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11351A - 전체 방향족 폴리에스테르와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의용융 생성물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전체 방향족 폴리에스테르와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의용융 생성물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11351A
KR20030011351A KR1020027016898A KR20027016898A KR20030011351A KR 20030011351 A KR20030011351 A KR 20030011351A KR 1020027016898 A KR1020027016898 A KR 1020027016898A KR 20027016898 A KR20027016898 A KR 20027016898A KR 20030011351 A KR20030011351 A KR 200300113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aromatic
formula
parts
aromatic polyes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168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미요시다까노리
사꾸라이히로시
마쯔무라순이찌
이시와따도요아끼
Original Assignee
데이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데이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데이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113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1351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9/00Compositions of polycarbonat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poly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9/00Compositions of polycarbonat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polycarbonates
    • C08L69/005Polyester-carbonat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lyesters Or Polycarbonat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고온에서 용융해도 착색이 적고, 전체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카보네이트 또는 전체 방향족 폴리에스테르와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의 용융 성형물이 제공된다. 이 용융 생성물은 각종 자동차 부품이나 전기 전자 부품의 제조에 사용된다.

Description

전체 방향족 폴리에스테르와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의 용융 생성물 및 그 제조 방법{PRODUCT FROM MELT OF WHOLLY AROMATIC POLYESTER AND AROMATIC POLYCARBONATE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최근, 내열성이 높고 기계적 강도가 우수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에 대한 요구 성능이 높아지고 있다. 비결정성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에 방향족 디올과 방향족 디카르복실산에 유래하는 전체 방향족 폴리에스테르가 있다. 예컨대, 방향족 디올로서 2,2-비스(4-히드록시페닐)프로판 (이하, 비스페놀 A 라 약칭함), 방향족 디카르복실산으로서 테레프탈산과 이소프탈산으로 이루어지는 전체 방향족 폴리에스테르는, 비교적 밸런스가 잡힌 특성을 가지고 있고, 각종 용도에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전체 방향족 폴리에스테르에는 유동성이 낮다는 결점이 있고, 이 결점을 개선한 것으로서 폴리카보네이트와의 수지 조성물이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은 전체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특히 전체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카보네이트와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의 용융 생성물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색조, 투명성이 우수하고 또한 용융 가공시의 착색이 적은 상기 용융 생성물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체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특히 전체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카보네이트와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의 용융 생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색조, 투명성이 우수하고 또한 용융 가공시의 착색이 적은 상기 용융 생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용융 생성물을 제조하는 방법 및 상기 용융물로부터의 성형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 및 이점은, 이하의 설명에서 밝혀질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본 발명의 상기 목적 및 이점은, 첫 번째로
(1) 하기 화학식 Ⅰ :
(여기서, A1및 A2는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치환 또는 비치환의 방향족기이다)
로 표시되는 반복 단위 50 내지 99 몰%, 및
하기 화학식 Ⅱ :
(여기서, A3은 치환 또는 비치환의 방향족기이다)
로 표시되는 반복 단위 50 내지 1 몰% 로 이루어지는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카보네이트 1 내지 99 중량부 및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99 내지 1 중량부를 용융 혼합하여 수득된 생성물로서 (여기서 전체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와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의 합계량은 100 중량부로 한다),
(2) 2 mm 두께의 성형판의 전체 광선 투과율이 85 % 를 초과하며,
(3) JIS K7103 에 의한 황색도(yellow index) (YI 값) 가 28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융 생성물 (이하, 제 1 용융 생성물이라 하는 경우가 있다) 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목적 및 이점은, 본 발명에 의하면 두 번째로,
(1) 하기 화학식 Ⅰ :
[화학식 Ⅰ]
(여기서, A1및 A2는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치환 또는 비치환인 방향족기이다)
로 표시되는 반복 단위 50 내지 99 몰% 및,
하기 화학식 Ⅱ :
[화학식 Ⅱ]
(여기서, A3은 치환 또는 비치환의 방향족기이다)
로 표시되는 반복 단위 50 내지 1 몰% 로 이루어지는 전체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카보네이트 1 내지 99 중량부와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99 내지 1 중량부를, 양자의 합계가 100 중량부가 되는 비율로 용융 혼합하여 청구범위 제 1 항의 용융 생성물을 생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융 생성물의 제조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본 발명의 상기 목적 및 이점은, 세 번째로,
본 발명의 상기 용융 생성물로부터의 성형품, 특히 사출 성형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의하면 본 발명의 상기 목적 및 이점은,
(1) 상기 화학식 Ⅰ 로 표시되는 반복 단위로부터 실질적으로 이루어지는 전체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1 내지 99 중량부 및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99 내지 1 중량부를 용융 혼합하여 수득된 생성물로서 (여기서 전체 방향족 폴리에스테르와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의 합계량은 100 중량부로 한다),
(2) 2 mm 두께의 성형판의 전체 광선 투과율이 85 % 를 초과하며,
(3) JIS K7103 에 의한 황색도 (YI 값) 가 28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융 생성물 (이하, 제 2 용융 생성물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에 의해 달성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 1 용융 생성물에 대해서 우선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 1 용융 생성물은 전체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카보네이트와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를 용융 혼합하여 수득된 생성물이다. 전체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카보네이트는, 상기 화학식 Ⅰ 로 표시되는 반복 단위와 상기 화학식 Ⅱ 로 표시되는 반복 단위로 이루어진다. 상기 화학식 Ⅰ 로 표시되는 반복 단위와 상기 화학식 Ⅱ 로 표시되는 반복 단위의 합계에 의거하여, 상기 화학식 Ⅰ 로 표시되는 반복 단위와 상기 화학식 Ⅱ 로 표시되는 반복 단위의 비율은 각각 50 내지 99 몰% 및 50 내지 1 몰% 이고, 바람직하게는 각각 50 내지 97 몰% 및 50 내지 3 몰% 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각각 55 내지 97 몰% 및 45 내지 3 몰% 이다.
상기 화학식 Ⅰ 중, A1및 A2는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치환 또는 비치환의 방향족기이며, 또한 상기 화학식 Ⅱ 중, A3은 치환 또는 비치환의 방향족기이다. 이러한 방향족기의 치환기로서는, 예컨대 할로겐 원자, 탄소수 1 내지 6 의 알킬기, 탄소수 5 또는 6 의 시클로알킬기, 탄소수 7 내지 12 의 아랄킬기이다.
할로겐 원자로서는, 예컨대 브롬, 염소 등을 들 수 있다. 탄소수 1 내지 6 의 알킬기로서는, 예컨대 메틸, 에틸, n-프로필, i-프로필, n-부틸, n-헥실 등을 들 수 있다.
탄소수 5 또는 6 의 시클로알킬기는 시클로펜틸, 시클로헥실이다.
또한, 탄소수 7 내지 12 의 아랄킬기로서는, 예컨대 벤질기, 페네틸기 등을들 수 있다.
A1의 비치환의 방향족기로서는 예컨대, 1,4-페닐렌, 1,3-페닐렌, 2,6-나프틸렌, 2,7-나프틸렌, 1,4-나프틸렌, 4,4'-디페닐렌, 비스(4-페닐렌)에테르, 비스(4-페닐렌)술폰 및 디페닐렌인단 등을 바람직한 것으로 들 수 있다. 또한, A2의 비치환의 방향족기로서는, 아릴렌기 및 하기 화학식 Ⅰ-a 로 표시되는 기를 예시할 수 있다.
이러한, 아릴렌기로서는, 예컨대 1,4-페닐렌, 4,4'-비페닐렌 등을 들 수 있다.
여기서, A41및 A42는 치환 또는 비치환의 페닐렌기이고, X 는 하기 화학식 Ⅳ-a 로 표시되는 기,
(여기서, R1및 R2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탄소수 1 내지 6 의 알킬기, 탄소수 5 내지 6 의 시클로알킬기, 탄소수 6 내지 12 의 아릴기 또는 탄소수 7 내지 12 의 아랄킬기이다)
하기 화학식 Ⅳ-b 로 표시되는 기 또는,
(여기서, R3및 R4의 정의는, 화학식 Ⅳ-a 에서의 R1및 R2의 정의와 동일하고, 그리고 q 는 4 내지 10 의 정수이다)
하기 화학식 Ⅳ-c 로 표시되는 기이다.
A41및 A42에서의 페닐렌기의 치환기로서는, 상기한 치환기와 동일한 것을 예시할 수 있다.
A3의 비치환의 방향족기로서는, 상기 A2의 비치환의 방향족기와 동일한 것을 예시할 수 있다.
화학식 Ⅰ 에서의 A2와 화학식 Ⅱ 에서의 A3은 동일한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 경우, A2및 A3은 상기 화학식 Ⅰ- a 로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여기서 A41및 A42는 모두 1,4-페닐렌이며, X 로서는 R1및 R2은 모두 메틸기인 것이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의 전체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카보네이트는, 상기 화학식 Ⅰ 로 표시되는 반복 단위 및 상기 화학식 Ⅱ 로 표시되는 반복 단위 외에, 본 발명의 목적을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전체 반복 단위의 10 몰% 이하의 비율로, 다른 에스테르 단위 또는 카보네이트 단위를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전체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카보네이트의 말단기는, 카르복실기, 페놀성 OH기 및 아릴기로 실질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체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카보네이트는, 바람직하게는 말단 카르복실기와 말단 페놀성 OH기를 합계량으로 300 당량/106g 이하로 함유하고, 또한 말단 카르복실기를 20 당량/106g 이하로 함유한다.
상기와 같이, 말단 페놀성 OH기와 말단 카르복실기의 합계량은, 바람직하게는 300 당량/106g 이하이다. 이에 따라, 용융 생성물의 용융 가공시의 심한 착색을 억제할 수 있다. 말단 페놀성 OH기와 말단 카르복실기의 합계량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250 당량/106g, 특히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200 당량/106g 이다. 말단 페놀성 OH기와 말단 카르복실기의 합계량을 0.05 당량/106g 보다 낮게 하기 위해서는 특수한 말단 밀폐제와 반응시키거나, 또는 장시간 반응시킬 필요가 있고, 그 결과, 수득되는 중합체가 착색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말단 카르복실기는 바람직하게는 20 당량/106g 이하이다. 이에 따라, 용융 생성물의 용융 가공시에 발포를 억제할 수 있다. 말단 카르복실기가 20 당량/106g 을 초과하면, 용융 생성물이 용융 가공시에 발포하는 경우가 있다. 말단 카르복실기량은 더욱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18 당량/106g, 특히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15 당량/106g 이다. 말단 카르복실기를 0.01 당량/106g 보다 낮게 하기 위해서는, 특수한 말단 밀폐제를 사용하여 반응시키거나, 또는 장시간 반응시킬 필요가 있고, 그 결과 수득된 중합체가 착색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마찬가지로 전체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카보네이트는, 바람직하게는 말단 페놀성 OH기와 말단 아릴기의 합계 1 당량을 기준으로 하여, 말단 페놀성 OH기를 0.95 당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8 당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7 당량 이하로 함유한다.
본 발명에서의 상기 전체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카보네이트는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방향족 디히드록시 화합물 및 탄산 디에스테르를 용융 중합시켜 랜덤 중합체로서 바람직하게 제조할 수 있다.
용융 중합에 의해 수득된 전체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카보네이트를 사용하여 수득된 용융 생성물은 놀랍게도 계면중합에 의해 수득된 전체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카보네이트를 사용하여 수득된 용융 생성물보다도 용융시의 착색이 적다.이 원인에 대해서는 명확하지 않지만, 계면중합에 의해 수득되는 전체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카보네이트는 그 중합체 중에서 완전히 염소 원자를 제거하는 것이 곤란함에 비하여, 용융 중합에서 수득된 전체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카보네이트는 염소 원자를 거의 또는 조금도 함유하지 않기 때문이라고 추측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전체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카보네이트는, 염소를 바람직하게는 고작 100 ppm, 보다 바람직하게는 고작 80 ppm, 더욱 바람직하게는 고작 50 ppm, 특히 바람직하게는 고작 10 ppm 밖에 함유하지 않는다. 100 ppm 을 초과하면, 용융 생성물의 용융 성형 가공시 착색이 심해지기 쉬워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방향족 디카르복실산으로서는, 예컨대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메틸테레프탈산, 메틸이소프탈산, 나프탈렌-2,6-디카르복실산, 나프탈렌-2,7-디카르복실산, 나프탈렌-1,4-디카르복실산, 디페닐디카르복실산, 디페닐에테르디카르복실산, 디페닐술폰디카르복실산, 디페닐인단디카르복실산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방향족 디카르복실산은 단독으로 사용할 수 있고, 복수를 함께 사용할 수도 있다. 특히, 테레프탈산과 이소프탈산을 함께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경우, 테레프탈산과 이소프탈산의 비율은, 몰% 에서 20/80 내지 80/20 이 바람직하다.
방향족 디히드록시 화합물로서는, 예컨대 비스페놀 A, 1,1-비스(4-히드록시페닐)시클로헥산, 2,2-비스(3-메틸-4-히드록시페닐)프로판, 2,2-비스(3,5-디메틸-4-히드록시페닐)프로판, 2-(4-히드록시페닐)-2-(3,5-디클로로-4-히드록시페닐)프로판, 하이드로퀴논, 4,4'-디히드록시비페닐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 비스페놀A, 1,1-비스(4-히드록시페닐)시클로헥산, 2,2-비스(3-메틸-4-히드록시페닐)프로판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들 디올 성분은 2 종 이상을 병용할 수도 있다.
탄산 디에스테르로서는, 예컨대 디페닐카보네이트, 디-p-톨릴카보네이트, 디나프틸카보네이트, 디-p-클로로페닐카보네이트, 페닐-p-톨릴카보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 디페닐카보네이트가 특히 바람직하다. 탄산 디에스테르는 치환될 수도 있고,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2 종 이상을 병용할 수도 있다.
전체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카보네이트를 상기 화합물로부터 용융 중합에 의해 제조하기 위해서는, 하기 수학식 1, 2 가 동시에 성립하는 몰 비율로 각 성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0.5 ≤A/B ≤0.99
0.95 ≤C/(A+B) ≤1.05
(식 중, A 는 방향족 디카르복실산의 몰수이고, B 는 방향족 디히드록시 화합물의 몰수이며, C 는 탄산 디에스테르의 몰수이다)
상기 수학식 1 에 있어서, A/B 가 실질적으로 1 일 때, 수득되는 전체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카보네이트 중에 카보네이트 결합이 포함되지 않는 것에 반해서, A/B 가 1 보다 작을 때, 전체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카보네이트 중에 카보네이트 결합이 잔존한 전체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카보네이트가 된다.
상기 수학식 1 에 있어서, A/B<0.5 일 때, 전체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카보네이트의 내열성이 불충분해져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수학식 2 에 있어서, C/(A+B)<0.95 일 때, 수득되는 전체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카보네이트의 카르복실산 말단기를 20 몰/t 이하로 하기 위해서는 장시간을 필요로 하여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C/(A+B)>1.05 일 때, 수득되는 전체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카보네이트의 착색이 심해져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본 발명에 사용되는 전체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카보네이트를 제조하는 경우, 상기 화합물과 동시에, 물성을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예컨대, 숙신산, 글루타르산, 아디핀산, 피메린산, 스베린산, 아젤라인산, 세바신산, 데칸디오산, 도데칸디오산, 1,4-시클로헥산디카르복실산과 같은 지방(환)족 디카르복실산 및 그 에스테르 형성성 유도체, 에틸렌글리콜, 트리메틸렌글리콜, 테트라메틸렌글리콜,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과 같은 지방(환)족 디올 및 그 에스테르 형성성 유도체, p-히드록시벤조산, m-히드록시벤조산, 6-히드록시-2-나프토산과 같은 히드록시카르복실산 및 그 에스테르 형성성 유도체 등을 소량 (예컨대, 전체의 20 몰% 이하의 비율로) 공중합할 수도 있다. 또한, 이들은 2 종류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상기 전체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카보네이트를 제조하는 경우, 상기 화합물을 촉매의 존재하에서 반응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촉매로서는, 본원 출원인이 일본공개특허공보 평7-133345호에서 앞서 제안한 특정한 피리딘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로서, 4-디메틸아미노피리딘, 4-디에틸아미노피리딘, 4-피롤리디노피리딘, 4-피페리디노피리딘, 4-피롤리노피리딘, 2-메틸-4-디메틸아미노피리딘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의 화합물은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또한 2 종 이상을 조합할 수도 있다. 이들의 화합물은 방향족 디히드록시 화합물에 대해서 0.01 몰% 내지 10 몰% 의 양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0.05 몰% 내지 1 몰% 의 양으로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이러한 피리딘 화합물은 유기염소 또는 무기염소의 형태로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촉매로서 상기 피리딘 화합물과 동시에 종래의 에스테르 교환 촉매를 병용할 수도 있다.
이들 에스테르 교환 촉매로서는, 예컨대 주석, 안티몬, 스트론튬, 아연, 코발트, 니켈, 티몬, 게르마늄, 알칼리 금속, 알칼리 토금속 등의 단일체, 산화물, 수산화물, 할로겐화물, 탄산염 등의 무기산염류, 유기산염류, 착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종래 공지의 에스테르 교환 촉매의 사용량은,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방향족 디히드록시 화합물에 대해서 0.001 몰% 내지 1 몰% 의 양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5 몰% 내지 0.1 몰% 이다.
상기와 같이 촉매를 사용함으로써, 말단 페놀성 OH기와 말단 카르복실기의 합계량이 300 당량/106g 이하이고, 또한 말단 카르복실기가 20 당량/106g 이하인 전체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카보네이트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전체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카보네이트를 용융 중합할 때의 중합 온도는 280 내지 400 ℃ 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중합 온도란 중합 후기 또는 그 종료시의 온도를 의미한다. 중합 온도가 280 ℃ 보다도 낮으면 중합체의 용융 점도가 높아지기 때문에 고중합도의 중합체를 얻을 수 없고, 또한 400 ℃ 보다도 높으면, 중합체의 열화 등이 발생하기 쉬워져 바람직하지 않다. 용융 중합할 때, 중합 반응 온도의 초기는 비교적 저온으로 하고, 이것을 서서히 승온시켜 최종적으로 상기 중합 온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의 초기 중합 반응의 반응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160 내지 320 ℃ 이다. 이 중합 반응은 상압하, 또는 감압하에서 실시된다. 또한, 상압시에는 질소, 아르곤 등의 불활성 가스 분위기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합 반응 시간은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거의 1 내지 20 시간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전체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카보네이트는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또한 2 종 이상을 병용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사용되는 전체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카보네이트에는 그것을 용융 중합할 때, 필요에 따라서 안정제, 착색제, 안료, 활제(滑劑) 등의 각종 첨가제를 첨가할 수도 있다.
다음에,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로서는, 방향족 디히드록시 화합물과 탄산 디에스테르와의 용융 중합 생성물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전체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카보네이트와의 상용성이 양호하기 때문이다.
상기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는 바람직하게는 하기 화학식 Ⅲ 으로 표시되는 반복 단위로 주로 이루어지고,
(여기서, A4는 치환 또는 비치환의 방향족기이다)
바람직하게는 화학식 Ⅲ 으로 표시되는 반복 단위 80 내지 100 몰% 로 이루어진다.
화학식 Ⅲ 중의 치환 또는 비치환의 방향족기 및 상기 방향족 디히드록시 화합물과 탄산 디에스테르로서는, 전체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카보네이트에 대해서 기재한, 치환 또는 비치환의 방향족기 (화학식 Ⅱ 에 대해서) 및 방향족 디히드록시 화합물 및 탄산 디에스테르와 동일한 것을 예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학식 Ⅲ 로 표시되는 반복 단위는, 바람직하게는 하기 화학식 Ⅳ 로 표시되는 반복 단위이다.
[화학식 Ⅳ]
[여기서, A41및 A42는 치환 또는 비치환의 페닐렌기이고, X 는 하기 화학식 Ⅳ-a :
[화학식 Ⅳ-a]
(여기서, R1및 R2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탄소수 1 내지 6 의 알킬기, 탄소수 5 내지 6 의 시클로알킬기, 탄소수 6 내지 12 의 아릴기 또는 탄소수 7 내지 12 의 아랄킬기이다) 로 표시되는 기,
하기 화학식 Ⅳ-b :
[화학식 Ⅳ-b]
(여기서, R3및 R4의 정의는 화학식 Ⅳ-a 에서의 R1및 R2의 정의와 동일하고, q 는 4 내지 10 의 정수이다) 로 표시되는 기, 또는
하기 화학식 Ⅳ-c :
[화학식 Ⅳ-c]
로 표시되는 기이다].
상기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의 보다 바람직한 것으로서는, 상기 화학식 Ⅳ 로 표시되는 반복 단위에서 실질적으로 되는 것이고, 여기서 A41및 A42는 모두 비치환의 1,4-페닐렌이고, X 로서는 상기 화학식 Ⅳ-a 로 표시되는 것이며, 여기서 R1및 R2은 모두 메틸기인 것이다.
상기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에는, 그 특성을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내열안정제, 착색제, 충전제, 내충격개량제, 산화 열화 방지제, 내후제, 활제, 이형제, 가소제, 난연제, 유동성 개량제, 대전방지제, 산성 물질 포착제, 광안정제, 자외선 흡수제, 금속 불활성화제, 금속비누, 조핵제, 가공 안정제 등을 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이들 각종 첨가제는 전술한 중합 반응중에 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용융 생성물은, 그 100 중량부가 상기 전체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카보네이트 1 내지 99 중량부과 상기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99 내지 1 중량부로 이루어진다.
전체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카보네이트 및 전체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로서는, 디올 성분이 동일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용융 생성물은, (ⅰ) 전체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카보네이트 50 내지 99 중량부 및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50 내지 1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용융 생성물과 (ⅱ) 전체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카보네이트 1 중량부 내지 50 중량부 미만 및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50 중량부를 초과하여 99 중량부 이하로 이루어지는 용융 생성물로 편의적으로 구분할 수 있다.
전자의 용융 생성물은, 전체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카보네이트를 50 중량부 이상으로 함유하는 것으로, 전체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카보네이트의 높은 내열성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를 1 중량부 이상으로 함으로써,용융 생성물의 용융 점도가 저하하여 성형시의 유동성이 양호해지며, 또한 내충격성도 향상된다. 전자의 용융 생성물은, 바람직하게는 전체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카보네이트 50 내지 95 중량부 및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5 내지 50 중량부로 이루어지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전체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카보네이트 60 내지 90 중량부와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40 내지 10 중량부로 이루어진다.
후자의 용융 생성물은,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를 50 중량부를 초과하는 양으로 함유함으로써 용융 생성물이 높은 유동성, 기계 특성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전체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카보네이트를 50 중량부 미만으로 함으로써 용융 생성물의 내열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가 99 중량부를 초과하면, 내열성 향상의 효과가 적어 바람직하지 않다. 후자의 용융 생성물은 바람직하게는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50 중량부를 초과하여 95 중량부 이하 및 전체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카보네이트 5 중량부 내지 50 중량부 미만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60 내지 90 중량부 및 전체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카보네이트 40 내지 10 중량부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용융 생성물은,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하나의 유리 전이점을 가진다. 이 유리 전이점의 온도는 전체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카보네이트의 유리 전이점의 온도 및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의 유리 전이점의 온도의 그 어느 것과도 상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용융 생성물은, 그 특성으로서 2 mm 두께의 성형판의 전체 광선 투과율이 85 % 를 초과하고, 바람직하게는 87 % 를 초과하며, 또한 JIS K7103 에의한 황색도 (YI 값) 가 28 이하, 바람직하게는 2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이하이다.
즉, 본 발명의 용융 생성물은, 우수한 투명성과 바람직한 색조를 가지며, 또한 그 밸런스도 우수하다.
본 발명의 용융 생성물은, 전체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카보네이트와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를 용융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용융 혼합은 전체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카보네이트와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의 적어도 어느 한 쪽, 바람직하게는 보다 많은 비율로 사용되는 쪽이 용융하는 온도보다도 높은 온도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상, 260 내지 360 ℃ 의 범위로 용융 혼합의 적절한 온도가 존재한다.
또한, 용융 혼합은 실질적으로 하나의 유리 전이점을 가지는 용융 생성물이 생성되기까지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융 혼합을 실시하는 적당한 시간은, 사용하는 중합체의 종류, 양 또는 온도 등에 따라 상이하지만, 당업자는 몇 번의 실험을 실시함으로써 용이하게 결정할 수 있다.
용융 혼합은 공지의 용융 혼련 수단, 예컨대 압출기, 밴베리 믹서, 로울러, 교반기 등을 사용하여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용융 생성물에는, 그 특성을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예컨대, 용융 혼합물에 대하여 10 중량% 이하의 비율) 에서 아인산, 인산금속염, 아인산에스테르 등의 안정제나 안료, 염료, 보강제, 충전제, 내충격 개량제, 내열제, 산화 열화 방지제, 내후제, 활제, 이형제, 가소제, 난연제, 유동성 개량제, 대전 방지제 등을첨가할 수 있다. 이들은 2 종류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용융 생성물은 우수한 투명성과 색조를 가지고, 이들 특성을 살려 여러 가지 성형품으로 할 수 있다. 성형품은 여러 가지 수단으로 성형품으로 부형되고, 예컨대 압출 성형품, 사출 성형품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용융 생성물로부터의 성형품으로서는, 예컨대 턴 램프의 렌즈 캡, 테일 램프의 렌즈, 리어 윈도우 글라스 및 사이드 윈도우 글라스와 같은 자동차용 부품, 퓨즈 커버와 같은 전기 전자 부품 또는 각종 부품의 하우징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마찬가지로 제공되는 제 2 용융 생성물 즉, 제 1 용융 생성물에서의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카보네이트 대신에 전체 방향족 폴리에스테르를 사용한 용융 생성물은, 제 1 용융 생성물과 마찬가지로 우수한 투명성과 색조를 가지고 있다.
전체 방향족 폴리에스테르는, 전체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카보네이트를 제조하는 상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수학식 1 대신에, 하기 수학식 1' 을 만족하도록 디카르복실산과 방향족 디히드록시 화합물을 사용함으로써 바람직하게 제조할 수 있다.
0.99<A/B<1.1 ··· (1)'
(여기서, A 와 B 의 정의는 상기와 동일하다)
제 2 용융 생성물은 제 1 용융 생성물과 동일한 용도로 사용된다.
이하에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체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카보네이트의 말단기는1H-NMR 로써 측정하였다 (테트라메틸실란의 화학 시프트를 0 ppm 으로 함).
말단 카르복실기는 말단 카르복실기에 인접한 벤젠 고리의 프로톤 (테레프탈산 유래의 8.2 ppm 과 이소프탈산 유래의 8.9 ppm) 에 의해 결정하였다.
말단 페놀성 OH기는 말단 페놀성 OH기에 인접한 벤젠 고리의 프로톤 (6.7 ppm) 에 의해 결정하였다.
염소 함유량은 시료 100 mg 을 연소 가스 흡수 장치 내 (900 ℃, Ar-O2분위기 하) 에서 처리하고, 발생한 가스를 순수에 흡수시켜 이온크로마토그래피법으로 Cl-를 측정하였다.
유리 전이점 (Tg) 은 승온 속도 10 ℃/min 에서 DSC 를 측정하여 구하였다 (측정 장치 : TA Instruments 사 제조 2950 형).
실시예 1
하기의 RAR-1 및 PC 를 준비하였다.
PAR-1 : 테레프탈산 46.5 중량부, 이소프탈산 19.9 중량부, 비스페놀 A 100.3 중량부, 디페닐카보네이트 179.8 중량부 및 촉매로서 4-디메틸아미노피리딘 0.049 중량부를 교반 장치 및 질소 도입구를 구비한 진공 증류 시스템을 가지는 반응 용기에 주입하고, 반응 용기 안을 질소 분위기로 한 후, 상압하의 200 ℃ 에서용융 중합 반응을 개시하였다. 이어서, 30 분 후에 상압 상태에서 220 ℃ 로 승온하고, 동일 온도에서 페놀의 증류를 확인한 후, 시스템 안을 서서히 감압시켰다. 반응 개시로부터 3 시간 후, 원료가 균일하게 용해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 후, 다시 승온, 감압하여, 반응 개시로부터 5 시간 후, 시스템 내의 온도를 320 ℃, 진공도 0.5 mmHg (66.7 Pa) 로 하였다. 동일 조건하에서 2 시간 용융 중합을 실시하여 전체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카보네이트를 수득하였다. 수득된 전체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카보네이트의 테레프탈산 잔기, 이소프탈산 잔기, 비스페놀 A 잔기의 몰비는 0.7 : 0.3 : 1.1 이고, 상기 화학식 Ⅰ 로 표시되는 반복 단위와 상기 화학식 Ⅱ 로 표시되는 반복 단위의 몰비는 91 : 9 였다. 또한, 페놀/1,1,2,2-테트라클로로에탄 혼합 용매 (중량비 60/40) 중, 1.2 g/100 ml, 35 ℃ 로 측정한 환원 점도는 0.63 dl/g 이고, 말단 카르복실기 10 당량/106g, 말단 페놀성 OH기와 말단 카르복실기와의 합계량은 42 당량/106g, 말단 페놀성 OH기와 말단 아릴기와의 합계에 대한 말단 페놀성 OH기의 비율은 62 몰%, 염소 함유량은 측정 한계 (10 ppm) 이하였다. Tg 는 194 ℃ 였다.
PC : 비스페놀 A 와 디페닐카보네이트로부터 용융 중합에 의해 수득된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페놀/1,1,2,2-테트라클로로에탄 혼합 용매 (중량비 60/40) 중, 1.2 g/100 ml, 35 ℃ 로 측정한 환원 점도가 0.71 dl/g). Tg 는 150 ℃ 였다.
상기 PAR-1 70 중량부와 PC 30 중량부를 배합하여, 340 ℃, 100 rpm 으로 설정한 30 mm 동일 방향 이축 압출기 (주식회사 이케가이 제조, PCM-30) 로 압출하여펠릿을 작성하였다.
수득된 펠릿을 사용하여, 사출 성형기에 의해 실린더 온도 340 ℃, 금형 온도 100 ℃ 에서 2 mm 두께의 성형판을 작성하였다. 이것의 황색도 (YI 값) 를 JIS K7103 에 따라 측정하였다. 또한, 전체 광선 투과율은 NDH-2000 (닛뽄덴쇼꾸고교) 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YI 값은 27 이고, 전체 광선 투과율은 92 % 였다. Tg 는 174 ℃ 였다.
실시예 2
실시예 1 에 있어서, PAR-1 과 PC 의 사용 비율을 PAR-1 20 중량부, PC 80 중량부를 대신한 것 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였다. YI 값이 4.2 이고, 전체 광선 투과율이 93 % 인 용융 생성물이 수득되었다. Tg 는 176 ℃ 였다.
실시예 3
PAR-1 (80 중량부) 및 PC (20 중량부) 를 교반 장치를 구비한 혼합 용기에 주입하고, 질소 분위기하 300 ℃ 로 용융 혼합을 실시하였다. 혼합 개시 후 15 분후에 투명하고 용융 생성물의 Tg 가 1 점이 되었다. 수득된 용융 생성물의 YI 값은 7, 전체 광선 투과율은 91 % 이고, 또한 Tg 는 176 ℃ 였다.
실시예 4
PAR-1 (80 중량부) 및 PC (20 중량부) 를 교반 장치를 구비한 혼합 용기에 주입하고, 질소 분위기하 340 ℃ 로 용융 혼합을 실시하였다. 혼합 개시 후 10 분후에 투명하고 용융 생성물의 Tg 가 1점이 되었다. 수득된 용융 생성물의 YI 값은 9, 전체 광선 투과율은 90 % 이고, 또한 Tg 는 176 ℃ 였다.
실시예 5
PAR-1 (33 중량부) 및 PC (67 중량부) 를 교반 장치를 구비한 혼합 용기에 주입하고, 질소 분위기하 300 ℃ 로 용융 혼합을 실시하였다. 혼합 개시 후 31 분 후에 투명하고 용융 생성물의 Tg 가 1점이 되었다. 수득된 용융 생성물의 YI 값은 3, 전체 광선 투과율은 93 % 이고, 또한 Tg 는 160 ℃ 였다.
실시예 6
PAR-1 (33 중량부) 및 PC (67 중량부) 를 교반 장치를 구비한 혼합 용기에 주입하고, 질소 분위기하 340 ℃ 로 용융 혼합을 실시하였다. 혼합 개시 후 28 분 후에 투명하고 용융 생성물의 Tg 가 1 점이 되었다. 수득된 용융 생성물의 YI 값은 4, 전체 광선 투과율은 92 % 이고, 또한 Tg 는 159 ℃ 였다.

Claims (18)

  1. (1) 하기 화학식 Ⅰ :
    [화학식 Ⅰ]
    (여기서, A1및 A2는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치환 또는 비치환의 방향족기이다)
    으로 표시되는 반복 단위 50 내지 99 몰%, 및
    하기 화학식 Ⅱ :
    [화학식 Ⅱ]
    (여기서, A3은 치환 또는 비치환의 방향족기이다)
    로 표시되는 반복 단위 50 내지 1 몰% 로 이루어지는 전체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카보네이트 1 내지 99 중량부 및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99 내지 1 중량부를 용융 혼합하여 수득된 생성물로서 (여기서 전체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와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의 합계량은 100 중량부로 한다),
    (2) 2 mm 두께의 성형판의 전체 광선 투과율이 85 % 를 초과하며,
    (3) JIS K7103 에 의한 황색도 (YI 값) 가 28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융 생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전체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카보네이트가 말단 카르복실기와 말단 페놀성 OH기를 합계량으로 300 당량/106g 이하로 함유하고, 또한 말단 카르복실기를 20 당량/106g 이하로 함유하는 용융 생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전체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카보네이트가 말단 페놀성 OH기와 말단 아릴기의 합계 1 당량을 기준으로 하여, 말단 페놀성 OH기를 0.95 당량 이하로 함유하는 용융 생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전체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카보네이트가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방향족 디히드록시 화합물 및 탄산 디에스테르의 용융 중합 생성물인 용융 생성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전체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카보네이트가 염소를 고작 100 ppm 밖에 함유하지 않은 용융 생성물.
  6. 제 1 항에 있어서, 전체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카보네이트가 상기 화학식 Ⅰ 로 표시되는 반복 단위 50 내지 97 몰% 와 상기 화학식 Ⅱ 로 표시되는 반복 단위50 내지 3 몰% 로 이루어지는 용융 생성물.
  7. 제 1 항에 있어서, 전체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카보네이트 50 내지 99 중량부 및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50 내지 1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용융 생성물.
  8. 제 1 항에 있어서, 전체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카보네이트 1 중량부 내지 50 중량부 미만 및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50 중량부 초과 및 99 중량부 이하로 이루어지는 용융 생성물.
  9. 제 1 항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하나의 유리 전이점을 가지는 용융 생성물.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 전이점의 온도가 전체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카보네이트의 유리 전이점의 온도 및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의 유리 전이점의 온도 모두와 상이한 용융 생성물.
  11. (1) 하기 화학식 Ⅰ :
    [화학식 Ⅰ]
    (여기서, A1및 A2는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치환 또는 비치환인 방향족기이다)
    로 표시되는 반복 단위 50 내지 99 몰% 및,
    하기 화학식 Ⅱ :
    [화학식 Ⅱ]
    (여기서, A3은 치환 또는 비치환의 방향족기이다)
    로 표시되는 반복 단위 50 내지 1 몰% 로 이루어지는 전체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카보네이트 1 내지 99 중량부와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99 내지 1 중량부를, 양자의 합계가 100 중량부가 되는 비율로 용융 혼합하여 제 1 항의 용융 생성물을 생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융 생성물의 제조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용융 혼합을 실질적으로 하나의 유리 전이점을 가지는 용융 생성물이 생성될 때까지 실시하는 용융 생성물의 제조 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용융 혼합을 260 내지 360 ℃ 의 범위에서 실시하는 용융 생성물의 제조 방법.
  14. 제 1 항에 기재된 용융 생성물로 이루어지는 성형품.
  15. 제 11 항에 있어서, 성형품이 사출 성형품 또는 압출 성형품인 성형품.
  16. 제 1 항에 기재된 용융 생성물의 성형품 제조용 소재로서의 용도.
  17. 제 16 항에 있어서, 성형품이 사출 성형품 또는 압출 성형품인 용도.
  18. (1) 상기 화학식 Ⅰ 로 표시되는 반복 단위로부터 실질적으로 이루어지는 전체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1 내지 99 중량부 및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99 내지 1 중량부를 용융 혼합하여 수득된 생성물로서 (여기서 전체 방향족 폴리에스테르와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의 합계량은 100 중량부로 하고),
    (2) 2 mm 두께의 성형판의 전체 광선 투과율이 85 % 를 초과하며,
    (3) JIS K7103 에 의한 황색도 (YI 값) 가 28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융 생성물.
KR1020027016898A 2000-06-19 2001-06-15 전체 방향족 폴리에스테르와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의용융 생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2003001135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182974 2000-06-19
JPJP-P-2000-00182974 2000-06-19
JP2000213947 2000-07-14
JPJP-P-2000-00213947 2000-07-1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1351A true KR20030011351A (ko) 2003-02-07

Family

ID=265941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16898A KR20030011351A (ko) 2000-06-19 2001-06-15 전체 방향족 폴리에스테르와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의용융 생성물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30125504A1 (ko)
EP (1) EP1293537A4 (ko)
KR (1) KR20030011351A (ko)
CN (1) CN1437637A (ko)
TW (1) TWI230725B (ko)
WO (1) WO200109841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92370A1 (fr) * 2000-06-01 2001-12-06 Teijin Limited Carbonate de polyester totalement aromatique et son procede de preparation
US6858701B2 (en) 2000-06-01 2005-02-22 Teijin Limited Wholly aromatic polyester carbonate and process therefor
JP2002069281A (ja) * 2000-09-01 2002-03-08 Teijin Ltd 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
WO2002031022A1 (fr) * 2000-10-11 2002-04-18 Teijin Limited Carbonate de polyester aromatique et son procede de fabrication
DE112005000346T5 (de) * 2004-02-19 2007-01-18 Idemitsu Kosan Co. Ltd.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Polycarbonatcopolymer
US7655737B2 (en) * 2006-11-16 2010-02-02 Sabic Innovative Plastics Ip B.V. Polycarbonate-polyester blends, methods of manufacture, and methods of use
JP6614734B1 (ja) 2019-04-25 2019-12-04 ユニチカ株式会社 樹脂組成物およびそれより得られる成形体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27061B1 (ko) * 1971-03-08 1975-09-04
JPS5661429A (en) * 1979-10-24 1981-05-26 Mitsubishi Chem Ind Ltd Production of aromatic polyester-polycarbonate
US4710548A (en) * 1981-09-30 1987-12-01 The Dow Chemical Company Blends of a polycarbonate with a polyester-polycarbonate copolymer
US4469850A (en) * 1982-11-05 1984-09-04 General Electric Company Compositions
US4436879A (en) * 1982-12-27 1984-03-13 General Electric Company Copolyester-carbonate blends
DE3537622A1 (de) * 1985-10-23 1987-04-23 Bayer Ag Mischungen aromatischer polycarbonate und aromatischer polyestercarbonate und ihre verwendung zur herstellung von formkoerpern, folien, fasern, filamenten und beschichtungen
US4918149A (en) * 1988-11-04 1990-04-17 General Electric Company Polyphthalatecarbonate/polycarbonate resin blends
DE3927771A1 (de) * 1989-08-23 1991-02-28 Bayer Ag Polyester und polyestercarbonate
US5045610A (en) * 1989-08-31 1991-09-03 The Dow Chemical Company Blend of copolyestercarbonate polymer derived from diaryl dicarboxylic acid
US5252681A (en) * 1991-08-22 1993-10-12 Eastman Kodak Company Blend of a polyester and a polycarbonate
US5202393A (en) * 1991-08-22 1993-04-13 Eastman Kodak Company Blend of a polyester and a polycarbonate
US5252680A (en) * 1991-08-22 1993-10-12 Eastman Kodak Company Blend of a polyester and a polycarbonate
US5194520A (en) * 1991-08-22 1993-03-16 Eastman Kodak Company Blend of a polyester and a polycarbonate
US5278279A (en) * 1992-03-11 1994-01-11 Daicel Chemical Industries, Ltd. Process for producing (co)polycarbonate with transesterification catalyst and compound
JP4100734B2 (ja) * 1997-04-30 2008-06-11 Sabicイノベーティブプラスチッ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熱可塑性樹脂組成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230725B (en) 2005-04-11
US20030125504A1 (en) 2003-07-03
WO2001098412A1 (fr) 2001-12-27
CN1437637A (zh) 2003-08-20
EP1293537A4 (en) 2004-07-21
EP1293537A1 (en) 2003-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487918B1 (en) Polyester/polycarbonate blends with reduced yellowness
JP3122721B2 (ja) ポリカーボネート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4680371A (en) Preparation of aromatic polyester with improved stability by addition of phosphite during preparation
JP5355330B2 (ja) 射出成形用ポリアリレート樹脂、およびポリアリレート樹脂組成物
JP2011099110A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の製造方法
KR20030011351A (ko) 전체 방향족 폴리에스테르와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의용융 생성물 및 그 제조 방법
CA1309544C (en) Stabilized aromatic polyester compositions
JP2009235361A (ja) 難燃性ポリアリレート樹脂組成物
KR102175848B1 (ko) 내열성 및 유동성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AU734417B2 (en) Method for preparing brominated polycarbonates, and process obtained thereby
JPH09216995A (ja) 透明なポリエステル/ポリカーボネート組成物
JP2003128886A (ja) 全芳香族ポリエステルカーボネート系溶融混合処理物、その製造方法および組成物
JP4683734B2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からなる成形品
JP2002069275A (ja) 芳香族ポリエステル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
JP2003128896A (ja) ポリアルキレンナフタレート系溶融混合処理物、その製造方法、成形物および組成物
EP0234916B1 (en) Stabilization of aromatic polyesters with dimercaptothiadiazole
JP2002069281A (ja) 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
JP2865979B2 (ja) 芳香族ポリエステルの製造方法
JP4330746B2 (ja) 芳香族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
JPH08165416A (ja) 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
EP0240300A2 (en) Process for incorporating phosphite stabilizer in aromatic polyesters
JPH07310003A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H06166806A (ja) 樹脂組成物
JP2003096287A (ja) ポリエステル系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4293954A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