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7445Y1 - 도로용 충격흡수대 - Google Patents

도로용 충격흡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7445Y1
KR200277445Y1 KR2020020006078U KR20020006078U KR200277445Y1 KR 200277445 Y1 KR200277445 Y1 KR 200277445Y1 KR 2020020006078 U KR2020020006078 U KR 2020020006078U KR 20020006078 U KR20020006078 U KR 20020006078U KR 200277445 Y1 KR200277445 Y1 KR 20027744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ad
collision
shock absorber
attached
buf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60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호
Original Assignee
김영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호 filed Critical 김영호
Priority to KR20200200060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744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744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7445Y1/ko

Links

Landscapes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도로의 진입로나 갈림길에 설치되어 차량의 추돌시 충격을 용이하게 흡수할 수 있도록 하는 도로용 충격흡수대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도로의 진입로나 갈림길에 설치되어 차량의 추돌로 인한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흡수대에 있어서; 전면에 야광지부착부를 갖는 완충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완충부재의 후면으로 고정판이 부착되는 충돌부와; 상기 고정판의 후면으로 삽입봉이 부착되고, 상기 삽입봉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다단의 신축관을 갖는 주름체가 그 후면으로 주름체고정판으로 부착되어 구비되며, 상기 삽입봉의 둘레로 완충스프링이 끼워지는 완충부와; 상기 충돌부와 완충부의 하부로 하부받침판이 부착되고, 상기 하부받침판의 하면에 롤러가 장착되는 이동부와; 상기 완충부의 후방으로 상기 주름체고정판을 받치도록 지면에 고정되는 고정지지부로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충격흡수대를 제공함으로서, 제작비용이 저렴하면서 차량의 추돌로 인한 인적 및 물적자원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도로용 충격흡수대{Bumper on the road}
본 고안은 도로의 진입로나 갈림길에 설치되어 차량의 추돌로 인한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흡수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추돌시 충격을 분산시켜 다중으로 용이하게 흡수할 수 있도록 하는 도로용 충격흡수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용 충격흡수대는 도로의 진입로나 갈림길에 설치하여 차량의 추돌 시에 그 충격을 흡수함으로서, 물적 및 인적자원의 손실을 최소화하도록 널리 사용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충격흡수대의 일실시예로서, 도 5에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를 살펴보면,
충격흡수대(100)는 도로의 갈림길(200)의 전방에 설치되는 장방형의 몸체부(101)가 구비되고, 상기 몸체부(101)의 외주면으로 야광지(102)가 부착되어 구성되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한 충격흡수대는 그 몸체부가 충격흡수의 원활함을 위해 고무재질로 형성됨으로서, 제작상에 많은 비용이 초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제작비용을 최소화하기 위해 몸체부를 내부가 빈 상태의 폴리에틸렌(PE)재질로 형성하고 그 내부를 모래나 기타 충진물로 채워서 사용하게 되는데, 이와 같은 경우 차량의 추돌로 쉽게 파손되거나 찌그러지게 되며 아울러 용이한 충격의 흡수가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간단한 제작을 위해 몸체부를 콘크리트재질로 만드는 경우도 있는데, 이와 같은 경우에는 차량의 추돌로 인한 인적 및 물적손실을 전혀 고려하지 않은 것으로, 매년 많은 추돌사고가 발생하여 막대한 인적 및 물적자원이 손실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한 충격흡수대는 차량의 추돌 시에 그 충격력을 분산시키지 않고 그대로 받아들임으로서 차량이 파괴와 운전자가 피해가 발생함은 물론 추돌한 차량이 튀어나와 또 다른 교통사고를 유발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도로의 진입로나 갈림길에 설치되어 차량의 추돌시 충격을 용이하게 흡수할 수 있도록 하는 도로용 충격흡수대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은 충격흡수대의 전면이 분할되어 차량의 추돌시 그 충격력이 분산되도록 하는 도로용 충격흡수대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은 차량의 추돌시 그 충격력을 다중으로 흡수함과 동시에 순차적으로 더욱 많은 충격력을 흡수하도록 하는 도로용 충격흡수대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은 차량의 추돌시 충격흡수대가 비틀리지 않고 일정한 방향으로 충격을 흡수하도록 하는 도로용 충격흡수대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은 간단한 구조로 충격흡수대가 지면에 견고히 고정되도록 함과 동시에 경고문 등을 부착할 수 있도록 하는 도로용 충격흡수대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고안은 도로의 진입로나 갈림길에 설치되어 차량의 추돌로 인한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흡수대에 있어서; 전면에 야광지부착부를 갖는 완충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완충부재의 후면으로 고정판이 부착되는 충돌부와; 상기 고정판의 후면으로 삽입봉이 부착되고, 상기 삽입봉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다단의 신축관을 갖는 주름체가 그 후면으로 주름체고정판으로 부착되어 구비되며, 상기 삽입봉의 둘레로 완충스프링이 끼워지는 완충부와; 상기 충돌부와 완충부의 하부로 다수개의 하부받침판이 부착되고, 상기 하부받침판의 하면에 롤러가 장착되는 이동부와; 상기 완충부의 후방으로 상기 주름체고정판을 받치도록 지면에 고정되는 고정지지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충돌부는 그 상부에서 하부로 분할되어 다수개의 충돌부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완충부는 그 전방에서 후방으로 입방체가 순차적으로 커지는 다수개의 주름체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이동부는 상기 롤러의 하부에 맞닿는 레일이 지면에 고정되어 구비되고, 상기 롤러의 양측으로 롤러장착핀이 상기 레일의 측면을 둘러싸도록 일체로 구비되며, 상기 레일의 양측면으로 상기 롤러장착핀에 측면롤러가 구비되고, 상기 레일의 하면으로 상기 롤러장착핀에 하면롤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고정지지부는 상기 주름체고정판에 대응하여 그 후방으로 지면에 직립 고정되며 내부로 모르타르가 타입되는 다수개의 지지관이 구비되고, 상기 지지관의 상부측으로 그림이나 문자가 부착되는 표시판이 부착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충격흡수대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충격흡수대의 부분 확대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충격흡수대의 부분 확대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충격흡수대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4a는 차량 추돌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4b는 차량 추돌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5는 종래의 충격흡수대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충격흡수대
10 : 충돌부
11 : 야광지부착부 12 : 완충부재 13 : 고정판
14 : 제1충돌부 15 : 제2충돌부 16 : 제3충돌부
20 : 완충부
21 : 삽입봉 22 : 신축관 23 : 주름체
24 : 주름체고정판 25 : 완충스프링 26 : 제1주름체
27 : 제2주름체
30 : 이동부
31 : 하부받침판 32 : 롤러 33 : 레일
34 : 롤러장착핀 35 : 측면롤러 36 : 하면롤러
40 : 고정지지부
41 : 지지관 42 : 표시판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충격흡수대의 사시도로 본 고안의 구성을 살펴보면,
충격흡수대(1)는 도로에 설치되어 차량이 추돌되는 충돌부(10)가 구비되고, 상기 충돌부(10)의 후방으로 완충부(20)가 구비되며, 상기 충돌부(10)와 완충부(20)의 하부로 이동부(30)가 구비되고, 상기 완충부(20)의 후방으로 고정지지부(40)가 구비되어 구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충돌부(10)는 그 상부에서 하부로 분할되어 제1충돌부(14)와 제2충돌부(15)와 제3충돌부(16)로 구비되고, 각각의 상기 충돌부(14)(15)(16)는 그전면에 야광지부착부(11)가 형성되며, 상기 야광지부착부(11)의 후방으로 일체화되는 입방체의 완충부재(12)가 구비되고, 상기 완충부재(12)의 후면으로 고정판(13)이 부착되어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완충부(20)는 상기 고정판(13)의 후면으로 삽입봉(21)이 부착되어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1주름체(26)가 구비되고, 상기 제1주름체(26)의 후방으로 순차적으로 커지는 제2주름체(27)가 구비되며, 각각의 상기 주름체(25)(26)의 그 후면으로 주름체고정판(24)으로 부착되어 구비되며, 상기 제1주름체(26)의 후방으로 다수개의 상기 삽입봉(21)이 부착되어 상기 제2주름체(27)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삽입봉(21)의 둘레로 완충스프링(25)이 끼워져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고정지지부(40)는 상기 주름체고정판(24)에 대응하여 그 후방으로 지면에 직립 고정되며 내부로 모르타르가 타입되는 다수개의 지지관(41)이 구비되고, 상기 지지관(41)의 상부측으로 그림이나 문자가 부착되는 표시판(42)이 부착되어 구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충돌부(10)는 그 상부에서 하부로 분할되어 그 전면으로의 차량의 추돌력을 분산하여 받아들이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완충부(20)는 다수개로 커지는 상기 주름체(23)의 접힘과 상기 완충스프링(25)에 의해 상기 충돌부(10)에서 받는 충격을 완화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이동부(30)는 상기 충돌부(10)와 완충부(20)가 전방에서 후방으로 일정한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고정지지부(40)는 상기 완충부(20)가 차량의 추돌에 의해 완충되어 후방으로 밀릴 때 받쳐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충격흡수대(1)는 차량이 추돌하면 그 충격을 분산하여 받아 다단계로 완충하도록 하여 안정적인 충격의 흡수로 차량의 파손 방지 및 운전자의 안전이 보장되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충격흡수대의 부분 확대 측면도를 살펴보면,
상기 도 2의 원 내에 도시한 확대된 부분은 그 부위의 부분 단면을 나타내는 것이다.
여기서, 주름체(23)의 전방으로 구비되는 삽입봉(21)은 그 후방에 구비되는 주름체(23)의 내부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구성되는데,
이때, 상기 주름체(23)의 내부로 상기 삽입봉(21)과 대응되는 위치에 다단형의 신축관(22)이 구비되어 상기 삽입봉(21)이 적절히 안내되고 지지되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신축관(22)에 의해 상기 삽입봉(21)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됨으로서, 상기 주름체(23)가 충격을 받아 접혀질 때 일정한 방향으로 원활한 접힘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삽입봉(21)의 외주면으로 설치되는 완충스프링(25)은 완충부(20)와 충돌부(10)의 사이의 삽입봉(21)과 제1주름체(26)와 제2주름체(27)의 사이의 삽입봉(21)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완충부(20)의 완충효과를 증대시킴과 동시에 상기 주름체(23)가 적절히 원상태로 복원되도록 하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상기 완충스프링(25)은 차량의 추돌에 의한 충격을 완충시켜주면서, 추돌이 끝난 후에 차량을 치우면 상기 완충부(20)의 주름체(23)가 원상태로 복원되어 처음을 설치상태로 돌아가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충격흡수대의 부분 확대 정면도를 살펴보면,
상기 도 3의 원 내부에 도시되는 것은 이동부(30)를 일부 확대한 것이다.
충돌부(10)는 다수개로 분할되어 구비되고, 상기 충돌부(10)의 후방에 순차적으로 커지는 입방형의 주름체(23)로 완충부(20)가 구비되는데, 여기서 상기 완충부(20)와 충돌부(10)의 하부에 이동부(30)가 구비되어 상기 충돌부(10)와 완충부(20)가 일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이동부(30)는 상기 충돌부(10)와 주름체(23)의 하부로 다수개의 하부받침판(31)이 부착되고, 상기 하부받침판(31)의 하면에 롤러(32)가 장착되며, 상기 롤러(32)의 하부에 맞닿는 레일(33)이 지면에 고정되어 구비되고, 상기 롤러(32)의 양측으로 롤러장착핀(34)이 상기 레일(33)의 측면을 둘러싸도록 일체로 구비되며, 상기 레일(33)의 양측면으로 상기 롤러장착핀(34)에 측면롤러(35)가 구비되고, 상기 레일(33)의 하면으로 상기 롤러장착핀(34)에 하면롤러(36)가 구비되어 구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이동부(30)는 상기 롤러(32)와 측면롤러(35), 하면롤러(36)에 의해 적절히 지지되어 전방에서 후방으로 이동되어, 상기 충돌부(10)로의 차량의추돌에 의해 상기 충돌부(10)와 완충부(20)가 뒤틀려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이동부(30)는 일방향으로 상기 충돌부(10)와 완충부(20)를 이동시킴으로서, 그 완충력의 분산없이 적절히 발생되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충격흡수대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도 4a는 차량 추돌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4b는 차량 추돌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인데,
상기 도 4로서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살펴보면,
상기 도 4a의 상태에서 충격흡수대(1)에 차량(2)이 추돌하게 되면, 상부에서 하부로 분할된 충돌부(10)에 분산되어 충격력을 받고, 상기와 같이 분산된 충격력이 완충부(20)로 전해져 주름체(23)와 완충스프링(25)이 접히면서 완충작용이 일어나며, 이때 이동부(30)를 통해 상기 충돌부(10)와 주름체(23)가 전방에서 후방으로 이동되어 그 후방에 위치한 고정지지부(40)에 받쳐져 완전한 충돌의 완화가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충격흡수대(1)는 일차적으로 상기 충돌부(10)에 의해 완충되고, 그 다음에 상기 주름체(23)와 완충스프링(25)에 의해 다단으로 완충되며, 마지막으로 상기 고정지지부(40)에 의해 그 완충 및 정지가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충격흡수대(1)는 상기 차량(2)의 추돌을 다단계로 완충하여 차량(2)의 파손과 상기 충격흡수대(1) 자체의 파손을 막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충격흡수대(1)의 복원과정을 살펴보면, 차량(2)의 추돌이 끝난다음에 차량(2)을 치우면, 상기 완충스프링(25)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주름체(23)가 상기 이동부(30)를 따라 펴지게 되어 처음의 설치상태로 복원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충격흡수대(1)는 그 완충과 복귀에 따른 재설치가 자연스럽게 이루어져 반복적인 추돌에도 용이한 완충과 복원으로 사용상의 간편성이 보장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도로의 진입로나 갈림길에 설치되어 간단한 구조로 차량의 추돌시 충격을 용이하게 흡수할 수 있도록 하는 도로용 충격흡수대를 제공함으로서, 제작비용이 저렴하면서 차량의 추돌로 인한 인적 및 물적자원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고안은 충격흡수대의 전면이 분할되어 차량의 추돌시 그 충격력이 분산되도록 하는 도로용 충격흡수대를 제공함으로서, 차량의 잦은 추돌로 인한 충격흡수대의 파손이 방지되고 그에 따라 사용 수명이 월등히 향상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고안은 차량의 추돌시 그 충격력을 다중으로 흡수함과 동시에 순차적으로 더욱 많은 충격력을 흡수하도록 하는 도로용 충격흡수대를 제공함으로서, 보다 안정적이고 원활한 충격흡수가 보장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고안은 차량의 추돌시 충격흡수대가 비틀리지 않고 일정한 방향으로 충격을 흡수하도록 하는 도로용 충격흡수대를 제공함으로서, 안정적인 충격흡수가 보장됨과 동시에 충격흡수대의 고장이나 파손이 방지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고안은 간단한 구조로 충격흡수대가 지면에 견고히 고정되도록 함과 동시에 경고문 등을 부착할 수 있도록 하는 도로용 충격흡수대를 제공함으로서, 충격흡수대의 설치작업이 매우 용이해지고 아울러 운전자의 시인성이 한층 향상되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5)

  1. 도로의 진입로나 갈림길에 설치되어 차량(2)의 추돌로 인한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흡수대에 있어서;
    전면에 야광지부착부(11)를 갖는 완충부재(12)가 구비되고, 상기 완충부재(12)의 후면으로 고정판(13)이 부착되는 충돌부(10)와;
    상기 고정판(13)의 후면으로 삽입봉(21)이 부착되고, 상기 삽입봉(21)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다단의 신축관(22)을 갖는 주름체(23)가 그 후면으로 주름체고정판(24)으로 부착되어 구비되며, 상기 삽입봉(21)의 둘레로 완충스프링(25)이 끼워지는 완충부(20)와;
    상기 충돌부(10)와 완충부(20)의 하부로 다수개의 하부받침판(31)이 부착되고, 상기 하부받침판(31)의 하면에 롤러(32)가 장착되는 이동부(30)와;
    상기 완충부(20)의 후방으로 상기 주름체고정판(24)을 받치도록 지면에 고정되는 고정지지부(4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용 충격흡수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충돌부(10)는,
    그 상부에서 하부로 분할되어 다수개의 충돌부(14)(15)(16)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용 충격흡수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20)는,
    그 전방에서 후방으로 입방체가 순차적으로 커지는 다수개의 주름체(26)(27)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용 충격흡수대.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30)는,
    상기 롤러(32)의 하부에 맞닿는 레일(33)이 지면에 고정되어 구비되고, 상기 롤러(32)의 양측으로 롤러장착핀(34)이 상기 레일(33)의 측면을 둘러싸도록 일체로 구비되며, 상기 레일(33)의 양측면으로 상기 롤러장착핀(34)에 측면롤러(35)가 구비되고, 상기 레일(33)의 하면으로 상기 롤러장착핀(34)에 하면롤러(36)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용 충격흡수대.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지지부(40)는,
    상기 주름체고정판(24)에 대응하여 그 후방으로 지면에 직립 고정되며 내부로 모르타르가 타입되는 다수개의 지지관(41)이 구비되고, 상기 지지관(41)의 상부측으로 그림이나 문자가 부착되는 표시판(42)이 부착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용 충격흡수대.
KR2020020006078U 2002-02-28 2002-02-28 도로용 충격흡수대 KR20027744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6078U KR200277445Y1 (ko) 2002-02-28 2002-02-28 도로용 충격흡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6078U KR200277445Y1 (ko) 2002-02-28 2002-02-28 도로용 충격흡수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7445Y1 true KR200277445Y1 (ko) 2002-06-03

Family

ID=731185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6078U KR200277445Y1 (ko) 2002-02-28 2002-02-28 도로용 충격흡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7445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3856B1 (ko) * 2009-03-19 2012-06-18 차미숙 차량충돌 충격흡수장치
KR101240560B1 (ko) * 2012-09-26 2013-03-12 나종원 도로의 방호대용 충격흡수장치
KR101360646B1 (ko) 2012-05-09 2014-02-10 김대성 탄성 차량 충격 흡수장치
KR101667562B1 (ko) * 2016-02-15 2016-10-19 고려씨엔씨 주식회사 이중 충격흡수구조를 갖는 차량용 충격흡수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3856B1 (ko) * 2009-03-19 2012-06-18 차미숙 차량충돌 충격흡수장치
KR101360646B1 (ko) 2012-05-09 2014-02-10 김대성 탄성 차량 충격 흡수장치
KR101240560B1 (ko) * 2012-09-26 2013-03-12 나종원 도로의 방호대용 충격흡수장치
WO2014051265A1 (ko) * 2012-09-26 2014-04-03 Na Jong Won 도로의 방호대용 충격흡수장치
KR101667562B1 (ko) * 2016-02-15 2016-10-19 고려씨엔씨 주식회사 이중 충격흡수구조를 갖는 차량용 충격흡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673714A (ja) 道路用緩衝装置
KR200390564Y1 (ko) 차량 충돌 완충장치
JP4000148B2 (ja) 車両衝撃吸収装置
KR101153856B1 (ko) 차량충돌 충격흡수장치
KR102177077B1 (ko) 통돌이형 가드레일
US6098767A (en) Cushion for crash attenuation system
KR20080065897A (ko) 도로용 충격흡수대
AU9189098A (en) Shock absorber
KR20170085800A (ko) 차량 충돌 충격 흡수장치
KR200277445Y1 (ko) 도로용 충격흡수대
KR100256394B1 (ko) 충격 흡수성이 우수한 가드레일
KR200182186Y1 (ko) 완충튜브가내장된자동차범퍼
US3733096A (en) Bumper device
KR101230449B1 (ko) 도로 안전 방호대
KR102262817B1 (ko) 작업차량 장착용 차량 충격 흡수장치
KR200387087Y1 (ko) 가이드레일용 충격흡수대
KR20000037052A (ko) 자동차용 안전범퍼
CN113771788A (zh) 一种汽车后支撑架
KR200184731Y1 (ko) 도로용 완충구
KR102342368B1 (ko) 자동차 도로용 완충기
KR200272031Y1 (ko) 충격을 흡수하는 가드레일 및 가드레일 충격흡수판.
KR200177184Y1 (ko) 도로용 차량 충돌 방호장치
KR200355899Y1 (ko) 차량 충격방지대
KR200215174Y1 (ko) 재생가능한 완충형 가드레일
CN218151061U (zh) 一种隧道内的减震式防撞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30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