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0564Y1 - 차량 충돌 완충장치 - Google Patents

차량 충돌 완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0564Y1
KR200390564Y1 KR20-2005-0011475U KR20050011475U KR200390564Y1 KR 200390564 Y1 KR200390564 Y1 KR 200390564Y1 KR 20050011475 U KR20050011475 U KR 20050011475U KR 200390564 Y1 KR200390564 Y1 KR 20039056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ubber tube
shock absorber
unit
vehicle
outer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147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애
Original Assignee
김경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애 filed Critical 김경애
Priority to KR20-2005-001147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056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056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0564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14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specially adapted for local protection, e.g. for bridge piers, for traffic islands
    • E01F15/145Means for vehicle stopping using impact energy absorbers
    • E01F15/146Means for vehicle stopping using impact energy absorbers fixed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내부공간을 갖는 다수의 단위체들이 순차적으로 접철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단위체 중에서 가장 전방에 위치되는 전방 단위체는 그 전면이 곡면을 이루고 내측에는 삽입돌기가 설치된 외부 케이스와; 상기 외부 케이스 중에 가장 후방에 위치되는 후방 단위체와 결합되는 고정판이 있고, 상기 고정판에는 전방 단위체의 삽입돌기와 대응되는 위치에 밀봉된 공기 배출구를 갖는 고무튜브가 부착되며, 상기 고무튜브의 외측으로는 하단 양측에 바퀴가 구비된 다수의 지지틀이 장착되고, 상기 지지틀 사이에는 접힘이 가능한 연결대가 설치된 내부 완충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충돌 완충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한 차량 충돌 완충장치는 완충재로 사용되는 고무튜브가 차량의 충돌시 그 충격으로 내부에 충진되어 있던 공기가 배출되도록 하여 충격흡수 뿐만 아니라 고무튜브가 원상태로 복귀하려는 복원력에 의하여 충돌된 차량이 튕겨 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1회 사용으로 한정되지 않고 파손된 부분만 교체가 가능하도록 하여 재활용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차량 충돌 완충장치{A fender pile for car-clash}
본 고안은 차량 충돌 완충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도로의 중앙 분리대 입구나 진입로에 설치되어 차량의 충돌시 충격을 완화시키고자 하는 완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속도로를 포함하는 일반도로의 교차로나 진입로 교각 등에는 차량의 중앙선 침범에 따른 대형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도 1에서와 같이 콘크리트 구조물 또는 철재 구조물로 구성된 중앙분리대(100)가 설치되어 있으며, 그 시작과 끝부분에는 차량 충돌시 충격을 완화시켜 소중한 인명을 보호하고 차량이나 중앙분리대(100)의 파손을 최소화할 목적으로 각종 완충장치(200)가 설치되고 있다.
종래 완충장치(200)는 합성수지 재질의 케이스의 내부에 모래 또는 물을 충진하거나 폐타이어를 적재하여 사용하고 있으나, 완충효과가 미비하여 차량이 저속으로 충돌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실질적인 제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고 있으며, 설치 후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풍화작용에 의해 자연적으로 붕괴됨으로써 유지보수에 많은 인력과 시간이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으로 인하여, 최근에는 케이스 내부에 공기가 충진된 고무튜브가 설치된 완충장치가 사용되고 있는데, 이 경우 차량의 충돌시 어느 정도 충격은 흡수할 수 있으나 차량의 운동량에 의하여 변형된 고무튜브가 원상태로 복귀하려는 복원력에 의하여 충돌된 차량이 튕겨 나가면서 2차적인 사고의 원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구성된 것으로, 차량의 충돌시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함과 동시에 충돌 직후 차량이 튕겨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 충돌 완충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도로의 중앙 분리대 입구나 진입로에 설치되어 차량의 충돌시 충격을 완화시키는 완충장치에 있어서,
내부공간을 갖는 다수의 단위체들이 순차적으로 접철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단위체 중에서 가장 전방에 위치되는 전방 단위체는 그 전면이 곡면을 이루고 내측에는 삽입돌기가 설치된 외부 케이스와;
상기 외부 케이스 중에 가장 후방에 위치되는 후방 단위체와 결합되는 고정판이 있고, 상기 고정판에는 전방 단위체의 삽입돌기와 대응되는 위치에 공기 배출구를 갖는 고무튜브가 부착되며, 상기 고무튜브의 외측으로는 하단 양측에 바퀴가 구비된 다수의 지지틀이 장착되고, 상기 지지틀 사이에는 접힘이 가능한 연결대가 설치된 내부 완충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충돌 완충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는 하나, 본 고안이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히 본 고안의 도면에서는 3개의 단위체로 이루어진 외부 케이스를 실시예로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완충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완충장치를 상면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며,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각 단위체(10a,10b,10c)들이 순차적으로 접철가능하게 결합된 외부 케이스(10)와 상기 외부 케이스(10) 내부에 위치되고 차량의 충돌로 인한 충격을 완충시킬 수 있도록 고무튜브(22)가 장착된 내부 완충부(20)로 구성된다.
먼저, 외부 케이스(10)는 내부공간을 갖는 다수의 단위체(10a,10b,10c)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본 고안에서는 편의상 가장 전방에 위치한 단위체를 전방 단위체(10a)라 칭하고, 가장 후방에 위치한 단위체를 후방 단위체(10c)라 하며, 상기 전방 단위체(10a)와 후방 단위체(10c) 사이에 위치한 단위체를 중간 단위체(10b)라 칭한다.
상기 단위체(10a,10b,10c)들 중에서 전방 단위체(10a)는 그 전면이 곡면을 이루고 있고 상기 전면 내측에는 소정의 삽입돌기(11)가 설치되어 있는데, 상기한 삽입돌기(11)는 내부 빈 공간과 연결된 통공(111)을 갖고 외주면에는 걸림턱(112)이 구비되어 외부 케이스(10)의 차량 충돌시 내부 완충부(20)의 고무튜브(22)에 구비된 공기 배출구(23) 내로 삽입되어 고무튜브(22)내에 충진되어 있던 공기가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중간 단위체(10b)는 상기 전방 단위체(10a)를 내부에 삽입가능하도록 뒤쪽에서 결합되어 있으며, 후방 단위체(10c)는 가장 뒤쪽에 위치한 중간 단위체(10b)를 역시 내부에 삽입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다.
다만, 본 고안에서는 상기 중간 단위체(10b)가 하나만 구성된 외부 케이스(10)를 도면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일 뿐, 외부 케이스(10)의 길이에 따라 다수의 중간 단위체(10b)들이 사용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상기 외부 케이스(10)는 내부 완충부(20)를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되는데, 특히 각 단위체(10a,10b,10c)들은 전방에서 부터 후방에 위치될수록 그 크기가 점점 커지도록 하여 정면에서 외부 충격을 받게 되면 순차적으로 접철이 이루어지도록 결합되어 있다.
이 때 상기 단위체(10a,10b,10c)들의 접철이 좀 더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전방 단위체(10a)와 중간 단위체(10b)의 외부 양측면에는 가이드홈(12)이 형성되고, 중간 단위체(10b)와 후방 단위체(10c)의 내부 양측면에는 상기 가이드홈(12)을 따라 이동되는 가이드 돌기(13)를 더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고안의 내부 완충부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이를 참고로 하여 살펴보면 본 고안의 내부 완충부(20)는 외부 케이스(10)의 후방 단위체(10c)와 결합되는 고정판(21)이 있고, 상기 고정판(21)에는 밀봉된 공기 배출구(23)를 갖는 고무튜브(22)가 부착되며, 상기 고무튜브(22)의 외측으로는 하단 양측에 바퀴(25)가 구비된 다수의 지지틀(24)이 장착되고, 상기 지지틀(24) 사이에는 접힘이 가능한 연결대(26)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고무튜브(22)는 그 내부에 공기가 충진되어 차량 충돌시 충격을 흡수하고 완화시키는 완충재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고무튜브(22)의 전면에는 전방 단위체(10a)의 삽입돌기(11)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대응되는 위치에 공기 배출구(23)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공기 배출구(23)는 소정의 힘에 의해 끓어지는 파단편(231)에 의해 밀봉되어 있다가 차량 충돌시 전방 단위체(10a)의 삽입돌기(11)에 의해 개방됨에 따라 고무튜브(22) 내의 공기가 배출되어 수축된다.
또한, 지지틀(24)은 고무튜브(22)의 외측으로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다수개 설치되어 고무튜브(22)를 지지하게 되며, 그 하단 양측에는 바퀴(25)가 구비되어 이동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지지틀(24) 사이에는 설치된 연결대(26)는 고무튜브(22)의 수축으로 인해 지지틀(22)이 후방으로 이동시 일정한 방향으로 진행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완충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방 단위체(10a)의 삽입돌기(11)와 이와 대응되는 고무튜브(22)의 공기배출구(23)는 정면에 각각 하나씩 형성된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면 곡면부를 따라 다수개가 설치될 수 있으며, 이는 차량의 정면충돌 뿐만 아니라 조금 빗겨나가 측면으로 충돌하는 차량에 대해서도 동일한 효과를 갖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고무튜브의 다른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고무튜브(22)의 외주면에 상.하 및 좌.우면을 따라 주름부(221)를 형성하여 자바라 형상을 갖도록 하면, 내부 공기의 충진과 배출시 고무튜브(22)의 팽창과 수축이 용이하고, 차량 충돌시 고무튜브(22)가 좌.우로 휘지 않고 일정방향으로 수축할 수 있도록 하여 더욱 효과적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차량 충돌 전의 완충장치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며, 도 7은 도 6의 "A"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으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완충장치를 처음 설치시에는 내부 완충부(20)의 고무튜브(22)는 팽창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며, 상기 고무튜브(22)의 공기배출구(23)에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외부케이스(10)의 삽입돌기(11)가 위치되어 있다.
도 8은 본 고안의 차량 충돌 후의 완충장치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며, 도 9는 도 8의 "A"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으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완충장치가 차량 충돌로 인하여 충격을 받게 되면, 외부케이스(10)의 전방 단위체(10a)가 뒤로 밀리면서 그 내측에 설치된 삽입돌기(11)는 고무튜브(23)의 공기배출구(23)를 밀봉하고 있는 파단편(231)을 뚫고 그 외주면에 형성된 걸림턱(112)에 의해 걸릴 때까지 삽입되고, 이와 같이 삽입된 삽입돌기(11)에 의해 고무튜브(22) 내 충진되어 있던 공기는 삽입돌기(11)의 통공(111)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이와 동시에, 외부케이스(10)를 구성하고 있는 각 단위체(10a,10b,10c)들은 순차적으로 접철되면서 고무튜브(22)를 더욱 압박하게 되고, 고무튜브(22)는 지지틀(24)들이 고정판(21)쪽으로 이동되면서 수축이 계속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은 작동상태를 갖는 본 고안의 차량 충돌 완충장치는 완충재로 사용되는 고무튜브가 차량의 충돌시 그 충격으로 내부에 충진되어 있던 공기가 효과적으로 배출되도록 하여 충격흡수 뿐만 아니라 고무튜브가 원상태로 복귀하려는 복원력에 의하여 충돌된 차량이 튕겨 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완충장치는 1회 사용으로 한정되지 않고 차량충돌 후 고무튜브에 다시 공기를 충진하고 공기 배출구를 밀봉한 다음 충돌로 인해 파손된 부분, 대부분이 전방 단위체만이 파손되며, 상기 전방 단위체만을 교체함으로서 재활용이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차량 충돌 완충장치는 완충재로 사용되는 고무튜브가 차량의 충돌시 그 충격으로 내부에 충진되어 있던 공기가 배출되도록 하여 충격흡수 뿐만 아니라 고무튜브가 원상태로 복귀하려는 복원력에 의하여 충돌된 차량이 튕겨 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1회 사용으로 한정되지 않고 파손된 부분만 교체가 가능하도록 하여 재활용이 가능한 효과를 가져온다.
도 1은 종래 완충장치가 교차로의 진입도로에 설치된 상태를 보여준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완충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완충장치를 상면에서 바라본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내부 완충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고무튜브의 다른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차량 충돌 전의 완충장치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7은 도 6의 "A"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고안의 차량 충돌 후의 완충장치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9는 도 8의 "A"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상세한 설명>
10 : 외부 케이스
10a : 전방 단위체 10b : 중간 단위체
10c : 후방 단위체 11 : 삽입돌기
12 : 가이드홈 13 : 가이드 돌기
111 : 통공 112 :걸림턱
20 : 내부 완충부
21 : 고정판 22 : 고무튜브
23 : 공기 배출구 24 : 지지틀
25 : 바퀴 26 : 연결대
221 : 주름부 231 : 파단편

Claims (4)

  1. 도로의 중앙 분리대 입구나 진입로에 설치되어 차량의 충돌시 충격을 완화시키는 완충장치에 있어서,
    내부공간을 갖는 다수의 단위체들이 순차적으로 접철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단위체 중에서 가장 전방에 위치되는 전방 단위체는 그 전면이 곡면을 이루고 내측에는 삽입돌기가 설치된 외부 케이스와;
    상기 외부 케이스 중에 가장 후방에 위치되는 후방 단위체와 결합되는 고정판이 있고, 상기 고정판에는 전방 단위체의 삽입돌기와 대응되는 위치에 밀봉된 공기 배출구를 갖는 고무튜브가 부착되며, 상기 고무튜브의 외측으로는 하단 양측에 바퀴가 구비된 다수의 지지틀이 장착되고, 상기 지지틀 사이에는 접힘이 가능한 연결대가 설치된 내부 완충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충돌 완충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방 단위체와 중간 단위체의 외부 양측면에는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중간 단위체와 후방 단위체의 내부 양측면에는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되는 가이드 돌기를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충돌 완충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삽입돌기는 내부 빈 공간과 연결된 통공을 갖고 외주면에는 걸림턱이 구비되어 있으며, 공기 배출구는 소정의 힘에 의해 끓어지는 파단편(231)에 의해 밀봉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충돌 완충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고무튜브의 외주면에 상.하 및 좌.우면을 따라 주름부를 형성하여 자바라 형상을 갖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충돌 완충장치.
KR20-2005-0011475U 2005-04-25 2005-04-25 차량 충돌 완충장치 KR20039056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1475U KR200390564Y1 (ko) 2005-04-25 2005-04-25 차량 충돌 완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1475U KR200390564Y1 (ko) 2005-04-25 2005-04-25 차량 충돌 완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0564Y1 true KR200390564Y1 (ko) 2005-07-21

Family

ID=436918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1475U KR200390564Y1 (ko) 2005-04-25 2005-04-25 차량 충돌 완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0564Y1 (ko)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2186B1 (ko) 2005-11-26 2006-06-26 (주)정도엔지니어링 도로 터널입구용 차량충돌 완화장치
KR100631185B1 (ko) * 2006-03-31 2006-10-04 주식회사 세광 도로 안전 시설물
KR101000588B1 (ko) 2009-09-18 2010-12-10 최복식 충격에너지 흡수장치
KR200453197Y1 (ko) * 2010-03-10 2011-04-15 최용일 차량충돌 흡수장치용 커버
KR200465781Y1 (ko) 2010-12-03 2013-03-18 주식회사 스마트에어 챔버 안전벨트를 구비한 도로변 차량 충격 흡수 장치
KR101247158B1 (ko) * 2010-06-30 2013-03-25 주식회사 스마트에어 챔버 다단식 에어백 충격 흡수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380411B1 (ko) * 2012-03-19 2014-04-02 주식회사 스마트에어 챔버 충격 흡수용 보조 연결부를 구비한 도로변 충격흡수 장치
KR200475731Y1 (ko) * 2013-01-16 2014-12-30 중부토건(주) 보관이 용이한 방호벽
WO2015068985A1 (ko) * 2013-11-05 2015-05-14 신성컨트롤 주식회사 충돌 충격 흡수장치
KR20190000626A (ko) * 2017-06-23 2019-01-03 주식회사 온길 도로안전시설용 차량 충격흡수장치
KR102082861B1 (ko) 2019-07-03 2020-03-02 (주)미래로드셋 칸막이 지지대의 후퇴 저항수단이 구비된 차량 충격흡수장치
KR102100439B1 (ko) 2020-02-04 2020-04-13 (주)미래로드셋 전방지지대의 후퇴 저항수단이 구비된 차량 충격흡수장치
KR20200088070A (ko) 2019-01-14 2020-07-22 (주)미래로드셋 칸막이 지지대의 충돌 슬립에 대한 가변 저항수단을 구비한 차량 충격흡수장치
KR20200088069A (ko) 2019-01-14 2020-07-22 (주)미래로드셋 충돌 슬립에 대한 가이드패널의 가변 저항수단을 구비한 차량 충격흡수장치
KR102298946B1 (ko) 2021-02-23 2021-09-09 주식회사 에프티알에스 개선된 구조의 전방지지대 후퇴 저항수단을 갖는 차량 충격흡수장치

Cited B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2186B1 (ko) 2005-11-26 2006-06-26 (주)정도엔지니어링 도로 터널입구용 차량충돌 완화장치
KR100631185B1 (ko) * 2006-03-31 2006-10-04 주식회사 세광 도로 안전 시설물
KR101000588B1 (ko) 2009-09-18 2010-12-10 최복식 충격에너지 흡수장치
KR200453197Y1 (ko) * 2010-03-10 2011-04-15 최용일 차량충돌 흡수장치용 커버
KR101247158B1 (ko) * 2010-06-30 2013-03-25 주식회사 스마트에어 챔버 다단식 에어백 충격 흡수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465781Y1 (ko) 2010-12-03 2013-03-18 주식회사 스마트에어 챔버 안전벨트를 구비한 도로변 차량 충격 흡수 장치
KR101380411B1 (ko) * 2012-03-19 2014-04-02 주식회사 스마트에어 챔버 충격 흡수용 보조 연결부를 구비한 도로변 충격흡수 장치
KR200475731Y1 (ko) * 2013-01-16 2014-12-30 중부토건(주) 보관이 용이한 방호벽
WO2015068985A1 (ko) * 2013-11-05 2015-05-14 신성컨트롤 주식회사 충돌 충격 흡수장치
US9725857B2 (en) 2013-11-05 2017-08-08 Shinsung Control Co., Ltd. Crash cushion
EA031371B1 (ru) * 2013-11-05 2018-12-28 Шинсунг Контрол Ко., Лтд. Устройство амортизации удара при столкновении
KR20190000626A (ko) * 2017-06-23 2019-01-03 주식회사 온길 도로안전시설용 차량 충격흡수장치
KR102029782B1 (ko) * 2017-06-23 2019-10-08 주식회사 온길 도로안전시설용 차량 충격흡수장치
KR20200088070A (ko) 2019-01-14 2020-07-22 (주)미래로드셋 칸막이 지지대의 충돌 슬립에 대한 가변 저항수단을 구비한 차량 충격흡수장치
KR20200088069A (ko) 2019-01-14 2020-07-22 (주)미래로드셋 충돌 슬립에 대한 가이드패널의 가변 저항수단을 구비한 차량 충격흡수장치
KR102082861B1 (ko) 2019-07-03 2020-03-02 (주)미래로드셋 칸막이 지지대의 후퇴 저항수단이 구비된 차량 충격흡수장치
KR102100439B1 (ko) 2020-02-04 2020-04-13 (주)미래로드셋 전방지지대의 후퇴 저항수단이 구비된 차량 충격흡수장치
KR102298946B1 (ko) 2021-02-23 2021-09-09 주식회사 에프티알에스 개선된 구조의 전방지지대 후퇴 저항수단을 갖는 차량 충격흡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90564Y1 (ko) 차량 충돌 완충장치
AU2011329228B2 (en) Crash cushion
KR100813160B1 (ko) 차량용 크래쉬박스
CN106458119B (zh) 车体抗撞结构
JPH0673714A (ja) 道路用緩衝装置
KR20100061287A (ko) 복수의 충돌에너지 흡수단계를 갖는 차량의 충돌에너지 흡수장치
CN107745694B (zh) 一种用于车辆的保护结构及其设计方法
CN106427847A (zh) 一种汽车撞击防护装置
ES2266397T3 (es) Estructura de proteccion para vehiculos.
CN106043188A (zh) 一种双级杠体吸能式保险杠
KR102087262B1 (ko) 가드레일의 전이구간용 충격흡수장치
KR100916597B1 (ko) 철도차량 튜브완충기용 스테빌라이저 및 스테빌라이저부가형성된 철도차량용 튜브완충기
RU164674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орожной ударогасящей системы
KR200277445Y1 (ko) 도로용 충격흡수대
KR20110071250A (ko) 차량 범퍼의 크래쉬 박스
KR200321305Y1 (ko) 지하차도 입구용 충격흡수장치
KR101369725B1 (ko) 차량용 크래쉬박스
JP2004224106A (ja) 車両用バンパ
CN220742958U (zh) 一种车辆防撞缓冲装置
KR100710670B1 (ko) 차량용 범퍼 백빔
CN217455908U (zh) 一种新能源汽车的用防撞梁
KR102342368B1 (ko) 자동차 도로용 완충기
CN212828239U (zh) 一种具有吸振功能的前后围保险杆防碰撞装置
CN215621447U (zh) 公交站台充电卡座防撞损装置
KR200270717Y1 (ko) 충격 흡수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714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