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3974Y1 - 도로 표지병 - Google Patents

도로 표지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3974Y1
KR200223974Y1 KR2020000033533U KR20000033533U KR200223974Y1 KR 200223974 Y1 KR200223974 Y1 KR 200223974Y1 KR 2020000033533 U KR2020000033533 U KR 2020000033533U KR 20000033533 U KR20000033533 U KR 20000033533U KR 200223974 Y1 KR200223974 Y1 KR 20022397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ad
anchor
bolt
bottle
anchor n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353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학재
Original Assignee
김학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학재 filed Critical 김학재
Priority to KR202000003353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397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397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3974Y1/ko

Links

Landscapes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도로 표지병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함몰된 표지병을 도로의 노면과 일치되도록 간편하게 인상시켜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고, 훼손된 표지병을 새로운 표지병으로 간편하게 교체 설치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도로 표지병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도로의 중앙선이나 주행 차선 등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매설되어 원거리에서도 차선을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된 도로 표지병에 있어서, 둘레면 또는 그 상면에는 반사체(4)가 구비되어 도로의 노면에 설치되고 중앙부에는 수직으로 관통된 볼트체결공(6)이 형성된 바디(2)와, 상기 바디(2)의 볼트체결공(6)과 연통되도록 바디(2) 하단에 위치되어 지중에 매설되며 그 하단부에는 다수개의 절개선(8)이 길이방향을 따라 성형되며 하단쪽으로 갈수록 그 두께가 두꺼워지거나 그 외주면에 걸림돌기가 돌출 형성된 앵커부(12)를 갖는 앵커너트(10)와, 상기 바디(2)의 볼트체결공(6)을 통해 앵커너트(10)에 체결되는 볼트(14)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볼트(14)를 앵커너트(10)에 조임에 따라 앵커너트(10) 하단부의 앵커부(12)가 확경되어 지중에 고정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표지병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도로 표지병{Lane guide cake}
본 고안은 도로 표지병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함몰된 표지병을 도로의 노면과 일치되도록 간편하게 인상시켜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고, 훼손된 표지병을 새로운 표지병으로 간편하게 교체 설치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도로 표지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 표지병은 도로의 중앙선이나 주행 차선 등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매설되어 원거리에서도 차선을 용이하게 식별하여 안전주행을 유도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이러한 종래의 도로 표지병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면에 반사체가 구비되어 도로 노면상에 설치되는 바디(2)와, 이 바디(2)의 저면 중앙부에 수직 형성되어 도로 지중에 묻히는 앵커부(12)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앵커부(12) 주위에는 에폭시 수지가 주입되어 상기 앵커부(12)를 지중에 견고하게 고정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 표지병(24)은 장기간 사용됨에 따라 차량의 하중 등에 의해 바디(2)가 지중으로 함몰되거나 반사체의 반사율 저하 및 파손 등으로 인하여 보수 및 교체 설치가 필요하게 되는데, 상기 표지병(24)은 앵커부(12)가 지중에 에폭시 수지 등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이므로 이를 인상해내기 어려워 이를 보수 및 교체 설치하기 위해서는 도로를 파쇄하여 이를 제거한 후 근접된 지점에 앵커공을 형성하여 새로운 표지병(24)을 재설치하는 등의 작업상의 번거로움과 도로 표지병(24)의 소모량이 증가되는 문제점 이외에도 파쇄된 도로를 에폭시 수지 등으로 보수하더라도 도로의 미관이 손상되는 등의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도 2에서와 같이 바디(2)와 앵커부(12)가 각기 별개로 제작되어 볼트(14) 체결되도록 구성되어 그 바디(2) 부분을 재사용할 수 있도록 된 도로 표지병(24)이 개발되어 사용되기도 한다. 그러나, 이러한 도로 표지병(24)의 경우에도 에폭시 수지로 접착된 앵커부(12)는 지중에 매입된 상태에서 제거하기가 어렵고, 이를 제거하지 못한 경우 도로 표층 공사시 아스콘 파쇄기의 날이 앵커부(12)에 닿아 날이 손상되므로 별도의 장비와 비용을 들여 앵커부(12)를 제거해야 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도로 표지병(24)은 노면으로부터 함몰된 경우 이를 인상해내기 어려우므로, 도로의 새로운 지점에 앵커공(17)을 형성하여 표지병(24)을 재설치하여야 하는 문제점도 여전히 상존하게 된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함몰된 표지병을 용이하게 인상시켜 노면과 일치되도록 재설치할 수 있고 훼손된 표지병을 새로운 표지병으로 간편하게 교체 설치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도로 표지병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도로 표지병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다른 도로 표지병을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해사시도
도 4는 상기 실시예에 따른 단면도
도 5는 상기 실시예에 따른 앵커너트 인상을 보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바디 4. 반사체
6. 볼트체결공 8. 절개선
10. 앵커너트 12. 앵커부
14. 볼트
본 고안에 따르면, 도로의 중앙선이나 주행 차선 등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매설되어 원거리에서도 차선을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된 도로 표지병에 있어서, 둘레면 또는 그 상면에는 반사체(4)가 구비되어 도로의 노면에 설치되고 중앙부에는 수직으로 관통된 볼트체결공(6)이 형성된 바디(2)와, 상기 바디(2)의 볼트체결공(6)과 연통되도록 바디(2) 하단에 위치되어 지중에 매설되며 그 하단부에는 다수개의 절개선(8)이 길이방향을 따라 성형되며 하단쪽으로 갈수록 그 두께가 두꺼워지거나 그 외주면에 걸림돌기가 돌출 형성된 앵커부(12)를 갖는 앵커너트(10)와, 상기 바디(2)의 볼트체결공(6)을 통해 앵커너트(10)에 체결되는 볼트(14)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볼트(14)를 앵커너트(10)에 조임에 따라 앵커너트(10) 하단부의 앵커부(12)가 확경되어 지중에 고정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표지병이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상기 실시예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상기 도로 표지병은 도로의 노면에 설치되는 바디(2)와, 이 바디(2) 하단에 위치되어 지중에 매설되며 그 하단부에는 앵커부(12)가 마련된 앵커너트(10)와, 상기 바디를 앵커부에 고정하는 볼트(1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바디(2)는 알미늄 합금 등의 내구성 및 내후성이 우수한 경질의 재질로 이루어지며, 도로의 노면상에 설치된다. 이때, 상기 바디(2)의 중앙부에는 수직으로 관통된 볼트체결공(6)이 형성되고, 그 둘레면 또는 상면에는 다수개의 반사체(2)가 구비되는데, 이 반사체(4)는 내후성이 우수한 아크릴 수지에 유리구술이 매입 형성된 것이다.
상기 앵커너트(10)는 바디(2)의 볼트체결공(6)과 연통되도록 바디(2)의 하단에 위치되어 지중에 매설된다. 이때, 상기 앵커너트(10)의 상단부에는 대략 삼각형의 날개부(15)가 다수개 구비되는데, 이 날개부(15)는 앵커너트에 상기 볼트(14)가 조여질때 앵커공(17)에 매입되어 앵커너트(10)가 돌아가는 것을 방지해 주게 된다. 또한, 상기 앵커너트(10)의 하단부에는 다수개의 절개선(8)이 길이방향을 따라 성형되고 하단쪽으로 갈수록 그 외경은 동일하고 그 내경이 줄어들어 그 두께가 두꺼워지는 앵커부(12)가 마련되는데, 이 앵커부(12)는 볼트(14)가 조여지면 볼트에 의해 방사방향으로 벌어지면서 앵커공(17)에 밀착되어 고정되고 볼트를 풀게 되면 자체의 탄력에 의해 그 직경이 오무러들면서 도로의 앵커공(17)에서 앵커너트(10)가 용이하게 인상될 수 있게 된다. 또,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앵커부(12)의 내경은 동일하고 그 외경이 커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도록 앵커부(12) 하단 외주면에 걸림돌기를 돌출 형성하여 볼트(14)를 조임에 따라 지중에 고정되고 볼트(14)를 풀고 인상하게 되면 앵커부(12)의 직경이 줄어들어 앵커공(17)으로부터 쉽게 분리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볼트(14)는 바디(2)의 볼트체결공(6)을 통해 상기 앵커너트(10)에 체결되어 이 앵커너트(10)의 앵커부(12)가 확경되도록 하며 동시에 상기 바디(2)를 앵커너트(10)에 견고하게 체결되도록 한다.
이와같이 구성된 상기 도로 표지병은 상기 앵커너트(10)를 도로의 앵커공(17)에 매입한 후 볼트(14)를 상기 바디(2)의 볼트체결공(6)을 통해 앵커너트(10)에 체결하기만 하면 이 볼트의 하단부에 의해 앵커부(12)가 방사방향으로 밀려나면서 확경되어 앵커공(17)에 밀착 고정되므로 지중에 견고하게 매입 설치된다. 또한, 상기 볼트(14)를 풀게 되면 앵커부(12)가 자체의 탄성에 의해서 오무러들어 앵커공(17)으로부터 용이하게 인상되어 교체 및 재설치가 간편하게 된다. 따라서, 도로의 노면이 함몰되어 보수가 필요한 경우, 상기 볼트(14)를 풀어 바디(2)와 볼트(14)를 분리한 후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너트분리기(18)를 이용하여 앵커너트(10)를 인상시키고 시멘트 등을 앵커공(17) 하부에 주입경화시켜 앵커너트(10)를 도로의 노면과 일치시킨다. 이후, 상기 볼트(14)를 이용해 바디(2)를 앵커너트(10)에 체결시키기만 하면 되므로 보수가 용이하고 도로 표지병의 재사용이 가능하며, 주변 도로면에 새로운 앵커공(17)을 뚫을 필요가 없어 도로 노면의 미관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상기 도로 표지병은 볼트를 앵커너트에 조이게 되면 앵커부가 방사방향으로 벌어지면서 앵커공에 견고하게 고정되므로 에폭시 수지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지중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고, 볼트를 풀게 되면 앵커부가 자체의 탄성에 의해 오므라들어 앵커공에서 용이하게 인상 및 분리되므로 보수 및 교체설치가 매우 용이하며 재사용할 수 있고 도로 노면의 미관을 손상시키지 않는 등의 여러 가지 장점이 있다.

Claims (1)

  1. 도로의 중앙선이나 주행 차선 등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매설되어 원거리에서도 차선을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된 도로 표지병에 있어서, 둘레면 또는 그 상면에는 반사체(4)가 구비되어 도로의 노면에 설치되고 중앙부에는 수직으로 관통된 볼트체결공(6)이 형성된 바디(2)와, 상기 바디(2)의 볼트체결공(6)과 연통되도록 바디(2) 하단에 위치되어 지중에 매설되며 그 하단부에는 다수개의 절개선(8)이 길이방향을 따라 성형되며 하단쪽으로 갈수록 그 두께가 두꺼워지거나 그 외주면에 걸림돌기가 돌출 형성된 앵커부(12)를 갖는 앵커너트(10)와, 상기 바디(2)의 볼트체결공(6)을 통해 앵커너트(10)에 체결되는 볼트(14)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볼트(14)를 앵커너트(10)에 조임에 따라 앵커너트(10) 하단부의 앵커부(12)가 확경되어 지중에 고정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표지병.
KR2020000033533U 2000-11-30 2000-11-30 도로 표지병 KR20022397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3533U KR200223974Y1 (ko) 2000-11-30 2000-11-30 도로 표지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3533U KR200223974Y1 (ko) 2000-11-30 2000-11-30 도로 표지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3974Y1 true KR200223974Y1 (ko) 2001-05-15

Family

ID=730921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3533U KR200223974Y1 (ko) 2000-11-30 2000-11-30 도로 표지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3974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4751A (ko) * 2002-07-24 2002-08-09 장영주 도로표지병
KR101295130B1 (ko) * 2011-11-15 2013-08-09 박명자 도로용 반사 델리네이터
KR101340627B1 (ko) * 2013-08-26 2013-12-11 신도산업 주식회사 도로 표지병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4751A (ko) * 2002-07-24 2002-08-09 장영주 도로표지병
KR101295130B1 (ko) * 2011-11-15 2013-08-09 박명자 도로용 반사 델리네이터
KR101340627B1 (ko) * 2013-08-26 2013-12-11 신도산업 주식회사 도로 표지병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6710B1 (ko) 자동차 도로용 차선 표지병
US20130174776A1 (en) Traffic control marker with mesh base
KR200223974Y1 (ko) 도로 표지병
KR20190061296A (ko) 고정장치가 구비된 매립형 유도등
JP4611867B2 (ja) 車止め支柱
JP5227138B2 (ja) 道路用標示体の設置方法
KR20090045456A (ko) 도로표지병
KR200345530Y1 (ko) 차선규제봉
KR20030066499A (ko) 도로 표지병
KR100676079B1 (ko) 도로 표시병
KR200304306Y1 (ko) 도로표지병
KR200208819Y1 (ko) 재활용 가능한 도로표지병
KR100398952B1 (ko) 도로표지병
KR100427788B1 (ko) 도로표지병
KR200282302Y1 (ko) 도로표지병
KR200179546Y1 (ko) 도로안전표지병의 고정장치
KR200227075Y1 (ko) 도로표지병
KR102349642B1 (ko) 도로 표지병
JP4060680B2 (ja) 視線誘導標識柱
KR200300006Y1 (ko) 도로표지병
JPH11293634A (ja) ポール組立キット
KR200398306Y1 (ko) 도로 표시병
KR200370448Y1 (ko) 도로 표지병
KR200269776Y1 (ko) 도로 표지병
KR200199899Y1 (ko) 안전,광고용 탄력 표지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216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