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09505A - 이미지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이미지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09505A
KR20030009505A KR1020027016234A KR20027016234A KR20030009505A KR 20030009505 A KR20030009505 A KR 20030009505A KR 1020027016234 A KR1020027016234 A KR 1020027016234A KR 20027016234 A KR20027016234 A KR 20027016234A KR 20030009505 A KR20030009505 A KR 200300095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layer
support
recording medium
image recording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162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케다야스유키
Original Assignee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캄파니 filed Critical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캄파니
Publication of KR200300095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9505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26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 B41M5/40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characterised by the base backcoat, intermediate, or covering layers, e.g. for thermal transfer dye-donor or dye-receiver sheets; Heat, radiation filtering or absorbing means or layers; combined with other image registration layers or compositions; Special originals for reproduction by thermograph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8Fastening or securing by means not forming part of the material of the label itself
    • G09F3/10Fastening or securing by means not forming part of the material of the label itself by an adhesive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50Recording sheets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used to improve ink, dye or pigment receptivity, e.g. for ink-jet or thermal dye transfer recording
    • B41M5/502Recording sheets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used to improve ink, dye or pigment receptivity, e.g. for ink-jet or thermal dye transfer recording characterised by structural details, e.g. multilayer materia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2Forms or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26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 B41M5/40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characterised by the base backcoat, intermediate, or covering layers, e.g. for thermal transfer dye-donor or dye-receiver sheets; Heat, radiation filtering or absorbing means or layers; combined with other image registration layers or compositions; Special originals for reproduction by thermography
    • B41M5/42Intermediate, backcoat, or covering layers
    • B41M5/44Intermediate, backcoat, or covering layers characterised by the macromolecular compou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50Recording sheets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used to improve ink, dye or pigment receptivity, e.g. for ink-jet or thermal dye transfer recording
    • B41M5/502Recording sheets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used to improve ink, dye or pigment receptivity, e.g. for ink-jet or thermal dye transfer recording characterised by structural details, e.g. multilayer materials
    • B41M5/508Suppor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2Forms or constructions
    • G09F2003/023Adhesive
    • G09F2003/0236Permeabilit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Ink Jet Recording Methods And Recording Media Thereof (AREA)
  • Duplication Or Marking (AREA)
  • Ink Jet (AREA)
  • Thermal Transfer Or Thermal Recording In General (AREA)
  • Holo Graphy (AREA)
  • Photographic Developing Apparatus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2개의 주요 표면을 보유하는 지지체 ;
상기 지지체의 제1 주요 표면상에 적층된 잉크 수용층 ; 및
상기 지지체의 제2 주요 표면상에 적층된 접착층을 포함하는 이미지 기록 매체로서, 여기서 상기 지지체는 가스 투과성 미소공을 보유하는 다공체이며, 부착물과 접촉시 외부와 소통할 수 있는 복수개의 홈은 상기 접착층의 부착 표면에 제공되고, 상기 부착 표면은 상기 지지체와 접촉하는 표면과 맞닿아 있는 표면으로서 부착물과 접촉하는 것이며, 상기 홈은 다음의 식으로 나타내어지는, 접착층의 두께 T(㎛)와 부착 표면으로부터 측정된 깊이 D(㎛) 사이의 상관 관계를 만족시키는 것인 이미지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D ≥16 ㎛인 경우, 0 ≤T-D ≤10

Description

이미지 기록 매체{IMAGE RECORDING MEDIUM}
오늘날 잉크젯 인쇄는 널리 공지된 기술이다. 최근 들어, 거대한 표장에 큰 이미지를 기록하기 위한 프린터가 시판중에 있으며 컬러 포스터와 같은 보다 큰 물품을 인쇄할 수 있다. 잉크젯 기록용인 종래의 이미지 기록 매체를 도 1에 나타내었다. 이러한 이미지 기록 매체(11)는 지지체(12), 이 지지체의 주요 한면(일반적으로 정면)상에 적층되어 있는 잉크 수용층(13) 및 이 지지체의 다른 주요 표면(일반적으로 이면)상에 적층된 접착층(14)을 포함한다. 잉크 수용층상에, 인쇄 방법으로써 인쇄층(15)을 제공한후 인쇄층을 보호하기 위하여 여기에 감압 접착층(16) 및 투명 필름(17)을 포함하는 오버라미네이트 필름(18)을 제공한다. 표면상에 잉크 이미지가 기록된 이러한 시트는 이정표, 간판 또는 차체와 같은 부착물에 이를 부착시켜 사용된다.
그러므로, 거대한 표장용 잉크젯 기록 시트는 다수의 경우 옥외에서 사용되나, 종래의 잉크젯 수용체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서 예컨대, 탈색 또는 이미지 상태가 변하는 것과 같이, 이미지가 불명료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잉크젯 기록용의 이미지 기록 매체중 인쇄층 상의 이미지가 불명료한 이미지로 변하는 것에 대한 내구성을 개선시키기 위한 시도의 일환으로, 다양한 이미지 기록 매체들이 제시되고 있다.
이러한 이미지 기록 매체는 일본 미심사청구 국내 특허 공개공보(코효) 제10-505800호에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이미지 기록 매체는 기판, 이 기판의 정면과 접촉하는 잉크 수용층 및 이 기판의 이면에 적층된 접착층을 포함한다. 잉크 수용층은 소정의 조성을 갖는 1 이상의 보호성 투과층과 소정의 다른 조성을 갖는 1 이상의 이미지 수용층(잉크 정착층)을 포함한다. 보호 침투층 및 이미지 수용층은 각각 옥수수 전분 또는 변성 옥수수 전분과 같은 미립자성 분산액을 함유한다. 예를 들어, 기재에 있어서, 가스 투과성 미소공을 포함하는 다공성 필름이 사용될 수 있다. 이 다공성 필름은 수성 잉크를 사용하는 인쇄 방법에 유리하다. 특허 공보는 또한 잉크 수용층의 표면상에 인쇄에 의하여 이미지를 형성한후 이를 투명 보호층으로 커버하는 기법에 관하여도 개시하고 있다. 다공성 필름의 특정예로서, PPG 인더스트리 K.K.에 의하여 제조된 테슬린(상표명) 필름 즉, 다공성 연신 수지 필름이 있다.
다공성 필름을 함유하는 지지체를 사용하는 것에 관하여도 예를 들어, 국제 특허 공개공보 WO 99-03685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 공보에서, 계면활성제 및다가의 금속염은 다공성 필름 지지체의 가스 투과성 미소공에 포함되어 있다. 다가의 금속염은 지지체 미소공의 내벽(내표면)을 계면활성제로 친수화시킨 이후, 그 위에 다가의 금속염을 함유하는 용액을 코팅시킴으로써 미소공내에 고정된다. 이 경우, 잉크 수용 표면은 지지체의 표면이며 인쇄용 잉크는 이미지를 기록하기 위하여 지지체의 표면에 고정된다. 다가의 금속염은 응고제로서의 기능을 하며 잉크 이미지의 내수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미국 특허 제5,605,750호에는 이미지 기록 매체에 관하여 개시하고 있는데, 여기서 수불용성 충전제 입자(예. 실리카)가 분산된 다공성 지지체가 사용되며 다공성 유사 베마이트(pseudo-boehmite)를 포함하는 잉크 수용층은 다공성 지지체의 표면에 적층된다. 상기 지지체에 제공된 잉크 수용층에 의하여, 이러한 매체에 착색 특성이 우수한 이미지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지지체상에 적층된 이러한 잉크 수용층은 또한 중합체를 함유하는 층일수 있다. 이러한 경우, 수용층은 예를 들어, 중합체 및 무기 안료를 함유하는 층이다. 무기 안료는 잉크 수용층에 다공성을 부여하는데에 사용되는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다공성 합성 실리카 및 알루미나 히드로솔과 같은 수불용성 입자가 사용된다. 수지는 예를 들어, 수용성 중합체 또는 양이온 개질 중합체(예. 폴리우레탄)이다. 특히, 양이온 개질 중합체는 잉크 고정성(잉크 정착성)을 유리하게 향상시키고 착색 특성이 우수하고 내수성이 뛰어난 이미지의 형성을 촉진시킨다.
착색 특성, 이미지 품질 및 이 이미지의 내수성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다공성 지지체에 더하여 소정의 조성을 갖는 잉크 수용층을 제공하는 것이 유리하다.더욱이, 잉크 건조(급속 건조)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가스 투과성 즉, 잉크 수용층의 다공성을 손상시키지 않는 것이 유리하다. 그러나, 잉크 수용층의 다공성을 될 수 있는대로 크게 향상시킨다 해도, 잉크중 착색 성분, 특히 안료가 잉크 수용층 또는 지지체 내부의 공극으로 이동되어, 결과적으로 인쇄후 건조 특성이 감소된다.
종래의 이미지 기록 매체에 사용된 접착층은 통상의 접착 시트 또는 필름과 동일하지만 특히 이미지 기록 매체용으로만 사용되는 접착층은 공지되어 있지 않다. 통상의 접착 시트에 사용되는 접착층은 대략 (1) 거의 편평한 부착 표면을 지닌 접착층 및 (2) 거친 구조(asperity structure)의 부착 표면상에 형성된 접착층으로 분류된다. 상기 (2)에 있어서, 돌기 구조는 등록 실용신안 제2,587,198호, 국제 특허 공개공보 WO 93/05123호 및 일본 미심사 특허 공보(코카이) 제11-209704호에 개시되어 있는 공지된 방법에 의하여 부착 표면상에 효과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잉크젯 인쇄와 같은 인쇄 방법에 의하여 잉크 이미지를 기록할 수 있으며, 사용시 부착물에 잉크 이미지가 기록된 상태로 부착되는 이미지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사용중에, 특히 옥외에서 사용될때 매체의 주변부로부터 흡수된 물로 인하여 팽창되는 현상을 효과적으로 막아줄 수 있는 이미지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잉크젯 기록용 이미지 기록 매체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적 횡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이미지 기록 매체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적 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이미지 기록 매체의 접착층의 부분 확대 황단면도이다.
도면의 부호에 대한 설명
11, 20 ; 이미지 기록 매체
12, 21 ; 지지체
13, 22 ; 잉크 수용층
14, 23 ; 접착층
15 ; 인쇄층
16 ; 감압 접착층
17 ; 투명 필름
18 ; 오버라미네이트 필름
24 ; 이형 라이너
25 ; 부착 표면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방법
본 발명의 이미지 기록 매체의 하나의 구체예를 도 2에 나타내었다. 본 발명의 이미지 기록 매체(20)는 2개의 주요 표면을 보유하는 지지체(21), 지지체의 제1주요 표면상에 적층된 잉크 수용층(22) 및 상기 지지체의 제2 주요 표면에 적층된 접착층(23)으로 구성된다. 접착층(23)은 이형 라이너(24)로 커버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지지체(21)는 가스 투과성 미소공들을 포함하는 필름 또는 시트(이하 "다공성 필름"이라 칭함)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지지체는 다공성 지지체로서, 기록 매체에 도포된 잉크중 물과 같은 용매(분산매)를 급속하게 흡수하여 급속 건조 특성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다공성 필름은 전술한 효과가 발휘될 수 있는한 특히 한정되지는 않으며, 이미지 기록 매체로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들이 사용될 수 있다. 다공성 필름용 재료의 특정 예들로서는 폴리올레핀 예컨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메틸펜텐-1,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폴리스티렌, 스티렌-부타디엔-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폴리아미드,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및 폴리에스테르를 포함한다. 이들은 2 이상이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시판중인 제품의 적당한 예로서는 PPG 인더스트리 K.K.에 의하여 제조된 다공성 연신 수지 필름인 테슬린(상표명) 수지 필름을 포함한다.
상기 지지체는 가스 투과성 미소공을 포함하므로 가스 투과성을 보유한다. 걸리 투과도(Gurley permeability)를 이용하여 구체화된 가스 투과도는 일반적으로 10 ∼ 3,000 초/100 ㎖, 바람직하게는 50 ∼ 2,500 초/100 ㎖,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 ∼ 2,000 초/100 ㎖이다. 본원에 사용된 걸리 투과도는 JIS P-8117-1980에 의하여 걸리 투과도 테스터를 사용하여 측정된 값으로서, 공기 100 ㎖가 통과하는데에 필요한 시간으로 표현된다. 다공성 필름의 다공도(전체 필름의 부피중에 공극이 차지하는 부피)는 일반적으로 10 ∼ 90부피%, 바람직하게는 20 ∼ 80 부피%이다.두께의 횡단면 방향(연신 필름의 수평 방향)으로 상기 필름을 수직으로 절단함으로써 측정된 공극 지름은 일반적으로 0.01 ∼ 3 ㎛, 바람직하게는 0.02 ∼ 2 ㎛, 더욱 바람직하게는 0.03 ∼ 1 ㎛이다.
상기 지지체의 두께는 대체로 30 ∼ 500 ㎛, 바람직하게는 50 ∼ 300 ㎛이다. 상기 두께가 너무 작으면, 잉크 건조 특성은 감소할 수 있으며, 반면에 상기 두께가 너무 크면, 기록 매체는 취급성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지지체 표면 및 미소공은 계면활성제에 의하여 친수화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로써 인쇄된 잉크 이미지의 급속한 건조 특성이 효과적으로 개선될 수 있다. 계면활성제로서는, 음이온성, 양이온성, 양성 및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중 임의의 것이 사용될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예들로서는 카복실레이트계 계면활성제, 설포네이트계 계면활성제 및 포스페이트계 계면활성제를 포함한다. 사용될 수 있는 양이온성 촉매의 예들로서는 아민염계 계면활성제 및 4차 암모늄염계 계면활성제를 포함한다. 사용될 수 있는 양성 계면활성제의 예들로서는 베타인계 계면활성제 및 셀포베타인계 계면활성제를 포함한다. 사용가능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예들로서는 폴리옥시알킬렌계 계면활성제 예컨대, 폴리에틸렌 글리콜, 소르비탄계 계면활성제 및 소르비톨계 계면활성제를 포함한다.
친수화 처리는 잉크 수용층을 형성하기 위한 코팅 용액에 계면활성제를 첨가하고 상기 코팅 용액을 지지체 표면상에 도포함으로써, 잉크 수용층을 형성함과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처리법은 또한 수용층을 형성하기 전에 수행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액체는 지지체 표면상에 코팅되거나 또는지지체를 이 액체로 함침시켜, 친수화 처리를 수행한후, 중합체 및 응집제를 함유하는 액체를 친수화된 지지체 표면에 코팅하여 잉크 수용층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방법에 의하여, 급속한 건조 특성을 보유하는 이미지 기록 매체가 특히 용이하게 제조될 수 있다.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액체를 코팅시킨후 이를 건조시키는 친수화 처리를 수행하는 경우에, 예컨대 에탄올과 같은 알코올 또는 물은 용매로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액체중 계면활성제의 농도는 일반적으로 1 ∼ 30 중량%, 바람직하게는 5 ∼ 25 중량%이다. 막대 코팅기, 나이프 코팅기, 롤 코팅기 및 다이 코팅기와 같은 통상의 코팅기를 비롯한 임의의 적합한 코팅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원하는 경우, 다공성 필름은 무기 미세 분말을 함유할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무기 미세 분말의 예들로서는 탄산칼슘, 알루미나, 소성 점토, 실리카(비결정 실리카 함유), 규조토, 활석, 산화티타늄 및 황산바륨을 포함한다. 상기 미세 분말의 입도는 일반적으로 0.3 ∼ 10 ㎛, 바람직하게는 0.8 ∼ 5 ㎛이다. 더욱이, 열 안정화제, 자와선 흡수제, 분산제, 대전방지제, 산화방지제 및 오일(예. 광유)와 같은 기타 첨가제가 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록 매체의 잉크 흡수층(22)은 유기 중합체 및 수용성 유기산 또는 무기산의 염을 포함하는 응고제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응고제는 잉크 수용층 표면상에서 안료와 같은 착색 성분을 급속하게 응고시킨다. 따라서, 안료 등이 매체의 내부 공극으로 이동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이로써 급속 건조 특성이 향상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응고제에 더하여 유기 중합체를 함유함으로써, 전술한 중합체의 응고 작용 및 결합 작용은 표면상에 고정된 잉크 이미지의 내수성을 상승적으로 그리고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잉크 수용층의 중합체가 그 분자내에 극성 작용기를 보유하는 극성 중합체인 경우, 상기 응고제 및 극성 중합체의 상승 효과는 수성 잉크 응고 작용을 효과적으로 개선시킨다. 극성 중합체의 적당한 예들로서는 염기성 중합체 예컨대, 양이온 개질성 폴리우레탄 및 폴리비닐피롤리돈을 포함한다.
사용될 수 있는 유기 중합체의 예들로서는 전술한 양이온 개질성 폴리우레탄등 이외에, 폴리올레핀,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폴리비닐리덴 클로라이드, 폴리스티렌, 스티렌-부타디엔-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폴리아미드, 아크릴 중합체, 폴리에스테르 및 보통의(개질되지 않은) 폴리우레탄을 포함한다.
유기산 염 또는 무기산 염, 다가 금속염은 응고 작용성이 비교적 우수하여 고정된 잉크의 이미지의 내수성과 급속 건조 특성이 동시에 개선되는 우수한 효과를 제공하므로 이들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가 금속염의 예들로서는 알루미늄, 갈륨, 티타늄, 지르코늄, 하프늄, 아연, 마그네슘, 칼슘, 니오븀, 탄탈륨, 철 구리, 주석 및 코발트를 포함하고, 이들은 각각 또는 2 이상이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무기산의 적당한 예들로서는 황산, 질산 및 염산을 포함한다. 상기 유기 중합체가 양이온 개질 중합체 예컨대, 양이온 개질 폴리우레탄인 경우, 유기산 염보다 무기산 염이 바람직한데, 왜냐하면 급속 건조 특성 및 내수성이 효과적으로 개선되기 때문이다. 무기산 염으로서는 황산 알루미늄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밝혀진바 없으나, 황산 이온 및 알루미늄 이온과 중합체의 양이온 부분이 상호 작용함으로써, 잉크 정착력이 효과적으로 증강되기 때문이다.
사용될 수 있는 유기산의 적당한 예들로서는 방향족 산 예컨대, 카복실산, 설폰산, 설포카복실산, 히드록시설포카복실산 및 하이드록시카복실산을 포함한다. 상기 산들은 각각 또는 이들중 2 이상이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잉크 수용층에 함유된 응고제의 양은 일반적으로 유기 중합체 100 중량부당, 1 ∼ 7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3 ∼ 50 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5 ∼ 30 중량부이다. 상기 응고제의 양이 너무 적으면, 잉크 정착력, 내수성 또는 착색 특성이 감소하는 반면에, 상기 응고제의 양이 너무 많으면, 잉크 이미지에 얼룩이 생길 수 있다.
원하는 경우 다공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잉크 수용층은 무기 미세 분말을 함유할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무기 미세 분말의 예들로서는 탄산 칼슘, 알루미나, 소성 점토, 실리카(비결정 실리카 포함), 규조 점토, 활석, 산화티타늄 및 황산바륨을 포함한다. 미세 분말의 입도는 일반적으로 0.3 ∼ 10 ㎛, 바람직하게는 0.8 ∼ 5 ㎛이다. 뿐만 아니라, 열 안정화제, 자외선 흡수제, 분산제, 대전방지제 및 산화방지제와 같은 기타의 첨가제가 배합될 수 있다.
잉크 흡수층의 두께는 본 발명의 효과가 손상되지 않는한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잉크 이미지에 얼룩이 생기는 것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비교적 두께가 두꺼운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견지에서, 잉크 흡수층의 두께는 일반적으로 5 ∼ 200 ㎛, 바람직하게는 10 ∼ 100 ㎛이다.
예를 들어, 응고제 및 유기 중합체를 함유하는 액체를 코팅한 후 이를 건조시킴으로써 잉크 수용층이 형성된다. 이때, 물 또는 알코올이 용매로서 사용되기에 바람직하다. 코팅 장치에 관하여, 통상의 코팅기 예컨대, 막대 코팅기, 나이프 코팅기, 롤 코팅기 및 다이 코팅기가 사용될 수 있다.
수용성 염은 이온화될때 응고 작용이 효과적으로 향상될 수 있다. 따라서, 이미지 기록 매체 표면(잉크 수용층)에 도포된 잉크는 물을 함유하는 잉크 즉, 수성 잉크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원에 사용된 "수용성 염"이란 용어는 물과 반응하여 이온화 핵을 생성할 수 있는 수단을 의미한다. 20℃의 물 100 g중에 용해되는 양에 있어서, 용해도는 0.001 ∼ 100 g, 바람직하게는 0.01 ∼ 90 g 및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 80 g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접착층(23)은 부착물과 접촉되는 그 부착 표면상에 부착물과 접촉하는 외부와 소통할 수 있는 복수개의 홈을 포함하는 거친 구조를 보유하며, 여기서 각각의 거친 구조는 소정의 치수를 갖는다. 상기 홈은 다음의 식으로 나타내어 지는, 접착층의 두께 T(㎛)와 부착 표면으로부터 측정된 깊이 D(㎛) 사이의 상관 관계를 만족시키는 것이다.
D ≥16 ㎛인 경우, 0 ≤T-D ≤10.
홈 깊이 D를 16 ㎛ 이상으로 하면, 외부와 소통하는 채널들은 홈과 부착물 표면(부착 표면) 사이에 형성될 수 있으며, 다공성 지지체의 주변부를 통하여 매체의 내부로 흡수된 물은 이들이 매체내에 머무르는 것을 방지하여 이로써 채널을 효과적으로 사용하면서 외부로 배출(증발 등에 의하며)시킬 수 있다. 홈 깊이가 16 ㎛ 미만이면, 물을 효과적으로 배출시킬 수 없다, 또한 접착층의 두께가 홈의 깊이에 비하여 너무 크면, 전술한 효과는 감소한다.
접착층 두께와 홈 깊이의 차(치수 차 T-D)가 10 ㎛을 넘으면, 홈 하부에 해당하는 부분의 두께(하부와 지지체 사이의 길이에 해당하는 두께)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서(즉, 온도 및 시간의 효과에 의함) 증가하고, 변형이 일어나 홈이 막히고 홈 깊이가 감소되기 쉬워진다. 결과적으로, 홈 깊이는 소정의 수치보다 작아져서 물을 효과적으로 배출시킬 수 없게 된다, 본원의 도 3을 참고로 하였을때, 접착층 두께 T는 부착 표면(25) 및 지지체(21)에 대향하는 표면 사이의 두께 방향의 치수임이 분명하다. 이에 부가하여, 부착 표면(25)은 보통 홈을 형성하는 볼록 부위의 상부 표면이고, 홈 깊이 D는 홈의 하부에서 홈을 한정하는 볼록 부위의 상부 표면(부착 표면)까지의 거리(길이)이다.
거친 구조의 치수는 약간 변형될 수 있다. 그러한 경우, 모든 거친 부분의 치수는 소정의 범위내에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80% 이상, 바람직하게는 90% 이상의 거친 부분이 소정의 치수 제한을 만족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치수차를 정량적으로 측정하기 위하여, 25 ∼ 50개의 볼록 부위 및 홈이 현미경 등에 의하여 측정된다.
다시 말하면, 홈 깊이가 너무 깊으면, 접착층의 거친 부분은 부착물에 부착된 이미지 기록 매체의 표면으로부터 튀어나와 외관이 손상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홈 깊이 D는 바람직하게는 17 ∼ 26 ㎛, 더욱 바람직하게는 18 ∼ 24 ㎛이다.
접착층의 두께 T는 전술한 효과가 달성될 수 있는한 충분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는 20 ∼ 40 ㎛이다. 치수 차의 정도인 T-D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지만, 이 접착층이 너무 두꺼우면, 물이 효과적으로 배출될 수 없으므로 잔류하는 물에 의해서 팽창될 수 있는 반면에, 상기 접착층이 너무 얇으면, 물은 지지체의 잉크 수용 표면보다 상부 방향으로(상기 접착층과 반대 방향으로) 적층된 층과의 계면(예를 들어, 잉크 이미지와 보호층 사이)에 잔류하게 된다. 어떠한 이론에 국한되지 않고, 이러한 현상은 다음과 같은 이유로 인하여 발생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지지체를 제외하고 이미지 기록 매체를 구성하는 층으로부터, 가장 연질의 층 즉, 액체(액체 형태)에 가장 가까운 층은 일반적으로 접착 중합체를 함유하는 접착층이다. 접착 중합체가 감압 접착 중합체를 함유하는 경우, 상기 층은 특히 부드럽다. 일반적으로 연질의 재료는 유체(가스 또는 액체)를 흡수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접착 중합체의 양이 많을수록, 접착층 자체는 물을 흡수하기가 더욱 쉬워지고 지지체의 잉크 수용 표면보다 상부 방향으로의 물의 이동은 더욱 용이하게 조절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접착층이 너무 얇으면, 지지체의 잉크 수용 표면보다 상부에 적층된 층과의 계면에 잔류하는 물의 양은 증가하기 쉽다. 이러한 관점에서, 접착층 두께 T는 바람직하게는 21 ∼ 30 ㎛, 더욱 바람직하게는 22 ∼ 27 ㎛이다. 부착후 매체 표면에서 보았을때 접착층의 거친 부분을 상쇄시키지 않기 위해서, 접착층 두께 T는 21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22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러한 점들을 고려하여, 치수 차 T-D의 적당한 범위를 결정할 수 있다. 즉, 치수차 T-D는 1 ∼ 9 ㎛인 것이 바람직하고, 2 ∼ 7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접착층 상의 거친 구조는 부착물에 매체를 부착시킨후에는 거의 변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이 구조가 가교 중합체를 함유하는 경우, 접착제는 거의 변형되지 않는다. 만일 거친 구조가 변형되기 쉽다고 하여도, 이는 기껏해야 10% 정도 변형된다. 그러나, 이러한 변형을 고려하였을때, 거친 부분 구조의 치수는 부착물에 이미지 기록 매체를 도포하기 이전에 측정된 치수로 정의된다. 즉 거친 부분 구조의 치수가 상기 범위 이내에 존재하면, 본 발명의 실시중 거친 구조가 변형되더라도 본 발명의 효과는 손상되지 않는다.
접착층상의 거친 구조는 라이너 표면상에 접착층의 부착 표면에 형성된 거친 구조와 음각으로 부합하는 구조를 보유하는 라이너에 접착층을 적층시켜 형성될 수 있다. 부착 표면상에 거친 구조를 형성하는 방법의 하나의 실시예를 이하에 기술하였다. 감압 접착 중합체를 함유하고 편평한 부착 표면을 보유하는 접착층은 지지체의 이면에 고정된다. 접착층의 부착 표면상에, 소정의 거친 구조를 보유하는 라이너를 압압시켜 라이너의 거친 구조(음각 구조)를 부착 표면으로 이전시켜 이 부착 표면상에 소정의 거친 구조(양각 구조)를 형성한다.
일반적으로 접착층은 감압 접착 중합체를 함유하며, 압압된 라이너를 박리시키고 시트를 부착물에 부착시킨 직후에도 거친 구조는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접착 시트가 부착물에 부착되는 경우, 접착층이 단단하게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로써 부착물과 접착층 사이에서 발생하는 기포를 방출시키거나 또는 위치를 맞추기 위해서 재박리시키는 것을 촉진할 수 있다. 접착층은 감압 접착 중합체와 가교제를 함유하는 조성물을 코팅함으로써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착 시트는 또한 접착층을 형성하기 위하여 음각 거친 구조를 보유하는 이형 라이너의 거친 표면상에 감압 접착 중합체를 함유하는 조성물을 코팅하고, 이 접착층을 지지체상에 라이너와 함께 적층시킨후 이를 각각 고정시킴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라이너가 이와같이 형성된 접착 시트로부터 박리되는 경우, 라이너의 음각 구조를 이전시켜 형성된 양각 거친 구조를 보유하는 부착 표면이 형성된다. 이러한 방법에 의하여 형성된 접착층에서, 가교 감압 접착 중합체는 일정한 거친 구조를 유지하게 되며, 상기 거친 구조가 변형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막아주어, 현장 내수성이 증가한다.
부착 표면상에 형성된 거친 구조의 치수로부터, 착층의 홈 깊이와 두께를 대체적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설정할 수 있다. 다른 치수 예를 들어, 홈의 최대 폭(즉, 인접한 볼록 부위들 사이의 최대 길이)은 일반적으로 20 ∼ 500 ㎛, 바람직하게는 40 ∼ 200 ㎛,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 100 ㎛이다. 상기 홈을 형성하는 볼록 부위의 최대 폭(최대 수평 길이)은 일반적으로 0.1 ∼ 10 ㎜이다.
부착 표면상의 볼록 부위의 적층에 있어서는, 정합성 적층(regular disposition)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볼록 부위는 횡단 기하학적 패턴으로 각각의 정방형(거의 정사각형) 구역의 거의 중앙에 적층된다. 이 경우, 홈은 정방형 형태의 라인을 따라서 형성되며, 1 이상의 홈, 바람직하게는 복수개의 홈은 부착물에 부착된 이미지 기록 매체의 외곽 주변의 외부와 소통하여 개방될 수 있다.
접착층은 감압 접착 중합체 100 중량부와 가교제 0.01 ∼ 5 중량부를 함유하는 조성물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사용된 "감압 접착 중합체"란 용어는 상온에서 점착성을 나타내며 감압 접착제로서 사용될 수 있는 중합체를 의미한다. 사용될 수 있는 이러한 중합체의 예들로서는 아크릴 중합체, 폴리우레탄, 폴리올레핀 및 폴리에스테르를 포함한다. 종래에 공지된 감압 접착제와 유사하게, 점착제는 또한 감압 접착 중합체와 병용될 수도 있다.
본 감압 접착 중합체는 접착층의 수분 흡수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분자내에 활성 수소를 보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활성 수소는 물 분자와 수소 결합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으므로, 접착층의 수분 흡수성을 효과적으로 상승시킬 수 있다. 활성 수소를 보유하는 작용기의 적당한 예들로서는 카복실기, 히드록시기 및 아미노기를 포함한다. 활성 수소는 활성 수소 함유 기(작용기)로서 분자내에서 통합된다. 활성 수소 함유기를 중합체에 도입시키기 위하여, 중합체는 분자내에 활성 수소 함유기를 보유하는 제1 단량체와 제1 중합체와 공중합될 수 있는 제2 단량체를 함유하는 출발 물질로부터 합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합성은 일례로서 아크릴 중합체를 취함으로써 설명된다. 우선, 불포화 아크릴산(예.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이타콘산, 말레산)이 제1 단량체로서 제조된다. 상기 제1 단량체와 제2 단량체로서의 아크릴 단량체는 혼합되어 단량체 혼합물을 형성한다. 제2 공단량체로서, 알킬 아크릴레이트 예컨대, 이소옥틸 아크릴레이트, 부틸 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및 이소노닐 아크릴레이트가 사용될 수 있다. 제1 단량체 및 제2 단량체 사이의 질량비는 바람직하게는 1:99 ∼10:90이다.
이렇게 제조된 단량체 혼합물로부터 용액 중합법, 유액 중합법 및 블록 중합법과 같은 통상의 중합 방법으로써 소정의 분자량을 보유하는 감압 접착 중합체가 합성된다. 감압 접착 중합체의 분자량은 소정의 점착도가 얻어질 수 있다면 충분할 수 있는데, 일반적으로는 중량 평균 분자량의 관점에서 10,000 ∼ 100,000이다.
감압 접착 중합체는 또한 가교될 수도 있다. 가교에 있어서, 예를 들어,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멜라민 화합물,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 에폭시 화합물 또는 아미도 화합물을 포함하는 가교제가 첨가될 수 있다. 감압 접착층이 감압 접착 중합체를 함유하는 경우에도, 중합체는 전술한 가교제를 사용하여 가교될 수 있다.
접착층의 압축 모듈러스는 1 ×103∼ 1 ×105Pa(1 ×104∼ 1 ×106dyne/㎠)인 것이 바람직하다. 압축 모듈러스가 너무 낮으면 현장 내수성은 증가하기 어렵고, 압축 모듈러스가 너무 높으면 접착 강도는 감소될 수 있으므로 기록 매체는 장내에서 장기간 동안 사용될 수 없다. "압축 모듈러스"란 레오메트릭스 코포레이숀에서 제조된 점탄성 분광계 RSAⅡ를 사용하여 20℃에서 측정된 압축 모듈러스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진동수 1 rad/초로 압축 왜곡시켰을때, 온도는 -80 ∼ 150 ℃의 범위내에서 바뀌어 탄성 모듈러스의 온도 종속성이 측정된다. 20℃에서의 측정값은 압축 모듈러스로서 정의된다.
본 발명의 이미지 기록 매체의 각각의 구성 인자 및 각 구성 인자의 조합은현장 내수성 테스트 또는 다음과 같은 내수성 촉진 테스트에서 팽창으로 인하여 외관상 결함을 일으키지 않도록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내수성 촉진 테스트는 평면 크기 70 ㎜ ×150 ㎜인 이미지 기록 매체 표본을 제조하고, 이 표본을 중량 2 ㎏인 가압 롤러로 2회 왕복시켜 알루미늄 시트 표면상에 접착시킨후, 실온에서 24 시간 동안 방치한후, 표본을 65℃에서 가열시켜 반복적으로 경화시키고 40℃의 온수에 침지시키는 것과 같은, 순환형 테스트이다.
* 순환 조건 :
65℃에서 24 시간 동안 가열 ---→24 시간 동안 40℃의 온수에 침지 ---→
65℃에서 24 시간 동안 가열 ---→24 시간 동안 40℃의 온수에 침지 ---→
65℃에서 24 시간 동안 가열 ---→24 시간 동안 40℃의 온수에 침지 ---→
65℃에서 24 시간 동안 가열 ---→24 시간 동안 40℃의 온수에 침지 ---→
65℃에서 24 시간 동안 가열 ---→24 시간 동안 40℃의 온수에 침지 ---→
본 발명의 이미지 기록 매체는 잉크젯 프린터와 같은 인쇄 장치로 잉크 이미지를 기록하는데에 사용된다. 전술한 잉크 수용층이 제공됨과 동시에 지지체가 친수화될때, 본 발명의 기록 매체는 특히 수성 잉크(즉, 물이 용매인 잉크)를 사용하는 잉크젯 프린터로 기록하는데에 있어서 효과를 나타내고, 급속 건조 특성 및 내수성이 모두 효과적으로 향상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잉크는 안료와 같은 착색제와, 물과 같은 용매를 함유한다. 인쇄는 보통의 기록 용지상에 인쇄할 때와 동일한 조건하에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미지 기록 매체는 장식용 접착 시트로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라이너와 이미지 기록 매체를 포함하는 라미네이트를 제조하고, 라미네이트를 프린터에 장착하면, 장식용 인쇄는 장식용 접착 시트를 제조하기 위해 기록 매체의 잉크 수용 표면에 도포된다. 보통의 장식용 접착 시트와 유사하게, 본 발명에 의한 접착 시트는 간판, 벽, 차체 또는 유리창과 같은 부착물의 표면에 부착되어 부착물을 장식할 수 있다.
발명의 개요
전술한 바와 같이, 이미지 기록용 매체로서만 사용되는 접착층은 아직까지 공지된 바 없다. 그러나, 가스 투과성 미소공을 포함하는 다공성 지지체를 포함하는 이미지 기록용 매체는 특별한 문제점, 즉 선택된 접착층에 따라서 현장 내수성(field water resistance)이 감소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미지 기록용 매체에 있어서, 라미네이트 계면은 지지체 및 접착층 사이에 존재하거나 또는 잉크 수용층 및 보호층 사이에 존재한다. 이러한 이미지 기록 매체에 있어서, 사용시 물은 매체의 주변부를 통하여 라미네이트 계면으로 침투하고 이 계면에 보유되어 있는 물은 매체 내부에서 이를 팽창시켜 외관을 손상시키는 것으로 파악된다. 이와 같이 물을 보유함으로써 발생하는 외관상 결함을 효과적으로 막아줄 수 있는 특성을 현장 내수성이라고 칭한다.
잉크젯 인쇄와 같은 인쇄 방법으로써 수성 잉크를 사용하여 매체상에 이미지가 기록된 매체가 옥외용 간판과 같은 부착물에 부착되어 사용되는 경우, 보호층은 이 이미지를 보호하기 위하여 그 위에 적층되는데, 예를 들어 투명 필름이 오버라미네이트된다. 뿐만 아니라, 이미지 기록 매체의 주변부(일반적으로 다공성 지지체의 주변부)를 통하여 물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주변부 밀봉 처리가 일반적으로 수행되며, 이로써 물로 인하여 이미지가 손상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주변부 밀봉 처리는 감압 접착 테이프를 부착하거나 또는 액상 수지를 코팅한후 이를 고화시켜 수행된다.
주변부 밀봉 처리가 수행되지 않으면, 물은 지지체의 주변부로부터 흡수되어 이 지지체에 인접한 다른 층과의 계면으로 이동하게 된다. 물은 계면을 계속 통과하여 다른 층과 이와 인접한 제3 층 사이의 계면으로 이동한다. 다시 말해서, 보호층이 전술한 바와 같이 배치되면, 흡수된 물은 잉크 수용 표면으로부터 용이하게 빠져나올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보호층이 배치되면, 비교적 다량의 물이 상기 매체내에 머무르게 된다. 잔류하던 물이 증발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매체 내부의 압력은 상승하여 이 매체는 팽창하게 된다. 이러한 팽창은 접착층 및 지지체 사이의계면, 잉크 수용 표면 및 보호층 사이의 계면 또는 부착물 및 접착층 사이의 계면에서 일어난다는 사실이 공지되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가스 투과성 미소공을 포함하는 다공성 지지체, 잉크 수용층 및 접착층을 포함하는 이미지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상기 접착층은 현장 내수성을 개선시킬 수 있도록 효과적으로 선택되며 주변부 밀봉 처리가 수행되지 않는 경우, 매체의 주변부로부터 흡수된 물을 보유함에 따른 외관상 결함의 발생은 매체 사용시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2개의 주요 표면을 보유하는 지지체 ;
지지체의 제1 주요 표면상에 적층된 잉크 수용층 ; 및
지지체의 제2 주요 표면상에 적층된 접착층
을 포함하는 이미지 기록 매체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는데, 여기서 상기 지지체는 가스 투과성 미소공을 보유하는 다공성 지지체이며, 부착물과 접촉시 외부와 소통할 수 있는 복수개의 홈이 접착층의 부착 표면상에 제공되고, 상기 부착 표면은 상기 지지체와 접촉하는 표면과 대향하는 표면(opposite surface)으로서 부착물과 접촉하며, 상기 홈은 다음의 식으로 나타내어 지는, 접착층의 두께 T(㎛)와 부착 표면으로부터 측정된 깊이 D(㎛) 사이의 상관 관계를 만족시키는 것이다.
D ≥16 ㎛인 경우, 0 ≤T-D ≤10.
실시예 1
공극도 65 부피%, 두께 180 ㎛ 및 공극 크기 0.01 ∼ 1 ㎛인 비결정 실리카 함유 다공성 필름(PPG 인더스트리 K.K.에서 제조한 테슬린(상표명))을 지지체로서 제조하였다. 이 지지체의 하나의 표면에 라이너를 보유하는 접착층을 적층하였다. 라이너를 보유하는 접착층을 다음과 같이 제조하였다. 소정의 거친 구조를 보유하는 라이너를 제조하고 아크릴 감압 접착 중합체를 함유하는 감압 접착제를 거친 구조 표면상에 코팅하여 두께(T) 25 ㎛인 접착층을 형성하였다. 아크릴 감압 접착 중합체는 분자내에 아크릴산 잔기를 포함하는 카복실기 함유 작용기를 함유하였다. 상기 라이너의 거친 구조는 접착층상에 형성된 홈과 맞닿는 복수개의 거친 부분인 볼록한 부분들이 서로 교차하도록 정방형을 띠고 있는 라인을 따라 연속적으로 적층되도록 구성되었다. 상기 거친 부분의 높이는 19.5 ㎛이고 접착층의 홈 깊이 D는 19.5 ㎛였다. 따라서, 치수 T-D는 5.5 ㎛였다. 라이너에서, 인접 거친 부분 사이의 최대 길이(즉, 거친 부분 하부 표면 사이의 길이)는 1.2 ㎜이고 거친 부분의 폭은55 ㎛였다. 거친 부분의 수직 횡단면은 거의 사다리꼴이었으며, 이에 상응하여 접착층의 홈의 수직 횡단면도 거의 사다리꼴 형태를 띠고 있었다.
이와같이 제조된 접착층을 보유하는 지지체의 다른 표면에, 다음의 조성을 갖는 계면활성제 함유 용액을 막대 코팅기를 사용하여 코팅한후 건조하고, 이로써 상기 표면을 친수화시켰다.
친수화 용액의 조성
계면활성제(카오 코포레이숀에 의하여 제조된 펠렉스(상표명)(상품번호) TR)
13 중량부 ;
탈이온수 61 중량부 ;
에탄올 26 중량부.
마지막으로, 상기 지지체의 친수화된 다른 면에, 막대 코팅기를 사용하여 다음의 조성을 갖는 코팅 용액을 코팅한후 이를 건조시켜 잉크 수용층을 형성하였으며, 이로써 본 실시예의 이미지 기록 매체를 얻었다. 100℃에서 3분 동안 코팅층을 건조시킨 결과 두께가 20 ㎛인 수용층을 얻었다.
수용층을 형성하기 위한 코팅 용액의 제1 조성
패터라콜(상표명)(상품번호) IJ-170 ; 95 중량부
알루미늄 설페이트 테트라데카 수화물 ∼ 옥타데카 수화물의 수용액 ; 5중량부.
패터라콜(상표명)(상품번호) IJ-170은 양이온 개질성 폴리우레탄 및 무기 미세 분말을 함유하는 코팅제로서 다이-니뽄 잉크 & 케미칼스, 인코포레이숀에서 시판중이다.
본 실시예의 기록 매체의 잉크 수용층의 표면(잉크 수용 표면)에 인캐드 K.K에 의하여 제조된 잉크젯 프린터 나바젯(상표명)(상품번호) Ⅲ을 사용하여 인쇄함으로써 잉크 이미지를 형성하고 다음의 인쇄 특성을 평가하였다. 이하 인쇄 조건들을 나타내었다.
인쇄 조건
인쇄 방향 : 단일 방향
잉크젯 속도 : 5,000 Hz
사용된 잉크 : 3M에서 제조된 4색 안료 잉크, 8550(상품번호) 시리즈 즉, 청색(8551번), 심홍색(8553번), 황색(8552번) 및 흑색(8554번)을 사용하였다.
인쇄 특성
(1) 건조 시간 :
이는 4색 잉크(400% 영역)를 완전히 혼색한 부위의 건조 시간(잉크가 육안으로 관찰할 수 있는 광택을 잃을때까지의 시간)으로 평가하였다. 건조 시간은 75초였으며 급속 건조 특성은 충분히 우수하였다.
(2)번짐(Blur) :
흑색을 제외한 3색 잉크(300% 영역)의 혼색 부위와 이와 인접하는 기타 색상 부위와의 경계선에서의 번짐 현상을 육안으로 관찰한후 평가하였다. 번짐 현상은 거의 관찰할 수 없었다.
(3) 착색 특성 (색밀도) :
(육안으로 관찰되는) 착색 특성은 각각의 색상 부위 및 혼색 부위 모두에서 매우 우수하였다.
프린터를 잉크젯 프린터 (상품번호) BJC-600J(캐논 K.K에 의하여 제조됨)를 바꾸고 인쇄 특성을 평가하였다. 시트가 프린터로부터 배출되었을때 400% 영역은 완전히 건조되었고 이때 300% 영역의 경계에서는 번짐 현상이 거의 관찰되지 않았다. 착색 특성도 또한 매우 우수하였다.
전술한 바와 동일한 방식으로 프린터 나바젯(상표명) Ⅲ(상품번호)을 사용하여 이미지를 형성시켜 기록된 이미지 기록 매체를 제조한후 여기에 3M에서 제조한 투명 오버라미네이트 필름(상품번호) 8516번을 부착시켜 이미지 표면을 커버하였다.
이 매체의 접착층을 통하여 중량 2 ㎏인 가압 롤러를 2회 왕복시켜 상기 기록된 매체를 알루미늄 시트에 부착하고, 이를 실온에서 24 시간 동안 방치한후 전술한 바와 같은 순환 테스트(65℃에서 가열시켜 경화시키고 이를 40℃의 온수에 침지시키는 과정의 반복 수행)를 수행하였다. 상기 테스트 이후, 기록된 매체의 이미지 표면을 오버라미네이트 필름면을 통해 관찰한 결과, 팽창 현상은 거의 일어나지 않았다.
이와는 별도로, 기록되지 않은 이미지 기록 매체를 중량 2 ㎏인 가압 롤러를 2회 왕복시켜 알루미늄 시트에 부착하고, 이를 실온에서 24 시간 동안 방치한후 잉크 수용 표면측에서 접착층의 거친 부분의 패턴을 관찰할 수 있었는지 여부를 관찰하였다. 결과적으로, 거친 부분의 패턴은 관찰되지 않았다.
비교 실시예 1
라이너의 볼록한 부위의 높이를 15 ㎛로 변경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기록된 이미지 기록 매체를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또한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순환 테스트를 수행한 결과, 오버라미네이트 필름 및 이미지 표면 사이에 팽창 현상이 일어났으며 외관은 손상된 것으로 판명되었다.
비교 실시예 2
접착층의 두께를 31 ㎛로, 그리고 치수차 T-D를 11.5 ㎜로 변경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기록된 이미지 기록 매체를 제조하였다. 순환 테스트를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한 결과, 오버라미네이트 필름 및 이미지 표면 사이에 팽창 현상이 일어났으며 외관은 손상된 것으로 판명되었다.
실시예 2
접착층의 두께를 20 ㎛로, 그리고 치수차 T-D를 0.5 ㎜로 변경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기록된 이미지 기록 매체를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순환 테스트를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한 결과, 오버라미네이트 필름 및 이미지 표면 사이에 팽창 현상이 일어났으나, 그 정도가 낮아서 외관을 손상시킬 정도는 아니었다.
또한, 잉크 수용 표면측에서 접착층의 거친 부분의 패턴을 관찰할 수 있었는지 여부를 관찰하였다. 결과적으로, 거친 부분의 패턴은 관찰되지 않았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이미지 기록 매체에 의하면, 매체내 각각의 적층들의 계면으로 흡수되어 물이 잔류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막을수 있었으며, 이로써 특히 옥외용으로 사용될때, 물 또는 수증기로 인한 팽창 현상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었다.

Claims (3)

  1. 2개의 주요 표면을 보유하는 지지체 ;
    상기 지지체의 제1 주요 표면상에 적층된 잉크 수용층 ; 및
    상기 지지체의 제2 주요 표면상에 적층된 접착층을 포함하는 이미지 기록 매체로서, 여기서 상기 지지체는 가스 투과성 미소공을 보유하는 다공체이며, 상기 접착층의 부착 표면에 부착물과 접촉시 외부와 소통할 수 있는 복수개의 홈이 제공되고, 상기 부착 표면은 상기 지지체와 접촉하는 표면과 대향하는 표면(opposite surface)으로서 부착물과 접촉하는 면이며, 상기 홈은 다음의 식으로 나타내어지는, 접착층의 두께 T(㎛)와 부착 표면에서부터 측정된 깊이 D(㎛) 사이의 상관 관계를 만족시키는 것인 이미지 기록 매체.
    D ≥16 ㎛인 경우, 0 ≤T-D ≤10
  2. 제1항에 있어서, 접착층이 분자내에 활성 수소를 보유하는 감압 접착 중합체를 함유하는 것인 이미지 기록 매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접착층의 두께 T가 20 ∼ 40 ㎛인 것인 이미지 기록 매체.
KR1020027016234A 2000-06-05 2001-05-30 이미지 기록 매체 KR2003000950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0-00172020 2000-06-05
JP2000172020A JP2001341420A (ja) 2000-06-05 2000-06-05 画像記録媒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9505A true KR20030009505A (ko) 2003-01-29

Family

ID=186744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16234A KR20030009505A (ko) 2000-06-05 2001-05-30 이미지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1289770A2 (ko)
JP (1) JP2001341420A (ko)
KR (1) KR20030009505A (ko)
CN (1) CN1208205C (ko)
AU (1) AU2001266622A1 (ko)
BR (1) BR0111312A (ko)
WO (1) WO2001094124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54549A (ja) * 2001-03-02 2002-09-11 Lintec Corp 多孔質シート積層体及び耐水性表示シート
JP4062027B2 (ja) * 2002-09-18 2008-03-19 コニカミノルタ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画像形成方法
EP1572466A1 (en) * 2002-12-16 2005-09-14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arking film, receptor sheet and marking film for vehicles
US7655296B2 (en) 2003-04-10 2010-02-02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Ink-receptive foam article
US7820282B2 (en) 2003-04-10 2010-10-2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Foam security substrate
EP1805037B1 (en) * 2004-10-20 2011-10-05 E.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Donor element with release-modifier for thermal transfer
PL2716451T3 (pl) * 2009-02-25 2017-07-31 Avery Dennison Corporation Sposób wytwarzania wielowarstwowych nośników do nadruku przez powlekanie wytłaczające
CN103377587B (zh) * 2012-04-17 2016-08-24 深圳正峰印刷有限公司 标签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603208B1 (en) * 1991-09-12 1998-09-23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Patterned pressure sensitive adhesive transfer tape
KR19990071941A (ko) * 1995-12-07 1999-09-27 스프레이그 로버트 월터 잉크젯 인쇄가능한 미공성 필름
DE19724648C2 (de) * 1997-06-11 1999-06-24 Zweckform Buero Prod Gmbh Rasterförmig beschichtetes, zwischenlagenfreies, selbstklebendes Flächengebild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1094124A2 (en) 2001-12-13
WO2001094124A3 (en) 2002-06-27
EP1289770A2 (en) 2003-03-12
CN1433359A (zh) 2003-07-30
JP2001341420A (ja) 2001-12-11
BR0111312A (pt) 2003-11-04
CN1208205C (zh) 2005-06-29
AU2001266622A1 (en) 2001-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286427B1 (en) Recording medium
EP1189758B1 (en) Random microembossed receptor media
US6811837B2 (en) Porous resin film
JP2002512911A (ja) エンボス加工面を有するインクジェット印刷用受容シート
US6514598B1 (en) Ink jet recording sheet and method
JP2001518024A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用媒体
KR20050017814A (ko) 잉크젯 프린터용 기록 매체의 잉크 수용층 형성용 조성물및 이를 이용한 잉크젯 프린터용 기록 매체
KR20030009505A (ko) 이미지 기록 매체
US6180255B1 (en) Structured media for phase change ink printing
JP4149764B2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要素
US20030224149A1 (en) Image recording medium
JP2001047734A (ja) 画像記録媒体
JP2008260299A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要素
JP2003182208A (ja) 記録材料及びその製造方法
JP4012416B2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用シート
WO2023249112A1 (ja) 記録用紙
JP2004345315A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用シート
EP1226968B1 (en) Ink jet recording element and printing method
JP2000238417A (ja) 記録シート
JPH11129612A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用シート
JP2003191625A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用貼着シート、記録体及び記録物
JPH10278418A (ja) 水性インク用記録材
JP2002326448A (ja) インクジェット用被記録材
JP2000272230A (ja) 記録用シート
JP2004237728A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用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