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5731Y1 - 보관이 용이한 방호벽 - Google Patents

보관이 용이한 방호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5731Y1
KR200475731Y1 KR2020130000369U KR20130000369U KR200475731Y1 KR 200475731 Y1 KR200475731 Y1 KR 200475731Y1 KR 2020130000369 U KR2020130000369 U KR 2020130000369U KR 20130000369 U KR20130000369 U KR 20130000369U KR 200475731 Y1 KR200475731 Y1 KR 20047573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water
water inlet
present
eas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03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4465U (ko
Inventor
최덕규
Original Assignee
중부토건(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중부토건(주) filed Critical 중부토건(주)
Priority to KR20201300003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5731Y1/ko
Publication of KR2014000446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446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573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573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08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walls or wall-like elements ; Cable-linked blocks
    • E01F15/081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walls or wall-like elements ; Cable-linked block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specific material
    • E01F15/086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walls or wall-like elements ; Cable-linked block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specific material using plastic, rubber or synthetic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보관이 용이한 방호벽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보관이 용이한 방호벽은 내부가 개구되되, 하면만이 개구된 박스형태를 이루며 상면에 하나 이상의 관통공을 갖는 몸체; 및 물주입구와 물배출구를 가지며 물주입구가 상기 관통공에 연결되게 몸체의 내부에 설치되며 물주입구에 주입되는 물에 의해 부피가 팽창되거나 수축되는 튜브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고안에 의해, 주입되는 물에 의해 부피가 팽창되거나 수축되는 튜브와, 그 튜브가 삽입되는 몸체로 이루어져, 시공시 주입되는 물의 무게에 의해 위치변화가 적으며, 보관시 보관 및 이동이 용이하도록 튜브의 부피가 수축되어 서로 다른 몸체들을 적층 가능하도록 한 보관이 용이한 방호벽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보관이 용이한 방호벽{PROTECTIVE WALL FOR EASY STORAGE}
본 고안은 보관이 용이한 방호벽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주입되는 물에 의해 부피가 팽창되거나 수축되는 튜브와, 그 튜브가 삽입되는 몸체로 이루어져, 시공시 주입되는 물의 무게에 의해 위치변화가 적으며, 보관시 보관 및 이동이 용이하도록 튜브의 부피가 수축되어 서로 다른 몸체들을 적층 가능하도록 한 보관이 용이한 방호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상에는 차량의 안전운행과 사고방지를 위해서 교통표지판, 가드레일(guard rail), 중앙분리대, 차선규제수단 및 델리네이터(delineator) 등과 같은 각종의 도로안전시설물들이 복합적으로 설치된다.
한편, 도로의 개보수를 위한 공사가 장기간 진행되어 공사구간 주변의 차도를 일시적으로 부분 통제하고 변경할 필요가 있거나, 또는 기타의 이유로 차도를 일시 규제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되는 구간의 경우에는 도로의 해당구간에 임시로 방호벽을 설치하여 차량의 안전주행을 유도함과 동시에 충돌발생시 충격을 완화시키기 위해 많은 연구가 있어왔다.
예컨대,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15631호에는 방호벽의 측벽에 복수의 체결구에 의해 고정설치되고, 상기 체결구가 삽입되는 복수의 관통공을 가진 다수의 완충부재; 및 상기 각 완충부재의 내부에 인입되고, 상기 완충부재의 관통공에 대응하는 복수의 관통공을 가진 다수의 보강재를 포함하고, 상기 보강재는 그 중앙에 평탄부를 가지고, 상기 평탄부의 양측에는 한 쌍의 절곡부를 가지며, 상기 보강재는 복수의 보조관통공을 가지고, 상기 다수의 완충부재는 길이방향으로 서로 연결되어 설치되고, 상기 각 완충부재의 양단부에는 암수 구조의 단턱이 개별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각 보강재의 평탄부는 그 일단이 상기 완충부재의 일측 단턱으로 연장됨으로써 조인트부를 형성하고, 상기 조인트부는 관통공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호벽용 안전블럭이 공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의 기술은 방호벽의 특성상, 도로상황에 따라 설치와 해체를 반복해야 하나 구조가 복잡하여 설치나 해체가 용이하지 못하고, 보관 및 이동이 용이하지 못하며 파손이 잦은 문제가 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15631호, '방호벽용 안전블럭'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주입되는 물에 의해 부피가 팽창되거나 수축되는 튜브와, 그 튜브가 삽입되는 몸체로 이루어져, 시공시 주입되는 물의 무게에 의해 위치변화가 적으며, 보관시 보관 및 이동이 용이하도록 튜브의 부피가 수축되어 서로 다른 몸체들을 적층 가능하도록 한 보관이 용이한 방호벽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 몸체, 튜브의 형상을 달리하여 안전콘, 드럼통 등 다양하게 적용가능한 보관이 용이한 방호벽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보관이 용이한 방호벽은 내부가 개구되되, 하면만이 개구된 박스형태를 이루며 상면에 하나 이상의 관통공을 갖는 몸체; 및 물주입구와 물배출구를 가지며 물주입구가 상기 관통공에 연결되게 몸체의 내부에 설치되며 물주입구에 주입되는 물에 의해 부피가 팽창되거나 수축되는 튜브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물배출구에는 물주입구의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되는 와이어와 연결되는 급수구패킹이 더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몸체의 하부 내면에는 걸림돌기가 더 형성되며, 그 걸림돌기에 끼워지는 ㄷ자 판넬 형태의 튜브보호판이 더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튜브보호판은 힌지를 통해 절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몸체는 사다리, 원, 사각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해결수단에 의한 본 고안은 주입되는 물에 의해 부피가 팽창되거나 수축되는 튜브와, 그 튜브가 삽입되는 몸체로 이루어져, 시공시 주입되는 물의 무게에 의해 위치변화가 적으며, 보관시 튜브의 부피가 수축되어 서로 다른 몸체들을 적층시켜 보관 및 이동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 몸체, 튜브의 형상을 달리하여 안전콘, 드럼통 등 다양하게 적용가능한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보관이 용이한 방호벽의 전체도.
도 2는 본 고안의 보관이 용이한 방호벽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보관이 용이한 방호벽의 보관시 상태도.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의 보관이 용이한 방호벽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
본 고안의 보관이 용이한 방호벽은 하면만이 개구된 합성수지재의 몸체와, 그 몸체의 내부에 끼워져 주입되는 물에 의해 부피가 팽창되거나 수축되는 튜브재의 튜브로 구성하여 시공시 주입되는 물의 무게에 의해 위치변화가 적으며, 보관시 보관 및 이동이 용이하도록 튜브의 부피가 수축되어 서로 다른 몸체들을 적층 가능하도록 구성하였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보관이 용이한 방호벽의 전체도, 도 2는 본 고안의 보관이 용이한 방호벽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보관이 용이한 방호벽의 보관시 상태도,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의 보관이 용이한 방호벽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보관이 용이한 방호벽은 몸체(10), 튜브(20), 급수구패킹(3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몸체(10)는 내부가 개구되되, 하면만이 개구된 박스형태를 이루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이웃하는 다른 몸체(10)들이 아래 위로 적층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몸체(10)의 상면에는 하나 이상의 관통공(11)이 형성되어 몸체(10)의 내.외부가 연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본 고안의 몸체(10)는 도 1,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에서 아래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형상이나, 원뿔형태 또는 원통형태로 얼마든지 변경 실시되어, 당업자의 필요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안전콘, 도 5에 도시된 드럼통 등의 도로안전시설물(도로상 차량의 안전운행과 사고방지를 위해 설치되는 시설물)로 변경실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몸체(10)의 재질은 합성수지재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튜브(20)는 몸체(10)와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하부에 물주입구(21)와 물배출구(23)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튜브(20)의 재질은 튜브재(합성수지)로 이루어져, 물주입구(21)에 주입되는 물에 의해 부피가 팽창되거나 수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튜브(20)는 상기 몸체(10)의 관통공(11)에 연결되게 몸체(10)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급수구패킹(30)은 와이어(31)를 가지고 물배출구(23)에 연결되게 설치되되, 물주입구(21)의 외부로 와이어(31)가 노출되게 설치되어 튜브(20) 수축시, 와이어를 당겨 물배출구(23)를 통해 튜브(20)의 내부에 저장된 물을 배출토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급수구패킹(30)은 반원구 형태를 이루어, 수압에 의해 개폐되도록 구성되며 이는, 통상 공지된 양변기의 배수 구조와 동일한 구조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서 상기 몸체(10)의 하부 내면에는 걸림돌기(13)가 더 형성되며, 그 걸림돌기(13)에 끼워지는 ㄷ자 판넬 형태의 튜브보호판(40)이 더 설치되어, 튜브(20)의 팽창으로 인해 몸체(10)가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튜브보호판(4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미도시)를 통해 절첩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주입되는 물에 의해 부피가 팽창되거나 수축되는 튜브와, 그 튜브가 삽입되는 몸체로 이루어져, 시공시 주입되는 물의 무게에 의해 위치변화가 적으며, 보관시 튜브의 부피가 수축되어 서로 다른 몸체들을 적층시켜 보관 및 이동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본 고안에 의해, 주입되는 물에 의해 부피가 팽창되거나 수축되는 튜브와, 그 튜브가 삽입되는 몸체로 이루어져, 시공시 주입되는 물의 무게에 의해 위치변화가 적으며, 보관시 보관 및 이동이 용이하도록 튜브의 부피가 수축되어 서로 다른 몸체들을 적층 가능하도록 한 보관이 용이한 방호벽을 제공한다.
또, 몸체, 튜브의 형상을 달리하여 안전콘, 드럼통 등 다양하게 적용가능한 보관이 용이한 방호벽도 제공한다.
10:몸체
11:관통공
13:걸림돌기
20:튜브
21:물주입구
23:물배출구
30:급수구패킹
31:와이어
40:튜브보호판

Claims (4)

  1. 내부가 개구되되, 하면만이 개구된 박스형태를 이루며 상면에 하나 이상의 관통공(11)을 갖는 몸체(10); 및
    물주입구(21)와 물배출구(23)를 가지며 물주입구(21)가 상기 관통공(11)에 연결되게 몸체(10)의 내부에 설치되며 물주입구(21)에 주입되는 물에 의해 부피가 팽창되거나 수축되는 튜브(2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물배출구(23)에는 물주입구(21)의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되는 와이어(31)와 연결되는 급수구패킹(30)이 더 설치되고,
    상기 몸체(10)의 하부 내면에는 걸림돌기(13)가 더 형성되며, 그 걸림돌기(13)에 끼워지는 ㄷ자 판넬 형태의 튜브보호판(40)이 더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튜브보호판(40)은 힌지를 통해 절첩됨을 특징으로 하는 보관이 용이한 방호벽.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는 사다리, 원, 사각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보관이 용이한 방호벽.
KR2020130000369U 2013-01-16 2013-01-16 보관이 용이한 방호벽 KR20047573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0369U KR200475731Y1 (ko) 2013-01-16 2013-01-16 보관이 용이한 방호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0369U KR200475731Y1 (ko) 2013-01-16 2013-01-16 보관이 용이한 방호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4465U KR20140004465U (ko) 2014-07-28
KR200475731Y1 true KR200475731Y1 (ko) 2014-12-30

Family

ID=524457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0369U KR200475731Y1 (ko) 2013-01-16 2013-01-16 보관이 용이한 방호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5731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5612Y1 (ko) * 2002-11-28 2003-02-26 장재식 콘크리트로 형성된 자동차 충돌방지대
KR200390564Y1 (ko) * 2005-04-25 2005-07-21 김경애 차량 충돌 완충장치
KR101027648B1 (ko) * 2010-12-29 2011-04-12 우병국 도로공사용 안전표시 드럼
KR20110139859A (ko) * 2010-06-24 2011-12-30 신도산업 주식회사 방호벽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5612Y1 (ko) * 2002-11-28 2003-02-26 장재식 콘크리트로 형성된 자동차 충돌방지대
KR200390564Y1 (ko) * 2005-04-25 2005-07-21 김경애 차량 충돌 완충장치
KR20110139859A (ko) * 2010-06-24 2011-12-30 신도산업 주식회사 방호벽
KR101027648B1 (ko) * 2010-12-29 2011-04-12 우병국 도로공사용 안전표시 드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4465U (ko) 2014-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66616B2 (en) Barrier device with external reinforcement structure
US6164865A (en) Interlocking barrier system with multiple securing mechanisms
FI93378B (fi) Aukivedettävä sulku
US20120163925A1 (en) Gabions
US8721229B2 (en) Gabions
US9580898B2 (en) Liquid run-off disposal system
KR20120091929A (ko)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을 이용한 조립식 교각보호장치
KR100595380B1 (ko) 조립식 임시방호벽
KR102083340B1 (ko) 대테러 차량 돌진 방호장비
KR200475731Y1 (ko) 보관이 용이한 방호벽
KR100986232B1 (ko) 다목적 가림블럭
ES2301730T3 (es) Sistema de retencion de vehiculos.
KR101634001B1 (ko) 맨홀의 상부 틀 보호용 프레임 조립체
KR101928042B1 (ko) 펜스
KR100965234B1 (ko) 교량 방호벽용 안전블럭
ES2394327T3 (es) Utilización de una pared separadora para separar materiales a granel.
ES2273556B1 (es) Dispositivo para proteger las zonas abiertas inferiores de biondas.
KR200357099Y1 (ko) 우레탄 흡수봉을 이용한 도로의 중앙 분리대용충돌방지시설
US20070110516A1 (en) Inertial barrier
EP3453801B1 (en) Road barrier
KR100940599B1 (ko) 차선규제봉
KR200468969Y1 (ko) 충격흡수탱크
KR100915631B1 (ko) 방호벽용 안전블럭
KR20160036035A (ko) 충돌 대항력을 갖는 가드레일 지지체
KR101924539B1 (ko) 충격흡수 차량 방호 울타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