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00616B1 - 가습기 - Google Patents

가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0616B1
KR100500616B1 KR10-2002-0051035A KR20020051035A KR100500616B1 KR 100500616 B1 KR100500616 B1 KR 100500616B1 KR 20020051035 A KR20020051035 A KR 20020051035A KR 100500616 B1 KR100500616 B1 KR 1005006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air
water
vaporization filter
humidif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10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19161A (ko
Inventor
야마구찌마사오
시마다가즈아끼
우메즈히또시
요시다교꼬
Original Assignee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산요 커머셜 서비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산요 커머셜 서비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191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91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06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0616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0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 F24F6/04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stationary unheated wet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90Cleaning of purification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2006/008Air-humidifier with water reservo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03/00Devices or apparatus used for air treatment
    • F24F2203/10Rotary wheel
    • F24F2203/1024Rotary wheel combined with a humidifi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Humidification (AREA)

Abstract

흡수성이 양호하고, 강한 탄력을 가지고, 또한 가습량을 확보할 수 있는 가습기를 제공한다.
가습기(1)의 운전을 개시시키면, 송풍기(25)의 팬 모터(26)가 기동하고, 피가습실의 공기가 공기 정화 필터(14) 및 공기 흡입구(13)를 거쳐 흡입측 공기의 유로(a)에 흡인되고, 그 공기는 팬 케이싱(28) 내에서 시로코 팬(27)에 의해 가속되고, 이 가속된 공기는 송풍구(29)에서부터 하향으로 송출되어, 보호 부재(37)를 통과한 후, 기화 필터(19)로 통과하고, 상술하면 50 중량 %의 레이온과 50 중량 %의 PVA로 제작된 각 필터 구성체(44)를 구성하는 평판형의 천부재(42) 및 파형의 천부재(43)로 형성된 공간 내를 통과하여, 기화 필터(19)에 함침된 물을 기화시키고, 이렇게 해서 기화 필터(19)를 통과할 때에 가습된 공기는 송출측 공기 유로(b) 및 토출구(11)를 거쳐 피가습실로 토출되어, 피가습실의 가습이 행해진다.

Description

가습기 {The Humidifier}
본 발명은 급수 탱크로부터 물의 공급을 받는 수조에 일부가 침지되어 모세관 현상에 의해 상기 물을 빨아올리는 기화 필터에서 기화한 수증기와 공기를 혼합하여 송풍기에 의해 실내로 공급하여 가습을 행하는 가습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러한 종류의 가습기에 있어서의 기화 필터는,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수성이 양호한 1매의 천부재를 주름 상자형으로 꺾어 형성하거나 또한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수성이 양호한 복수매의 천부재를 벌집형으로 접착하여 형성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기화 필터의 재질로서 흡수성이 양호한 레이온을 사용하고 있었다.
그러나, 레이온은 흡수(吸水)하면 유연성이 증가하고, 탄력이 없어지기 때문에, 기화 필터가 쓰러지거나, 눈(공기가 통과하는 공간)이 찌그러지거나 해서, 가습량을 확보하는 것이 곤란하였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에 감안하여, 흡수성이 양호하고, 강한 탄력을 갖고, 또한 가습량을 확보할 수 있는 가습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로 위해 제1 발명은 급수 탱크로부터 물의 공급을 받는 수조에 일부가 침지된 모세관 현상에 의해 상기 물을 빨아올리는 기화 필터에서 기화된 수증기와 공기를 혼합하여 송풍기에 의해 실내로 공급하여 가습을 행하는 가습기에 있어서, 상기 기화 필터를 평판형의 천부재와 파상의 천부재를 접착시켜 형성한 필터 구성체를 복수 병설하여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양 천부재의 재질을 40 내지 60 중량 %의 레이온과 40 내지 60 중량 %의 PVA로 제작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2 발명은 복수 병설한 상기 필터 구성체 중, 양측부 근방에 배치되는 것은 중앙에 배치되는 것보다 상기 양 천부재로 형성되는 공간의 단면적의 합이 크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발명의 실시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1 내지 도7을 참조하고 설명한다. 도1 내지 도7에 있어서, 도면 부호 2는 가습기(1)의 외장 케이스이고, 이 외장 케이스(2)는 각각 합성 수지로 성형되어 케이스 본체(3)를 구성하는 상부판(4), 바닥판(5), 주위 측판(6) 및 탱크 덮개판(7)과, 케이스 본체(3)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한 전방 패널(8)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상부판(4)에는 표시부 겸용의 조작부(9)가 설치되는 동시에, 이 상부판(4)의 전방 단부 부분에 위치하여 상부판(4)과 일체 성형된 토출 가이드 격자(10)를 갖는 가로가 긴 토출구(11)가 형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조작부(9)의 주위에는 기복 가능하게 설치된 거수 운반용의 コ자형의 손잡이(12)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주위 측판(6)의 상부에는 그것의 배면부와 한쪽 방향의 측면부로 나란히 늘어선 격자형의 공기 흡입구(13)가 형성되고, 이 공기 흡입구(13)에는 공기 정화 필터(14)가 장착되어 있고, 이 주위 측판(6)에는 상기 상부판(4)이 나사(도시하지 않음) 고정되는 동시에 상기 바닥판(5)이 마찬가지로 나사(도시하지 않음) 고정되어 있다.
상기 바닥판(5)에는 도3 및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측부에 카트리지식 급수 탱크(15)로부터 공급되는 가습용의 물을 받는 물받이부(16)가 형성되는 동시에, 바닥판(5)과 일체 성형된 구획벽(17)을 협지한 타부측에, 급수 탱크(15)에서 물받이부(16)로 급수된 물을 소정 수위까지 저장하는 수조(18)가 형성되어 있고, 이 수조(18)에는 하단부가 수조(18) 내의 물에 침지된 상태로 후술하는 기화 필터(19)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바닥판(5)의 외주 전체에는 주위벽(20)이 이 바닥판(5)과 일체로 성형되어 있고, 그리고 이 주위벽(20)의 전방 측벽부(21)는 상기 물받이부(16) 측보다도 상기 물받이부(16)로부터 떨어진 부분 X의 높이를 약 10 내지 30 mm 높게 설정하고 있다.
상기 전방 패널(8)은 패널의 좌우 양단부에 복수의 계지부(22)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이들 복수의 계지부(22)가 주위 측판(6)의 좌우 양단부에 형성된 계합부(23)에 각각 걸림 부착됨으로써, 케이스 본체(3) 전방면의 개방면(Z)이 덮히는 것이다. 도면 부호 24는 외장 케이스(2) 내에 수용된 상태의 급수 탱크(15)에 대향하여 전방 패널(8)에 설치된 급수 탱크(15)의 수량 확인 창이다.
도면 부호 25는 케이스 본체(3) 내의 상부에 횡방향으로 설치된 송풍기이고, 이 송풍기(25)는 팬 모터(26)와, 이 팬 모터(26)의 모터 축에 저어널된 횡류 팬인 시로코 팬(sirocco fan, 27)과, 이 시로코 팬(27)을 수용한 팬 케이싱(28)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시로코 팬(27)을 대신해서 크로스 플로우 팬으로 구성해도 좋다.
그리고, 상기 송풍기(25)는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기 정화 필터(14) 및 공기 흡입구(13)를 거쳐 외장 케이스(2) 내의 흡입측 공기 유로(a)로 흡인된 실내 공기를 시로코 팬(27)으로 가속하고, 팬 케이싱(28)의 송풍구(29)에서부터 하향으로 송출하여, 기화 필터(19)로 송풍함으로써, 그 기화 필터(19)를 통과시키고, 그 때, 기화 필터(19)로 침투한 물을 기화시키고, 이 가습된 공기를 송출측 공기 유로(b) 및 토출구(11)를 거쳐 가습기(1) 밖의 피가습실로 토출한다.
상기 팬 케이싱(28)은 도3 및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 2분할된 분할 케이싱(28A, 28B)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이들 좌우의 분할 케이싱(28A, 28B)은 각각 합성 수지로 성형되는 동시에, 흡입측 공기의 유로(a)와 송출측 공기 유로(b)를 구획하는 유로 구획벽(30) 및 상기 송풍구(29)를 형성한 수평 구획벽(31)을 일체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팬 케이싱(28)은 상기 각 분할 케이싱(28A, 28B)의 맞댐 측 단부 끼리를 서로 맞닿게 하여 나사에 의해 접합함으로써 조립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팬 케이싱(28)은 상기 유로 구획벽(30) 및 수평 구획벽(31)을 각각 외장 케이스(2)에 나사(도시하지 않음) 고정함으로써, 상기 유로 구획벽(30) 및 수평 구획벽(31)의 쌍방을 거쳐 외장 케이스(2)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 수평 구획벽(31)의 우측 단부는, 상기 구획벽(17)의 상단부에 나사(도시하지 않음) 고정되고, 이렇게 해서, 상기 팬 케이싱(28), 유로 구획벽(30) 및 수평 구획벽(31)은 외장 케이스(2)의 조립 강도를 높이는 구조체로서 작용한다.
또한, 상기 한쪽(우측)의 분할 케이싱(28B)에 일체 성형되어 있는 유로 구획벽(30)은, 상기 송풍기(25)의 팬 모터(26)의 전방을 덮도록 팬 모터(26)와 외장 케이스(2)의 전방 패널(8)과의 사이에 위치시키고 있다.
상기 기화 필터(19)는 기화 필터의 하부가 상기 수조(18) 내에 저장된 물에 하단부를 침지한 상태로, 그 수조(18)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전방 패널(8)을 케이스 본체(3)로부터 제거한 상태의 케이스 본체(3) 전방면의 개방면 Z로부터 수조(18)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하고 있다.
또한, 상기 수조(18)는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길이 방향의 일측 내부에 연결로(32)를 거쳐 상기 물받이부(16)에 연결되는 보조 수조부(18A)를 가지고 있고, 이 보조 수조부(18A)에는, 수조(18) 내에 저장된 가습용의 물(수도물)을 제균하기 위한 한 쌍의 제균용 전극(33, 34)이 홀더(35)에 보유 지지되어 설치되는 동시에, 이들 한 쌍의 제균용 전극(33, 34)에 인접한 상태로 하나의 수위 검출 전극(36)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한 쌍의 제균용 전극(33, 34) 및 하나의 수위 검출 전극(36)은, 각각 하부를 물에 침지한 상태로 보조 수조부(18A)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통상, 수위 검출 전극(36)은, 제균용 전극(33, 34)과 같이 한 쌍을 필요로 하지만, 수위 검출 전극(36)과 대향하는 측의 한 쪽 방향의 제균용 전극(33)이 다른 쪽 수위 검출 전극을 겸한 구성으로 하고 있다.
도면 부호 37은 상기 제균용 전극(33, 34) 및 수위 검출 전극(36)과 기화 필터(19) 사이, 즉, 제균용 전극(33, 34) 및 수위 검출 전극(36)과 케이스 본체(3)의 개방면 Z와의 사이에 설치된 통기성을 갖는 보호 부재이다. 이 보호 부재(37)는 합성 수지로써 성형된 격자형의 다공 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기화 필터(19)의 청소, 점검, 및 교환시나 기화 필터(19)를 취출하여 수조(18)의 청소를 행할 때에, 상기 제균용 전극(33, 34) 및 수위 검출 전극(36)에 사람의 손가락이 닿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보호 부재(37)는 그 양단부가 케이스 본체[3, 주위 측판(6)의 내면] 내에 대향하여 설치된 가이드 홈(38, 38)에 개재 삽입되어 케이스 본체(3) 내에 고정되고, 또한 그 가이드 홈(38, 38)에 개재 삽입된 상태의 보호 부재(37)는 상기 송풍기(25)의 송풍구(29)가 설치된 수평 구획벽(31)에 의해서 빠짐 방지되어 있다.
또한, 도2 중 도면 부호 39는 가습기의 운전을 제어하는 제어기, 40은 기화 필터(19)를 압박하는 필터 압박 부재이고, 이 필터 압박 부재(40)는 탄성을 가지고 있다.
다음에, 도6 및 도7에 의거하여, 상기 기화 필터(19)에 대해서 상술한다. 우선, 평판형의 천부재(42)와 파상의 천부재(43)를 접착시켜 필터 구성체(44)를 작성하고, 이 필터 구성체(44)를 복수 병설한 상태로 이것을 한 쪽 보유 지지체(45)에 형성된 공간에 수납하고, 계속해서 이 한 쪽 보유 지지체(45)와 다른 쪽 보유 유지체(46)로 협지하도록 하여 기화 필터(19)를 구성한다.
즉, 상기 양 보유 지지체(45, 46)와 함께 합성 수지 재료로 제작되고, 상기 한 쪽 보유 지지체(45)는, 일측은 상기 구성체(44) 군을 수납하기 위해 개구되고, 다른 쪽 격자형의 창이 형성되어 있고, 양측부에는 상하에 계지부(47)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다른 쪽 보유 지지체(46)도 동일하게 일측은 상기 구성체(44) 군을 수납하기 위해 개구되고, 다른 측은 격자형의 창이 형성되어 있고, 양측부에는 상하에 상기 계지부(47)가 끼워 맞추어지는 계합 홈(48)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한쪽 보유 지지체(45)의 개구 주위측부 단부를 박육부(도시하지 않음)로 하고, 상기 다른 쪽의 보유 지지체(45)의 개구 주위측부 단부에는 절제부(49)를 형성하고, 상기 필터 구성체(44)를 복수 병설한 상태로 이것을 한쪽 보유 지지체(45)에 형성된 공간에 수납하여 한쪽 방향의 보유 지지체(45)와 다른 방향의 보유 지지체(40)로 협지하도록 하고, 상기 다른 쪽 보유 지지체(46)의 개구 주위측부 단부에 형성된 절제부(49)에 상기 박육부를 끼워 맞춤시켜 상기 계지부(47)를 계합홈(48)에 끼워 맞춤으로써 기화 필터(19)를 구성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와 같이 구성된 기화 필터(19)를 상기 수조(18) 내에 상기 양 천부재(42 및 43)로 형성된 공간이 상기 수조(18) 내의 수면과 평행해지도록, 또한 보호 부재(37) 및 상기 송출측 공기 유로(b)에 면하도록 배치하여, 상기 수평 구획벽(31)과 양 보유 지지체(45, 46)의 상부면과의 사이에 탄성을 갖는 필터 압박 부재(40)를 개재 삽입시켜 상기 기화 필터(19)를 압박하여 고정시킨다.
또한, 상기 양 천부재(42 및 43)의 재질은, 흡수성이 양호한 레이온과 강한 탄력을 갖는 PVA(폴리비닐 알코올)로 제작되지만, 40 내지 60 중량 %의 레이온과 40 내지 60 중량 %의 PVA로 제작하고, 바람직하게는 50 % 중량부의 레이온과 50 % 중량부의 PVA로 제작하면, 흡수성이 양호하고 또한 탄력이 강한 효과가 현저하다.
그리고, 파형 형상의 상기 필터 구성체(44)의 파(波)의 높이를 2.2 mm 내지 3.2 mm의, 예를 들어 2.7 mm 정도로 하고, 파의 피치를 4.7 mm 내지 5.7 mm의, 예를 들면 5.2 mm로 하여 제작한다. 또한, 상기 필터 구성체(44)를 파형 형상으로 제작하였으므로, 어느 정도 탄력을 가지고, 병설한 때에 눈이 찌그러지지 않는다. 그리고, 필요한 가습량에 따라서, 이 병설시킨 필터 구성체(44)의 매수를 조정할 수 있고, 효율이 좋은 가습량을 확보할 수 있다. 물론, 상기 필터 구성체(44)의 크기, 즉 종, 횡의 길이나 양천부재(42, 43)로 형성되는 공간의 크기나, 형성되는 공간의 피치를 조정해도 좋다.
이상과 같이 구성함으로써, 내부에 수도물 등의 가습용 물이 수용된 급수 탱크(15)를 외장 케이스(2) 내에 세트하면, 이 급수 탱크(15) 내의 물은 물받이부(16)에 수적 낙하 공급되고, 이 물은 물받이부(16)로부터 연결로(32)를 거쳐 보조 수조부(18A)로 공급되고, 수조(18) 내에는 소정의 수위로 물이 저장된다. 이 수조(18) 내에 저장된 물은 모세관 현상에 의해서 기화 필터(19)로 빨아 올려진다.
상술한 상태에 있어서, 조작부(9)에 설치된 운전 스위치 온 오프 스위치(도시하지 않음)를 켜서 가습기(1)의 운전을 개시시키면, 송풍기(25)의 팬 모터(26)가 기동하고, 피가습실의 공기가 공기 정화 필터(14) 및 공기 흡입구(13)를 거쳐 흡입측 공기 유로(a)에 흡인되고, 그 공기는 팬 케이싱(28) 내에서 시로코 팬(27)에 의해 가속되고, 이 가속된 공기는 송풍구(29)에서부터 하향으로 송출되어, 보호 부재(37)를 통과한 후, 기화 필터(19)로 통과하고, 상술하면 각 양 천부재(42 및 43)로 형성된 공간 내를 통과하고, 여기서, 기화 필터(19)에 함침된 물을 기화시키고, 이렇게 해서 기화 필터(19)를 통과할 때에 가습된 공기(기화한 수증기와 혼합된 공기)는, 송출측 공기 유로(b) 및 토출구(11)를 거쳐 피가습실로 토출되어, 피가습실의 가습이 행해진다.
한편, 보조 수조부(18A)에 설치된 한 쌍의 제균용 전극(33, 34)이 통전되면, 이들 제균용 전극(33, 34)에 의해, 살균력이 큰 HC10(차아염소산)이 발생하게 되어, 수조(18) 및 보조 수조부(18A)에 저류된 물이 제균되게 된다.
여기서, 가습기(1)를 장시간 운전하면, 기화 필터(19)에 실내로부터 흡입된 먼지 등이 축적되고, 기화 필터(19)가 소위, 눈 막힘이 되면, 기화 필터(19)의 청소를 행할 필요가 생긴다. 이 경우, 외장 케이스(2)의 전방 패널(8)을 떼어 내면, 케이스 본체(3)의 전방면이 개방되므로, 필터 압박 부재(40)를 케이스 본체(3)로부터 떼어 낸 후, 상기한 개방면 Z를 이용하여 기화 필터(19)를 수조(18)에서부터 외부로 취출할 수 있다. 이렇게 해서, 외부로 취출한 기화 필터(19)는 청소를 행한 후에 다시 수조(18) 내에 조립하여 사용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급수 탱크(15)로부터 물의 공급을 받는 수조(18)에 일부가 침지되어 모세관 현상에 의해 상기 물을 빨아올리는 기화 필터(19)에서 기화된 수증기와 공기를 혼합하여 송풍기(25)에 의해 실내로 공급하여 가습을 행하는 가습기에 있어서, 상기 기화 필터(19)를 평판형의 천부재(42)와 파상의 천부재(43)를 접착시켜 형성한 필터 구성체(44)를 복수 병설해서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양 천부재(42, 43)의 재질을 40 내지 60 중량 %의 레이온과 40 내지 60 중량 %의 PVA로 제작함으로써, 레이온에 의한 흡수성이 양호하고, PVA에 의해 강한 탄력을 가지고, 흡수해도 탄력이 없어지는 일이 없고, 기화 필터(19)가 쓰러지거나, 눈(공기가 통과하는 공간)이 찌그러지는 일 없이 또한 가습량을 확보할 수 있다.
다음에, 도8에 기초하여 제2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하지만, 제1 실시 형태와 다른 것은, 필터 구성체(44)이다. 즉, 복수 병설하는 상기 필터 구성체(44) 중, 양측부 근방에 배치되는 상기 필터 구성체(44)는 중앙에 배치되는 것보다 상기 양 천부재(42, 43)로 형성되는 공간의 단면적의 합을 크게 형성한다. 이에 따라, 제1 실시 형태에서는, 특히 송풍기(25)로서 시로코 팬(27) 등의 횡류 팬을 사용하면, 압력이 중앙부는 높고 양측부는 낮게 되어, 가습량이 중앙부는 많고 양측부는 적다고 하는 편차가 있지만, 제2 실시 형태에 따르면, 가습량이 중앙부 쪽이 많다는 편차가 없고, 고르게 가습량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이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상술한 설명에 의거하여 당업자에게 있어서 여러가지 대체예, 수정 또는 변형이 가능하고,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전술한 여러가지 대체예, 수정 또는 변형을 포함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흡수성이 양호하고, 강한 탄력을 가지므로, 흡수하더라도 탄력이 없어지는 일이 없고, 기화 필터가 쓰러지거나, 눈(공기가 통과하는 공간)이 찌그러지는 일 없이 또한 가습량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2에 기재의 발명에 따르면, 가습량이 중앙부 쪽이 많다고 하는 편차가 없이, 고르게 가습량을 확보할 수 있다.
도1은 가습기의 외관 사시도.
도2는 가습기의 주요부 종단면도.
도3은 전방 패널, 기화 필터, 급수 탱크 및 탱크 수용실 덮개판을 케이스 본체로부터 빼낸 상태의 분해 사시도.
도4는 송풍기의 팬 케이싱의 구조를 설명하는 설명도.
도5는 가습기의 주요부 횡단면도.
도6은 필터 구성체의 사시도.
도7은 기화 필터의 분해사시도.
도8은 제2 실시 형태의 기화 필터를 도시한 도면.
도9는 흡수성이 양호한 1매의 천부재를 주름 상자형으로 꺾어 형성한 종래의 기화 필터를 도시한 도면.
도10은 흡수성이 양호한 복수매의 천부재를 벌집형으로 접착하여 형성한 종래의 기화 필터를 도시하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가습기
15 : 카트리지식 급수 탱크(급수 탱크)
16 : 물받이부
18 : 수조
18A : 보조 수조부(수조)
19 : 기화 필터
25 : 송풍기
26 : 시로코 팬
42, 43 : 천부재
44 : 필터 구성체

Claims (2)

  1. 급수 탱크로부터 물을 공급받는 수조와, 상기 수조의 물에 하부가 침지되어 모세관 현상에 의해 상기 물을 빨아올리는 기화 필터를 구비하고, 상기 기화 필터에 의해 기화한 수증기와 공기를 혼합하여 송풍기에 의해 실내로 공급하여 가습을 행하는 가습기에 있어서,
    상기 기화 필터는 평판형의 천부재와 파상의 천부재를 접착시켜 형성한 필터 구성 부재를 세우고, 또한 횡방향으로 서로 겹치도록 복수 병설하여 형성하는 동시에 합성 수지제의 보유 지지 부재 내에 수용하는 구성으로 하고,
    또한 상기 기화 필터는 상기 양쪽 천 부재의 재질을 40 내지 60 중량%의 레이온과 40 내지 60 중량 %의 PVA(폴리비닐알코올)로 제작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
  2. 제1항에 있어서, 복수 병설된 상기 필터 구성체 중, 양측부 근방에 배치되는 것은 중앙에 배치되는 것보다 상기 양 천부재로 형성되는 공간의 단면적의 합이 크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
KR10-2002-0051035A 2001-08-29 2002-08-28 가습기 KR10050061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258874A JP2003074917A (ja) 2001-08-29 2001-08-29 加湿器
JPJP-P-2001-00258874 2001-08-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9161A KR20030019161A (ko) 2003-03-06
KR100500616B1 true KR100500616B1 (ko) 2005-07-12

Family

ID=190863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1035A KR100500616B1 (ko) 2001-08-29 2002-08-28 가습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03074917A (ko)
KR (1) KR100500616B1 (ko)
CN (1) CN1195182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62367A (ja) * 2002-03-06 2003-09-19 Sanyo Electric Co Ltd 加湿器
US7513486B2 (en) * 2004-05-24 2009-04-07 Kaz, Inc. Humidifier with improved UV disinfection
JP4549204B2 (ja) * 2004-07-21 2010-09-22 三洋電機株式会社 加湿器
JP4683911B2 (ja) * 2004-12-20 2011-05-18 三洋電機株式会社 加湿器
JP2006029764A (ja) * 2005-03-03 2006-02-02 Sanyo Electric Co Ltd 加湿器
JP5263238B2 (ja) * 2010-08-10 2013-08-14 東芝ホームテクノ株式会社 加湿器
JP5531904B2 (ja) * 2010-10-13 2014-06-2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加湿機
JP5879507B2 (ja) * 2010-11-29 2016-03-0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加湿機及び加湿機能付空気清浄機
CN103216896A (zh) * 2013-04-15 2013-07-24 欧坤 多功能空气治理机
US9777935B2 (en) 2013-04-22 2017-10-03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Humidifier and air-condition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JP2016202191A (ja) * 2013-10-01 2016-12-08 株式会社シリウス 屋内の空気を清浄化する方法及びそれに使用するための装置
CN105972738B (zh) * 2016-06-27 2019-01-08 水爱电器科技(上海)有限公司 增加空气湿度的装置
JP6427612B2 (ja) * 2017-03-07 2018-11-21 マルキタフーズ株式会社 農産物等の鮮度保持装置
CN111288566A (zh) * 2018-12-06 2020-06-16 广东美的环境电器制造有限公司 净化器
RU2722977C1 (ru) * 2019-04-26 2020-06-05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Экологические инновации" Увлажнитель воздух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285A (ja) * 1989-05-30 1991-01-07 Nec Corp バーコード自動読取方式
JPH04320742A (ja) * 1991-04-22 1992-11-11 Kubota Corp 空調機
JPH07167469A (ja) * 1993-12-13 1995-07-04 Unitika Ltd 加湿ユニット
JP3928207B2 (ja) * 1997-04-30 2007-06-13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加湿機能付空気清浄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3074917A (ja) 2003-03-12
CN1195182C (zh) 2005-03-30
KR20030019161A (ko) 2003-03-06
CN1403751A (zh) 2003-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00616B1 (ko) 가습기
KR100790668B1 (ko) 가습기
JP5892723B2 (ja) 空気清浄加湿器及びそのディスクアセンブリー
KR102560978B1 (ko) 가습겸용 공기청정기
JP2011080755A (ja) 空気清浄加湿器及びそのディスクアセンブリ
KR20110022848A (ko) 공기청정 가습기
KR20180026525A (ko) 가습 필터 및 가습기
JPH0593524A (ja) 冷風扇
JP2013072585A (ja) 加湿装置
KR100522336B1 (ko) 가습기
KR20030019162A (ko) 가습기
KR100485292B1 (ko) 가습기
KR0122400Y1 (ko) 공기청정기능이 구비된 자연증발식 가습기
JP3115357U (ja) 加湿装置
JP4660032B2 (ja) 加湿機
CN111735128B (zh) 一种加湿净化器
JP4660031B2 (ja) 加湿機
KR200291824Y1 (ko) 공기청정기
JP4215605B2 (ja) 加湿機
JP2008064430A (ja) 水位表示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加湿装置並びに空気清浄機
JP2010196908A (ja) 加湿装置
JP2016128749A (ja) 加湿装置
JP2023030483A (ja) 加湿フィルタ用カバー部材、加湿フィルタユニット、及び加湿装置
JP2024058227A (ja) 加湿器
CN115773553A (zh) 加湿净化组件和空调室内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62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