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1988Y1 - 아스팔트 도로의 미끄럼 방지를 위한 콘크리트 골판틀블록 구조물 - Google Patents

아스팔트 도로의 미끄럼 방지를 위한 콘크리트 골판틀블록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1988Y1
KR200291988Y1 KR2020020022244U KR20020022244U KR200291988Y1 KR 200291988 Y1 KR200291988 Y1 KR 200291988Y1 KR 2020020022244 U KR2020020022244 U KR 2020020022244U KR 20020022244 U KR20020022244 U KR 20020022244U KR 200291988 Y1 KR200291988 Y1 KR 20029198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rete
corrugated frame
frame structure
asphalt
ro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224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기혁
Original Assignee
(주)동림컨설턴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동림컨설턴트 filed Critical (주)동림컨설턴트
Priority to KR202002002224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198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198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1988Y1/ko

Links

Landscapes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아스팔트를 포설한 도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미끄럼 방지를 위한 골판틀 블록 구조물을 아스팔트를 포설할 때 일정거리마다 설치하여 차량이 주행중 발생되는 슬립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것을 주요 요지로 하는 아스팔트 도로의 미끄럼 방지를 위한 콘크리트 골판틀 블록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아스팔트 도로에 있어서, 상기의 아스팔트 도로에는 길이방향의 일정거리마다 폭 방향을 가로지르도록 바닥 콘크리트판의 상부에 2개의 콘크리트 골판틀 블록 구조물이 설치되는 한편, 상기의 바닥 콘크리트판이 타설된 상부에 설치되는 콘크리트 골판틀 블록 구조물은 상부면이 골판틀 구조를 가지도록 돌출부와 홈부가 번갈아 형성되고 측면에 다수개의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의 콘크리트 골판틀 블록 구조물에는 관통홀에 연결 앵커가 체결되어 2개의 콘크리트 골판틀 블록 구조물이 밀착되도록 결합되며, 상기의 콘크리트 골판틀 블록 구조물의 견고한 결합을 위해 측면에 측면 콘크리트판이 타설된 상태로 콘크리트 골판틀 블록 구조물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스팔트 도로의 미끄럼 방지를 위한 콘크리트 골판틀 블록 구조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아스팔트 도로의 미끄럼 방지를 위한 콘크리트 골판틀 블록 구조물{CONCRETE BLOCK CONSTRUCTION PREVENTING SLOPE OF ASPHALT ROAD}
본 고안은 아스팔트를 포설한 도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미끄럼 방지를 위한 골판틀 블록 구조물을 아스팔트를 포설할 때 일정거리마다 설치하여 차량이 주행중 발생되는 슬립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것을 주요 요지로 하는 아스팔트 도로의 미끄럼 방지를 위한 콘크리트 골판틀 블록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우리나라의 대부분의 도로는 아스팔트를 포설한 아스팔트 도로가 건설되는데, 상기의 아스팔트 도로는 차량이 원활하게 주행할 수 있도록 아스팔트를 일정한 두께로 포설하여 사용하게 된다.
도 1은 일반적인 아스팔트 도로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아스팔트 도로(1)는 하부에서부터 순차적으로 보조기층(2), 베이스층(3), 중간층(4) 및 표층(5)이 형성되어 아스팔트 도로(1)가 건설된다.
이때, 상기의 아스팔트 도로(1)는 일정 두께로 보조기층(2), 베이스층(3), 중간층(4) 및 표층(5)이 형성된다.
상술한 일반적인 구조를 가지는 아스팔트 도로는 여름철이나 대형 차량이 통행하는 경우 아스팔트를 포장한 상부층이 눌림 현상으로 인하여 유제인 타르가 상부로 노출되어 장마철 또는 동절기에 도로의 미끌림 현상이 발생되는 한편, 배수 측구를 통한 배수 처리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에는 주행 차량에 미끌림 현상을 발생시켜 안전 사고를 발생시키는 원인을 제공하게 된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아스팔트 도로의 미끌림 현상을 방지하여 동절기 및 우기시 차량의 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콘크리트 골판틀 블록 구조물을 일정한 거리마다 설치되는 구조를 가지는 아스팔트 도로의 미끄럼 방지를 위한 콘크리트 골판틀 블록 구조물을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아스팔트 도로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아스팔트 도로의 미끄럼 방지를 위한 콘크리트 골판틀 블록 구조물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아스팔트 도로의 미끄럼 방지를 위한 콘크리트 골판틀 블록 구조물이 설치된 사용 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의 아스팔트 도로의 미끄럼 방지를 위한 콘크리트 골판틀 블록 구조물의 제작 설치 순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0' : 콘크리트 골판틀 블록 구조물 11 : 돌출부
12 : 홈부 13 : 관통홀
20 : 연결 앵커 30 : 보조 기층
40 : 바닥 콘크리트판 50 : 측면 콘크리트판
70 : 아스팔트 도로
본 고안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아스팔트 도로에 있어서, 상기의 아스팔트 도로에는 길이방향의 일정거리마다 폭 방향을 가로지르도록 바닥 콘크리트판의 상부에 2개의 콘크리트 골판틀 블록 구조물이 설치되는 한편, 상기의 바닥 콘크리트판이 타설된 상부에 설치되는 콘크리트 골판틀 블록 구조물은 상부면이 골판틀 구조를 가지도록 돌출부와 홈부가 번갈아 형성되고 측면에 다수개의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의 콘크리트 골판틀 블록 구조물에는 관통홀에 연결 앵커가 체결되어 2개의 콘크리트 골판틀 블록 구조물이 밀착되도록 결합되며, 상기의 콘크리트 골판틀 블록 구조물의 견고한 결합을 위해 측면에 측면 콘크리트판이 타설된 상태로 콘크리트 골판틀 블록 구조물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스팔트 도로의 미끄럼 방지를 위한 콘크리트 골판틀 블록 구조물을 제공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성과 작용 상태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아스팔트 도로의 미끄럼 방지를 위한 콘크리트 골판틀 블록 구조물의 사시도로서, 아스팔트 도로가 시공된 경우나 시공되는 경우, 길이방향에 일정거리마다 폭 방향을 가로지르도록 콘크리트 골판틀 블록 구조물(10)(10')이설치된다.
상기의 콘크리트 골판틀 블록 구조물(10)(10')은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제작되는 한편, 상부면이 골판틀 구조를 가지도록 상부로 돌출되는 형태로 돌출부(11)와 하부로 요홈 형태로 홈부(12)가 번갈아 형성되고 측면에 다수개의 관통홀(13)이 형성된다.
상기의 콘크리트 골판틀 블록 구조물(10)(10')에는 관통홀(13)에 연결 앵커(20)가 체결되어 2개의 콘크리트 골판틀 블록 구조물(10)(10')이 밀착되도록 결합된다.
도 3은 본 고안의 아스팔트 도로의 미끄럼 방지를 위한 콘크리트 골판틀 블록 구조물이 설치된 사용 상태도로서, 상기의 아스팔트 도로(70)에는 아스팔트층이 포설되는 경우 도면상 중간부로 보조기층(30)의 상부에 바닥 콘크리트판(40)이 타설되고 상기의 바닥 콘크리트판(40)의 상부에 2개의 콘크리트 골판틀 블록 구조물(10)(10')이 적재되고 이때 상기의 콘크리트 골판틀 블록 구조물(10)(10')의 결합을 위해 측면에 측면 콘크리트판(50)이 타설된다.
도 4는 본 고안의 아스팔트 도로의 미끄럼 방지를 위한 콘크리트 골판틀 블록 구조물의 제작 설치 순서도로서, 상기의 아스팔트 도로(70)에는 아스팔트 포장층이 형성된 폭방향을 일정한 크기로 절단하고 그 절단된 위치에 바닥 콘크리트판(40)을 타설하게 되며, 상기의 바닥 콘크리트판(40)에는 직상부에 콘크리트 골판틀 블록 구조물(10)(10')을 안착시켜 높이가 일정하도록 연결하게 된다.
상술한 아스팔트 도로(70)에 콘크리트 골판틀 블록 구조물(10)(10')이 설치되는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로, 콘크리트 골판틀 블록 구조물(10)(10')을 기성(期成) 제품으로 제작하는 단계이다.
둘째로, 아스팔트 도로(70)의 아스팔트 포장층을 컷팅(cutting)하고 바닥 콘크리트판(40)을 설치하는 단계이다.
셋째로, 바닥 콘크리트판(40)의 상부에 기성 제품으로 제작된 콘크리트 골판틀 블록 구조물(10)(10')을 설치하고 측면 콘크리트판(50)을 설치하는 단계이다.
상술한 순서에 의하여 설치되는 콘크리트 골판틀 블록 구조물(10)(10')에 의하여 아스팔트 도로(70)를 주행하는 차량들은 동절기와 우기시 안전하게 미끄럼(slip) 현상을 방지한 상태에서 주행이 가능하여 주행중 발생될 수 있는 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본 고안의 구성과 작용 상태에 따른 효과를 설명한다.
본 고안의 아스팔트 도로의 미끄럼 방지를 위한 콘크리트 골판틀 블록 구조물은, 동절기 및 우기시 차량의 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콘크리트 골판틀 블록 구조물을 일정한 거리마다 설치하고 상기의 콘크리트 골판틀 블록 구조물의 상부면이 골판틀 형태를 가지도록 설치되는 관계로 아스팔트 도로 상에서 발생될 수 있는 미끄럼 현상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콘크리트 골판틀 블록 구조물이 설치되는 관계로 아스팔트 도로 상에서 계절적 변화에 따라 발생될 수 있는 충돌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안전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아스팔트 도로를 제공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1)

  1. 아스팔트 도로에 있어서,
    상기의 아스팔트 도로(70)에는 길이방향의 일정거리마다 폭 방향을 가로지르도록 바닥 콘크리트판(40)의 상부에 2개의 콘크리트 골판틀 블록 구조물(10)(10')이 설치되는 한편,
    상기의 바닥 콘크리트판(40)이 타설된 상부에 설치되는 콘크리트 골판틀 블록 구조물(10)(10')은 상부면이 골판틀 구조를 가지도록 돌출부(11)와 홈부(12)가 번갈아 형성되고 측면에 다수개의 관통홀(13)이 형성되며,
    상기의 콘크리트 골판틀 블록 구조물(10)(10')에는 관통홀(13)에 연결 앵커(20)가 체결되어 2개의 콘크리트 골판틀 블록 구조물(10)(10')이 밀착되도록 결합되며,
    상기의 콘크리트 골판틀 블록 구조물(10)(10')의 견고한 결합을 위해 측면에 측면 콘크리트판(50)이 타설된 상태로 콘크리트 골판틀 블록 구조물(10)(10')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스팔트 도로의 미끄럼 방지를 위한 콘크리트 골판틀 블록 구조물.
KR2020020022244U 2002-07-25 2002-07-25 아스팔트 도로의 미끄럼 방지를 위한 콘크리트 골판틀블록 구조물 KR20029198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2244U KR200291988Y1 (ko) 2002-07-25 2002-07-25 아스팔트 도로의 미끄럼 방지를 위한 콘크리트 골판틀블록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2244U KR200291988Y1 (ko) 2002-07-25 2002-07-25 아스팔트 도로의 미끄럼 방지를 위한 콘크리트 골판틀블록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1988Y1 true KR200291988Y1 (ko) 2002-10-12

Family

ID=730778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2244U KR200291988Y1 (ko) 2002-07-25 2002-07-25 아스팔트 도로의 미끄럼 방지를 위한 콘크리트 골판틀블록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198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39596B1 (en) Textured tile system and installation method
KR100711569B1 (ko) 포장용 블록
KR200291988Y1 (ko) 아스팔트 도로의 미끄럼 방지를 위한 콘크리트 골판틀블록 구조물
CA2842448C (en) Load-bearing paver and method of installation
KR101972320B1 (ko) 다용도 조립형 보도 블록
JP2676493B2 (ja) 側溝用ブロック及び道路の構造
KR200232743Y1 (ko) 미끄럼 방지용 복공판
JP3125931U (ja) 側溝の道路横断構造
KR100598771B1 (ko) 도로 보도블럭 침하방지 구조
JP2003253744A (ja) 排水性舗装の側溝構造
KR200212558Y1 (ko) 인터록킹형 도로 경계블록
JPH0437982Y2 (ko)
US20050036834A1 (en) Monolithic pour joint
JPS5851208Y2 (ja) 橋,高架道路等構築体
KR200380691Y1 (ko) 보도블록
JP6857943B2 (ja) 側溝ブロック
JP2000234305A (ja) 排水性舗装構造
KR200212269Y1 (ko) 도로설비
JP2526926Y2 (ja) 透水性材料充填グレーチング
JPS5925923Y2 (ja) 道路継目伸縮装置
JPS6233761Y2 (ko)
KR200283516Y1 (ko) 미끄럼 방지용 교량상판 신축이음장치
KR200327801Y1 (ko) 미끄럼 방지용 보행자 도로
JP2020094373A (ja) 橋梁の遊間に設けられる舗装体
TW400403B (en) Cover for concrete drainage bloc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93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