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2301Y1 - 도로표지병 - Google Patents

도로표지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2301Y1
KR200282301Y1 KR2020020010614U KR20020010614U KR200282301Y1 KR 200282301 Y1 KR200282301 Y1 KR 200282301Y1 KR 2020020010614 U KR2020020010614 U KR 2020020010614U KR 20020010614 U KR20020010614 U KR 20020010614U KR 200282301 Y1 KR200282301 Y1 KR 20028230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chor
road
road sign
insertion hole
sign bott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061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환
양승현
나형주
Original Assignee
길라씨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길라씨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길라씨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2001061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230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230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2301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도로표지병에 있어서, 노면 위에 설치되는 표시부와; 상기 표시부의 하부로부터 연장되어 노면의 내측 앵커삽입공에 매입되는 앵커와; 상기 앵커에 결합되며, 상기 앵커의 축선에 대해 반경방향 외측으로 탄성부세하고 상기 앵커가 상기 앵커삽입공으로부터 이탈되는 방향을 따라 상기 앵커삽입공의 내벽면에 걸림유지되는 걸림턱을 갖는 탄성유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간편하게 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공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으며 발암물질인 에폭시수지와 같은 접착제를 이용하지 않으므로 환경 친화적인 도로표지병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도로표지병은 재활용할 수 있으며, 공기중의 상대 습도의 수치 여부, 노면의 건조 상태 여부 등을 포함한 시공 제약 조건에 관계없이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다. 또한, 회전방지돌기를 마련한다면 시공된 도로표지병이 외력에 의해 임의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도로표지병{Road Stud}
본 고안은, 도로표지병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설치구조가 개선된 도로표지병에 관한 것이다.
도로표지병은 운전자가 중앙선을 용이하게 인식하도록 하기 위해 포장된 도로의 중앙선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것이 보통이다. 이러한 도로표지병은 빛에 의해 반사되는 반사체가 설치되는 표시부와, 표시부의 하부로부터 연장되어 노면 내에 매입되는 앵커로 이루어져 있으며, 소정의 조건에 부합되는 규격품으로 제조된다.
도로표지병의 시공 방법은, 건설교통부 및 경찰청에서 공동으로 관리하는 도로 안전시설 설치 및 관리지침의 제5항에 개시되어 있다.
이에 의하면, 먼저, 도로표지병을 설치할 위치를 결정하고 구멍(이를 "앵커삽입공"이라 함)을 뚫는다. 이 때, 앵커삽입공의 깊이는 도로표지병의 앵커의 길이보다 좀 더 깊게 한다. 그런 다음, 노면 상의 먼지나 기름 등의 불순물을 제거한 후, 접착제를 앵커삽입공에 부어 노면의 위치만큼 북돋운다.
도로표지병의 앵커를 앵커삽입공 내에 삽입한 후, 도로표지병의 표시부에 진동을 주면서 앵커의 측면에 접착제가 충분히 도포될 수 있도록 한다. 이 후, 접착제가 완전히 경화될 때까지 방치한 후, 노면의 외측으로 누출된 접착제를 청소함으로써 도로표지병의 시공 작업은 마무리된다.
그런데, 이와 같이 시공하는 방법에 의하면, 도로표지병을 설치한 후, 접착제가 경화되는 시간만큼 기다려야만 하므로 도로표지병의 시공 시간이 비교적 오래 걸리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에는 도로표지병의 설치시간이 길기 때문에 도로의 차량 이동을 통제 시간 역시 오래 걸려 원활한 교통흐름을 기대하기가 어렵다. 따라서, 국가 경제의 전체적인 유통 비용이 증가되는 단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도로를 폭방향으로 확장공사하여 중앙선의 위치가 변경될 경우, 기존에 설치된 도로표지병을 재활용하기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즉, 주로 에폭시수지로 이용되는 접착제의 접착력 때문에 기존에 설치된 도로표지병을 노면으로부터 철거하게 되면, 파손된 아스콘의 잔해 및 접착제가 도로표지병에 달라붙게 된다. 따라서, 아스콘의 잔해를 도로표지병으로부터 제거한 후, 다시 재활용하는 것 역시, 쉽지 않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도로표지병은 시공시, 발암물질인 에폭시수지 등을 이용하기 때문에 환경 친화적이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종래에는 도로표지병의 시공시, 반드시 접착제가 필요하기 때문에 여름철 및 겨울철에는 도로표지병을 시공할 수가 없다. 또한, 눈이나 비가 내리는 상황 하에서도 역시, 도로표지병을 시공할 수 없다는 제약 조건이 있다.
한편, 종래의 도로표지병은 외부 진동이 발생하거나 혹은 자동차의 바퀴가 도로표지병을 밟고 지나갈 경우, 노면에 대해 표시부가 회전될 수도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만일, 표시부가 회전하게 되면 반사체의 설치 각도가 변경되기 때문에 중앙선 인식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설치한 도로표지병은 그 기능을 십분 발휘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회전이 잦을 경우, 앵커삽입공으로부터 도로표지병이 이탈될 수도 있어 사고를 발생시키는 한 요인으로 작용할 수도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간편하게 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공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도록 한 도로표지병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시공시 발암물질인 에폭시수지와 같은 접착제를 이용하지 않으므로 환경 친화적인 도로표지병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재활용하기가 용이한 도로표지병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공기중의 상대 습도의 수치 여부, 노면의 건조 상태 여부 등을 포함한 시공 제약 조건에 관계없이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도록 한 도로표지병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시공된 도로표지병이 외력에 의해 임의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도로표지병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배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분해 사시도,
도 4 내지 도 6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도로표지병의 시공 과정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도로표지병의 설치상태의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도로표지병의 설치상태의 단면도,
도 9는 본 고안의 제4실시예에 따른 도로표지병의 배면 분해 사시도,
도 10은 본 고안의 제5실시예에 따른 도로표지병의 배면 분해 사시도,
도 11은 본 고안의 제6실시예에 따른 도로표지병의 배면 분해 사시도,
도 12는 본 고안의 제7실시예에 따른 도로표지병의 배면 분해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표시부 20 : 앵커
30 : 탄성유지부재 34 : 걸림턱
40 : 이탈방지와셔 50 : 보강플레이트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도로표지병에 있어서, 노면 위에 설치되는 표시부와; 상기 표시부의 하부로부터 연장되어 노면의 내측 앵커삽입공에 매입되는 앵커와; 상기 앵커에 결합되며, 상기 앵커의 축선에 대해 반경방향 외측으로 탄성부세하고 상기 앵커가 상기 앵커삽입공으로부터 이탈되는 방향을 따라 상기 앵커삽입공의 내벽면에 걸림유지되는 걸림턱을 갖는 탄성유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표지병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탄성유지부재는 상기 앵커에 결합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앵커의 측부에 원주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상기 앵커의 축선에 대해 반경방향 외측으로 탄성부세하는 복수의 탄성걸림판부를 갖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걸림턱은 상기 각 탄성걸림판부의 선단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각 탄성걸림판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이중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즉, 상기 탄성유지부재는 상기 앵커의 축선방향을 따라 상기 걸림턱과 상기 앵커삽입공의 내벽면과의 걸림위치와 상이한 걸림위치를 갖는 걸림턱이 형성된 추가의 탄성걸림판부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탄성유지부재의 결합부는 상기 앵커가 억지끼워맞춤되는 압입공으로 마련된다. 이 때, 결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상기 압입공에는 소정의 길이 구간에 걸쳐 절개선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유리하다.
상기 앵커에 삽입되는 관통공을 가지며, 상기 탄성유지부재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앵커로부터 상기 탄성유지부재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와셔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탄성유지부재에 마련되어 상기 앵커가 상기 앵커삽입공 내에서 하향 침몰하는 것을 방지하는 침몰방지턱을 더 마련할 수 있다.
상기 앵커의 단부 영역에는 압입공, 관통공 및 후술할 앵커통과공이 끼워 맞춤되는 단차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표시부가 회전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표시부 측으로부터 상기 노면에 가로로 돌출되어 상기 노면에 삽입되는 회전방지돌기를 더 마련하는 것이 보다 유리하다. 한편, 상기 앵커가 압입되도록 판면에 앵커통과공이 형성되어 있는 보강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회전방지돌기는 상기 보강플레이트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전방지돌기는 상기 보강플레이트의 판면을 절취 절곡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앵커통과공에는 결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소정의 절개선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강플레이트는 용접에 의해 상기 표시부의 저부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회전방지돌기 역시, 상기 표시부에 일체로 마련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에서는 각 실시예들 중, 대표되는 제1실시예에 대해서는 상세하게 설명하며, 나머지 실시예들에 대해서는 제1실시예와 차별되는 부분만 간략하게 설명한다. 그리고, 상세한 설명에서 각 실시예들이 가지는 동일한 구성에 대한 설명이 생략되어 있더라도 실시예들간의 참조부호는 구별한다.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도로표지병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로의 노면(R) 위에 노출되어 차선을 표시하는 표시부(10)와, 표시부(10)의 하부로부터 연장되어 노면(R)의 내측 앵커삽입공(H)에 매설되는 앵커(20)로 이루어져 있다.
표시부(10)는 절두원추 형상을 갖는다. 표시부(10)의 상면에는 홍보용 도안이 각인되는 도안각인부(11)가 마련되어 있으며, 측부에는 둘레방향을 따라 복수의 반사체설치부(12)가 형성되어 있다. 반사체설치부(12)에는 빛에 의해 난반사되는 반사체(13)가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표시부(10)는 절두원추 형상으로 하여 자동차가 도로표지병을 밟더라도 타이어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러나, 표시부(10)는 사각 블록형상을 가질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표시부(10)의 하면은 부분적으로 함몰될 수도 있으며(도 2, 도 3, 도 9 및 도 10 참조), 도 11 및 도 12와 같이, 평평한 판 형태로 될 수도 있다.
표시부(10)와 앵커(20) 사이에는 노면(R)과 나란하게 반경방향으로 연장된 스커트부(15)가 형성되어 있다. 스커트부(15)는 노면(R)에 밀착되어 노면(R)과 표시부(10)간의 경사를 완만하게 보상한다.
앵커(20)는 후술할 탄성유지부재(30)의 압입공(31) 및 이탈방지와셔(40)의 관통공(41), 그리고, 보강플레이트(50)의 앵커통과공(51)과의 형상맞춤을 위해 횡단면 비원형상을 갖도록 되어 있다. 즉, 길이방향을 따라 반경방향 내측으로 함몰된 함몰그루브(21)를 갖는 횡단면 8각면체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앵커(20)는 함몰그루브(21)가 없는 다각면체로 이루어져 있을 수도 있으며(도 10 참조), 횡단면 원기둥 형상을 갖도록 구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도 11 및 도 12 참조).
이러한 앵커(20)는 표시부(10)와 일체로 제조될 수도 있고(도 10 참조), 별도로 제조되어 표시부(10)에 용접될 수도 있으며, 볼트(25, 도 3 참조)에 의해 결합될 수도 있다. 앵커(20)의 단부에는 단차부(23)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들에서 단차부(23)는 압입공(31), 관통공(41) 및 앵커통과공(51)이 압입되어 결합되는 부분으로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앵커(20)에 별도의 단차부(23)가 형성되지 않을 경우에는 압입공(31), 관통공(41) 및 앵커통과공(51)의 크기를 크게 하여 앵커(20)에 결합시키면 된다. 또한, 단차부(23 ~ 23f)는 그 형상이 변경될 수 있다.
탄성유지부재(30)는 앵커(20)의 단차부(23)에 결합되는 결합부와, 결합부로부터 연장되어 앵커(20)의 측부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앵커(20)가 앵커삽입공(H)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앵커(20)의 축선에 대해 반경방향 외측으로 탄성부세하는 탄성걸림판부(33)를 갖는다.
결합부로는 앵커(20)의 단차부(23)의 단면형상과 거의 동일한 형상 및 크기로 천공되어 단차부(23)에 억지끼워맞춤되는 압입공(31)으로 채용되고 있다. 이 때, 압입공(31)에는 소정의 길이 구간에 걸쳐 절개선(미도시)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앵커(20)의 단차부(23)를 압입공(31)으로 억지끼움시킬 경우, 절개선이 벌어지면서 앵커(20)가 압입공(31)으로 용이하게 압입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앵커(20)가 압입공(31) 내에 완전히 압입된 후에는 벌어진 절개선이 다시 앵커(20)의 측부에 밀착됨으로써, 탄성유지부재(30)가 앵커(20)의 단차부(23)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게 된다. 한편, 결합부로는 전술한 압입공(31) 외에도 볼트(32c,32f, 도 9 및 도 12 참조) 등으로 대체하여 앵커(20)에 탄성유지부재(30)를 결합시킬 수도 있으며, 용접 등에 의한 방법을 적용할 수도 있다.
결합부로부터 연장된 탄성걸림판부(33)는 복수개로 마련되어 앵커(20)의 원주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이러한 탄성걸림판부(33)는 앵커(20)의 축선에 대해 반경방향 외측으로 탄성부세한다. 따라서, 앵커(20)가 앵커삽입공(H)으로 삽입될 때, 탄성걸림판부(33)의 선단은 앵커(20)의 측부 측으로 휘어지며 앵커(20)가 앵커삽입공(H)에 완전히 삽입되면 반경방향 외측으로 탄성부세하여 앵커삽입공(H)의 내벽면을 접촉지지하게 된다.
탄성걸림판부(33)에는 앵커(20)의 측면 곡률에 대응하는 곡률면이 형성되는것이 유리하다. 탄성걸림판부(33)의 선단은 앵커(20)가 앵커삽입공(H)으로부터 이탈되는 방향을 따라 앵커삽입공(H)의 내벽면에 걸림유지되는 적어도 하나의 걸림턱(34)을 형성한다.
앵커(20)의 단차부(23)에는 판면에 관통공(41)이 형성된 이탈방지와셔(40)가 개재되어 있다. 이탈방지와셔(40)는 탄성유지부재(30)의 하부에 배치되어 앵커(20)의 단차부(23)로부터 탄성유지부재(3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관통공(41)에도 역시, 절개선(미도시)을 마련하여 압입 작업이 용이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보다 효과적이다.
한편, 앵커(20)에는 노면(R)에 시공된 표시부(10)가 외력에 의해 임의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보강플레이트(50)가 결합되어 있다. 보강플레이트(50)의 판면에는 앵커(20)가 통과되는 앵커통과공(51)이 형성되어 있다. 앵커통과공(51)은 앵커(20)의 횡단면 형상과 크기 및 모양이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이루어져 앵커(20)에 억지끼워맞춤되도록 한다.
앵커통과공(51)으로 앵커(20)가 압입되도록 하여 보강플레이트(50)를 앵커(20)에 억지로 결합시키면, 보강플레이트(50)는 앵커(20)에 대해 회전되지 않는다. 이 때, 앵커통과공(51)에도 마찬가지로 소정의 절개선(미도시)을 형성하여 앵커(20)가 앵커통과공(51)으로 용이하게 압입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보강플레이트(50)에는 판면으로부터 접촉면에 대해 가로로 돌출되어 노면(R)에 삽입됨으로써 표시부(10)가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복수의 회전방지돌기(52)가 마련되어 있다.
회전방지돌기(52)는 별도로 제조되어 보강플레이트(50)에 결합될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보강플레이트(50)의 판면을 절취 절곡함으로써 형성하고 있다. 회전방지돌기(52)는 그 선단이 날카롭게 형성되어 노면(R)에 용이하게 삽입됨으로써, 표시부(10)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 때, 회전방지돌기(52)의 연부면을 라운딩 처리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도 10 참조).
이러한 구성에 의해 보강플레이트(50)와 탄성유지부재(30)를 도로표지병에 조립한 후, 노면(R)에 시공하는 과정을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앵커(20)를 보강플레이트(50)에 형성된 앵커통과공(51)으로 압입시켜, 보강플레이트(50)가 표시부(10)의 하면에 배치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면, 보강플레이트(50)에 형성된 회전방지돌기(52)들은 하측을 향하게 된다. 이 때, 앵커(20)가 앵커통과공(51)앵커통과공(51)에는 보강플레이트(50)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해 보강플레이트(50)를 소정 각도 회전시켜 놓을 수도 있다(도 2 참조).
보강플레이트(50)의 결합이 완료되면, 이어 탄성유지부재(30)를 앵커(20)의 단차부(23)에 결합시키기 위해, 앵커(20)의 단차부(23)를 탄성유지부재(30)의 압입공(31)으로 압입시킨다. 그러면, 압입공(31)에 형성된 절개선이 벌어지면서 앵커(20)의 단차부(23)가 압입공(31)으로 용이하게 압입될 수 있게 된다. 앵커(20)의 압입이 완료되면, 벌어진 절개선이 탄성을 받아 다시 단차부(23)의 측부에 밀착됨으로써, 탄성유지부재(30)가 앵커(20)로부터 이탈되지 않는다. 그런 연후에, 앵커(20)의 단차부(23)에 이탈방지와셔(40)를 압입하여 탄성유지부재(30)가 앵커(20)의 하단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보강플레이트(50) 및 탄성유지부재(30)의 결합이 완료되면, 도로표지병을 설치할 위치를 결정하고 노면(R)의 적정 위치에 앵커삽입공(H)을 형성한다. 이 때, 종래에서는 접착제를 이용하기 위해 노면(R) 상의 먼지나 기름 등의 불순물을 제거하는 작업을 반드시 수행하였으나, 본 고안에서는 이 같은 작업을 별도로 수행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시공이 편리할 뿐만 아니라 시공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
그런 다음, 앵커삽입공(H)에 앵커(20)를 대응 배치한 후, 도로표지병을 앵커삽입공(H) 측을 향해 가압한다. 그러면, 탄성걸림판부(33)의 선단 걸림턱(34)이 앵커(20)의 측부 측으로 휘어지면서 앵커(20)가 앵커삽입공(H)으로 삽입되기 시작하고, 앵커(20)의 삽입이 완료되면 탄성걸림판부(33)는 반경 방향 외측으로 탄성부세한다.(θ1~θ3) 이 때, 탄성걸림판부(33)의 선단 걸림턱(34)은 앵커삽입공(H)의 내벽면을 접촉지지하게 됨으로써, 앵커(20)가 앵커삽입공(H)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앵커삽입공(H)으로 앵커(20)를 삽입하는 과정에서 표시부(10)를 하향 가압하게 되면 보강플레이트(50)에 형성된 회전방지돌기(52)들은 노면(R)에 삽입된다. 따라서, 시공 완료 후, 도로표지병은 외력에 의해 임의로 회전되지 않게 된다.
본 실시예의 도면들에서는 탄성걸림판부(33)의 선단 걸림턱(34)이 앵커삽입공(H)의 내면으로 침투되도록 도시되어 있고 탄성걸림판부(33)와 앵커삽입공(H)의 내벽면 사이의 공간이 비교적 넓게 도시되어 있지만, 이는 설명 및 도면의 이해를돕기 위해 다소 과장되게 도시된 것일 뿐, 실제는 공간이 거의 발생하지 않음을 언급해 둔다.
한편, 노면(R)으로부터 도로표지병을 철거하고자 한다면, 도로표지병을 상측으로 들어 올린다. 그러면, 탄성걸림판부(33)는 탄성 한계를 벗어나 도면의 시계방향으로 휘어지게 되고 걸림턱(34)은 하측을 향하게 된다. 이 때, 도로표지병의 표시부(10)를 상측으로 들어올리면 도로표지병의 철거작업은 쉽게 마무리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도로표지병의 설치 작업은 매우 간단하게 완료될 수 있으며, 시공에 소요되는 시간 역시 현격하게 감소될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본 고안에 따른 도로표지병은 발암물질인 에폭시수지와 같은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있으므로 환경 친화적이라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공기중의 상대 습도의 수치 여부, 노면(R)의 건조 상태 여부 등을 포함한 시공 제약 조건에 관계없이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으며, 회전방지돌기(52)로 인해 시공 완료된 도로표지병이 노면(R)상에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 외에도,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턱(34a)이 형성된 탄성유지부재(30a)를 이중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도 8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걸림판부(33b)의 판면을 천공하여 추가의 걸림턱(60b)을 마련한다면 본 고안의 효과는 더욱 우수해지게 된다. 이 때, 각 걸림턱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그 방향을 반대로 한 침몰방지턱(61b)으로 하여 앵커(20b)가 앵커삽입공(H) 내에서 하향 침몰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별도의 보강플레이트(50 ~ 50d)를 마련하고 이 보강플레이트(50 ~ 50d)에 회전방지돌기(52 ~ 52d)를 형성시키는 것에 관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방지돌기(52e)를 표시부(10e)의 하면에 일체로 마련할 수도 있다.
그러나, 만일,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방지돌기(52f)와 표시부(10f)의 재질이 상이하여 상호 용접이 되지 않을 경우에는, 회전방지돌기(52f)에 별도의 플랜지부(65f)를 형성하여 플랜지부(65f)와 표시부(10f)간을 상호 나사(64f) 결합, 혹은 리벳 결합(미도시)시킬 수도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식별패턴이 형성된 표시부에 관해 설명하고 있지만, 표시부 내에 별도의 발광 수단이 마련된 도로표지병에도 본 고안의 사상이 적용될 수 있음은 두 말할 여지가 없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간편하게 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공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도록 한 도로표지병이 제공된다.
또한, 시공시 발암물질인 에폭시수지와 같은 접착제를 이용하지 않으므로 환경 친화적인 도로표지병이 제공되며, 본 고안에 따른 도로표지병은 재활용하기가 용이하다.
그리고 본 고안고안고안지병은 공기중의 상대 습도의 수치 여부, 노면의 건조 상태 여부 등을 포함한 시공 제약 조건에 관계없이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을 분만 아니라 시공 완료된 상태에서 도로표지병이 외력에 의해 임의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15)

  1. 도로표지병에 있어서,
    노면 위에 설치되는 표시부와;
    상기 표시부의 하부로부터 연장되어 노면의 내측 앵커삽입공에 매입되는 앵커와;
    상기 표시부가 회전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표시부 측으로부터 상기 노면에 가로로 돌출되어 상기 노면에 삽입되는 회전방지돌기와;
    상기 앵커에 결합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앵커의 측부에 원주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상기 앵커의 축선에 대해 반경방향 외측으로 탄성적으로 확장되는 복수의 탄성걸림판부와, 상기 각 탄성걸림판부의 선단에 형성되어 상기 앵커가 상기 앵커삽입공으로부터 이탈되는 방향을 따라 상기 앵커삽입공의 내벽면에 걸림유지되는 걸림턱을 갖는 탄성유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표지병.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유지부재는 상기 앵커의 축선방향을 따라 상기 걸림턱과 상기 앵커삽입공의 내벽면과의 걸림위치와 상이한 걸림위치를 갖는 걸림턱이 형성된 추가의 탄성걸림판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표지병.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유지부재의 결합부는 상기 앵커가 억지끼워맞춤되는 압입공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표지병.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유지부재의 결합부는 상기 압입공으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소정의 길이 구간에 걸쳐 형성된 절개선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표지병.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에 삽입되는 관통공을 가지며, 상기 탄성유지부재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앵커로부터 상기 탄성유지부재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와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표지병.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유지부재는 상기 앵커가 상기 앵커삽입공으로부터 하향 침몰되는 방향을 따라 상기 앵커삽입공의 내벽면에 걸림유지되어 상기 앵커가 상기 앵커삽입공 내에서 하향침몰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침몰방지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표지병.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의 하단부 영역에는 상기 단성유지부재의 결합부에 결합되는 단차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표지병.
  10. 삭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가 압입되도록 판면에 앵커통과공이 형성되어 있는 보강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회전방지돌기는 상기 보강플레이트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표지병.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방지돌기는 상기 보강플레이트의 판면을 절취 절곡함으로써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표지병.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플레이트는 상기 앵커통과공으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소정의 길이 구간에 걸쳐 형성된 절개선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표지병.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플레이트는 용접에 의해 상기 표시부의 저부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표지병.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방지돌기는 상기 표시부의 저부면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표지병.
KR2020020010614U 2002-04-09 2002-04-09 도로표지병 KR20028230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0614U KR200282301Y1 (ko) 2002-04-09 2002-04-09 도로표지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0614U KR200282301Y1 (ko) 2002-04-09 2002-04-09 도로표지병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8064A Division KR100416939B1 (ko) 2001-08-03 2001-08-09 도로표지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2301Y1 true KR200282301Y1 (ko) 2002-07-19

Family

ID=731208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0614U KR200282301Y1 (ko) 2002-04-09 2002-04-09 도로표지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230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22286B2 (en) Delineator mounting system
CA2130329C (en) Resilient pavement marker
KR100908331B1 (ko) 날개측벽이 구비된 도로표지병 및 이의 시공방법
US20040265056A1 (en) Road stud
US5857801A (en) Roadway reflector
KR101906759B1 (ko) 자동차 도로용 차선 표지병
KR100416939B1 (ko) 도로표지병
EP1885957B1 (en) Road stud
KR200282301Y1 (ko) 도로표지병
KR100413179B1 (ko) 도로표지병
KR100398952B1 (ko) 도로표지병
KR200252792Y1 (ko) 도로표지병
KR100427788B1 (ko) 도로표지병
KR200282302Y1 (ko) 도로표지병
KR100708440B1 (ko) 도로표지병 시공방법
KR101774987B1 (ko) 노면 고정력이 강화된 도로표지병
KR200223974Y1 (ko) 도로 표지병
KR100737329B1 (ko) 친환경 도로표지병
KR200228524Y1 (ko) 파손방지형도로차선표지병
KR200376037Y1 (ko) 도로 표지병
KR200197338Y1 (ko) 도로 표시병
KR200300006Y1 (ko) 도로표지병
KR200376003Y1 (ko) 시선유도판
EP2313557B1 (en) Road stud
KR200299268Y1 (ko) 도로표지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707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