 필터(17)에 빨아올려진다.
상술한 형태에 있어서, 조작부(7)에 설치된 운전 스위치 온오프 스위치(도시 생략)를 온시키면 가습기(A)의 운전이 개시되고, 송풍기(22)의 팬 모터(도시 생략)가 기동하며, 피가습실의 공기가 공기 정화 필터(12) 및 공기 흡입구(11)를 거쳐서 흡입측 공기 유로(가)에 흡인되고, 그 공기는 팬 케이싱(22) 내에서 시로코 팬(22A)에 의해 가속되어 이 가습된 공기는 송풍구(23)로부터 하향으로 송출되고, 보호 부재(35)를 통과한 후 가습 필터(17)를 통과하며, 여기서 가습 필터(17)에 함지된 물을 기화시키고, 이렇게 해서 가습 필터를 통과할 때 가습된 공기는 불어내기측 공기 유로(나) 및 토출구(9)를 거쳐서 피가습실로 토출되어, 피가습실의 가습을 행한다.
한편, 보조 수조(16A)에 설치된 한 쪽의 제균용 전극(31, 32)에 통전되면, 이들 제균용 전극(31, 32)에 의해 물에 통전을 행하고, 살균력이 큰 HClO(차아염소산)가 발생되는 것에 의해, 수조(16) 및 보조 수조(16A)에 저류된 물이 제균되어진다.
여기서, 가습기(A)를 장시간 운전하면, 가습 필터(17)에 실내로부터 흡입된 먼지 등이 축적되어 가습 필터(17)에 소위 눈막힘이 일어나서 가습 필터(17)의 소제를 행할 필요가 있다. 이 경우, 외장 케이스(1)의 전방 패널(6)을 떼어내면, 케이스 본체(1A)의 전방면이 개방되기 때문에, 필터 압박구(39)를 케이스 본체(1A)로부터 떼어낸 후, 상기한 개방면(Z)을 이용하여, 가습 필터(17)를 수조(16)로부터 외부로 취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렇게 하면, 외부에 취출된 가습 필터(17)는 소제를 행한 후에 다시 수조(16)에 조립되어 사용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이 송풍기(22)가 가습 필터(17)의 상방 위치에 횡방향으로 배치된 시로코 팬(22A), 팬 케이싱(22B) 및 팬 모터(22M)로 구성된 가습기(A)이며, 그리고, 상기 팬 케이싱(22B)에는, 공기 흡입구(11)에 연통하는 흡입측 유로(가)와 가습 필터(17)를 통과한 후의 가습 공기를 상기 토출구(9)에 안내하는 토출측 유로(나)를 구획하기 위한 유로 구획벽(26) 및 팬 케이싱(22B) 내의 바람을 불어내는 송풍구(23)를 개설한 수평 구획벽(27)이 각각 일체 성형된 구성으로 되기 때문에, 유로 구획벽(26)이나 수평 구획벽(27)을 팬 하우징(22B)과는 별도로 만들 필요가 없어서, 부품의 수를 삭감할 수 있는 동시에 조립 공수의 저감이나조립의 작업성의 향상이 도모된다.
또한, 팬 케이싱(22B)은 일체 성형된 유로 구획벽(26) 및 수평 구획벽(27)을 거쳐서 외장 케이스(1)에 고정되는 것이며, 이들 팬 케이싱(22), 유로 구획벽(26) 및 수평 구획벽(27)이 연결되어 외장 케이싱(1)의 조립 강도를 높이는 구조체로서 작용하여 가습기(A)의 조립 강도를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팬 케이싱(22B)은, 좌우로 2분할된 분할 케이싱(24, 25)에 의해 구성되며, 각 분할 케이싱(24, 25)의 맞닿는 측 단부(24A, 25A) 끼리를 서로 맞닿게 하며 스프링(28)에 의해 접합함으로써 조립된 것이기 때문에, 팬 케이싱(22B)과 유로 구획벽(26)과 수평 구획벽(27)과의 3개 부품의 일체 성형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한쪽(오른쪽)의 분할 케이싱(25)에 일체 성형된 유로 구획벽(26)은 상기 송풍기(22)의 팬 모터(22M)의 전방을 덮도록, 팬 모터(22M)와 외장 케이스(1)의 전방 패널(6)의 사이에 위치되어 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가습 필터(17)를 소제하려고 전방 패널(6)을 외장 케이스(1)의 케이스 본체(1A)로부터 떼어내고 케이스 본체(1A) 전방면의 개방면을 개방한 경우에, 팬 모터(22M)가 노출되어 그 팬 모터(22M)에 사용자가 닿지 않기 때문에 위험이 없고 안전성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것처럼, 청구항 1 내지 2 기재의 본 발명에 따르면, 공기 흡입구 및 토출구를 갖고, 급수 탱크로부터 급수되는 물을 소정의 수위까지 담는 수조를 내장하는 외장 케이스와, 수조에 설치된 가습 필터와, 외장 케이스 내에 설치되고 가습 필터에 송풍하여 이 가습 필터에 침투한 물을 기화시키는 송풍기를 구비하고, 이 송풍기가 가습 필터의 상방 위치에 횡방향으로 설치된 시로코 팬, 팬 케이싱 및 팬 모터로 구성되는 가습기이며, 상기 팬 케이싱에는 공기 흡입구에 연통하는 흡입측 유로를 가습 필터 통과 후의 가습 공기를 상기 토출구에 안내하는 토출측 유로를 구획하기 위한 유로 구획벽이 일체 성형되거나, 혹은 그 유로 구획벽 및 팬 케이싱 내의 바람을 불어내는 송풍구를 개설한 수평 구획벽이 각각 일체 성형되어 구성되기 때문에, 유로 구획벽이나 수평 구획벽을 팬 케이싱과는 별도로 만들 필요가 없고, 부품수를 삭감할 수 있고, 조립 공수의 저감이나 조립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가습기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5)

  1. 공기 흡입구 및 토출구를 갖고, 급수 탱크로부터 급수된 물을 소정의 수위까지 담아두는 수조를 내장한 외장 케이스와, 수조에 설치된 가습 필터와, 외장 케이스 내에 설치되고 가습 필터에 송풍하여 상기 가습 필터에 침투한 물을 기화하는 송풍기를 구비하고, 상기 송풍기는 가습 필터의 상방 위치에 횡방향으로 설치된 시로코 팬, 팬 케이싱 및 팬 모터로 구성된 가습기이며,
    상기 팬 케이싱에는, 공기 흡입구에 연통하는 흡입측 유로와 가습 필터 통과후의 가습 공기를 상기 토출구에 안내하는 토출측 유로를 구획하기 위한 유로 구획벽이 일체 성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
  2. 공기 흡입구 및 토출구를 갖고, 급수 탱크로부터 급수된 물을 소정의 수위까지 담아두는 수조를 내장한 외장 케이스와, 수조에 설치된 가습 필터와, 외장 케이스 내에 설치되고 가습 필터에 송풍하여 상기 가습 필터에 침투한 물을 기화하는 송풍기를 구비하고, 상기 송풍기는 가습 필터의 상방 위치에 횡방향으로 설치된 시로코 팬, 팬 케이싱 및 팬 모터로 구성된 가습기이며,
    상기 팬 케이싱에는, 공기 흡입구에 연통하는 흡입측 유로와 가습 필터 통과후의 가습 공기를 상기 토출구에 안내하는 토출측 유로를 구획하기 위한 유로 구획벽 및 팬 케이싱 내의 바람을 불어내는 송풍구를 개설한 수평 구획벽이 각각 일체 성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팬 케이싱은 유로 구획벽 및 수평 구획벽의 쌍방을 거쳐서 외장 케이스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팬 케이싱은 좌우로 2분할 형성되고, 또한 상기 2분할 형성된 각 분할 케이싱의 맞닿는 측 단부를 서로 접합하는 것에 의해 조립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한쪽의 분할 케이싱의 유로 구획벽은, 상기 팬 모터와 외장 케이스의 전방 패널의 사이에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
KR10-2002-0046687A 2001-08-09 2002-08-08 가습기 KR10050061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241758A JP4660031B2 (ja) 2001-08-09 2001-08-09 加湿機
JPJP-P-2001-00241758 2001-08-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4635A true KR20030014635A (ko) 2003-02-19
KR100500615B1 KR100500615B1 (ko) 2005-07-12

Family

ID=190721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6687A KR100500615B1 (ko) 2001-08-09 2002-08-08 가습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4660031B2 (ko)
KR (1) KR10050061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84223B2 (ja) * 2003-12-24 2007-10-03 三星電子株式会社 加湿装置及び空気調和機
KR101532576B1 (ko) * 2008-11-28 2015-06-30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습기
JP5516645B2 (ja) * 2012-05-16 2014-06-11 東芝ホームテクノ株式会社 空気調和機
KR101710166B1 (ko) * 2015-06-09 2017-03-08 주식회사 에스티 벽걸이형 가습기
CN107401783A (zh) * 2016-05-20 2017-11-28 新典自动化股份有限公司 除湿机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62346U (ko) * 1977-10-12 1979-05-01
JPH0613880B2 (ja) * 1985-04-25 1994-02-23 日本電装株式会社 遠心送風機
JPH0733067Y2 (ja) * 1990-07-26 1995-07-31 クボタトレーン株式会社 空気調和機
FR2671169B1 (fr) * 1990-12-28 1993-04-09 Creaplas Sarl Dispositif perfectionne pour le refroidissement de l'air par evaporation d'eau.
JPH0527532U (ja) * 1991-09-26 1993-04-09 三洋電機株式会社 加湿器
JPH06117667A (ja) * 1992-10-06 1994-04-28 Mitsubishi Electric Corp 空気調和装置
JP3089894B2 (ja) * 1993-05-25 2000-09-18 三菱電機株式会社 加湿機
US5483616A (en) * 1994-12-21 1996-01-09 Duracraft Corporation Humidifier tank with improved handle
JPH09137984A (ja) * 1995-11-14 1997-05-27 Mitsubishi Electric Corp 換気装置
JPH1182367A (ja) * 1997-09-08 1999-03-26 Honda Motor Co Ltd 遠心ブロアファ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3056870A (ja) 2003-02-26
KR100500615B1 (ko) 2005-07-12
JP4660031B2 (ja) 2011-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0668B1 (ko) 가습기
EP1619451A1 (en) Humidifier
JP2011080748A (ja) 空気清浄加湿器及びそのディスクアセンブリー
KR100500616B1 (ko) 가습기
JP4124218B2 (ja) 熱交換ユニット
JP2018124055A (ja) 加湿空気清浄機
KR100500615B1 (ko) 가습기
JP2008039327A (ja) 加湿装置
JP2008039326A (ja) 加湿装置
CN111076281A (zh) 空调室内机及空调室内机控制方法
CN111033132B (zh) 加湿装置
KR100522336B1 (ko) 가습기
JP4683789B2 (ja) 加湿機
JP4660032B2 (ja) 加湿機
KR20030019162A (ko) 가습기
CN111735128B (zh) 一种加湿净化器
CN211400018U (zh) 空调室内机
JP4215605B2 (ja) 加湿機
KR101431750B1 (ko) 정화유닛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JP5761163B2 (ja) 空気調和機
JP2007029792A (ja) 空気調節装置
WO2013001892A1 (ja) 空気調和機
CN216346866U (zh) 空气净化装置
JP2008006183A (ja) 送風機内蔵機器及び除菌ユニット
JP2008006181A (ja) 除菌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