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4861Y1 - 콘크리트 보호블록을 도로 비탈면에 설치하는 이동식유압집게 장비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보호블록을 도로 비탈면에 설치하는 이동식유압집게 장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4861Y1
KR200274861Y1 KR2020020002376U KR20020002376U KR200274861Y1 KR 200274861 Y1 KR200274861 Y1 KR 200274861Y1 KR 2020020002376 U KR2020020002376 U KR 2020020002376U KR 20020002376 U KR20020002376 U KR 20020002376U KR 200274861 Y1 KR200274861 Y1 KR 20027486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ection block
concrete protection
hydraulic
boom
tong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237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장흥
Original Assignee
(주)신명건설기술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신명건설기술공사 filed Critical (주)신명건설기술공사
Priority to KR202002000237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486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486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4861Y1/ko

Links

Landscapes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산 비탈 등과 같은 경사면에 콘크리트 보호블록을 설치하는 경우에 사용되는 이동식 유압집게 장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작업 능률을 높이고 인건비를 최대한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콘크리트 보호블록을 도로 비탈면에 설치하는 이동식 유압집게 장비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산 비탈 등과 같은 장소에 도로가 건설되는 경우 경사면에 콘크리트 보호블록을 설치하는데 사용되는 장치에 있어서, 도로에는 측면에 형성된 경사면에 콘크리트 보호블록을 자동으로 설치하기 위해 이동식 유압집게 장비가 도로에 위치되는 한편, 상기의 이동식 유압집게 장비는, 구동 바퀴가 하단에 설치되어 구동이 가능한 하부 몸체, 상기의 하부 몸체의 중앙부에 설치되어 상부 몸체를 회전시키는 회전 장치 및 상기의 회전 장치에 하단이 결합되고 내측에 엔진을 탑재한 상부 몸체로 구성되고, 상기의 상부 몸체와 연결된 작동 붐대에 힌지 결합된 집게 작동붐대와, 상기의 집게 작동붐대의 상,하부에 힌지 결합된 상,하부 유압붐의 동작에 의해 작동되며, 상기의 집게 작동붐대와 상,하부 유압붐은 콘크리트 보호블록 집게와 결합되고, 상기의 이동식 유압집게 장비는, 콘크리트 보호블록 집게의 측면 톱니부에 콘크리트 보호블록이 밀착된 상태로 콘크리트 보호블록이 이동되고, 상기의 콘크리트 보호블록 집게의 중앙에 형성된 유압봉을 이용하여 콘크리트 보호블록을 밀어내어 경사면에 콘크리트 보호블록을 설치하도록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보호블록을 도로 비탈면에 설치하는 이동식 유압집게 장비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콘크리트 보호블록을 도로 비탈면에 설치하는 이동식 유압집게 장비{HYDRAULIC APPARATUS OF MOVE-TYPE MOUNTING CONCRETE BLOCK OF STEEP DESCENT}
본 고안은 산 비탈 등과 같은 경사면에 콘크리트 보호블록을 설치하는 경우에 사용되는 이동식 유압집게 장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작업 능률을 높이고 인건비를 최대한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콘크리트 보호블록을 도로 비탈면에 설치하는 이동식 유압집게 장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가 산 비탈 등과 같은 경사면에 설치하는 경우, 경사면에서 낙하하는 낙석을 최대한 방지하거나 토사 등의 흘러내림을 방지하기 위해 콘크리트 보호블록을 경사면에 설치하게 된다.
도 1은 일반적인 콘크리트 보호블록이 경사면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산 비탈 등과 같은 경사면에 설치되는 도로(10)는 그 측면에 형성한 경사면(S)에 콘크리트 보호블록(30)을 설치하게 된다.
상기의 경사면(S)에는 도로(10)와 연접한 위치에 기초 콘크리트(20)가 설치되고 상기의 기초 콘크리트(20)에는 그 직상부면인 경사면으로 다수개의 콘크리트 보호블록(30)이 설치된다.
상술한 일반적인 콘크리트 보호블록은 산 비탈 등과 같은 장소에 도로가 시공되는 경우 경사면에서 발생되는 암석 및 토사의 슬라이딩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되게 되는데, 이때 상기의 콘크리트 보호블록은 소중량인 경우 인력으로 이동하고 대중량인 경우 크레인을 사용하여 작업을 시행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인력이나 크레인을 이용하여 작업을 하는 경우, 작업 능률이 저하되고 막대한 예산이 소요되며, 특히 콘크리트 보호블록에 대한 설치작업시 인력에 의해 작업하는 경우 안전사고의 위험성을 항상 내포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이동식 유압집게 장비를 이용하여 작업능률을 최대한 향상할 수 있고, 콘크리트 보호블록을 경사면에 설치하는 경우 발생되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작업에 소요되는 경비를 향상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콘크리트 보호블록을 도로 비탈면에 설치하는 이동식 유압집게 장비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산 비탈 등과 같은 장소에 도로가 건설되는 경우 경사면에 콘크리트 보호블록을 설치하는데 사용되는 장치에 있어서, 도로에는 측면에 형성된 경사면에 콘크리트 보호블록을 자동으로 설치하기 위해 이동식 유압집게 장비가 도로에 위치되는 한편, 상기의 이동식 유압집게 장비는, 구동 바퀴가 하단에 설치되어 구동이 가능한 하부 몸체, 상기의 하부 몸체의 중앙부에 설치되어 상부 몸체를 회전시키는 회전 장치 및 상기의 회전 장치에 하단이 결합되고 내측에 엔진을 탑재한 상부 몸체로 구성되고, 상기의 상부 몸체와 연결된 작동 붐대에 힌지 결합된 집게 작동붐대와, 상기의 집게 작동붐대의상,하부에 힌지 결합된 상,하부 유압붐의 동작에 의해 작동되며, 상기의 집게 작동붐대와 상,하부 유압붐은 콘크리트 보호블록 집게와 결합되고, 상기의 이동식 유압집게 장비는, 콘크리트 보호블록 집게의 측면 톱니부에 콘크리트 보호블록이 밀착된 상태로 콘크리트 보호블록이 이동되고, 상기의 콘크리트 보호블록 집게의 중앙에 형성된 유압봉을 이용하여 콘크리트 보호블록을 밀어내어 경사면에 콘크리트 보호블록을 설치하도록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보호블록을 도로 비탈면에 설치하는 이동식 유압집게 장비를 제공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콘크리트 보호블록이 경사면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이동식 유압집게 장비를 이용한 콘크리트 보호블록을 이동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고안의 이동식 유압집게 장비를 이용한 콘크리트 보호블록을 설치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고안의 이동식 유압집게 장비의 작동 상세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
100: 도로 110: 경사면
200: 이동식 유압집게 장비 210: 구동 바퀴
220: 하부 몸체 230: 회전 장치
240: 상부 몸체 250: 유압 호스
260: 작동 붐대 270: 집게 작동붐대
280,320: 연결구 290: 상부 유압붐
300: 하부 유압붐 310: 콘크리트 보호블록 집게
330: 톱니부 340: 유압봉
400: 콘크리트 보호블록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성과 작동 상태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이동식 유압집게 장비를 이용한 콘크리트 보호블록을 이동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이동식 유압집게 장비를 이용한 콘크리트 보호블록을 설치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로(100)가 산비탈 등과 같은 경사면(110)에 설치되는 경우, 도로(100)의 측면에는 경사면(110)이 형성되고 상기의 경사면(110)에는 이동식 유압집게 장비(200)가 안착된 상태에서 콘크리트 보호블록(400)이 설치된다.
상기의 이동식 유압집게 장비(200)는, 구동 바퀴(210)가 하단에 설치되어 구동이 가능한 하부 몸체(220), 상기의 하부 몸체(220)의 중앙부에 설치되어 상부 몸체(240)를 회전시키는 회전 장치(230) 및 상기의 회전 장치(230)에 하단이 결합되고 내측에 엔진을 탑재한 상부 몸체(240)로 구성된다.
상기의 이동식 유압집게 장비(200)는, 상부 몸체(240)와 연결된 작동붐대(260)에 힌지 결합된 집게 작동붐대(270)와, 상기의 집게 작동붐대(270)의 상,하부에 힌지 결합된 상,하부 유압붐(290)(300)의 동작에 의해 작동되는 구조로서, 상기의 집게 작동붐대(270)와 상,하부 유압붐(290)(300)은 콘크리트 보호블록 집게(310)와 결합된다.
상기의 이동식 유압집게 장비(200)는, 콘크리트 보호블록 집게(310)의 측면 톱니부(330)에 콘크리트 보호블록(400)이 밀착된 상태로 콘크리트 보호블록(400)을 이동시키게 되고, 상기의 콘크리트 보호블록 집게(310)의 중앙에 형성된 유압봉(340)을 이용하여 콘크리트 보호블록(400)을 밀어내어 경사면(110)에 콘크리트 보호블록(400)을 설치하게 된다.
도 4는 본 고안의 이동식 유압집게 장비의 작동 상세도로서, 상기의 이동식 유압집게 장비(200)는, 상부 몸체(240)에 연결된 유압 호스(250)가 상,하부 유압붐(290)(300)에 연결되어 유압을 공급하게 되고, 그 유압에 의해 상,하부 유압붐(290)(300)이 상부 몸체(240)측으로 작동되면 콘크리트 보호블록 집게(310)의 중앙부가 벌어지게 되며, 상기의 콘크리트 보호블록 집게(310)의 중앙에 설치된 유압봉(340)이 전진되어 콘크리트 보호블록(400)을 경사면에 설치하게 된다.
상기의 이동식 유압집게 장비(200)는 집게 작동붐대(270)의 양측에 대향되도록 연결구(280)가 형성되고, 상기의 집게 작동붐대(270)의 연결구(280)에 상,하부 유압붐(290)(300)의 일측이 힌지 결합되며, 상기의 콘크리트 보호블록 집게(310)는 대략적으로 "ㄷ"자 단면 형태로 형성되어 집게 작동붐대(280)가 형성된 측면 상,중,하 위치에 각각 다른 연결구(320)가 형성되고 상기의 다른 연결구(320)에 상부유압붐(290), 작동 붐대(260), 하부 유압붐(300)의 타측이 힌지 결합되게 된다.
상술한 설명과 같이, 상기의 이동식 유압집게 장비(200)는, 유압 호스(250)의 유압에 의해 상,하부 유압붐(290)(300)이 작동되어 콘크리트 보호블록(400)을 밀착하고, 콘크리트 보호블록 집게(310)의 중앙에 형성된 유압봉(340)에 의해 콘크리트 보호블록(400)을 밀어내는 구조로 작동되는 구조로서 인력에 의해 콘크리트 보호블록(400)을 설치하는 경우에 비하여 간단하게 콘크리트 보호블록(400)을 경사면(110)에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본 고안의 구성과 작동상태에 따른 효과를 설명한다.
본 고안의 콘크리트 보호블록을 도로 비탈면에 설치하는 이동식 유압집게 장비는, 유압에 의해 상,하부 유압붐이 작동되어 콘크리트 보호블록을 콘크리트 보호블록 집게에 밀착한 후 콘크리트 보호블록 집게의 중앙에 형성된 유압봉에 의해 콘크리트 보호블록을 밀어내는 구조로 경사면의 설치위치에 정확하게 설치가 가능하여 작업의 효율화를 도모할 수 있고, 종래에 비하여 콘크리트 보호블록을 설치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최대한 절감할 수 있어 공사비를 최대한 절감할 수 있게 된다.

Claims (2)

  1. 산 비탈 등과 같은 장소에 도로가 건설되는 경우 경사면에 콘크리트 보호블록을 설치하는데 사용되는 장치에 있어서,
    도로(100)에는 측면에 형성된 경사면(110)에 콘크리트 보호블록(400)을 자동으로 설치하기 위해 이동식 유압집게 장비(200)가 도로(100)에 위치되는 한편,
    상기의 이동식 유압집게 장비(200)는, 구동 바퀴(210)가 하단에 설치되어 구동이 가능한 하부 몸체(220), 상기의 하부 몸체(220)의 중앙부에 설치되어 상부 몸체(240)를 회전시키는 회전 장치(230) 및 상기의 회전 장치(230)에 하단이 결합되고 내측에 엔진을 탑재한 상부 몸체(240)로 구성되고,
    상기의 상부 몸체(240)와 연결된 작동 붐대(260)에 힌지 결합된 집게 작동붐대(270)와, 상기의 집게 작동붐대(270)의 상,하부에 힌지 결합된 상,하부 유압붐(290)(300)의 동작에 의해 작동되며, 상기의 집게 작동붐대(270)와 상,하부 유압붐(290)(300)은 콘크리트 보호블록 집게(310)와 결합되고,
    상기의 이동식 유압집게 장비(200)는, 콘크리트 보호블록 집게(310)의 측면 톱니부(330)에 콘크리트 보호블록(400)이 밀착된 상태로 콘크리트 보호블록(400)이 이동되고, 상기의 콘크리트 보호블록 집게(310)의 중앙에 형성된 유압봉(340)을 이용하여 콘크리트 보호블록(400)을 밀어내어 경사면(110)에 콘크리트 보호블록(400)을 설치하도록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보호블록을 도로 비탈면에 설치하는 이동식 유압집게 장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의 이동식 유압집게 장비(200)는 집게 작동붐대(270)의 양측에 대향되도록 연결구(280)가 형성되고, 상기의 집게 작동붐대(270)의 연결구(280)에 상,하부 유압붐(290)(300)의 일측이 힌지 결합되며,
    상기의 콘크리트 보호블록 집게(310)는 "ㄷ"자 단면 형태로 형성되어 집게 작동붐대(280)가 형성된 측면 상,중,하 위치에 각각 다른 연결구(320)가 형성되고 상기의 다른 연결구(320)에 상부 유압붐(290), 작동 붐대(260), 하부 유압붐(300)의 타측이 힌지 결합되어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보호블록을 도로 비탈면에 설치하는 이동식 유압집게 장비.
KR2020020002376U 2002-01-25 2002-01-25 콘크리트 보호블록을 도로 비탈면에 설치하는 이동식유압집게 장비 KR20027486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2376U KR200274861Y1 (ko) 2002-01-25 2002-01-25 콘크리트 보호블록을 도로 비탈면에 설치하는 이동식유압집게 장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2376U KR200274861Y1 (ko) 2002-01-25 2002-01-25 콘크리트 보호블록을 도로 비탈면에 설치하는 이동식유압집게 장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4861Y1 true KR200274861Y1 (ko) 2002-05-11

Family

ID=730834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2376U KR200274861Y1 (ko) 2002-01-25 2002-01-25 콘크리트 보호블록을 도로 비탈면에 설치하는 이동식유압집게 장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486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1241B1 (ko) 2005-07-06 2007-10-29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석축 작업용 로봇암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1241B1 (ko) 2005-07-06 2007-10-29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석축 작업용 로봇암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1132819A1 (ko) 굴삭기의 집게장치
ES2128481T3 (es) Excavadora hidraulica para un equipo de avence de galerias subterraneas.
US5810101A (en) Horizontal drilling machine
KR200274861Y1 (ko) 콘크리트 보호블록을 도로 비탈면에 설치하는 이동식유압집게 장비
WO1988009426A1 (en) Circular heading machine
JP4543130B2 (ja) トンネル拡幅装置
KR20090002633U (ko) 굴삭기용 경계석 집게장치
US20170037596A1 (en) Excavator Bucket With an Internally Deployable Breaker
JP3864377B2 (ja) 既設トンネル拡幅工法
CN213478215U (zh) 一种用于暗挖隧道内挖设注浆孔的设备
JP2007113280A (ja) 円形立坑掘削装置
JP6286097B1 (ja) U型鋼矢板圧入装置
KR20120094318A (ko) 광산용 소형 다기능 장비
JP3733514B2 (ja) トンネル拡幅方法
CN205277425U (zh) 管道式凿岩机
JP2602753B2 (ja) 深礎基礎掘削施工方法
JP3570933B2 (ja) ケーシングドライバの作業用足場
JP2000273896A (ja) カッター付きバケット
CN214933351U (zh) 一种高安全性双闸门式螺旋输送机
CN218324866U (zh) 一种四臂掘锚机
CN216277678U (zh) 一种钻孔车
CN211714070U (zh) 一种便于拔出的建筑混凝土破碎锤
US4488849A (en) Power shovel
JPH04120319A (ja) 法面の加工方法および法面の加工機械
JP3932100B2 (ja) バン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405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