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04079A - 부싱형 베어링 유닛 - Google Patents

부싱형 베어링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04079A
KR20030004079A KR1020020036246A KR20020036246A KR20030004079A KR 20030004079 A KR20030004079 A KR 20030004079A KR 1020020036246 A KR1020020036246 A KR 1020020036246A KR 20020036246 A KR20020036246 A KR 20020036246A KR 20030004079 A KR20030004079 A KR 200300040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ring
outer ring
axial
stop buffer
bear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62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05865B1 (ko
Inventor
베르너 헤틀러
Original Assignee
칼 프로이덴베르크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칼 프로이덴베르크 카게 filed Critical 칼 프로이덴베르크 카게
Publication of KR200300040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40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58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5865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7/00Elastic or yielding bearings or bearing supports,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 F16C27/06Elastic or yielding bearings or bearing supports,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by means of parts of rubber or like materi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36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 F16F1/38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with a sleeve of elastic material between a rigid outer sleeve and a rigid inner sleeve or pin, i.e. bushing-type
    • F16F1/3863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with a sleeve of elastic material between a rigid outer sleeve and a rigid inner sleeve or pin, i.e. bushing-type characterised by the rigid sleeves or pin, e.g. of non-circular cross-s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36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 F16F1/38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with a sleeve of elastic material between a rigid outer sleeve and a rigid inner sleeve or pin, i.e. bushing-type
    • F16F1/387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with a sleeve of elastic material between a rigid outer sleeve and a rigid inner sleeve or pin, i.e. bushing-type comprising means for modifying the rigidity in particular dir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ort Of The Bearing (AREA)
  • Springs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부 링(2), 엘라스토머 외피(3) 및 내부 지지부(4) 그리고 그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고무 스프링(5, 6)을 가진 부싱형 베어링 유닛(1)에 대한 것이며, 이 경우에 상기 외부 링(2)과 주하중(10) 방향으로 위치하는 멈춤 완충부(7) 사이에는 축방향 관통부(8, 9)가 제공되며, 가능한한 조기에 인장 방향으로 진행이 시작되도록 하기 위하여, 주하중 방향(10)으로 위치하는 상기 멈춤 완충부(7) 및 외부 링(2)에 있는 내부 엘라스토머 외피(3)가 베어링(1)의 축방향으로 배치된, 기준 파열 지점으로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12)에 의해 상기 베어링의 최초 사용 이전에 서로 결합된다.

Description

부싱형 베어링 유닛{BEARING UNIT IN THE FORM OF BUSHING}
본 발명은 엘라스토머 외피를 가진 외부 링 및 내부 지지부 그리고 그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고무 스프링을 가진 부싱형 베어링 유닛에 대한 것이다.
상기 종류의 공지된 베어링 유닛에서는 고무 스프링이 외부 링과 지지부 사이에 있는 간격 내에서 가황된다. 이러한 공정방식은 상기 가황처리에 이어지는 베어링의 냉각시에 상기 고무 스프링의 수축이 발생되는 속성을 가지고 있으며, 결과적으로 이것은 간격의 확대를 초래하는데, 상기 확대된 간격은 원하는 베어링 특성과 관련하여 부정적으로 영향을 끼칠 수 있다.
상기 언급된 단점을 방지하기 위하여, DE 38 40 176 C2호에서는 상기 확대된 갭 내부로 부가물을 삽입하는 것이 공지되어 있으며, 상기 부가물에 의해 탄성적인 초기 응력이 얻어진다. 외부 면 상에 엘라스토머 외피가 구비되지 않은 베어링은 해당 홀더에 내장될 때 문제없이 보정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보정은 상기 베어링 유닛이 전술한 부가물 없이도 형성될 수 있도록 해주며, 홀더 내로 삽입될 수 있도록 해준다. 이 경우에 전체적으로 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상기 갭을 없앨 수 있다.
그러나 외부 링에 엘라스토머 외피가 제공되어 있는 베어링의 경우에는, 상기 보정이 매우 어렵다. 한편 상기 엘라스토머 외피는 금속 외부 링의 경우 부식 방지를 위해 상대적으로 고비용이 들지 않는다는 장점을 갖는다. 대개 고무 스프링은 축방향 관통부에 의해 완성될 수 있는데, 그러나 상기 축방향 관통부는 또한, 되튐시에 상기 축방향 관통부(및 수축 크기)가 메워져야하는 단점이 있는데, 고객의 요구에 따른 스프링의 특성은 이점에 부합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저렴하게 제조될 수 있으며, 축방향 관통부 및 수축 갭이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탄성의 진행 과정이 조기에 시작되는 베어링 유닛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베어링 유닛의 횡단면도이며,
도 2는 상기 베어링 유닛의 종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베어링 유닛 2: 외부 링
3: 엘라스토머 외피 4: 지지부
5, 6: 고무 스프링 7: 멈춤 완충부
8, 9: 축방향 관통부 10: 주하중 방향
11: 멈춤 완충부 12: 돌출부
상기 목적은 엘라스토머 외피를 가진 외부 링 및 내부 지지부 그리고 그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고무 스프링을 가진 부싱형 베어링 유닛에 의해 달성되며, 이 경우에 본 발명에 따라서, 원하는 베어링 특성을 얻기 위하여 상기 외부 링과 주하중 방향에 있는 내부 지지부 또는 멈춤 완충부 사이에 축방향 관통부가 제공됨으로써, 상기 주하중 방향으로 위치하는 멈춤 완충부 및 외부 링에 있는 내부 엘라스토머 외피가 베어링의 축방향으로 배치된, 기준 파열 지점으로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에 의해 상기 베어링의 최초 사용 이전에 서로 결합된다.
상기 베어링이 이와 같이 형성되면 축방향 관통부에 의해 베어링이 제조됨으로써, 수축으로 인하여 생겨나는 단점들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베어링의 외부 링과 멈춤 완충부 사이에 조립된 베어링에서 상기 축방향 관통부에는 갭이 형성되는데, 상기 갭의 크기는 고무 스프링의 수축 크기 및 상기 축방향 관통부에 의해 만들어진 자유 경로에 따라 정해진다. 상기 내부 지지부 또는 멈춤 완충부와 외부 링 사이에 방치되어 있는 돌출부는 수축시 발생되는 힘에 저항하지 못한다. 상기 베어링의 최초 사용시에 상기 돌출부는 기준 파열 지점에서 파열된다. 상기 외부 링 또는 멈춤 완충부에 남겨진 상기 돌출부의 파열된 파편들은 놀랍게도 극단적으로 유리하게 탄성의 진행에 작용한다. 우선적으로 상기 돌출부의 파열된 토막들이 서로간에 맞닿기 때문에, 되튐시에 보다 조기에 멈춤이 일어난다. 이것은 일련의 작용에 따라 베어링의 스프링 활동에 분명한 영향을 끼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 의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에 도시된 베어링 유닛(1)은 기본적으로 엘라스토머 외피(3)가 제공된외부 링(2) 및 내부 지지부(4) 그리고 고무 스프링(5 및 6)으로 형성되어 있다. 멈춤 완충부(7)와 외부 링(2) 사이에는 축방향 관통부(8 및 9)가 있다. 상기 멈춤 완충부(7)는 화살표로 표시되어 있는 주하중(10)의 방향으로 위치한다. 베어링은 무엇보다도 V자형으로 형성된 상기 스프링(5 및 6)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스프링(5 및 6) 사이에는 멈춤 완충부(7)가 위치한다.
상기 양 축방향 관통부(8 및 9) 사이에는 베어링의 완성시 돌출부(12)가 방치되는데, 상기 돌출부는 상기 엘라스토머 외피(3)와 멈춤 완충부(7)를 서로 결합시킨다. 상기 관통부(8 및 9)의 갭의 크기는 일반적으로 제조상 필연적으로 생겨난다. 또한 기준 파열 지점을 가진 다수의 돌출부가 배치될 수 있다.
도 2에서는 상기 베어링(1)의 종단면이 도시된다. 상기 종단면은 주하중(10) 방향에 있는 단면에 해당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베어링(1)의 길이보다 더 짧은 돌출부(12)의 길이를 볼 수 있다. 상기 외부 링(2)의 왼쪽 면은 플랜지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엘라스토머 외피(3)에 의해 완전히 둘러싸여 있다. 상기 지지부(4)는 금속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스프링의 다리(5 및 6) 상에서 지지된다. 베어링의 최초 굴절 진행시에 지지부(4)에 의해 남겨진 경로가 크기 때문에, 상기 돌출부(12)가 파열될 수 있다. 상기 베어링(1)이 되튀게 되고, 상기 지지부(4)의 멈춤 완충부가 먼저 상기 파열된 돌출부에까지 이동하고, 그런 다음에 상기 외부 링(2)에까지 윗쪽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파열된 돌출부(12)는 그러나 다시 그 파편들과 함께 작용된다.
본 발명에 의해, 저렴하게 제조될 수 있으며, 축방향 관통부 및 수축 갭이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탄성의 진행 과정이 조기에 시작되는 베어링 유닛이 제공될 수 있다.

Claims (1)

  1. 외부 링(2), 엘라스토머 외피(3) 및 내부 지지부(4) 그리고 그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고무 스프링(5, 6)을 가지며, 원하는 스프링 특성을 얻기 위하여 상기 외부 링(2)과 주하중(10) 방향으로 위치하는 멈춤 완충부(7) 사이에 축방향 관통부(8, 9)가 제공되는 부싱형 베어링 유닛(1)에 있어서,
    상기 주하중 방향(10)으로 위치하는 멈춤 완충부(7) 및 상기 외부 링(2)의 내부 엘라스토머 외피(3)가 상기 베어링(1)의 축방향으로 배치된, 기준 파열 지점으로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12)에 의해 상기 베어링의 최초 사용 이전에 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어링 유닛.
KR10-2002-0036246A 2001-06-27 2002-06-27 부싱형 베어링 유닛 KR10050586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131105.2 2001-06-27
DE10131105A DE10131105C1 (de) 2001-06-27 2001-06-27 Aggregatelager in Buchsenfor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4079A true KR20030004079A (ko) 2003-01-14
KR100505865B1 KR100505865B1 (ko) 2005-08-03

Family

ID=76897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6246A KR100505865B1 (ko) 2001-06-27 2002-06-27 부싱형 베어링 유닛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651966B2 (ko)
EP (1) EP1270986A3 (ko)
JP (1) JP3847670B2 (ko)
KR (1) KR100505865B1 (ko)
DE (1) DE10131105C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8384B1 (ko) * 2020-08-26 2021-02-22 주식회사 대흥알앤티 복수의 브리지형 고무절연체를 가진 차량용 진동감쇠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22883B2 (ja) * 2007-06-20 2011-07-13 山下ゴム株式会社 トルクロッド
US20100229617A1 (en) * 2009-03-13 2010-09-16 Freudenberg-Nok General Partnership Swaging Operation For Relieving Stress From A Bushing Flange
KR101210383B1 (ko) * 2010-11-05 2012-12-10 주식회사 파브코 코어의 상향진폭이 작은 부시마운트의 제조방법
US8985260B2 (en) 2013-02-06 2015-03-24 Honda Motor Co., Ltd. Vehicle including exhaust system attached to sub-frame
US9205733B2 (en) 2013-02-06 2015-12-08 Honda Motor Co., Ltd. Vehicle including mount devices for coupling a sub-frame with a main frame
KR102479485B1 (ko) * 2016-12-13 2022-12-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분산된 스토퍼들을 가지는 자동차의 트랜스미션 마운트
JP2019031232A (ja) * 2017-08-09 2019-02-28 日野自動車株式会社 エンジンマウント構造及びこれを用いたエンジン組付方法
FR3077348B1 (fr) * 2018-02-01 2020-01-10 Renault S.A.S. Articulation elastique dont une douille interne comporte une zone de rupture
FR3088975B1 (fr) 2018-11-23 2020-12-04 Vibracoustic Nantes Sas Bague de palier de suspension pour véhicule automobile comprenant une portion sacrificielle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48342U (ja) * 1982-03-29 1983-10-05 東海ゴム工業株式会社 緩衝装置
FR2595426B2 (fr) * 1986-01-22 1989-09-15 Peugeot Articulation hydro-elastique
EP0295795B1 (en) * 1987-06-17 1993-08-04 BTR plc Fluid-damped resilient bush
DE3840176A1 (de) * 1988-11-29 1990-05-31 Freudenberg Carl Fa Huelsengummifeder
JPH0747975B2 (ja) * 1989-12-19 1995-05-24 東海ゴム工業株式会社 ダンパー付筒型マウント装置
JPH03193528A (ja) * 1989-12-25 1991-08-23 Nissan Motor Co Ltd パワープラント支持構造
US5295653A (en) * 1991-10-11 1994-03-22 Toyoda Gosei Co., Ltd. Vibration insulator having bracket
JPH07167184A (ja) * 1993-12-15 1995-07-04 Bridgestone Corp 防振装置
JPH07280013A (ja) * 1994-04-14 1995-10-27 Kurashiki Kako Co Ltd 防振ブッシュ
US5865429A (en) * 1994-05-18 1999-02-02 Caoutchouc Manufacture Et Plastiques Elastic support including at least two cylindrical sleeves with folds
EP0809039A1 (de) * 1996-05-24 1997-11-26 Firma Carl Freudenberg Hülsengummifeder
DE19746192A1 (de) * 1997-10-18 1999-05-06 Freudenberg Carl Fa Lageranordnung
JP3509602B2 (ja) * 1998-03-23 2004-03-22 東海ゴム工業株式会社 防振装置
JP3164101B2 (ja) * 1999-05-18 2001-05-08 東海ゴム工業株式会社 防振装置
US6439557B1 (en) * 2001-01-03 2002-08-27 Delphi Technologies, Inc. Thermal isolator for vehicle moun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8384B1 (ko) * 2020-08-26 2021-02-22 주식회사 대흥알앤티 복수의 브리지형 고무절연체를 가진 차량용 진동감쇠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05865B1 (ko) 2005-08-03
DE10131105C1 (de) 2003-01-02
US6651966B2 (en) 2003-11-25
US20030001324A1 (en) 2003-01-02
JP2003049901A (ja) 2003-02-21
EP1270986A2 (de) 2003-01-02
JP3847670B2 (ja) 2006-11-22
EP1270986A3 (de) 2004-0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0004080A (ko) 부싱형 베어링 유닛
KR20030004079A (ko) 부싱형 베어링 유닛
US4630806A (en) Liquid-filled elastomeric bushings
US20200362938A1 (en) Anti-vibration device
KR20060031796A (ko) 수직 장착 용 유압 완충 고무 부싱 베어링
KR101420204B1 (ko) 볼 조인트
JP4273703B2 (ja) ブッシュ軸受
US20040007833A1 (en) Seal for an endless track
CN100416116C (zh) 用于万向球节的球头壳体以及万向球节
JP2010060022A (ja) 防振ブッシュ
JPS6034541A (ja) 弾性ブツシユ
KR20090127155A (ko) 탄성 중합체-금속-베어링용의 탄성 중합체-금속-소자, 특히 돔 모듈과 차량 사이에서 베어링 연결부로 사용되는 탄성 중합체-금속-소자
JP5798778B2 (ja) 防振装置
JP2007071395A (ja) ブッシュ
WO2020129891A1 (ja) 液封ブッシュ
KR100483998B1 (ko) 유압 댐핑 고무부시
JP2020097992A (ja) 液封ブッシュ
US20210062564A1 (en) Damper
KR102466970B1 (ko) 엔진마운트의 구조
JP4870028B2 (ja) 防振装置
JP2019086099A (ja) 防振装置
JP7206493B2 (ja) ダンパー
JP7183118B2 (ja) 液封ブッシュ、およびサスペンション装置
WO2020129896A1 (ja) 液封ブッシュ
WO2023157764A1 (ja) サーマルプロテ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