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07926A - 수소화 당의 내부 탈수물을 1종 이상 함유하는 조성물의정제 방법 - Google Patents

수소화 당의 내부 탈수물을 1종 이상 함유하는 조성물의정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07926A
KR20030007926A KR1020027016754A KR20027016754A KR20030007926A KR 20030007926 A KR20030007926 A KR 20030007926A KR 1020027016754 A KR1020027016754 A KR 1020027016754A KR 20027016754 A KR20027016754 A KR 20027016754A KR 20030007926 A KR20030007926 A KR 200300079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isosorbide
treating
isomannide
pur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167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72255B1 (ko
Inventor
귀이 플레쉬
빠뜨릭 퓨에르떼
로돌쁘 따미옹
헤르베 와르뜨
Original Assignee
로께뜨프레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FR0007463A external-priority patent/FR2810040B1/fr
Application filed by 로께뜨프레르 filed Critical 로께뜨프레르
Publication of KR200300079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79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22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2255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9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 C07D49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wo hetero rings
    • C07D493/04Ortho-condensed system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terocyclic Carbon Compounds Containing A Hetero Ring Having Oxygen Or Sulfu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소화 당의 내부 탈수물을 하나 이상 함유하는 조성물의 정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a) 임의로 상기 조성물을 재용해 후 또는 재용해 전에 하나 이상의 탈색 수단으로 처리하는 단계; (b) 임의로 탈색 수단으로 처리된 상기 조성물을 하나 이상의 이온 교환 수단으로 처리하는 단계; 및 (c) 생성된 조성물을 하나 이상의 탈색 수단으로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방법은 이소헥시드 조성물, 특히 이소소르비드 또는 이소만니드 조성물에 적용된다. 순도 및 몇몇 불순물의 비율 면에서 특정한 특징을 나타내는 생성 조성물은 화학 산업, 제약 산업, 화장품 산업 및 식품 산업에 사용할 신규 물질을 구성한다.

Description

수소화 당의 내부 탈수물을 1종 이상 함유하는 조성물의 정제 방법 {Method for Purify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t least an Internal Dehydration Product for a Hydrogenated Sugar}
본 발명은 수소화 당의 내부 탈수물을 1종 이상 함유하는 조성물의 신규 정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특히 화학 산업, 제약 산업, 화장품 산업 또는 식품 산업에 사용하기 위한 중합체성 또는 비중합체성 및 생분해성 또는 비생분해성 물질 또는 혼합물의 제조에 있어서 상기 방법에 의해 수득된 정제된 조성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은 순도 및 특정 불순물의 함량 면에서 특정한 특징을 갖는, 상기 방법에 의해 수득될 수 있는 해당 타입의 조성물로 구성된 신규 물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상 "수소화 당"이라는 표현은 구체적으로
- 예컨대, 소르비톨, 만니톨, 이디톨 및 갈락티톨과 같은 헥시톨,
- 예컨대, 아라비톨, 리비톨 및 자일리톨과 같은 펜티톨, 및
- 예컨대, 에리트리톨과 같은 테트리톨
을 의미하는 것이다.
"내부 탈수물"이라는 표현은 임의의 방식으로 하나 이상의 단계에서 상술된 것과 같은 수소화 당의 원래 내부 구조로부터 하나 이상의 물 분자를 제거하여 얻은 임의의 물질을 의미한다.
바람직하게는, 내부 탈수물은 헥시톨, 특히 이소소르비드 (1,4-3,6-디안히드로소르비톨), 이소만니드 (1,4-3,6-디안히드로만니톨) 또는 이소이디드 (1,4-3,6-디안히드로이디톨)과 같은 디안히드로헥시톨 또는"이소헥시드"의 내부 탈수물일 수 있다.
이들 이중 탈수 수소화 당 중에서, 이소소르비드는 현재 가장 많은 수의 산업적 용도가 개발중인 것이다. 상기 산업적 용도는 특히,
- 미국 특허 제4,371,703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심장 및(또는) 혈관 질환에 유용한 이소소르비드 2-니트레이트, 5-니트레이트 또는 2,5-디니트레이트의 제조;
- 특히 약제학적 조성물 또는 화장제용 조성물의 제조에 있어서 용매로서 유용하거나 (미국 특허 제4,082,881호), 또는 구강 위생용 조성물에서 활성 성분으로서 유용한 (유럽 특허 제315,334호) 알킬화, 특히 디메틸화 이소소르비드 유도체의 제조;
- 폴리비닐 알코올 (미국 특허 제4,529,666호), 폴리우레탄 (미국 특허 제4,383,051호), 또는 "테레프탈오일" 타입의 단량체 단위를 함유하는 폴리에스테르 (미국 특허 제3,223,752호 및 미국 특허 제6,025,061호)를 기재로 한 제품의 제조;
- 생분해성 중축합물의 제조 (WO 99/45054); 및
- 수성 라커 (미국 특허 제4,418,174호) 또는 표면 커버링 및(또는) 착색 작용 (미국 특허 제5,766,679호)을 갖는 조성물의 제조
에 관한 것이다.
이소소르비드 및 수소화 당의 다른 내부 탈수물, 특히 다른 이소헥시드의 상기 용도의 대다수의 경우, 통상적으로 실제 탈수 단계로부터 직접 생성되는 조성물에 정제 처리를 적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것은 특히 상기 탈수 처리되는 임의의 수소화 당이 (예를 들어, 소르비톨의 경우) 탈수 단계 동안 원하는 탈수물(예를 들어, 이소소르비드)과는 별도로 다양한 부산물로 전환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상기 다양한 부산물에는
- 상기 원하는 생성물의 이성질체, 예를 들어, 이소만니드 및 이소이디드와 같은 이소소르비드의 이성질체,
- 원하는 생성물 또는 그의 이성질체, 예를 들어, 소르비탄, 만니탄 또는 이디탄보다 덜 탈수된 생성물,
- 상기 생성물의 산화 또는 보다 통상적으로 상기 생성물의 분해로부터 생성되는 유도체 (이들 유도체는 예를 들어, 원하는 생성물이 이소소르비드일 경우, 데옥시모노안히드로헥시톨, 모노안히드로펜티톨, 모노안히드로테트리톨, 안히드로헥소세스, 히드로메틸푸르푸랄 또는 글리세린과 같은 타입의 부산물을 포함할 수 있음),
- 상기 생성물의 중합으로부터 생성되는 유도체, 및(또는)
- 성질이 잘 정의되어 있지 않은 고도로 착색된 종
이 포함된다.
일반적으로 이들 다양한 종류의 부산물 또는 불순물 모두 또는 일부는 수소화 당의 실제 탈수 단계 동안 보다 더 높은 정도 또는 보다 더 낮은 정도로 생성된다는 것을 상기해야 하는데, 이것은 상기 단계 동안 실질적으로 사용되는 조건 및 조치와 관계없고, 예를 들어,
- 사용되는 탈수 산 촉매의 성질 및 공급 형태 (무기산, 유기산, 양이온성 수지 등),
- 초기 반응 매질 중의 물 또는 유기 용매(들)의 양, 또는
- 원료로 사용되는 수소화 당 조성물, 예를 들어, 소르비톨의 순도
와 관계없다.
상기 탈수 단계로부터 조성물, 예를 들어, 순도 면에서 개선되어 있는 이소헥시드(들)의 조성물을 수득하기 위한 방법으로 다양한 기술이 사용되고 있는데, 상기 조성물은 탈수 단계 동안 반응 조건을 조절함으로써 "직접적인" 방식 및(또는), 탈수 단계 후 하나 이상의 정제 처리를 적용함으로써 "간접적인" 방식으로 수득된다.
예를 들어, 영구 특허 제613,444호에는 증류 처리한 후 알코올/에테르 혼합물로부터 재결정화 처리된 이소소르비드 조성물을 물/크실렌 매질 중에서 탈수하여 얻은 생성물이 기재되어 있다.
증류와, 저급 지방족 알코올 (에탄올, 메탄올)로부터의 재결정화를 조합한 정제 처리도 최근에 WO 00/14081에 기재되어 있다. 이 문헌에는 증류가 고려되는유일한 정제 단계인 경우, 소듐 보로히드라이드의 존재 하에 증류 단계를 수행하는 것이 유리하다는 것도 기재되어 있다.
미국 특허 제3,160,641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붕소 함유 화합물, 특히 붕산, 또는 붕산염 이온으로 충전된 음이온성 수지의 존재 하에 증류 단계를 수행하는 것도 권장되고 있다.
미국 특허 제4,408,061호 및 유럽 특허 제323,994호에는 바람직하게는 보조촉매로서 카르복실산과 함께 사용되는 특정한 탈수 촉매 (가스성 할로겐화수소 및 액체성 불소화 수소 각각)를 사용한 후 수득된 조질의 이소소르비드 또는 이소만니드를 증류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미국 특허 제4,564,692호에는 상세히 기재되어 있지는 않지만, 증발에 의한 농축 및 원하는 이소헥시드 결정의 시딩 (seeding) 후 이소소르비드 또는 이소만니드 조성물을 "이온 교환기 및(또는) 활성화된 차콜" 상에서 정제하고, 이어서 물로부터 상기 조성물을 결정화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유럽 특허 제380,402호에는 부분적으로 압력 하의 수소, 및 구리와 VIII 족의 귀금속 또는 금의 배합물을 기재로 한 특정 촉매의 존재 하에 수소화 당을 탈수시키는 것이 청구되어 있다. 이들 조건은 실제 탈수 단계 동안 중합체성 불순물의 형성을 상당히 감소시킬 수 있도록 제공된다.
보다 최근에, 유럽 특허 제915,091호에는 이러한 원치 않는 중합체의 생성을 보다 더 감소시킬 수 있다는 것이 기재되어 있는데, 이것은 탈수 단계 동안 산-안정성 수소화 촉매를 사용하여 달성된다.
전단계의 결과는 이소헥시드(들) 또는 다른 탈수 수소화 당(들)을 기재로 한 고순도의 조성물의 수득을 위해 일반적으로 적어도 주어진 순간에 최소한 하기 물질의 사용이 요구된다는 것이다:
- 수소화 촉매 및 보조촉매와 관련된 수소와 같이 비싼 물질,
- 유기 용매와 같은, 인간 및 환경에 해로울 수 있는 물질 (임의의 경우 그의 사용은 매우 규제됨), 또는
- 물로부터의 결정화 기술과 같은 수율 면에서 그다지 효과적이지 않은 물질.
또한, 상기 특허들은 대체적으로 정제 처리 동안 어느 정도 탈색되는 문제점을 비롯하여, 수득 및 정제된 조성물의 시간에 따른 안정성의 문제점을 다루지 않았다.
상기 특허들에 따르면, 증류 단계 후 유기 용매 매질로부터의 결정화 단계를 연속적으로 필요로 하지 않으면서, 98.5% (건조/건조) 이상의 순도, 백색 (분말로서) 또는 무색 (용액으로서) 및 우수한 안정성을 동시에 갖는 조성물, 예를 들어, 이소소르비드를 효과적으로 제조하는 것을 산업적으로 실시하는 것이 사실상 아직까지 불가능하였다.
실제로, 탈수 단계로부터 유래된 매질의 단순 증류 및 냉각에 의해 상기 매질을 "덩어리" 형태의 조성물로 전환하는 것으로 구성된 별법으로는, 정제, 특히 착색 (황색 내지 갈색) 및 안정성 면에서 만족할만한 결과를 얻을 수 없다. 증발 전, 미리 재용해된 증류물을 과립형 활성화 차콜로 처리하는 추가 단계를 사용하면, 색상 면에서는 개선되었지만 순도 면에서는 전혀 개선되지 않은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조성물은 상대적으로 제한된, 시간에 따른 안정성을 나타낸다. 본 발명자들은 많은 연구 후 용매 매질로부터의 결정화 단계를 필수적으로 수반하지 않으면서 고순도 (99.5% 이상) 및 개선된 안정성을 갖는, 이소헥시드(들) 및 다른 탈수 수소화 당을 기재로 한 조성물을 수득할 수 있음을 발견하였는데, 이것은 특정한 순서로 하나 이상의 탈색 처리 단계 및 하나 이상의 이온 교환 단계를 사용함으로써 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대상은
a) 임의로, 재용해 후 또는 재용해 전에 수소화 당의 내부 탈수물을 1종 이상 함유하는 조성물을 하나 이상의 탈색 수단으로 처리하는 단계;
b) 임의로 탈색 수단으로 처리된 조성물을 하나 이상의 이온-교환 수단으로 처리하는 단계; 및
c) 생성된 조성물을 하나 이상의 탈색 수단으로 처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화 당의 내부 탈수물을 1종 이상 함유하는 조성물의 정제 방법이다.
본 발명의 방법의 한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따르면, 상기 방법은
a) 재용해되었거나 재용해되어 있지 않은 상기 조성물을 활성화 차콜로 처리하는 단계;
b) 생성된 조성물을 하나 이상의 이온-교환 수단으로 처리하는 단계; 및
c) 생성된 조성물을 활성화 차콜로 처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활성화 차콜은 단계 a)에서 과립 형태로 사용하고, 단계 c)에서 미세분말 형태로 사용한다.
또다른 실시양태에 따르면, 단계 b)에 사용되는 이온-교환 수단은 하나 이상의 음이온성 수지 및 하나 이상의 양이온성 수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이온-교환 수단은 음이온성 수지(들)와 양이온성 수지(들)의 혼합층, 또는 양이온성 수지(들) 층 다음에 음이온성 수지(들) 층이 있거나 음이온성 수지(들) 층 다음에 양이온성 수지(들) 층이 있는 연속층으로 구성된다. 가장 바람직한 방식으로, 사용되는 수지는 양이온성이 강한 수지(들) 및 음이온성이 강한 수지(들)이다.
본 발명의 방법의 또다른 실시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방법은 단계 c)로부터 얻은 조성물을 임의로 여과한 후 농축 처리하여 "덩어리" 형태의 생성물을 수득하고, 이어서 임의로 특히 유기 용매 매질로부터 결정화 처리하고(하거나) 건조시키는 단계 d)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정제 방법에서 정제되는 조성물은 상기 정의한 바와 같이 수소화 당의 내부 탈수물을 1종 이상 함유하는데, 탈수는 전체적이거나 부분적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조성물은 여러 물질의 혼합물을 함유하는데, 이들 물질 중 하나는 중량 기준으로 현저히 많다. 본 발명에 따른 정제 방법의 첫번째 목적은 상기 조성물의 건조 물질 ("DM") 함량으로 함유된 모든 다른 종에 비해 특정 수소화 당의 중량 비율을 유지하고 임의로 증가시키면서 안정성 및 착색 면에서 개선된성질을 이들 조성물에 부여하기 위한 것이다.
이들 조성물은 상기 기재된 특허 중 임의의 하나에 기재된 탈수 단계 후 임의로 수행되는 증류 단계 중 어느 하나에 따라 수득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의 방법은, 원하는 경우, 용매 매질 또는 물로부터의 결정화에 의해 이미 정제되어 있고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처리되도록 통상적으로 재용해되어 있는 조성물에 적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정제 방법에 의해 정제되는 조성물은 이소헥시드 조성물, 즉 그의 기원, 그의 성질, 그의 제공 형태 및 그의 조성과 관계없이 혼합물 형태의 이소헥시드를 함유하거나 1종 이상의 다른 이소헥시드를 갖지 않는 조성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고, 상기 이소헥시드는 임의의 경우 가장 많이 존재하고 통상적으로 상기 조성물에 함유된 DM 중에서 두드러지게 많은 종이다.
따라서, 중량 기준으로 현저히 많은 이소헥시드의 성질에 따르면, 이소헥시드에는 특히 이소소르비드, 이소만니드, 이소이디드 또는 이소갈락티드 조성물이 포함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정제 방법에 의해 정제되는 조성물은 이소소르비드 조성물로 구성된다.
놀랍게도, 본 발명자들은 청구된 정제 방법, 즉, 이온 교환 수단에 이어 탈색의 연속적인 사용을 조합한 방법으로 안정성이 향상된 조성물을 얻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안정성"은 특히, 다양한 pH, 전도도 및(또는) 특정 불순물의 함량 면에서조성물의 시간에 따른 안정성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불순물에는 특히, 포름산, 및 일반적으로는 이온성 종이 포함되나, 이들 모든 생성물들은 상기 선행 기술에서 구체적으로 연구되지 않았었다. 본 발명자들은 모든 경우에서, 이들 생성물 모두 또는 일부가 본원에서 관찰되는 조성물의 불안정성에 대한 "촉진제" 및(또는) "지시제"의 역할을 할 수 있는 것으로 생각한다.
이러한 결과는 모두 더욱 놀라운 것인데, 이는 본 발명자들에 의해 수행되는 작업에서 단독으로 뿐 아니라 역 순서 (탈색 후 이온 교환)로 함께 사용되는 탈색 및 이온 교환 수단이 특히 얻어진 정제 조성물의 안정성 측면에서 동일한 성능을 얻는 것을 전혀 가능하지 않게 하는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과립형 활성화 차콜 컬럼을 미리 통과한 이소소르비드 조성물을 강한 양이온성 수지에 연속되는 강한 음이온성 수지를 통해 처리하는 것이 결국은 이렇게 얻어진 탈색된 이소소르비드 조성물을 불안정화시키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본 발명자들은 특히, 본 발명과는 상이한 이러한 사용으로 이소소르비드 조성물이 비교적 낮은 온도 (60 ℃)에서 짧은 기간 (2일) 동안 저장되는 과정에서 1) 전체적으로 산성화되고 (pH의 측정), 특히 2) 포름산을 형성할 뿐 아니라 3) 이온성 종을 형성하는 (전도도의 전반적인 측정) 경향을 증가시키는 바람직하지 않은 작용을 하는 것을 알게 되었다.
미세분말형 활성화 차콜의 경우, 제2의 탈색 수단을 수지 상에서의 처리 전에 사용하는 것으로는 이러한 경향을 현저하게 감소시키지 못하였다.
반면에, 본 발명에 따라 동일한 활성화 차콜을 동일한 수지 상에서의 처리후에 사용하는 것은, 놀랍게도 이소소르비드 조성물을 얻을 수 있게 하였으며, 동일한 저장 처리기간 동안 산성화되고 포름산 및 이온성 종을 형성하는 경향이 훨씬 덜 두드러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앞으로 단순하고 효과적인 수단에 의해 이소헥시드 및 기타 탈수된 수소화 당 (소르비탄, 만니탄, 이디탄, 갈락티탄, 크실리탄, 리비탄 또는 에리트리탄)의 향상된 조성물, 특히 이소소르비드 및 이소만니드의 향상된 조성물을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이러한 수단은 특히, 순도가 조성물의 총 건조 중량을 기준으로 98.5 건조 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99.0 건조 중량% 이상이며, 유리 및(또는) 염 형태의 포름산의 함량이 조성물의 총 건조 중량을 기준으로 0.01 건조 중량% 이하이며, 바람직하게는, 전도도가 20 마이크로지멘스/센티미터 (㎲/㎝) 이하인 이소소르비드 또는 이소만니드 조성물의 제조를 가능하게 한다.
상기 전도도는 필요한 경우, 증류수에 조성물을 희석하거나, 반대로 진공 하에서 농축하여 이소소르비드 조성물의 건조 물질(DM) 함량을 5 %로 조절한 다음, 이렇게 얻어진 5 % 조성물의 전도도를 측정하는 것으로 이루어진 시험 A에 따라 측정한다.
놀랍게도, 이러한 수단은, 특히 선행되거나 후속되는 결정화 단계와 함께, 99.5 % 이상, 바람직하게는 99.6 % 이상, 예를 들어 99.8 % 정도의 순도를 특징으로 하는 이소소르비드 조성물의 제조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순도가 98.5 % 이상, 바람직하게는 99.0 % 이상이며, 모노무수펜티톨 총 함량이 0.1 % 이하, 바람직하게는 0.07 % 이하이며, 모노데옥시- 및 디데옥시모노무수헥시톨 총 함량이 0.1 % 이하, 바람직하게는 0.08 % 이하인 이소소르비드 또는 이소만니드 조성물의 제조를 가능하게 한다 (상기 백분율은 상기 조성물의 총 건조 중량을 기준으로 하는 건조 중량으로 나타냄).
상기한 바와 같이, 이러한 방법은 순도가 99.5 % 이상, 바람직하게는 99.6 %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소소르비드 조성물의 제조를 가능하게 한다.
이소소르비드 및 기타 탈수된 수소화 당의 함량은 통상적으로 기체 크로마토그래피(GC)로 측정한다.
포름산 함량은 통상적으로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HPLC)로 측정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러한 이소소르비드 또는 이소만니드 조성물은 신규한 산업용품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조성물이 유기 용매 매질로부터 결정화되는 d) 단계를 반드시 사용할 필요없이(없거나) 최종 건조 단계를 사용하여 본 발명에 따라 얻어질 수 있기 때문에, 특정 용도를 위해 소량의 임의의 유기 용매가 이러한 조성물에 존재하지 않는 것이 이로울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얻어진, 이소소르비드, 및 이소만니드와 같은 수소화 당의 기타 내부 탈수물의 조성물은 잘 개별화된 결정의 덩어리 생성물 또는 조성물로 된 다양한 액체 또는 고체 형태, 특히 정제된 증류물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고체 형태는 또한 백색일 수 있고, 물 함량이 1 % 이하, 바람직하게는 0.6 % 이하, 특히 0.10 % 내지 0.55 %일 수 있다.
순도, 안정성 및(또는) 색상에 관한 이들의 특성을 고려하면, 이들 조성물은수많은 산업 분야에서 이롭게 사용될 수 있으며, 특히 중합성 또는 비중합성의 생분해가능하거나 가능하지 않은, 화학, 제약, 화장품 또는 식품 산업용 생성물 또는 혼합물의 제조에서 합성 중간체, 공단량체 (쇄 연장제 포함), 용매, 가소제, 윤활제, 충전제, 감미제 및(또는) 활성 성분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로 더욱 상세하게 설명되나, 이로써 제한되지는 않는다.
실시예 1
상표명 "NEOSORB (등록상표) 70/02"로 시판되는, 70 % DM 함유의 소르비톨 용액 1 ㎏ 및 진한 황산 7 g을 자켓 교반 반응기에 도입하였다. 이 혼합물을 진공 (약 100 mbar의 압력) 하에서 5 시간 동안 가열하여 초기 반응 매질 및 소르비톨 탈수 반응에서 얻어진 매질에서 물 함량을 제거하였다.
그다음 조질 반응 생성물을 약 100 ℃로 냉각시킨 다음 50 % 수산화나트륨 용액 11.4 g으로 중화시켰다. 그다음 이렇게 중화된 이소소르비드 조성물을 진공 (약 50 mbar 미만의 압력) 하에서 증류하였다.
그다음 약간 착색된 (연황색) 조질 이소소르비드 증류물을 증류수에 용해시켜 40 % DM을 함유하는 용액을 얻었다.
그다음 이 용액을 "CECA DC 50"형의 과립형 활성화 차콜 컬럼에서 0.5 BV/h (베드 부피/시간)의 속도로 여과하였다. 이렇게 얻어진 탈색된 이소소르비드 조성물을 "PUROLITE C 150 S"형의 강한 양이온성 수지에 이어 "AMBERLITE IRA 910"형의강한 음이온성 수지가 연속되어 있는 컬럼을 따라 2 BV/h의 속도로 통과시켰다.
그다음 이 용액을 20 ℃에서 "NORIT SX+"형의 분말형 활성화 차콜로 1 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활성화된 차콜을 5 건조 중량/용액의 건조 중량%의 양으로 사용하였다.
여과 후에, 이소소르비드 용액을 진공 하에서 농축하였다. 얻어진 용융 덩어리를 냉각시키면서 큰 결정의 "덩어리 생성물" 형태로 결정화한 다음 분쇄하여 수분 함량이 0.3 %로 DM이 99.7 %인 백색 분말을 얻었다.
본 발명에 따라 얻어진 상기 이소소르비드 조성물의 특성은 하기와 같으며, 백분율은 상기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나타내었다.
물: 0.3 %
이소소르비드: 98.8 %
이소만니드: 0.3 %
기타 이무수헥시톨: 0.3 %
모노무수펜티톨: < 0.025 %
데옥시헥시톨: < 0.070 %
포름산: < 0.0005 %
pH*: 6.6
전도도*: < 20 ㎲/㎝
* 조성물을 5 % DM로 희석시킨 후 측정함.
따라서, 본 발명에 따라 얻어진 조성물은 순도가 98.8/99.7, 즉 약 99.1 %인이소소르비드였다.
이소소르비드의 이러한 덩어리 생성물 20 g을 마개로 막힌 플라스틱 용기에 도입하고, 그 자체로 60 ℃ 오븐에서 저장하였다. 이러한 조건하에서 저장한지 2일 후에, 조성물의 pH가 약간 변하였으나 (0.6 pH 감소), 특히 소르비드의 순도, 포름산 농도 및 전도도는 크게 변하지 않았으며, 마지막 2가지 특성은 매우 낮은 수치 (각각 < 0.005 % 및 < 50 ㎲/㎝)로 유지되었다.
실시예 2
본 시험에서는, 실시예 1에서 얻어진 조질 이소소르비드 증류물을 하기와 같이 본 발명과 다르게 변형시켜 정제하였다:
- 시험 1: 증류물을 덩어리 생성물 형태로 결정화하기 전에 과립형 활성화 차콜로만 처리함,
- 시험 2: 증류물을 결정화 (덩어리화) 전에 수지 (강한 양이온성에 이은 강한 음이온성)로만 처리함,
- 시험 3: 증류물을 먼저 활성화 차콜로 처리한 다음 결정화 (덩어리화) 전에 수지 (강한 양이온성에 이은 강한 음이온성)로 처리함,
- 시험 4: 증류물을 연속적으로 과립형 활성화 차콜로 처리한 다음 여과전에 미세분말형 활성화 차콜로 처리하고 이어서 수지로 처리하고 결정화 (덩어리화)함.
이러한 방법으로 직접 얻어진 이소소르비드 조성물은 모두 다음과 같은 특성을 갖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 실시예 1에서 얻어진 덩어리 생성물보다 매우 약간 또는 현저하게 pH가 감소됨, 즉, pH는 5.6 (시험 2) 내지 약 6.5 (시험 3 및 4)임,
- 전도도가 20 ㎲/㎝ 미만 (시험 2 내지 4)이거나, 약간 더 높음 (23 ㎲/㎝ - 시험 1),
- 포름산의 비율이 0.0005 % 또는 5 ppm 미만 (시험 2 내지 4)이거나, 약간 더 높음 (0.0015 % 또는 15 ppm - 시험 1).
그러나, 실시예 1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저장 조건 하에서 이들 조성물은 모두 다음과 같은 특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 pH가 실시예 1에서 관찰된 것 보다 3배 이상 감소함, 특히 4배 (시험 4) 내지 5배 (시험 3)가 더 높음,
- 실시예 1의 경우보다 포름산이 더욱 현저하게 생성됨, 포름산의 수준은 여전히 0.01 % 값을 초과하고 0.02 % (시험 4) 보다 더 큰 값에 도달하거나, 0.04 % (시험 3) 및 심지어 0.08 % (시험 2)보다 더 큼.
또한, 시험 2 및 3에서 유도된 조성물은 저장기간 동안 이온성 종을 생성하는 경향이 매우 두드러졌는데, 이는 단지 2일 후에, 이의 전도도가 40 ㎲/㎝ (시험 3)에 도달하거나, 심지어 80 ㎲/㎝ (시험 2)의 값을 초과하였기 때문이었다.
따라서, 매우 놀랍게도, 이온 교환 수단 후 탈색 수단을 사용하는 실시예 1에서 출원인에 의해 고안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이소소르비드의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기재된 모든 방법에 따라 얻어진 것보다 훨씬 더 안정한 조성물을 얻을 수 있도록 하였다.
이러한 2가지 특정 수단을 특별한 순서로 사용함으로써 얻어진 향상은 모두이들 수단을 각각 단독으로 (시험 1 및 2) 사용하거나 또는 역순서로 함께 (시험 3 및 4) 사용하여 얻어진 효과를 고려할 경우 더욱 예상치 못한 것이다.
실시예 3
본 시험에서는, 본 발명에 따라, 이소소르비드의 조질 증류물을 얻은 다음, 하기에 기재한 바와 같이 각각 특정하게 변형시킨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처리하였다:
- 시험 5: 실시예 1에서 얻어진 것과 같은 덩어리 생성물을 뜨거운 상태로 메탄올 중에 재용해시킴. 75 % DM을 함유하는 생성된 용액을 약 -15 ℃의 온도로 냉각시키고, 초기 덩어리 생성물보다 더 양호하게 개별화된 결정 조성물로 전환시킴,
- 시험 6: 실제 탈수 단계에서 원료로 사용된 소르비톨 조성물을 칼슘 형태의 "PCR 432"형 PUROLITE 컬럼을 사용하는 크로마토그래피로 먼저 정제함,
- 시험 7: 증류 단계를 0.5 % NaBH4(건조/건조)에서 수행함,
- 시험 8: 과립형 활성화 차콜에 이어, 본 발명에 따른 양이온성 및 음이온성 수지 및 이어서 미세분말형 활성화 차콜에서 처리한 40 % DM 함유 용액을 이소소르비드 결정의 물 중 재용해에 의해 얻음, 이소소르비드 결정은 증류에 의해 얻어진 이소소르비드 덩어리 생성물 자체를 메탄올로부터 결정화하여 통상적으로 얻어짐.
본 발명에 따라 얻어진 모든 조성물의 물 함량은 0.1 % (시험 8) 내지 0.5 %(시험 5)이고, 순도는 실시예 1로부터 유도된 생성물 보다 더욱 (약간) 더 높았다. 이러한 이소소르비드의 순도는 99.2 % (시험 7) 내지 99.6 % (시험 5, 6 및 8)이었다.
이러한 수준의 순도 (99.6 %)를, 특히 시험 6에 따른 임의의 결정화 단계없이 얻을 수 있다는 것은 사실 주목할 만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러한 생성물 및 시험 5, 7 및 8에서 얻은 생성물은 실제로 저장 기간동안 우수한 안정성을 가지며, 특정 수준의 순도를 갖는다.
실시예 4
실시예 1에서 얻은 조질 증류물을 60 ℃의 온도에서 2-프로판올 중에 용해시켜 건조 물질 (DM) 75 %를 함유하는 용액을 얻었다. 그 다음 이 용액을 10 ℃에서 5 시간에 결쳐 서서히 냉각하였다. 재결정화된 이소소르비드 시드를 40 ℃에서 가하였다.
그다음 결정을 원심분리장치에서 탈수시키고, 소량의 2-프로판올로 세척하였다.
진공 하에서 건조시킨 후, 결정을 물에 재용해시켜 DM 40 %를 얻었다.
이 용액을 과립형 활성화 차콜 (CPG 12-40) 컬럼에서 0.5 BV/h의 속도로 여과하였다. 그다음 이렇게 얻어진 이소소르비드 조성물을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기재된 바와 같은 강한 양이온성 수지에 이어 강한 음이온성 수지가 연속되는 컬럼을 따라 2 BV/h의 속도로 통과시켰다.
그다음 이 용액을 20 ℃에서 NORIT SX+형의 분말형 활성화 차콜로 1 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활성화된 차콜을 0.2 건조 중량/용액의 건조 중량%의 양으로 사용하였다.
여과 후에, 이소소르비드 용액을 진공 하에서 농축하였다. 얻어진 용융 덩어리를 냉각시키면서 덩어리 생성물 형태로 결정화한 다음 분쇄하여 수분 함량이 0.2 %인 백색 분말을 얻었다.
본 발명에 따라 얻어진 상기 이소소르비드 조성물의 특성은 하기와 같으며, 백분율은 상기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나타내었다.
물: 0.2 %
이소소르비드: 99.6 %
이소만니드: 검출되지 않음
기타 이무수헥시톨: 0.03 %
모노무수펜티톨: 검출되지 않음
데옥시헥시톨: 검출되지 않음
포름산: < 0.0005 %
pH*: 6.5
전도도*: < 20 ㎲/㎝
따라서, 이소소르비드의 순도는 99.6/99.8, 즉 약 99.8 %이었다.
이소소르비드의 이러한 덩어리 생성물 20 g을 마개로 막힌 플라스틱 용기에 도입하고, 그 자체로 60 ℃ 오븐에서 저장하였다. 저장 14일 후, 이소소르비드의 순도 및 그의 포름산 농도는 변하지 않았다.
실시예 5
만니톨 700 g, 물 300 g 및 진한 황산 21 g을 자켓 교반 반응기에 도입하였다. 얻어진 혼합물을 8 시간 동안 진공 (40 mbar) 하에서 가열하여 반응 매질 및 만니톨 탈수 반응으로부터 유도된 매질 중에 함유된 물을 제거하였다.
조질 반응 생성물을 50 % 수산화나트륨 용액으로 중화시켰다. 그다음 이소만니드 조성물을 진공하에서 증류하였다.
조질 증류물을 물에 용해시켜 40 % 함량의 건조 물질을 얻었다.
이 용액을 과립형 활성화 차콜 (CPG 12-40) 컬럼에서 0.5 BV/h의 속도로 여과하였다. 그다음 이렇게 얻어진 이소만니드 조성물을 실시예 1에 기재된 바와 같은 강한 양이온성 수지에 이어 강한 음이온성 수지가 연속되는 컬럼을 따라 2 BV/h의 속도로 통과시켰다.
그다음 이 용액을 20 ℃에서 NORIT SX+형의 분말형 활성화 차콜로 1 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활성화된 차콜을 5 건조 중량/용액의 건조 중량%의 양으로 사용하였다.
여과 후에, 이소만니드 용액을 진공 하에서 농축하였다. 얻어진 용융 덩어리를 냉각시키면서 덩어리 생성물 형태로 결정화한 다음 분쇄하여 수분 함량이 0.3 %인 백색 분말을 얻었다.
본 발명에 따라 얻어진 상기 이소만니드 조성물의 특성은 하기와 같으며, 백분율은 상기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나타내었다.
물: 0.5 %
이소만니드: 98.0 %
이소소르비드: 0.9 %
기타 이무수헥시톨: 0.3 %
포름산: < 0.0005 %
pH*: 6.5
전도도*: < 20 ㎲/㎝
따라서, 이소만니드의 순도는 98/99.5, 즉 약 98.5 %이었다.
이소만니드의 이러한 덩어리 생성물 20 g을 마개로 막힌 플라스틱 용기에 도입하고, 그 자체로 60 ℃ 오븐에서 저장하였다. 저장 14일 후, 이소소르비드의 순도 및 그의 포름산 농도는 변하지 않았다.

Claims (11)

  1. a) 임의로, 재용해 후 또는 재용해 전에 수소화 당의 내부 탈수물을 1종 이상 함유하는 조성물을 하나 이상의 탈색 수단으로 처리하는 단계;
    b) 임의로 탈색 수단으로 처리된 상기 조성물을 하나 이상의 이온-교환 수단으로 처리하는 단계; 및
    c) 생성된 조성물을 하나 이상의 탈색 수단으로 처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화 당의 내부 탈수물을 1종 이상 함유하는 조성물의 정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a) 재용해되었거나 재용해되어 있지 않은 조성물을 활성화 차콜, 바람직하게는 과립 형태의 활성화 차콜로 처리하는 단계;
    b) 생성된 조성물을 하나 이상의 이온-교환 수단으로 처리하는 단계; 및
    c) 생성된 조성물을 활성화 차콜, 바람직하게는 미세분말 형태의 활성화 차콜로 처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이온-교환 수단이 하나 이상의 음이온성 수지, 바람직하게는 하나 이상의 강한 음이온성 수지, 및 하나 이상의 양이온성 수지, 바람직하게는 하나 이상의 강한 양이온성 수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계 c)로부터 얻은 조성물을 임의로 여과한 후 농축 처리하여 "덩어리" 형태의 생성물을 수득하고, 이어서 임의로 특히 유기 용매 매질로부터 결정화 처리하고(하거나) 건조시키는 단계 d)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소화 당의 내부 탈수물을 1종 이상 함유하는 조성물이 바람직하게는 이소소르비드, 이소만니드, 이소이디드 및 이소갈락티드 조성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이소헥소시드 조성물로 구성되어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이소소르비드 또는 이소만니드 조성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 98.5% 이상, 바람직하게는 99.0% 이상의 이소소르비드 또는 이소만니드 순도,
    - 조성물의 총 건조 중량을 기준으로 0.01 건조 중량% 이하의 유리 형태 및(또는) 염 형태의 포름산 함량, 및
    - 바람직하게는 20 μS/cm 이하의 전도성
    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소소르비드 또는 이소만니드 조성물.
  7. - 98.5% 이상, 바람직하게는 99.0% 이상의 이소소르비드 또는 이소만니드 순도,
    - 0.1% 이하, 바람직하게는 0.07% 이하의 총 모노안히드로펜티톨 함량, 및
    - 조성물의 총 건조 중량을 기준으로 0.1 건조 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0.08 건조 중량% 이하의 총 모노데옥시- 및 디데옥시모노안히드로-헥시톨 함량
    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소소르비드 또는 이소만니드 조성물.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99.5% 이상, 바람직하게는 99.6% 이상의 순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9.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기 용매(들)가 잔류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0. 제6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청구된 조성물, 또는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에 의해 수득된 조성물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 백색, 및
    - 1%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6% 이하, 특히 0.10 내지 0.55%의 물 함량을 갖는 정제된 증류물, 덩어리 생성물 또는 결정 조성물의 형태로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1. 특히 합성 중간체, 쇄 연장제로서의 공단량체를 포함하는 공단량체, 용매제, 가소제, 윤활제, 충전제, 감미제 및(또는) 활성 성분으로서 화학 산업, 제약 산업, 화장품 산업 및 식품 산업에 사용하기 위한 중합체성 또는 비중합체성 및 생분해성 또는 비생분해성 물질 또는 혼합물의 제조에 있어서, 제6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청구된 조성물, 또는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에 의해 수득된 조성물의 용도.
KR1020027016754A 2000-06-09 2001-05-30 수소화 당의 내부 탈수물을 1종 이상 함유하는 조성물의정제 방법 KR1007722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007463A FR2810040B1 (fr) 2000-06-09 2000-06-09 Procede de purification d'une composition contenant au moins un produit de deshydratation interne d'un sucre hydrogene
FR00/07,463 2000-06-09
PCT/FR2001/001676 WO2001094352A1 (fr) 2000-06-09 2001-05-30 Procede de purification d'une composition contenant au moins un produit de deshydratation interne d'un sucre hydroge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7926A true KR20030007926A (ko) 2003-01-23
KR100772255B1 KR100772255B1 (ko) 2007-11-01

Family

ID=444617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16754A KR100772255B1 (ko) 2000-06-09 2001-05-30 수소화 당의 내부 탈수물을 1종 이상 함유하는 조성물의정제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4729238B2 (ko)
KR (1) KR100772255B1 (ko)
ES (1) ES2630182T3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61962A1 (ko) * 2012-10-15 2014-04-24 주식회사 삼양제넥스 무수당 알코올의 제조방법
WO2014073848A1 (ko) * 2012-11-08 2014-05-15 주식회사 삼양제넥스 결정화 공정 폐기물을 사용하여 수율을 향상시킨 고순도 무수당 알코올의 제조방법
KR20160025439A (ko) * 2014-08-25 2016-03-08 주식회사 삼양사 내열성 및 내화학성이 우수한 폴리술폰 공중합체 및 그 제조방법
KR20210049971A (ko) * 2013-05-02 2021-05-06 로께뜨프레르 수소화 당의 내부 탈수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생성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의 안정화 방법, 생성된 조성물 및 이의 용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45108B2 (ja) * 2004-09-24 2012-06-06 興和株式会社 イソソルビド製剤
KR101499257B1 (ko) * 2005-10-31 2015-03-05 교와 가부시키가이샤 이소소르비드 제제
FR2919587B1 (fr) * 2007-08-02 2009-10-16 Roquette Freres UTILISATION D'UN MATERIAU A BASE DE POLYMERE THERMOPLASTIQUE A FORTE TENEUR EN AGENTS ANTIOXYDANTS POUR L'EMBALLAGE DEdi DIANHYDROHEXITOLS
JP5379016B2 (ja) * 2007-10-31 2013-12-25 帝人株式会社 保存安定性が良好な無水糖アルコール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るポリカーボネートの製造方法
US9765084B2 (en) * 2008-04-10 2017-09-19 Iowa Corn Promotion Board Recovery and refining of dianhydrosugars
JP5492531B2 (ja) * 2009-11-30 2014-05-14 上野製薬株式会社 無水糖アルコールの精製方法
FR2965563B1 (fr) * 2010-09-30 2015-05-15 Roquette Freres Pastilles de dianhydrohexitols de grande fluidite et non mottantes
EP2714696B1 (en) * 2011-06-02 2017-03-01 Samyang Corporation A method for preparation of anhydrosugar alcohols
FR2978666B1 (fr) * 2011-08-05 2013-08-16 Roquette Freres Dianhydrohexitols conditionnes de haute stabilite chimique
KR101388676B1 (ko) * 2012-05-11 2014-04-25 주식회사 삼양제넥스 박막증류를 통한 고순도 무수당 알코올의 제조방법
KR101392883B1 (ko) * 2012-05-11 2014-05-12 주식회사 삼양제넥스 이온함량이 현저히 저감되고 색 특성이 향상된 무수당 알코올의 제조 방법
AU2013338445B2 (en) * 2012-10-31 2017-07-27 Archer Daniels Midland Company Improved method of making internal dehydration products of sugar alcohols
KR101624569B1 (ko) * 2013-02-22 2016-05-26 주식회사 삼양사 공정 단순화를 통해 생산효율이 개선된 고투명 무수당 알코올의 제조방법
KR101631580B1 (ko) * 2013-02-22 2016-06-17 주식회사 삼양사 공정 단순화를 통해 생산효율이 개선된 무수당 알코올의 제조방법
KR101631583B1 (ko) * 2013-02-22 2016-06-17 주식회사 삼양사 단순화된 반응 후처리 공정을 갖는 무수당 알코올의 제조방법
KR101624571B1 (ko) * 2013-02-22 2016-05-26 주식회사 삼양사 투명성이 향상된 무수당 알코올의 고수율 제조방법
JP2016037481A (ja) 2014-08-08 2016-03-22 第一工業製薬株式会社 無水糖アルコールの精製方法、無水糖アルコール及び樹脂
FR3032880B1 (fr) * 2015-02-19 2017-03-24 Roquette Freres Procede de conditionnement d'un dianydrohexitol, solution aqueuse de dianhydrohexitol conditionnee et ses utilisations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230349A1 (de) * 1982-08-14 1984-02-16 Maizena Gmbh, 2000 Hamburg Verfahren zur gewinnung reiner kristalliner anhydropentite, mono- und/oder dianhydrohexite
FR2652589B1 (fr) * 1989-10-04 1995-02-17 Roquette Freres Procede de fabrication de xylitol et de produits riches en xylitol.
PL167997B1 (pl) * 1992-02-28 1995-12-30 Akad Medyczna Sposób otrzymywania mieszaninyanhydroheksitoli mającej właściwości osmoterapeutyczne
DE19715993A1 (de) * 1997-04-17 1998-10-22 Clariant Gmbh Polymerlaminate mit erhöhtem Deckvermögen
DE19841032A1 (de) * 1998-09-09 2000-03-16 Aventis Res & Tech Gmbh & Co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Anhydrozuckeralkoholen
CA2629496A1 (en) * 1999-01-11 2000-07-20 E.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Process and products of purification of anhydrosugar alcohols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61962A1 (ko) * 2012-10-15 2014-04-24 주식회사 삼양제넥스 무수당 알코올의 제조방법
US9505777B2 (en) 2012-10-15 2016-11-29 Samyang Corporation Method for preparing anhydrous sugar alcohol
WO2014073848A1 (ko) * 2012-11-08 2014-05-15 주식회사 삼양제넥스 결정화 공정 폐기물을 사용하여 수율을 향상시킨 고순도 무수당 알코올의 제조방법
US9260447B2 (en) 2012-11-08 2016-02-16 Samyang Genex Corporation Method for preparing high-purity anhydrosugar alcohol having improved yield by using waste from crystallization step
KR20210049971A (ko) * 2013-05-02 2021-05-06 로께뜨프레르 수소화 당의 내부 탈수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생성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의 안정화 방법, 생성된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20160025439A (ko) * 2014-08-25 2016-03-08 주식회사 삼양사 내열성 및 내화학성이 우수한 폴리술폰 공중합체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3535866A (ja) 2003-12-02
ES2630182T3 (es) 2017-08-18
JP4729238B2 (ja) 2011-07-20
KR100772255B1 (ko) 2007-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2255B1 (ko) 수소화 당의 내부 탈수물을 1종 이상 함유하는 조성물의정제 방법
US7122661B2 (en) Method for purify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t least one internal dehydration product of a hydrogenated sugar
KR100939431B1 (ko) 수소화 당의 내부 탈수 생성물 1종 이상을 함유하는조성물의 제조 방법
US7439352B2 (en)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anhydrosugar alcohols
JP4370280B2 (ja) 無水糖アルコール組成物の精製方法および製造方法
HUE026841T2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anhydrous sugar alcohols
KR101480849B1 (ko) 무수당 알코올의 제조방법
US9527861B2 (en) Production method for anhydro sugar alcohol having markedly reduced ion content and improved colour characteristics
JP2016522187A (ja) 水素化糖の内部脱水の少なくとも1つの生成物を含有する組成物の安定化方法、結果として生じる組成物およびその使用
US9321784B2 (en) Hydrogenation of isohexide products for improved color
KR20140105193A (ko) 저급 증류물로부터 고순도의 무수당 알코올을 제조하는 방법
KR101624571B1 (ko) 투명성이 향상된 무수당 알코올의 고수율 제조방법
KR20140105192A (ko) 결정화 용매와 세척 용매를 달리 하여 투명성이 향상된 무수당 알코올을 고수율로 제조하는 방법
KR20140105194A (ko) 저급 증류물로부터 고순도의 무수당 알코올을 고수율로 제조하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8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