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5781Y1 - 안전벨트를 구비한 도로변 차량 충격 흡수 장치 - Google Patents

안전벨트를 구비한 도로변 차량 충격 흡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5781Y1
KR200465781Y1 KR2020100012507U KR20100012507U KR200465781Y1 KR 200465781 Y1 KR200465781 Y1 KR 200465781Y1 KR 2020100012507 U KR2020100012507 U KR 2020100012507U KR 20100012507 U KR20100012507 U KR 20100012507U KR 200465781 Y1 KR200465781 Y1 KR 20046578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low portion
shock absorber
air bag
roadside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1250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4187U (ko
Inventor
박광종
윤경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스마트에어 챔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스마트에어 챔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스마트에어 챔버
Priority to KR202010001250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5781Y1/ko
Publication of KR2012000418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418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578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578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14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specially adapted for local protection, e.g. for bridge piers, for traffic islands
    • E01F15/145Means for vehicle stopping using impact energy absorbers
    • E01F15/146Means for vehicle stopping using impact energy absorbers fixed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20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H02S40/38Energy storage means, e.g. batteri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PV modu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6Power conversion systems, e.g. maximum power point track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70/00Other energy conversion or management systems reducing GHG emissions
    • Y02E70/30Systems combining energy storage with energy generation of non-fossil orig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도로변 충격 흡수 장치는 다단의 에어 백으로 구성하고 상기 에어 백은 제1중공부, 제2중공부 및 제3중공부를 구비하여 상기 제2중공부와 상기 제3중공부 사이의 구획판에는 충돌 시에 공기 흐름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밸브가 설치되며, 상기 제어 밸브 주위에는 리턴 천공을 구성하여 충돌 후 공기 흐름을 제어하며, 또한 천공 핀을 구성하여 충돌 시 상기 제2중공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구성하여 충돌 시 충격력을 효과적으로 흡수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다단의 에어 백 구획판 양측에는 안전벨트를 설치하여 충돌 후 상기 다단의 에어 백이 접혀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잡아주도록 작용하는 것으로 반발력에 의하여 다단의 에어 백 전체가 수축되었다가 다시 팽창하는 것을 억제하도록 작용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안전벨트에 의하여 확장되는 것을 방지하면 반발력에 의한 제2차 충격을 흡수할 수 있어 운전자 또는 차량에게 가해지는 충격을 줄일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안전벨트를 구비한 도로변 차량 충격 흡수 장치{Vehicle Collision Absorption Facilities with Safety Belt}
본 고안은 도로변에 설치되는 차량 충격 흡수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로변에는 많은 차량이 소통하고 때때로 가드레일이나, 중앙 분리대 시작점 또는 도로의 분리 지점 등에서 추돌 사고가 빈번하여 상기 장소에 차량 충격 흡수 장치가 설치되어 차량 및 운전자를 보호하도록 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도로변 차량 충격 흡수장치는 차량 충돌 시 충격을 완화하기 위하여 다단식으로 설치하여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도로변 차량 충격 흡수 장치에 관한 배경기술은 등록 실용신안 등록번호 20-0255816호에 개시되어 있다. 도 1은 상기 종래 도로변 충격 흡수 장치의 구성도이다. 상기도 1에서 종래의 도로변 충격 흡수 장치는 도로에 매립되는 기초 콘크리트(10) 위에 설치되는데, 기초 콘크리트(10) 위에는 먼저 한쌍의 이동식 레일(11, 12)들이 다수개의 앵커 볼트(13)에 의해서 설치되고, 상기 이동식 레일(11, 12) 위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마주보는 포스트(14)들이 다수 개 설치되는 구조이다. 또한, 상기 포스트(14)의 상부에는 수평으로 버팀대(16)가 볼트 체결되고, 상기 버팀대(16)와 체결된 포스트(14)는 각기 이동식 레일(11, 12)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다. 또한, 최전방의 가드레일(18)의 전방에는 반원형의 커버(22)가 설치되고 반원형 커버(22)의 전면에는 자외선보호 코팅된 고무판(9)이 부착되고, 상기 최전방의 가드레일(18)에 연속해서 설치되는 다음번의 가드레일(18)은 최전방의 가드레일(18) 내부에 설치되며 전방과 후방의 가드레일(18)이 겹치는 상단부에는 이들을 고정하는 이탈방지 고리(23)가 설치되고, 전방의 반원형 커버(22)와 가드레일(18)의 내부공간에는 반원형 우레탄 에어 블럭(25)이 설치되고, 다음번의 가드레일(18)의 내부공간에는 박스형 우레탄 에어 블럭(27)이 설치되도록 하여 충격을 흡수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도로변 충격 흡수 장치는 차량이 충돌하는 경우, 레일 상에서 상기 다수의 우레탄 에어 블럭이 접히는 구조로서, 충격을 흡수할 수 있으나 상기 에어 블럭이 단순한 에어 블록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충격 흡수에 한계가 있고, 에어 블럭의 수를 증가시켜야 하므로 충격 흡수 장치 자체가 커지고, 충격력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도 없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충격시 반발력에 의한 제2차 충격력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다단의 에어 백으로 구성하고 상기 에어 백은 제1중공부, 제2중공부 및 제3중공부를 구비하여 상기 제2중공부와 상기 제3중공부 사이의 구획판에는 충돌 시에 공기 흐름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밸브가 설치되며, 상기 제어 밸브 주위에는 리턴 천공을 구성하여 충돌 후 공기 흐름을 제어하며, 또한 천공 핀을 구성하여 충돌 시 상기 제2중공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구성하여 충돌 시 충격력을 효과적으로 흡수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다단의 에어 백 구획판 양측에는 안전벨트를 설치하여 충돌 후 상기 다단의 에어 백이 접혀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잡아주도록 작용하는 것으로 반발력에 의하여 다단의 에어 백 전체가 다시 확장되는 것을 억제하도록 작용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안전벨트에 의하여 충돌 후 다시 팽창되는 것을 방지하면 반발력에 의한 제2차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차량 충돌 시, 각각의 에어 백 내에서 제1중공부가 팽창하고, 상기 제2중공부와 제3중공부 사이의 공기 흐름을 제어하여 충돌에 의한 충격력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안전벨트에 의하여 충돌 후 반발력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도로변 차량 충격 흡수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도로변 차량 충격 흡수 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도로변 차량 충격 흡수 장치의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적용된 차량 충격 흡수 장치의 에어 백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적용된 제어 밸브 구성도,
도 6은 본 고안에 적용된 천공 핀 구성도,
도 7은 본 고안에 적용된 칼날 형태의 볼트 구성도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가진 본 고안을 도 2 내니 도 7을 참고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 도로변 차량 충격 흡수 장치의 사시도 이다. 상기도 2에서 본 고안의 도로변 차량 충격 흡수 장치는 다단의 에어 백인 제1에어 백(101), 제2에어 백(102), 제3에어 백(103) 등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에어 백(101)은 구획판(120)에 고정되고, 상기 제2에어 백(102)은 다른 구획판(130)에 고정되고, 상기 제3에어 백(103)은 또 다른 구획판(140)에 고정 설치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에어 백은 다수의 구획판 양 측면의 접철 수단에 의하여 접철될 수 있는 구조이고, 또한 다수의 양측면에는 자동차 안전벨트와 같은 안전벨트가 구성되어 충돌 시 상기 접철수단에 의하여 충격 흡수 장치가 접혀지면 벨트 클립(612)에 체결된 상기 안전벨트의 벨트(611)가 권취부(610)에 의하여 자동으로 신속히 권취되고 충격 흡수 장치가 펼쳐지는 것을 상기 안전벨트 권취부 내에 있는 스토퍼에 의하여 억제하여 반발력에 의한 2차 충격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다수의 구획판(120, 130, 140) 중 끝단의 구획판은 다수의 브라켓(400)에 의하여 벽체와 같은 고정 구조물(410)에 고정되어 설치되는 것이고, 상기 다수의 구획판(120, 130, 140) 및 고정 구조물 상부에는 태양전지 모듈을 설치하여 상기 도로변 차량 충격 흡수 장치에 구비되는 에어 컴퓨레셔의 전원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다수의 구획판(120, 130, 140)의 각각에는 양측으로 바퀴(180)이 구비되고 상기 바퀴(180)응 양측 하단 지면에 고정된 레일(500) 상을 차량이 충돌하는 경우에 움직일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도로변 차량 충격 흡수 장치의 측면도이다. 상기도 3에서 본 고안에 적용된 제1에어 백은 제1에어 백(101)의 제2중공부와 제3중공부 사이에 설치되는 구획판(120)에 볼트(107)에 의하여 고정 설치되고, 상기 구획판(120)의 양측면에는 접철 수단의 체결부(128)가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되며, 상기 구획판의 상부 및 고정 지지물(410)의 상부에는 태양전지 모듈(700)을 설치하여 에어 컴퓨레셔의 전원으로 사용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또한 제2에어 백(102) 및 제3에어 백(103)의 구성도 각각의 구획판(130, 140)에 설치되고, 상기 각각의 구획판 양측으로는 접철 수단이 구비되는 것이 상기 제1에어 백의 구성과 같다. 상기 접철 수단은 양측면으로 설치되는 것이로, 일측 바(122)와 타측 바(124)가 축부(126)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하는 것이고, 상기 일측 바(122)와 타측 바(124)는 체결부(128)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체결부(128)는 하나 또는 둘씩 띄우면서 상기 제1에어 백(101), 제2에어 백(102) 및 제3에어 백(103)의 각각의 구획판(120, 130, 140) 양측면에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하는 것이다. 상기 체결부(128) 및 축부(126) 등은 리벳 형태로 구성하거나, 볼트를 삽입하고 상기 볼트 끝단에 이탈방지용 핀을 삽입하는 형태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한 것이다. 또한 끝단 제3에어 백의 구획판은 다수의 고정 브라켓(400)에 의하여 도로변 벽체의 고정 지지물(410)에 연결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접철 수단에 의하여 상호 연결된 도로변 충격 흡수 장치는 상기 각각의 구획판(120, 130, 140) 양측 하단에 바퀴(180)가 구비되는 것이고, 상기 바퀴(180) 들은 지면에 부설된 양측 레일(500) 상에서 상기 바퀴가 이동할 수 있는 이동 수단을 구비한 구조인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도로변 차량 충격 흡수 장치는 차량이 상기 도로변 충격 흡수 장치에 충돌하는 경우, 상기 접철 수단에 의하여 에어 백들이 접히면서 상기 각각의 구획판(120, 130, 140) 양측 하단에 구비한 다수의 바퀴(180)가 상기 지면에 부설된 레일(500)을 타고 이송하여 상기 충격 흡수 장치 전체가 접혀 들어가도록 작용하는 것이다. 또한 충돌 시에는 상기 안전벨트(611)가 권취부(610)에 자동으로 신속히 권취되며, 충돌 후에는 상기 권취부(610)에 감겨진 벨트(611)가 권취부 내의 스토퍼에 의하여 풀림을 억제하여, 반발력에 따른 상기 충격 흡수 장치가 다시 펼쳐져 팽창하는 것을 억제하도록 작용하는 것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적용된 에어 백의 단면 구성도이다. 상기도 4에서 차량 부착형 충격 흡수 장치(100)는 제1에어 백(101), 제2에어 백(102) 및 제3에어 백(103)으로 구성된 것을 나타낸 것이나 상기 에어 백의 수는 얼마든지 가감할 수 있는 것이고, 도로의 제한 속도, 차량의 종류 등에 따라서 가감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도 4에서 제1에어 백(101)은 제2중공부 및 제3중공부만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또한, 제1중공부(141), 제2중공부(144) 및 제3중공부(151) 등으로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에서 제1중공부(141) 및 제2중공부(144)의 커버는 신축성이 우수한 우레탄계열의 테라스틱 TPU 재질로 구성되어 충격 시 팽창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또한 제2에어 백 및 제3에어 백은 크기만 다르고 상기 제1에어 백과 동일한 구성이다.
상기와 같은 우레탄 계열의 테라스틱 TPU의 특성은 면이 유리처럼 매끄러운 경우에는 충돌 시 접착 면적이 넓고 충돌 시 발생하는 열에 의하여 충돌 차량의 거동성을 감소시켜 차량의 튕김이나 빗나감으로 인한 2차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특성이 있으므로, 상기 충격 흡수 장치의 각각의 에어 백(101, 102, 103)의 제1중공부(141, 142, 143) 겉 표피(175, 176, 177)를 유리처럼 매끄럽게 구성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우레탄 계열의 테라스틱 TPU는 표면을 엠보싱 형태로 처리하면 충돌 시 접촉 면적을 줄이고 발생하는 충돌 열이 감소하여 충격을 잘 흡수할 수 있고 우레탄의 재활용 측면에서도 유리하다. 따라서 상기 각 에어 백의 제1중공부(141, 142, 143)의 안쪽 표피(181, 182, 183)와 제2중공부(144, 145, 146)의 겉 표피(184, 185, 186)를 엠보싱으로 처리하여, 충돌 시, 상기 제1중공부(141, 142, 143)의 안쪽 표피(181, 182, 183)와 상기 제2중공부(144, 145, 146)의 겉 표피(184, 185, 186)가 각각 접촉 면적을 줄이고 열 발생을 감소시켜 충격을 잘 흡수하도록 구성하고 그리스(greese)를 추가로 발라서 열 발생을 보다 줄이고 잘 미끄러질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1에어 백(101)의 제1중공부(141)는 각각 밀폐되는 구조이고, 상기 제2중공부(144)는 각각 제3중공부(151)와의 사이에 구획판(120)이 구비되는 것이고, 상기 구획판(120)에는 체크 밸브 형태의 판형 제어 밸브(170)가 각각 설치되며, 상기 판형 제어 밸브(170) 또는 그 주위에는 각각의 리턴 천공(171)이 구성되는 구조이다. 상기 판형 제어 밸브는 하나의 에어 백에 1개 이상 다수로 구성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판형 제어 밸브의 상하 등에는 각각의 천공핀(160)을 구성하여 충격 시 천공 핀이 천공 막을 뚫어 내부의 공기를 천공 막을 통하여 외부로 배기하는 구조인 것이다. 또한 제2에어 백(102)도 제1에어 백과 마찬가지로 상기 구획판(130)에 판형 제어 밸브(270)와 리턴 천공(271) 및 천공핀(260) 등을 구비하는 구성이다. 또한 제3에어 백(103)도 상기 제1에어 백(101)과 마찬가지로 상기 제1에어 백과 같이 상기 구획판(140)에 판형 제어 밸브(370), 리천 천공(371) 및 천공 핀(360) 등을 구비하고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1에어 백(101), 제2에어 백(102) 및 제3에어 백(103)은 접철 수단에 의하여 연결 체결되는 구조이다. 또한 상기 각각의 에어 백은 각각의 구획판(120, 130, 140) 하단에 360도 회전 가능한 바퀴(180)가 부착된 구성으로 차량이 후면에서 충돌하게 되면 상기 접철 수단이 접히면서 상기 바퀴(180)에 의하여 레일(500) 상에서 각각의 에어 백이 같이 이동할 수 있는 구조인 것이다. 상기에서, 제1에어 백(101), 제2에어 백(102) 및 제3에어 백(103) 각각에는 제1중공부에 에어를 공급하기 위한 제1중공부 에어 주입구(110, 210, 310)와 제2중공부에 에어를 공급하기 위한 제2중공부 에어 주입구(112, 212, 312)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각각의 제2중공부 에어 주입구(112, 212, 312) 전단에는 공기 주입을 on-off하기 위한 각각의 밸브(114, 214, 314)와 통합 밸브(414)를 거쳐서 차량 일측에 부착된 에어 컴퓨레셔(116)에 연결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에어 컴퓨레셔(116)에 사용하는 전원은 상기 다수의 구획판과 고정 지지물(410) 등에 설치되는 태양전지 모듈(700)에서 발전되는 것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태양전지 모듈에서 발전되는 전기는 축전지(800)에 충전하였다가 다시 사용할 수 있는 구조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적용된 판형 제어 밸브의 상세 구성도이다. 상기도 5에서 (a)는 구획판(120)에 고정된 판형 제어 밸브(170)가 닫친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상기 판형 제어 밸브(170)는 평상시에는 구획판의 홀(172)를 폐쇄하도록 설치되나 차량의 충돌로 인하여 상기 제2중공부(144)의 압력이 상승하면 판형 제어 밸브(170)의 상기 구획판(120)에 형성된 홀(172)을 개방하도록 하여 상기 제2중공부(144)의 공기를 상기 제3중공부(151)로 이동하도록 작용하는 것이다. 상기도 5의 (b)는 차량의 충돌로 제2중공부(144)의 공기압이 급격히 상승하여 상기 판형 제어 밸브(170)가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충돌 후에는 다시 상기 제2중공부(144)의 압력이 줄어들고 따라서 상기 제3중공부(151)의 압력이 상기 제2중공부의 압력보다 크게 되므로 다시 상기 제3중공부의 공기는 리천 천공(171)을 통하여 상기 제2중공부로 이동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공기 흐름을 제어함으로써 충돌로 인한 충격을 흡수하여 차량 및 운전자를 보다 잘 보호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에서 판형 제어 밸브는 폐쇄와 개방을 원활히 하기 위하여 고무 재질로 구성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그리고 상기 제2에어 백 및 제3에어 백의 판형 제어 밸브의 구성 및 작용은 상기 제1에어 백의 구성 및 작용과 같은 것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적용된 천공 핀의 상세 구성도이다. 상기도 6에서 천공핀(160)은 상기 구획판(120)에 형성된 삽입구에 삽입되어 진출입하는 핀(162)과, 상기 핀의 형성된 돌기(164)와, 내부에 핀을 끼우고 상기 돌기와 구획판 사이에 삽입되는 스프링(163)과, 상기 핀 일측 끝단에 형성된 판체(161), 상기 구획판의 일측에 부착하는 커버를 구비한 천공 막(165)로 구성되어 차량의 충돌 시 상승하는 공기압에 의하여 상기 핀(162)이 상기 천공 막(165)를 뚫어서 상기 제2중공부의 공기를 상기 천공막의 뚫린 부분을 통하여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핀은 중공 형태의 관 형상으로 다수의 구멍이 나 있어 공기가 유통할 수 있는 구조이나 커버를 구비한 천공 막(165)은 완전 밀폐 구조로서 천공 막(165)이 뚫리는 경우에 한하여 공기가 배출할 수 있는 구조이다. 상기도 6의 (b)는 차량이 충돌하여 핀(162)이 천공 막(165)을 뚫은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7은 본 고안에 적용된 칼날을 구비한 볼트의 상세 구성도이다. 상기도 7에서 구획판 외측으로 상기 에어 백을 고정하기 위하여 체결되는 볼트(107)는 상기 볼트의 볼트 헤드부(207)를 칼날 형태로 구성하여 차량의 충돌 시 우레탄으로 구성된 중공부가 팽창하는 경우 상기 칼날에 중공부가 부딪혀서 상기 중공부에 천공이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중공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도로변 충격 흡수 장치는 도로변의 중앙 분리대 시작지점 또는 도로가 분리되는 시작 시점 등에 설치하여 차량 충돌 시 충격력과 반발력을 흡수하도록 함으로써 차량과 탑승자를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10 : 기초 콘크리트, 11,12 : 이동식 레일,
13 : 앵커 볼트 , 14 : 포스트,
16 : 버팀대, 18 : 가드레일,
22 : 반원형 커버, 25, 27 : 에어 블럭,
100 : 충격 흡수 장치, 101 : 제1에어 백,
102 : 제2에어 백, 103 : 제3에어 백,
120, 130, 140 : 구획판, 122 : 일측 바,
124 : 타측 바, 126 : 축부,
160 : 천공핀, 165 : 천공막
170 : 판형제어 밸브, 172 : 홀,
180 : 바퀴, 400: 브라켓,
500 : 레일, 610 :권취부,
611 : 벨트, 612 : 벨트 클립,
700 : 태양전지 모듈, 800 : 축전지

Claims (21)

  1. 도로변에 설치되어 다른 차량의 충돌 시 충격을 흡수하는 도로변 충격 흡수 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로변 충격 흡수 장치는,
    제2중공부와 상기 제2중공부와 체결되고 상기 제2중공부와의 사이에 공기가 서로 유동할 수 있는 구조의 제3중공부로 구성된 2개 이상의 에어 백과;
    상기 에어 백을 연결하고 접히고 펼 수 있는 접철 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변 충격 흡수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도로변 충격 흡수 장치의 각각의 에어 백은,
    상기 제2중공부와 상기 제3중공부 사이에 설치되는 구획판과,
    상기 각각의 구획판에 구비되는 제어 밸브와;
    상기 각각의 구획판에 구비되는 리턴 천공을 포함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변 충격 흡수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에어 백은,
    상기 제2중공부 전단에 밀폐형의 제1중공부를 더 포함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변 충격 흡수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도로변 충격 흡수 장치는,
    상기 각각의 구획판 양 측면을 통하여 체결되는 안전벨트를 더 포함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변 충격 흡수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접철 수단은,
    일측 바(122)와;
    축부(126)에 의하여 상기 일측 바(122)의 중앙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하는 타측 바(124)와;
    상기 일측 바(122)와 상기 타측 바(124)를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하는 체결부(128)와;
    상기 체결부(128)의 일부가 상기 일측 바와 타측 바와 함께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하는 제1에어 백(101), 제2에어 백(102) 및 제3에어 백(103)에 구성된 각각의 상기 구획판(120, 130, 140)과;
    상기 각각의 구획판 하단에 구비되는 바퀴(18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변 충격 흡수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2개 이상의 에어 백은,
    전면부의 에어 백의 크기를 작게 후면부의 에어 백을 크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변 충격 흡수 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백은,
    그 개수가 3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변 충격 흡수 장치.
  8. 제3항에 있어서,
    도로변 충격 흡수 장치는,
    상기 제2중공부에 공기를 주입하기 위한 에어 컴퓨레셔와;
    상기 에어 컴퓨레셔를 구동하기 위한 전원을 더 포함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변 충격 흡수 장치.
  9. 제3항에 있어서,
    도로변 충격 흡수 장치는,
    상기 구획판에 천공 핀을 더 포함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변변 충격 흡수 장치.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백의 공기압은,
    후면에 있는 에어 백의 공기압이 전면에 있는 에어 백의 공기압보다 크게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변 충격 흡수 장치.
  11. 제3항에 있어서,
    제1중공부는,
    밀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변 충격 흡수 장치.
  12. 제3항에 있어서,
    제1중공부 및 제2중공부의 재질은,
    우레탄 계열의 테라스틱 TPU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변 충격 흡수 장치.
  13. 제4항에 있어서,
    접철수단은,
    일측 바(122)와;
    축부(126)에 의하여 상기 일측 바(122)의 중앙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하는 타측 바(124)와;
    상기 일측 바(122)와 상기 타측 바(124)를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하는 체결부(128)와;
    상기 체결부(128)의 일부가 상기 일측 바와 타측 바와 함께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하는 제1에어 백(101), 제2에어 백(102) 및 제3에어 백(103)에 구성된 각각의 상기 구획판(120, 130, 140)과;
    상기 각각의 구획판 하단에 구비되는 바퀴(180) 및
    상기 바퀴가 이동하는 레일(50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변 충격 흡수 장치.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은 태양전지 모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변 충격 흡수 장치.
  15. 제9항에 있어서,
    천공 핀은,
    구획판에 홀에 삽입되어 진출입하는 핀과;
    상기 핀의 형성된 돌기와;
    상기 돌기와 구획판 사이에 삽입되는 스프링과;
    상기 핀 일측 끝단에 형성된 판체와;
    상기 구획판의 일측에 부착하는 커버를 구비한 천공 막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변 충격 흡수 장치.
  16. 제12항에 있어서,
    제1중공부의 겉 표피는 유리처럼 매끄럽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변 충격 흡수 장치.
  17. 제12항에 있어서,
    제1중공부의 안쪽 표피와 제2중공부의 겉표피는 엠보싱 형태의 표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변 충격 흡수 장치.
  18. 제12항에 있어서,
    도로변 충격 흡수 장치는,
    각각의 제2중공부 전단에 구비된 제어 밸브와;
    상기 제어 밸브를 연결하는 호스와;
    상기 호스에 체결된 통합 밸브와;
    상기 통합 밸브에 체결되어 공기를 공급하는 에어 컴퓨레셔를 더 포함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변 충격 흡수 장치.
  19. 제12항에 있어서,
    도로변 충격 흡수 장치는,
    상기 구획판에 상기 제2중공부의 우레탄을 고정하기 위한 볼트의 볼트 헤드가 칼날 형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변 충격 흡수 장치.
  20. 제14항에 있어서,
    도로변 충격 흡수 장치는,
    상기 태양전지 모듈의 전기를 충전하여 사용하기 위한 축전지를 더 포함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변 충격 흡수 장치.
  21. 제17항에 있어서,
    엠보싱 형태의 표면은,
    그 표면에 그리스를 추가로 발라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변 충격 흡수 장치.
KR2020100012507U 2010-12-03 2010-12-03 안전벨트를 구비한 도로변 차량 충격 흡수 장치 KR20046578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2507U KR200465781Y1 (ko) 2010-12-03 2010-12-03 안전벨트를 구비한 도로변 차량 충격 흡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2507U KR200465781Y1 (ko) 2010-12-03 2010-12-03 안전벨트를 구비한 도로변 차량 충격 흡수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4187U KR20120004187U (ko) 2012-06-13
KR200465781Y1 true KR200465781Y1 (ko) 2013-03-18

Family

ID=466132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12507U KR200465781Y1 (ko) 2010-12-03 2010-12-03 안전벨트를 구비한 도로변 차량 충격 흡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578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7010A (ko) * 2015-02-06 2016-08-17 (주)큐싸인엘이디 차량진입차단장치
KR102515544B1 (ko) * 2021-10-01 2023-03-30 (주)두리안컴퍼니 길이와 높이가 가변되는 충격완화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0611B1 (ko) * 2013-07-08 2013-08-27 (주) 천진엔지니어링 갈라진 도로 또는 터널입구의 차량 충돌 회피 구조
KR101887677B1 (ko) * 2016-12-14 2018-08-13 주식회사 스마트에어챔버 에어 백 형태의 충격흡수부를 구비한 교각의 충격흡수 시스템
CN107513954B (zh) * 2017-07-21 2019-10-22 河北交建集团有限公司 一种具有防撞功能的高架桥梁
CN110700145B (zh) * 2019-09-29 2020-10-27 吕宝龙 一种高速公路护栏
CN112615583A (zh) * 2019-12-26 2021-04-06 何士卓 一种方便固定的屋顶分布式光伏系统
CN113463501B (zh) * 2021-07-20 2023-07-21 广东雄桥建设集团有限公司 基于三角形定位结构的建筑桥墩防护框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6361Y1 (ko) 2003-03-07 2003-06-18 신도산업 주식회사 다단 에어백을 이용한 충격흡수장치
KR200390564Y1 (ko) 2005-04-25 2005-07-21 김경애 차량 충돌 완충장치
KR100503500B1 (ko) * 2000-11-16 2005-07-26 김선남 차량의 충격흡수장치
KR100869344B1 (ko) 2008-05-27 2008-11-19 광주광역시 남구 도로용 충격흡수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3500B1 (ko) * 2000-11-16 2005-07-26 김선남 차량의 충격흡수장치
KR200316361Y1 (ko) 2003-03-07 2003-06-18 신도산업 주식회사 다단 에어백을 이용한 충격흡수장치
KR200390564Y1 (ko) 2005-04-25 2005-07-21 김경애 차량 충돌 완충장치
KR100869344B1 (ko) 2008-05-27 2008-11-19 광주광역시 남구 도로용 충격흡수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7010A (ko) * 2015-02-06 2016-08-17 (주)큐싸인엘이디 차량진입차단장치
KR101717149B1 (ko) * 2015-02-06 2017-03-16 (주)큐싸인엘이디 차량진입차단장치
KR102515544B1 (ko) * 2021-10-01 2023-03-30 (주)두리안컴퍼니 길이와 높이가 가변되는 충격완화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4187U (ko) 2012-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5781Y1 (ko) 안전벨트를 구비한 도로변 차량 충격 흡수 장치
JP6209283B2 (ja) 車両ボンネットのためのエアバッグデバイス
CN100376435C (zh) 用于保护机动车外部的人员的装置
KR100765954B1 (ko) 차량충돌 복원형 충격흡수완화장치
US8408350B2 (en) External airbag
JP2017516702A (ja) 個別膨張式二段クッションエアバッグ
KR20150128051A (ko) 에어백 모듈
CN103738281B (zh) 一种带保护装置的客车外置气囊
US6341813B1 (en) Energy-absorbing members in a vehicle
KR200454318Y1 (ko) 트럭 부착형 에어백 범퍼
KR20120119138A (ko) 범퍼 에어백 장치
KR101393078B1 (ko) 차량에 설치되어 충돌 시 충격을 흡수하는 실린더 형태의 에어백 범퍼 시스템
WO2007097666A1 (en) Bumper air bag
KR101762195B1 (ko) 힌지를 이용한 접이식 대형 차량의 충격 흡수 시스템
KR101325284B1 (ko) 2차선 보호용 차량부착형 충격흡수장치
KR101500340B1 (ko) 다수의 셀부 및 힌지를 이용한 차량의 에어백 충격흡수 시스템
KR20130106231A (ko) 충격 흡수용 보조 연결부를 구비한 도로변 충격흡수 장치
KR20120080016A (ko) 에어 배관과 다수의 중공부를 구비한 트럭부착형 충격 흡수 장치
KR200321305Y1 (ko) 지하차도 입구용 충격흡수장치
KR102171541B1 (ko) 링크 방식을 이용한 접이식 방호 울타리를 구비한 대형 차량의 충격 흡수 시스템
KR200412247Y1 (ko) 에어백을 이용한 충격 흡수대
KR101695017B1 (ko) 완충수단을 갖는 차량 방호용 난간 및 시공방법
KR101247158B1 (ko) 다단식 에어백 충격 흡수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469566B1 (ko) 다수의 셀 및 힌지를 이용한 차량의 에어백 충격흡수 시스템
KR102512579B1 (ko) 풍력발전기 및 안전 하우징이 구비된 중앙분리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