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0383B1 - 코어의 상향진폭이 작은 부시마운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코어의 상향진폭이 작은 부시마운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0383B1
KR101210383B1 KR1020100109545A KR20100109545A KR101210383B1 KR 101210383 B1 KR101210383 B1 KR 101210383B1 KR 1020100109545 A KR1020100109545 A KR 1020100109545A KR 20100109545 A KR20100109545 A KR 20100109545A KR 101210383 B1 KR101210383 B1 KR 1012103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e
stopper
rubber
exterior
m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95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48103A (ko
Inventor
조남일
우문만
류경민
이병화
박종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파브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파브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파브코
Priority to KR10201001095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0383B1/ko
Publication of KR201200481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81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03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0383B1/ko

Links

Images

Abstract

본 발명은 가황공정시에 상기 상부스톱퍼의 기단이 코어의 윗면에 일체로 접착되게 하고 상기 상부스톱퍼의 선단이 상기 코어의 윗면과 마주하는 외관의 내주면 부분과 접착되지 않게 함으로써, 가황공정 만에 의해 상기 코어의 상향진폭이 0.5~1mm 범위내에 있도록 함으로써, 웨이징작업과 같은 치수조정작업, 금형폐기, 치수조정이 불가능한 부시마운트의 폐기 등을 배제시켜서 종래보다 상당히 제조단가를 낮출 수 있다.

Description

코어의 상향진폭이 작은 부시마운트의 제조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부시 마운트{method for manufacturing bush mound of which core is small in upward amplitude and bush mount manufactured by the method}
본 발명은 코어의 상향진폭이 작은 부시마운트를 가황에 의하여 제조하는 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부시 마운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엔진과 차체 사이에 개재되어 엔진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차체에 전달되는 것을 방진하는 방진부재로서의 부시 마운트에서 코어의 상향진폭이 0.5mm ~ 1mm인 것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부시 마운트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재형의 외관(1), 철재의 코어(2) 및 상기 외관과 코어 사이에 배치되어 가황공정에 의해 상기 외관과 코어에 일체로 결합된 탄성체인 고무(3)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상기 종래의 부시 마운트에는 기하학적 형상을 갖고 그 두께가 후육부로 되어 있고, 상기 코어(2), 고무(3), 및 외관(1)에 의해 구획형성된 공간의 상하좌우에서 기단이 상기 외관(1)에 가황공정에 의해 일체화되어 코어 쪽으로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고무재질의 상하좌우측스톱퍼(4, 5, 6, 7)가 구비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부시마운트는 파워플랜트에서 전달되는 부하를 코어(2), 고무(3) 순으로 전달받아, 고무(3)가 변형되어서, 결국, 코어(2)가 상기 4개의 스톱퍼들(4, 5, 6, 7)중 어느 하나의 스톱퍼 쪽으로 근접되게 한다.
만약, 파워플랜트에서 설계 이상의 힘이 상기 코어에 전달되면, 상기 코어(2)가 상기 4개의 스톱퍼들(4, 5, 6, 7)중 어느 하나의 스톱퍼와 접촉하여 더 이상의 변위가 제한된다.
이러한 구조를 가진 종래의 부시 마운트에서는 상기 코어(2)와 상기 4개의 스톱퍼들(4, 5, 6, 7) 간의 이격거리가 상기 파워플랜트의 진폭범위의 한정과 상기 고무(3)의 탄성변형 한정의 관점에서 중요한 인자로 된다.
이러한 특성을 가진 부시 마운트에 있어서, 차종에 따라(예를 들면 고가의 차종), 상기 코어(2)와 상기 상부스톱퍼(4) 간의 이격거리가 0.5~1mm로 설정되어 있다.
하지만, 가황공정시에 상기 코어(2)의 외측 둘레면과 상기 외관(1)의 내주면에 전체적으로 금속재질과 친화력이 있는 제1접착테이프와 고무재질과 친화력이 있는 제2접착테이프를 접착한 다음 금형에 상기 외관(1)과 상기 코어(2)를 삽입하고 빈공간이 될 부분(S)에 금형이 채워지게 한 다음, 가황공정에 의해 상기 상측스톱퍼(4)와 상기 코어(2) 간의 이격거리를 0.5~1mm로 맞추는 것은 매우 어려운 것이다.
그 이유는 이격거리가 작은면 작을 수록 그 부분에 대한 금형의 두께가 국소적으로 얇게 되어, 가황공정시에 고압으로 금형에 고무를 삽입하게 되면, 그 얇은 국소부분에서 변형이 발생되게 되어, 변형된 금형을 버리고 다시 새로이 금형을 만들어야만 할 뿐만 아니라, 제조 완료된 부시 마운트를 검사하여 보면 상기 상부스톱퍼(4)와 상기 코어(2) 간의 이격거리가 설계치수와 다른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되기 때문이다.
상기 상부스톱퍼(4)와 상기 코어(2) 간의 이격거리가 설계치수와 다르게 되면, 상기 코어(2)와 상기 상부스톱퍼(4) 간의 이격거리를 조정하기 위해서는, 상기 외관(1)의 치수보다 축경된 금형에 상기 외관(1)을 관통시켜 상기 외관(1)을 축경시켜서 상기 이격거리를 단축시키는 방식이 채택되고 있다.
더욱이, 이러한 방식은 상기 코어(2)와 상기 상부스톱퍼(4) 간의 이격거리가 설계치수보다 더 긴 경우에는 상기 외관(1)을 확경시킬 수가 없어서, 제조된 부시 마운트의 제품을 폐기시켜야 한다는 문제점을 야기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함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가황공정시에 상기 상부스톱퍼의 기단이 코어의 윗면에 일체로 접착되게 하고 상기 상부스톱퍼의 선단이 상기 코어의 윗면과 마주하는 외관의 내주면 부분과 접착되지 않게 함으로써, 상기 과제를 해결하였다.
본 발명은, 가황공정 만에 의해 상기 코어의 진폭, 즉 상향변위가 0.5~1mm 범위내에 있도록 함으로써, 웨이징작업과 같은 치수조정작업, 금형폐기, 치수조정이 불가능한 부시마운트의 폐기 등을 배제시켜서 종래보다 상당히 제조단가를 낮출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부시 마운트의 평면도,
도 2는 본 실시예의 부시 마운트의 평면도.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부시 마운트를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에는 본 실시예의 부시 마운트가 부호 100으로 지시되어 있다.
상기 부시 마운트는, 종래와 같이, 철재의 외관(10), 상기 외관(10) 내에 배치된 철재의 코어(20), 상기 코어(20)를 사이에 두고 상기 외관(10) 내에 상하좌우로 배치된 탄성체인 고무재질의 상하좌우측스톱퍼(40, 50, 60, 70), 및 상기 외관(10)과 상기 코어(20) 사이에 배치되어 가황공정에 의해 상기 외관(10)과 상기 코어(20)에 일체로 결합되되 상기 코어(20)에 외접되어 있고 상기 하측스톱퍼(50)와 상기 좌측스톱퍼(60) 사이에 그리고 상기 하측스톱퍼(50)와 상기 우측스톱퍼(70) 사이에 개재되게 상기 코어(20)에서 상기 외관(10)쪽으로 뻗어서 양단이 상기 코어(20)와 상기 외관(10)에 일체화되어 있는 탄성체인 고무(30)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상기 상하좌우측스톱퍼(40, 50, 60, 70)는 기하학적 형상을 갖고 그 두께가 후육부로 되어 있다.
상기 상하좌우측스톱퍼(40, 50, 60, 70)들중 상기 하측스톱퍼(50), 상기 좌측스톱퍼(60) 및 상기 우측스톱퍼(70)는 기단이 상기 외관(10)에 가황공정에 의해 일체화되어 코어 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나머지 상기 상측스톱퍼(40)는 기단이 상기 코어(20)의 윗면에 가황공정에 의해 일체화되어 상기 코어(20)의 윗면과 마주하는 외관(10)의 내주면 부분 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하측스톱퍼(50)의 방사상 바깥쪽 부위의 양측은 상기 외관(10)의 내주면에 상기 하부스톱퍼(50)의 두께보다 얇은 제1경계고무층(51)에 의해 상기 고무(30)와 일체화되어 있고, 상기 좌측스톱퍼(60)의 방사상 바깥쪽 부위의 하단측은 상기 외관(10)의 내주면에 상기 좌측스톱퍼(60)의 두께보다 얇은 제2경계고무층(61)에 의해 상기 고무(30)와 일체화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우측스톱퍼(70)의 방사상 바깥쪽 부위의 하단측은 상기 외관(10)의 내주면에 상기 우측스톱퍼(70)의 두께보다 얇은 제3경계고무층(71)에 의해 상기 고무(30)와 일체화되어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 3경계고무층(51, 61, 71)은 모두 상기 외관(10)에 내접되어 상기 외관(10)과도 가황공정에 의해 일체화되어 있다.
또한, 상기 외관(10) 내에는, 하측공간(S1)이 상기 고무(30), 상기 하측스톱퍼(50) 및 상기 제1경계고무층(51)에 의해 구획형성되어 있고, 좌측공간(S2)이 상기 고무(30), 상기 좌측스톱퍼(60), 제2경계고무층(61) 및 외관(10)에 의해 구획형성되어 있고, 우측공간(S3)이 상기 고무(30), 상기 우측스톱퍼(70), 제3경계고무층(71) 및 외관(10)에 의해 구획형성되어 있고, 그리고 상측공간(S4)이 방사상 바깥쪽에서 양측이 상기 좌우측공간(S2, S3)과 유통한 상태에서 상기 상측스톱퍼(40)와 상기 외관(10)에 의해 구획형성되어 있다.
또한, 가황공정시에 상기 코어(20)와 상기 고무(30)의 용이한 결합을 위해, 상기 코어(20)의 외측 둘레면에는 전체적으로 금속재질과 친화력이 있는 제1접착테이프(81)와 고무재질과 친화력이 있는 제2접착테이프(82)가 순차적으로 접착되어 있다.
그리고 가황공정시에 상기 외관(10)에 대한 상기 고무(30), 상기 하측스톱퍼(50), 상기 좌측스톱퍼(60), 상기 우측스톱퍼(70), 및 상기 제1 내지 제3경계고무층(51, 61, 71)의 용이한 결합을 위해, 상기 좌우측공간(S2, S3) 및 상기 상측공간(S4)를 구획형성하는 상기 외관(10)의 내주면을 제외한 모든 외관(10)의 내주면에는 금속재질과 친화력이 있는 제1접착테이프(81)와 고무재질과 친화력이 있는 제2접착테이프(82)가 순차적으로 접착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배치된 상기 부시 마운트(100)는, 가황공정용 금형(도시되지 않음)에 상기 제1 및 제2접착테이프(81, 82)가 접착된 외관(10)과 상기 제1 및 제2접착테이프(81, 82)가 접착된 코어(20)를 배치시킨 다음, 고무(30), 및 하좌우측스톱퍼(50, 60, 70)가 배치되는 상기 금형의 캐비티와 그리고 상측스톱퍼(40)가 배치되는 다른 캐비티로서 상기 외관(10)과 협력하여 형성된 상기 금형의 상기 다른 캐비티에 고무를 충전시켜서 가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즉, 상기 부시 마운트(100)는 가황공정시에, 가황공정용 금형(도시되지 않음)에 상기 제1 및 제2접착테이프(81, 82)가 접착된 외관(10)과 상기 제1 및 제2접착테이프(81, 82)가 접착된 코어(20)를 배치시킨 다음, 상기 하측공간(S1) 및 상기 좌우측공간(S2, S3)을 상기 금형의 일부분이 채우게 하고 나서, 상기 금형에 형성된 고무(30), 상하좌우측스톱퍼(40, 50, 60, 70) 및 제1 내지 제3경계고무층(51, 61, 71)이 배치되는 상기 금형의 캐비티와 상기 상측공간(S4)을 위한 상기 금형의 캐비티에 고무를 충전시켜서 가황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설명에서 가황공정용 금형이 도시 및 상세되지 않은 이유는 상기 금형이 발명의 대상이 아니며, 또한 상기 금형을 본 실시예의 방법에 맞게 구현시키는 것이 당해업자가 용이하기 때문이다.
상기 가황공정에 의해, 상기 상측스톱퍼(40)의 선단이 상기 외관(10)의 내주면으로부터 0.5~1mm의 간격을 갖고서 이격될 수 있다. 그 이유는 상기 가황공정시에 상기 상측스톱퍼(40)와 마주하는 상기 외관(10)의 내주면 부분에 제1 및 제2첩착테이프(81, 82)가 접착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상측스톱퍼(40)가 형성될 공간과 상기 상측공간(S4)에 생고무가 충전되어 가황처리되어서, 상기 충전된 가황고무가 상기 외관(10)과의 친화력이 없어서, 자연스럽게 상기 외관(10)의 내주면으로부터 떨어지게 되며, 이 떨어지는 정도는 요구되는 0.5~1mm 범위내에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가황공정과 상측스톱퍼의 배치로 인해, 종래에 발생되었던 웨이징작업과 같은 치수조정작업, 금형폐기, 치수조정이 불가능한 부시마운트의 폐기 등을 배제시켜서 종래보다 상당히 부시마운트의 제조단가를 낮출 수 있다.
10; 외관, 20; 코어, 30; 고무, 40; 상측스톱퍼, 50; 하측스톱퍼, 51; 제1경계고무층, 60; 좌측스톱퍼, 61; 제2경계고무층, 70; 우측스톱퍼, 71; 제3경계고무층, 81; 제1접착테이프, 82; 제2접착테이프, S1; 하측공간, S2; 좌측공간, S3; 우측공간, S4; 상측공간, 100; 부시 마운트

Claims (4)

  1. 철재형의 외관(10),
    상기 외관(10) 내에 배치된 철재형의 코어(20),
    상기 코어(20)를 사이에 두고 상기 외관(10) 내에 상하좌우로 배치된 탄성체인 고무재질의 상하좌우측스톱퍼(40, 50, 60, 70), 및
    상기 외관(10)과 상기 코어(20) 사이에 배치되어 가황공정에 의해 상기 외관(10)과 상기 코어(20)에 일체로 결합되되 상기 코어(20)에 외접되어 있고 상기 하측스톱퍼(50)와 상기 좌측스톱퍼(60) 사이에 그리고 상기 하측스톱퍼(50)와 상기 우측스톱퍼(70) 사이에 개재되게 상기 코어(20)에서 상기 외관(10)쪽으로 뻗어서 양단이 상기 코어(20)와 상기 외관(10)에 일체화되어 있는 탄성체인 고무(30)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상하좌우측스톱퍼(40, 50, 60, 70)가 기하학적 형상을 갖고 그 두께가 후육부로 되어 있는 부시 마운트에 있어서,
    상기 상측스톱퍼(40)는 기단이 상기 코어(20)의 윗면에 가황공정에 의해 일체화되어 선단이 상기 코어(20)의 윗면과 마주하는 외관(10)의 내주면 부분 쪽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가황공정시에, 상기 코어(20)의 외측 둘레면에는 전체적으로 금속재질과 친화력이 있는 제1접착테이프(81)와 고무재질과 친화력이 있는 제2접착테이프(82)가 순차적으로 접착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상측스톱퍼(40)와 마주하는 외관(10)의 내주면 부분을 제외한 모든 외관(10)의 내주면에는 금속재질과 친화력이 있는 제1접착테이프(81)와 고무재질과 친화력이 있는 제2접착테이프(82)가 순차적으로 접착되어 있는 상태에서,
    가황공정용 금형에 상기 제1 및 제2접착테이프(81, 82)가 접착된 외관(10)과 상기 제1 및 제2접착테이프(81, 82)가 접착된 코어(20)를 배치시킨 다음, 고무(30), 및 하좌우측스톱퍼(50, 60, 70)가 배치되는 상기 금형의 캐비티와 그리고 상측스톱퍼(40)가 배치되는 상기 금형의 다른 캐비티로서 상기 외관(10)과 협력하여 형성된 상기 금형의 상기 다른 캐비티에 고무를 충전시켜서 가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의 상향진폭이 작은 부시마운트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스톱퍼(50)의 방사상 바깥쪽 부위의 양측은 상기 외관(10)의 내주면에 상기 하부스톱퍼(50)의 두께보다 얇은 제1경계고무층(51)에 의해 상기 고무(30)와 일체화되어 있고, 상기 좌측스톱퍼(60)의 방사상 바깥쪽 부위의 하단측은 상기 외관(10)의 내주면에 상기 좌측스톱퍼(60)의 두께보다 얇은 제2경계고무층(61)에 의해 상기 고무(30)와 일체화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우측스톱퍼(70)의 방사상 바깥쪽 부위의 하단측은 상기 외관(10)의 내주면에 상기 우측스톱퍼(70)의 두께보다 얇은 제3경계고무층(71)에 의해 상기 고무(30)와 일체화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내지 제 3경계고무층(51, 61, 71)은 모두 상기 외관(10)에 내접되어 상기 외관(10)과도 가황공정에 의해 일체화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의 상향진폭이 작은 부시마운트의 제조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외관(10) 내에는, 하측공간(S1)이 상기 고무(30), 상기 하측스톱퍼(50) 및 제1경계고무층(51)에 의해 구획형성되어 있고, 좌측공간(S2)이 상기 고무(30), 상기 좌측스톱퍼(60), 제2경계고무층(61) 및 외관(10)에 의해 구획형성되어 있고, 우측공간(S3)이 상기 고무(30), 상기 우측스톱퍼(70), 제3경계고무층(71) 및 외관(10)에 의해 구획형성되어 있고, 그리고 상측공간(S4)이 방사상 바깥쪽에서 양측이 상기 좌우측공간(S2, S3)과 유통한 상태에서 상기 상측스톱퍼(40)와 상기 외관(10)에 의해 구획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의 상향진폭이 작은 부시마운트의 제조방법.
  4. 삭제
KR1020100109545A 2010-11-05 2010-11-05 코어의 상향진폭이 작은 부시마운트의 제조방법 KR1012103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9545A KR101210383B1 (ko) 2010-11-05 2010-11-05 코어의 상향진폭이 작은 부시마운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9545A KR101210383B1 (ko) 2010-11-05 2010-11-05 코어의 상향진폭이 작은 부시마운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8103A KR20120048103A (ko) 2012-05-15
KR101210383B1 true KR101210383B1 (ko) 2012-12-10

Family

ID=462665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9545A KR101210383B1 (ko) 2010-11-05 2010-11-05 코어의 상향진폭이 작은 부시마운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038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5774B1 (ko) * 2012-06-11 2013-10-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가변 스토퍼를 가지는 마운트 장치
KR101303146B1 (ko) * 2012-08-10 2013-09-09 주식회사 파브코 하이드로 부시 및 그 제조방법
KR102437470B1 (ko) * 2020-12-29 2022-08-30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용 파워트레인의 리어 마운팅 구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88209A (en) 1995-07-20 1998-08-04 Hutchinson Centering maintaining elastic mount for vehicle engine
JP2003049901A (ja) * 2001-06-27 2003-02-21 Carl Freudenberg Kg ブッシュ形状のユニット式マウント
JP2009115136A (ja) * 2007-11-02 2009-05-28 Bridgestone Corp 防振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88209A (en) 1995-07-20 1998-08-04 Hutchinson Centering maintaining elastic mount for vehicle engine
JP2003049901A (ja) * 2001-06-27 2003-02-21 Carl Freudenberg Kg ブッシュ形状のユニット式マウント
JP2009115136A (ja) * 2007-11-02 2009-05-28 Bridgestone Corp 防振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8103A (ko) 2012-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0383B1 (ko) 코어의 상향진폭이 작은 부시마운트의 제조방법
EP2471646A2 (en) Mold assembly
JP5506572B2 (ja) 樹脂ブラケット付き防振装置の製造方法
CN102562893A (zh) 防振装置
CN102562939A (zh) 防振装置
JP6824771B2 (ja) トルクロッド及びその製造方法
JP5576326B2 (ja) 防振装置
JP5798778B2 (ja) 防振装置
JP2012137155A (ja) ストッパゴム部付き防振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983268B1 (ko) 차량용 너클 및 그 제조방법
JP6059996B2 (ja) 防振装置
JP5358323B2 (ja) 防振装置の製造方法
JP6540262B2 (ja) バンプストッパ
JP6898273B2 (ja) 液封入式防振装置
JP4511438B2 (ja) 防振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3714427B2 (ja) ブラケット一体型エンジンマウント
CN105365515A (zh) 车辆用空气弹簧的盖子及其制造方法
JP5918602B2 (ja) 防振ブッシュ
KR101303146B1 (ko) 하이드로 부시 및 그 제조방법
CN102562894A (zh) 防振装置
JP2019138308A (ja) ストラットアッパーマウント
CN108837932A (zh) 食物垃圾处理器的壳体组件和食物垃圾处理器
JP4841404B2 (ja) 防振装置の製法
JP2608538B2 (ja) 防振装置の製造方法
JP2012042041A (ja) 防振ゴム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