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7262B1 - 가드레일의 전이구간용 충격흡수장치 - Google Patents

가드레일의 전이구간용 충격흡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7262B1
KR102087262B1 KR1020170175512A KR20170175512A KR102087262B1 KR 102087262 B1 KR102087262 B1 KR 102087262B1 KR 1020170175512 A KR1020170175512 A KR 1020170175512A KR 20170175512 A KR20170175512 A KR 20170175512A KR 102087262 B1 KR102087262 B1 KR 1020872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ardrail
fence
transition section
bent
guard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55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74119A (ko
Inventor
이경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국제에스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국제에스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국제에스티
Priority to KR10201701755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7262B1/ko
Publication of KR201900741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41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72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72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14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specially adapted for local protection, e.g. for bridge piers, for traffic islands
    • E01F15/145Means for vehicle stopping using impact energy absorbers
    • E01F15/146Means for vehicle stopping using impact energy absorbers fixed arrang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025Combinations of at least two of the barrier member types covered by E01F15/04 - E01F15/08, e.g. rolled steel section or plastic strip backed up by cable, safety kerb topped by rail barri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드레일의 전이구간용 충격흡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도로에 설치된 가드레일과 방호울타리 사이에 설치되어 사고발생 시 충격을 흡수하고 운전자를 보호할 수 있는 가드레일의 전이구간용 충격흡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가드레일의 전이구간용 충격흡수장치{SHOCK-ABSORBER FOR TRANSITION SECTION OF GUARDRAIL}
본 발명은 가드레일의 전이구간용 충격흡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도로에 설치된 가드레일과 방호울타리 사이에 설치되어 사고발생 시 충격을 흡수하고 운전자를 보호할 수 있는 가드레일의 전이구간용 충격흡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드레일 및 방호울타리는 도로의 중앙 및 외각에 설치되어 사고 발생 시 차량의 이탈 및 낙하를 방지하고 운전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도록 설치한다.
이때, 가드레일 및 방호울타리는 도로환경에 따라 설치되며, 각 끝단을 서로 연결하여 사고 발생시 차량의 충격 및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전이구간이 형성된다.
즉, 전이구간은 강도가 다른 두 개 이상의 방호울타리를 연장설치할 시 상대적으로 강도가 낮은 방호울타리 안으로 차량이 빠져들어 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것이다.
따라서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전이구간의 가드레일은, 콘크리트 구조물로 이루어진 방호울타리에 밀착되는 철판과, 철판으로 제작된 가드레일의 단면형상에 맞춰 결합한 후 방호울타리에 볼트체결을 통해 고정하는 구성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전이구간은 차량의 충돌시 충격을 완화할 수 없으며, 차량의 도로 밖으로 이탈하는 문제점과 함께, 차량이 철판으로 이루어진 가드레일을 지나쳐 콘크리트 방호울타리의 모서리 부분에 충돌하여 더 큰 피해가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종래에 제시된 선행문헌과 같이 콘크리트 방호울타리에 마감부재를 통해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는 지지대를 설치하는 방식이 제시된 바 있다.
이와 같이 서로 다른 강성을 가지는 부재를 연결설치하여 측면에서 충돌하는 차량의 충격을 완화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
하지만, 종래기술은 측면에 배치되어 있어 전이구간에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없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전이구간의 충격을 완화하고, 차량 및 탑승자를 보호하기 위한 선행문헌이 명확히 제시되지 않은 상태이다.
한국등록특허 제10-1472982(2014.12.09)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서로 다른 형상 및 재질로 이루어진 방호울타리와 가드레일의 전이구간에 연결되어 차량의 충돌에 의한 충격을 완충시킬 수 있는 가드레일의 전이구간용 충격흡수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차량의 충격시 방호울타리 및 가드레일의 모서리부분에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가드레일의 전이구간용 충격흡수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이구간에서 충돌 시 상대적으로 강성이 강해 변형이 발생하지 않는 방호울타리 및 가드레일 구간으로 신속하게 이동하여 충격을 분산시킬 수 있는 가드레일의 전이구간용 충격흡수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설치 환경에 따라 전이구간에서 차량의 충돌 시 충격은 완충하고, 차량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지주를 보강할 수 있는 가드레일의 전이구간용 충격흡수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가드레일과 방호울타리의 전이구간에 설치되어 차량의 충돌시 충격을 완화시키는 가드레일의 전이구간용 충격흡수장치에 있어서, 일측이 가드레일에 결합되며, 타측이 방호울타리의 내측으로 연장되어 상단과 하단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가드레일빔; 상기 가드레일빔의 외측을 감싸도록 형성되어 길이방향이동이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가드레일과 상기 방호울타리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방호울타리 방향으로 이동하는 보강부; 상기 가드레일빔의 타측 끝단에 설치되어 상기 방호울타리에 결합되며, 상기 보강부의 이탈을 방지하는 결합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드레일빔은, 수직판의 상/하측이 후측으로 절곡된 절곡판에 의해 내부에 완충공간이 구비된 전면부와, 상기 절곡판의 후측 끝단에서 내측으로 절곡된 제1절곡부와, 상기 제1절곡부와 연속하여 후측으로 일부 절곡된 제2절곡부 및 상기 제2절곡부에서 상/하 방향의 외측으로 연장하여 절곡된 제3절곡부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방호울타리에 밀착되어 결합되는 결합판과, 상기 결합판에서 연장되어 상기 가드레일빔이 내부에 결합하는 수용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수용부의 끝단에는 상기 보강부가 삽입되는 삽입부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강부는, 상단 및 하단에 위치한 상기 가드레일빔의 상기 수직판 및 상부 및 하부의 상기 절곡판에 밀착되는 보강판과 상기 보강판의 끝단에서 상기 제1절곡부에 밀착되도록 절곡된 돌출판이 길이방향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강판의 전면에는 내부로 함몰되어 상부에 위치한 상기 가드레일빔의 하단부와, 하부에 위치한 상기 가드레일빔의 상단부에 밀착되어 가이드 하는 함몰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강판의 양 끝단에는, 내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전면부에 밀착되는 연장되는 절곡편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강부의 내부에는 상기 가드레일빔과 밀착되어 길이방향으로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이동부재가 더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드레일빔에 후면에 결합되며, 지면에 매설되는 지주가 더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가드레일의 전이구간용 충격흡수장치에 따르면, 콘크리트, 철재 등의 서로 다른 형상 및 재질로 이루어진 방호울타리와 가드레일의 사이의 전이구간에 설치되어 차량의 충돌에 의한 충격을 완충시킬 수 있으며, 차량을 방호울타리 또는 가드레일로 이동시켜 상대적으로 강성이 약한 전이구간의 변형을 방지하고 충격을 분산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가드레일빔에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보강부를 통해 전이구간에 차량의 충돌시 가드레일빔의 변형을 방지하고 방호울타리 구간으로 이동하여 상대적으로 강성이 강한 구간에서 충격을 분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방호울타리 및 가드레일의 모서리 부분에 차량이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여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설치 환경에 따라 전이구간에 별도의 지주를 결합하여 차량 충돌시 충격 및 변형을 방지하고 차량의 이탈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드레일의 전이구간용 충격흡수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분해상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보강부재의 다양한 단면형태를 도시한 개념도,
도 6 및 7은 본 발명에 따른 충돌시 변형상태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가드레일의 전이구간용 충격흡수장치를 자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드레일의 전이구간용 충격흡수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분해상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정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보강부재의 다양한 단면형태를 도시한 개념도이며, 도 6 및 7은 본 발명에 따른 충돌시 변형상태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가드레일의 전이구간용 충격흡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도로에 설치된 가드레일과 방호울타리 사이에 설치되어 사고발생 시 충격을 흡수하고 운전자를 보호할 수 있는 가드레일의 전이구간용 충격흡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서로 다른 강도로 이루어져 차량의 충돌시 충격량은 완충시키고 이탈 및 낙하 등을 방지하는 가드레일과 방호울타리를 연결하는 전이구간에 설치되는 가드레일빔(100)과, 보강부(200) 및 결합부재(300)로 이루어진다.
이에 앞서, 상기 가드레일(500)은 철재 및 지주로 도로에 설치되어 차량 충돌시 발생하는 충격을 완충시키고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구성에 대한 것이며, 상기 방호울타리(600)는 콘크리트 부재로 이루어져 차량의 충돌시 발생하는 충격을 완충시키고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구성에 대한 것으로서, 재질의 차이에 의해 서로 다른 강도를 가지게 된다.
상기 가드레일빔(100)은 일측이 상기 가드레일(500)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방호울타리(600)의 내측으로 연장되어 상단과 하단에 하나이상 배치된다.
이러한 상기 가드레일빔(100)은 수직판(111)의 상/하측이 후측으로 절곡된 절곡판(112)에 의해 내부에 완충공간이 구비된 전면부(110)와, 상기 절곡판(112)의 후측 끝단에서 내측으로 절곡된 제1절곡부(120)와, 상기 제1절곡부(120)와 연속하여 후측으로 일부 절곡된 제2절곡부(130) 및 상기 제2절곡부(130)에서 상/하 방향의 외측으로 연장하여 절곡된 제3절곡부(140)가 형성된다.
상기 보강부(200)는 상기 가드레일빔(100)의 외측에 길이방향이동이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가드레일(500)과 상기 방호울타리(600)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방호울타리(600) 방향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상기 보강부(200)는 상단 및 하단에 위치한 상기 가드레일빔(100)의 상기 수직판(111) 및 상부 및 하부의 상기 절곡판(112)에 밀착되는 보강판(201)과 상기 보강판(201)의 끝단에서 상기 제1절곡부(120)에 밀착되도록 절곡된 돌출판(202)이 길이방향으로 이루어진다.
이를 통해 상기 보강부(200)는 상기 가드레일빔(100)의 상기 전면부(110)와 상기 제1절곡부(120)를 감싸 밀착되는 단면형상으로 이루어져 임의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결합부재(300)는 상기 가드레일빔(100)의 타측 끝단에 설치되고 상기 방호울타리(600)에 결합되어 고정하며, 상기 보강부(200)의 이탈을 방지한다.
따라서 상기 결합부재(300)는 상기 방호울타리(600)에 밀착결합되는 결합판(310)과, 상기 결합판(310)에서 연장되어 상기 가드레일빔(100)이 내부에 결합하는 수용부(320)로 이루어지되, 상기 수용부(320)의 끝단에는 상기 보강부(200)가 삽입되는 삽입부(330)가 형성된다.
즉, 상기 가드레일빔(100), 상기 보강부(200) 및 상기 결합부재(300)를 이용해 서로 다른 강도로 이루어진 상기 가드레일(500) 및 상기 방호울타리(600)를 연결하여 차량의 충격을 완충할 수 있다.
따라서 설치상태를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가드레일빔(100)은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가드레일(500)과 방호울타리(600)에 연결된다.
이때, 상기 가드레일빔(100)과 상기 가드레일(500)은 별도의 슬리브(510)를 통해 결합한다.
여기서 상기 슬리브(510)는 상기 가드레일빔(100) 및 상기 가드레일(500)의 내측 형상과 대응하는 외형을 갖으며, 양단이 상기 가드레일빔(100)과 상기 가드레일(500)에 끼워 결합한다.
즉, 상기 가드레일빔(100)과 상기 가드레일(500)은 동일한 단면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슬리브(510)를 통해 연장설치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가드레일빔(100)은 상기 가드레일(500)에 편리하게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드레일빔(100)은 상기 가드레일에 일측이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방호울타리(600)의 측면을 따라 내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3절곡부(140)와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결합부재(300)를 통해 결합한다.
또한, 상기 가드레일빔(100)은 가드레일(500)의 설치상태에 맞춰 동일하게 이루어지되, 상기 가드레일빔(100) 및 상기 가드레일(500)은 상단과 하단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상단과 하단에 위치한 상기 가드레일빔(100)을 감싸며, 도로변으로 노출될 수 있도록 보강부(200)를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방호울타리(600)의 내측으로 연장된 상태에서 상단과 하단에 위치한 상기 가드레일빔(100)이 상기 결합부재(300)의 내부에 삽입결합시킨 후 상기 방호울타리(600)의 측면에 설치한다.
아울러 상기 가드레일빔(100)은 상기 제3절곡부(140)를 통해 상기 결합부재(300) 이외에 상기 방호울타리(600)에 직접 결합하여 고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설치되어 서로 다른 강성 및 형상을 가지는 상기 가드레일(500)과 상호 방호울타리(600)의 전이구간을 연결하게 된다.
그리고 전이구간에는 선택적으로 차량의 충돌시 발생하는 충격에 의한 변형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지주(400)가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지주(400)는 상기 가드레일(500)에 설치된 동일한 구성을 가지며, 상기 가드레일빔(100)에 별도의 브라켓(520)을 통해 결합한다.
이때, 상기 브라켓(410)은 상기 가드레일빔(100)의 후면에 형성된 제1, 2, 3절곡부(120, 130, 140)와 상기 지주(400)를 결합하여, 차량의 충격을 지지할 수 있도록 임의의 위치에 다수개의 상기 지주(400)를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강부(200)는 차량충돌시 상기 방호울타리(600) 구간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강부(200)의 내부에는 상기 가드레일빔(100)과 밀착되어 길이방향으로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이동부재(210)가 더 포함된다.
이러한 상기 이동부재(210)는 상기 보강부(200)와 상기 가드레일빔(100)의 접하는 지점에 길이방향으로 이루어져 상기 보강부(200) 및 상기 가드레일(500)보다 상대적으로 강성이 약해 쉽게 마모되어 미끄러질 수 있는 재질을 가지는 부재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외에 롤러, 볼 등의 부재를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보강부(200)는 차량의 충돌시 상기 가드레일빔(100)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방호울타리(600) 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즉, 상대적으로 충격 흡수가 약한 전이구간에서 차량의 충돌시 외형의 변형을 방지하고 신속하게 상기 방호울타리(600) 구간으로 이동하여 상기 방호울타리(600)가 설치된 구간에서 차량의 충돌시 발생하는 충격을 완충시키고 차량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차량의 충돌방향에 따라 상기 방호울타리(600)의 모서리 부분에 충돌을 방지하여 더 큰 피해를 예방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상기 보강부(200)는 상기 방호울타리(600)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차량의 충격방향에 따라 상기 가드레일(500) 방향으로 이동이 이루어지되, 상기 지주(400)에 의해 고정되도록 이루어져, 일정구간에서 정지하여 상기 가드레일(500) 구간에서 차량의 충격을 완충시키고 차량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강부(200)는 차량충돌에 의해 발생하는 충격에 의한 변형을 방지하고, 충격량을 상기 방호울타리(600)에서 분산할 수 있는 단면형상을 가진다.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강판(201)의 전면에는 내부로 함몰되어 상부에 위치한 상기 가드레일빔(100)의 하단부와, 하부에 위치한 상기 가드레일빔(100)의 상단부에 밀착되어 가이드하는 함몰부(220)가 형성된다.
즉, 상기 보강판(201)은 전면의 중앙부분이 길이방향으로 함몰된 상기 함몰부(220)를 형성하며, 상기 함몰부(220)의 상측이 상부에 위치한 상기 가드레일빔(100)의 하단과 밀착되고, 하측이 하부에 위치한 상기 가드레일빔(100)의 상단과 밀착되도록 이루어진다.
이를 통해 상기 보강부(200)가 길이방향이동시 상기 함몰부(220)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 되며, 이외의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차량의 충돌시 상기 보강부(200)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강판(201)의 양 끝단에는 내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전면부(110)에 밀착되는 연장되는 절곡편(230)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절곡편(230)은 상기 보강판(201)의 양 끝단에 내측으로 절골되어 차량충돌시 완충작용이 이루어지며, 상기 가드레일빔(100)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한다.
다음으로는 도 6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이구간에서 차량의 충돌시 변형상태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따라서 상기 가드레일빔(100)은 상기 가드레일(500)에 상기 슬리브(510)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방호울타리(600)의 내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결합부재(300)를 통해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가드레일빔(100)에 전면에는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보강판(201) 설치되며, 후면에는 차량의 충격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지주(400)가 설치된다.
아울러, 상기 지주(400)는 상기 가드레일빔(100), 상기 가드레일(500) 및 상기 방호울타리(600) 등의 복합적인 환경에 따라 설치하지 않거나, 하나 이상 설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설치된 상태에서 도 6과 같이 차량이 전이구간에 충돌시 상기 보강부(200)에 의해 상기 가드레일빔(100)의 변형을 방지하며, 충돌에 의한 힘에 의해 상기 보강부(200)가 상기 방호울타리(600)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를 통해 차량은 충격지점에서 이동하여 상기 방호울타리(600) 구간에서 가장 큰 충격이 발생하여 충격량을 완충 및 분산시켜 차량의 파손 및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차량이 이동시 상기 보강부(200)가 지지되어, 차량이 상기 방호울타리(600) 모서리부분에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이 반대방향에서 충돌이 이루어질 경우, 상기 보강부(200)는 상기 가드레일(500)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가드레일(500)과 상기 가드레일빔(100)은 상기 슬리브(510)를 통해 내측에서 연결되어 상기 보강부(200)가 상기 가드레일(500)을 타고 이동하되, 상기 지주(400)에 밀착 고정되어 차량이 상기 가드레일을 타고 이동하면서 충격을 완충 및 분산시켜 차량의 파손 및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가드레일(500) 및 상기 방호울타리(600)보다 상대적으로 충격에 약한 전이구간에 차량이 충돌시 변형을 방지하고 충돌되는 힘에 의해 충돌지점을 신속하게 상기 가드레일(500) 및 상기 방호울타리(600) 구간으로 이동하여 충격을 완충할 수 있다.
또한, 차량의 충돌에 의해 이동시 상기 가드레일(500) 및 상기 방호울타리(600)의 모서리에 충돌하여 더 큰 피해를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100: 가드레일빔 110: 전면부 111: 수직판
112: 절곡판 120: 제1절곡부
130: 제2절곡부 140: 제3절곡부
200: 보강부 201: 보강판 202: 돌출판
210: 이동부재 220: 함물부
230: 절곡편
300: 결합부재 310: 결합판 320: 수용부
330: 삽입부
400: 지주 410: 브라켓
500: 가드레일 510: 슬리브
600: 방호울타리

Claims (8)

  1. 가드레일과 방호울타리의 전이구간에 설치되어 차량의 충돌시 충격을 완화시키는 가드레일의 전이구간용 충격흡수장치에 있어서,
    일측이 가드레일(500)에 결합되며, 타측이 방호울타리(600)의 내측으로 연장되어 상단과 하단에 배치된 하나이상의 가드레일빔(100);
    상기 가드레일빔(100)의 외측을 감싸도록 형성되어 길이방향이동이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가드레일(500)과 상기 방호울타리(600)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방호울타리(600) 방향으로 이동하는 보강부(200);
    상기 가드레일빔(100)의 타측 끝단에 설치되어 상기 방호울타리(600)에 결합되며, 상기 보강부(200)의 이탈을 방지하는 결합부재(300);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드레일빔(100)은,
    수직판(111)의 상/하측이 후측으로 절곡된 절곡판(112)에 의해 내부에 완충공간이 구비된 전면부(110)와,
    상기 절곡판(112)의 후측 끝단에서 내측으로 절곡된 제1절곡부(120)와, 상기 제1절곡부(120)와 연속하여 후측으로 일부 절곡된 제2절곡부(130) 및 상기 제2절곡부(130)에서 상/하 방향의 외측으로 연장하여 절곡된 제3절곡부(140)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가드레일의 전이구간용 충격흡수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300)는,
    상기 방호울타리(600)에 밀착되어 결합되는 결합판(310)과,
    상기 결합판(310)에서 연장되어 상기 가드레일빔(100)이 내부에 결합하는 수용부(320)로 이루어지되,
    상기 수용부(320)의 끝단에는 상기 보강부(200)가 삽입되는 삽입부(330)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드레일의 전이구간용 충격흡수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200)는,
    상단 및 하단에 위치한 상기 가드레일빔(100)의 상기 수직판(111) 및 상부 및 하부의 상기 절곡판(112)에 밀착되는 보강판(201)과 상기 보강판(201)의 끝단에서 상기 제1절곡부(120)에 밀착되도록 절곡된 돌출판(202)이 길이방향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드레일의 전이구간용 충격흡수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판(201)의 전면에는 내부로 함몰되어 상부에 위치한 상기 가드레일빔(100)의 하단부와, 하부에 위치한 상기 가드레일빔(100)의 상단부에 밀착되어 가이드 하는 함몰부(22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드레일의 전이구간용 충격흡수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판(201)의 양 끝단에는, 내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전면부(110)에 밀착되는 연장되는 절곡편(23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드레일의 전이구간용 충격흡수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200)의 내부에는 상기 가드레일빔(100)과 밀착되어 길이방향으로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이동부재(210)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드레일의 전이구간용 충격흡수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드레일빔(100)에 후면에 결합되며, 지면에 매설되는 지주(400)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드레일의 전이구간용 충격흡수장치.
KR1020170175512A 2017-12-19 2017-12-19 가드레일의 전이구간용 충격흡수장치 KR1020872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5512A KR102087262B1 (ko) 2017-12-19 2017-12-19 가드레일의 전이구간용 충격흡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5512A KR102087262B1 (ko) 2017-12-19 2017-12-19 가드레일의 전이구간용 충격흡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4119A KR20190074119A (ko) 2019-06-27
KR102087262B1 true KR102087262B1 (ko) 2020-03-10

Family

ID=670570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5512A KR102087262B1 (ko) 2017-12-19 2017-12-19 가드레일의 전이구간용 충격흡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726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4500964A (ja) * 2021-01-08 2024-01-10 トラフィックス デバイシィ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衝突衝撃減衰システムを固定構造物に接続するためのトランジション
CN114411550A (zh) * 2022-02-17 2022-04-29 中铁二院工程集团有限责任公司 金属梁柱式护栏与混凝土护栏过渡连接结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2926B1 (ko) * 2015-09-18 2016-07-27 주식회사 거원 도로안전시설 충격흡수 보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2007010798U1 (de) * 2007-08-01 2008-12-11 Eurovia Beton Gmbh Übergangsvorrichtung von einer Betonschutzwand auf eine Stahlschutzplanke an Straßen
KR101472982B1 (ko) 2014-05-12 2014-12-16 (주) 금성산업 부착식 충격 흡수 가드레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2926B1 (ko) * 2015-09-18 2016-07-27 주식회사 거원 도로안전시설 충격흡수 보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4119A (ko) 2019-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9344B1 (ko) 도로용 충격흡수장치
KR102087262B1 (ko) 가드레일의 전이구간용 충격흡수장치
KR100832789B1 (ko) 차량충격이 다중분산되는 도로용 충격흡수대
KR101466046B1 (ko) 차량 방호울타리 완충장치
KR101700417B1 (ko) 차량용 방호울타리
KR102130154B1 (ko) 가드레일 단부의 충격흡수장치
KR200453404Y1 (ko) 충격흡수 및 가드레일판이 상승되는 가드레일
KR100832790B1 (ko) 차량충격이 다중분산되는 도로용 충격흡수대
KR101644909B1 (ko) 방호울타리 단부처리용 차량충돌완충장치
KR102185578B1 (ko) 가드레일에 대한 충격흡수 및 승월방지를 위한 가드레일 보강구조
KR20130116619A (ko) 보강형 방호울타리
KR20160003691U (ko) 방호울타리용 단부충돌완충시설 설치구조
KR101791997B1 (ko) 완충 구조를 겸비한 충격흡수가드레일
KR101613275B1 (ko) 가드 레일의 회전식 충격 완충 장치
KR101718139B1 (ko) 측구 설치형 차량 방호울타리 보강 구조
KR102021853B1 (ko) 다이크 설치용 지주 보강장치
KR100780473B1 (ko) 차량 방호 구조물
KR200387087Y1 (ko) 가이드레일용 충격흡수대
KR101985477B1 (ko) 테러 방지용 가드레일
KR101777941B1 (ko) 차량용 방호책
KR101134717B1 (ko) 중앙분리대용 가드레일
KR101075193B1 (ko) 충격흡수형 가드레일
KR101869058B1 (ko) 상하 비대칭 구조를 갖는 레일을 통한 다단의 충격 흡수 가능한 가드레일
KR101645223B1 (ko) 차량용 방호책
KR101146746B1 (ko) 도로의 충격흡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