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3241Y1 - 차량이동 방지용 브레이크 장치의 유체단속부 - Google Patents

차량이동 방지용 브레이크 장치의 유체단속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3241Y1
KR200263241Y1 KR2019990001456U KR19990001456U KR200263241Y1 KR 200263241 Y1 KR200263241 Y1 KR 200263241Y1 KR 2019990001456 U KR2019990001456 U KR 2019990001456U KR 19990001456 U KR19990001456 U KR 19990001456U KR 200263241 Y1 KR200263241 Y1 KR 20026324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
fluid
sides
brake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145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17611U (ko
Inventor
송의빈
Original Assignee
송의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의빈 filed Critical 송의빈
Priority to KR201999000145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3241Y1/ko
Publication of KR1999001761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761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324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3241Y1/ko

Li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alves And Accessory Devices For Braking Systems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gulating Braking Forc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유체단속부를 장기간 사용할 경우에도 브레이크유의 누유를 방지함으로서, 차량의 주행중 브레이크장치의 오동작을 막고자 하는 차량이동 방지용 브레이크 장치의 유체단속부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주 브레이크를 이루는 파이프 라인(3)의 중간에는, 주차 레버(5)와 연결된 플렉시블와이어(6)의 전후진 이동에 따라 작동되는 유체 단속부(9)가 장착되어 있는 브레이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체 단속부(9)의 하우징(91)의 내부 중앙에는 양측에 탭부(921)가 형성되어 있는 관통공(9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관통공(92)에는, 모터(93)에 의해 회전되는 볼(94)과, 볼(94)의 양측을 눌러주며 테플론시일(951) 및 커버(952)로 이루어진 볼시트(95)와, 양측에 설치되는 시트누름부(96)가 장착되고; 상기 볼 시트(95)의 외측과 시트누름부(96)의 사이에는 접시스프링(97)이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이동 방지용 브레이크 장치의 유체단속부{An oil pressure controlling member of the brakes of a car for preventing from moving}
본 고안은 차량이동 방지용 브레이크 장치의 유체단속부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유체단속부를 장기간 사용할 경우에도 브레이크유의 누유를 방지함으로서, 차량의 주행중 브레이크장치의 오동작을 막아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차량이동 방지용 브레이크 장치의 유체단속부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본 출원인이 기 출원한 특허출원 제 98-47972호(주정차시 차량이동방지용 브레이크장치)를 개량한 것으로서, 먼저 기출원된 발명(이하 종래고안이라 침함)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종래의 브레이크 장치를 나타낸 것으로, 풋 페달(100)의 후방에 설치되어 파이프 라인(300)에 유체를 공급하는 마스터 실린더(200), 각 바퀴에 장착된 휠 실린더(430)에 연결되는 파이프라인(300), 브레이크 라이닝(410)의 내측에 장착되는 제동수단(400)으로 이루어진 주브레이크와; 레버(500)의 끝단에 연결되어 이퀄라이져(610)를 포함하는 플렉시블 와이어(600), 상기 이퀄라이져(610)와 연결되며 상기 슈(420)에 장착된 슈 레버(440)와 연결되는 휠용 와이어(700)로 이루어진 주차브레이크가 구비되어 있는 차량에 있어서;
상기 주 브레이크를 이루는 파이프 라인(300)의 중간에는, 주차 레버(500)와 연결된 플렉시블와이어(600)의 전후진 이동을 통해 작동되는 유체 단속수단(800)이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특히, 상기 유체단속수단(800)은, 하우징(810)의 내부에 장착되어 모터(830)에 의해 90도씩 회전되며 중앙에는 유체흐름홀(820a)이 형성된 볼(820)과, 하우징(810)의 내부 양측에는 탭부(810a)가 형성되어 볼(820)의 외면을 눌러줄 수 있도록 내측에 볼시트(840a) 및 외경에 나선부(840b)가 형성된 볼지지부(840)와, 상기 모터(830)에 전원을 단속하며 상기 주차 브레이크를 이루는 플레시블 와이어(600)의 전후 이동을 통해 온/오프되는 스위치로 이루어진 것이다.
이하 작동 관계를 설명하면, 차량을 언덕길 등에 주차할 경우에는 운전자는 통상적으로 주브레이크를 이루는 풋 페달(100)을 누른 상태에서, 주차브레이크의 레버(500)를 당기는 것이 당연하다.
따라서, 먼저, 상기 주브레이크의 풋 페달(100)을 운전자가 밟고 있는 시점에서는, 마스터 실린더(200)의 유체가 파이프라인(300)을 통해 휠실린더(430)의 내부에 채워진 상태를 유지한다.
그후, 상기 주차브레이크의 레버(500)를 당기게 되면, 레버(500)와 연동되어 플렉시블 와이어(600)가 전진 이동됨으로서, 상기 유체단속수단(800)을 이루는 스위치가 온되어 모터(830)는 90도가 회전됨에 따라 볼(820)이 파이프라인(300)의 유체를 단속하는 것이다. 즉, 상기 휠실린더(430)에 채워진 유체를 정지상태로 유지시키는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와 같이 휠실린더(430)의 제동과 주차브레이크를 통한 슈 레버(440)의 제동을 동시에 이룰 수 있게 함으로서, 언덕길의 주차시 차량의 이동을 막을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상기 볼지지부(840)의 외경에는 나선부가 형성됨으로서, 상기 볼지지부(840)를 내측으로 전진이동시켜 볼(820)과 볼시트(840a)의 사이에 틈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볼지지부의 전방에는 볼과 마찰되는 구형의 볼시트가 일체로 형성됨에 따라서, 볼지지부를 장기간 사용할 경우에는 상기 구형의 볼시트의 표면에 편 마모가 일어나게 됨으로서, 브레이크 유체가 새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 하우징의 중앙에 장착되는 볼의 누유를 방지함은 물론, 볼시트의 밀착부 표면에 편마모를 방지할 수 있게 함으로서, 유체단속부를 장기간 사용할 경우에도 브레이크유의 누유를 방지할 수 있는 차량이동 방지용 브레이크 장치의 유체단속부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주 브레이크를 이루는 파이프 라인의 중간에는, 주차 레버와 연결된 플렉시블와이어의 전후진 이동에 따라 작동되는 유체 단속부가 장착되어 있는 브레이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체 단속부의 하우징의 내부 중앙에는 양측에 탭부가 형성되어 있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관통공에는,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볼과, 볼의 양측을 눌러주며 테플론시일 및 커버로 이루어진 볼시트와, 양측에 설치되는 시트누름부가 장착되고; 상기 볼시트의 외측과 시트누름부의 사이에는 접시스프링이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유체 단속부가 장착된 브레이크 장치를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의 유체단속부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따른 볼장착부를 나타낸 개략사시도.
도 4는 종래의 브레이크 장치를 나타낸 개략 구성도.
도 5는 종래의 유체단속부를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풋 페달
2 : 마스터 실린더
3 : 파이프라인
4 : 제동수단
41 : 브레이크 라이닝, 42 : 슈, 43 : 휠 실린더, 44 : 슈레버
5 : 레버
6 ; 플렉시블 와이어
61 : 이퀄라이져
7 : 휠용 와이어
9 : 유체 단속부
91 : 하우징, 92 : 관통공, 93 : 모터, 94 : 볼, 95 : 볼시트,
96 : 볼시트누름부, 97 : 접시스프링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유체 단속부가 장착되어 있는 브레이크 장치를 나타낸 것으로서, 풋 페달(1)의 후방에 설치되어 파이프 라인(3)에 유체를 공급하는 마스터 실린더(2), 각 바퀴에 장착된 휠 실린더(43)에 연결되는 파이프라인(3), 브레이크 라이닝(41)의 내측에 장착되는 제동수단(4)으로 이루어진 주브레이크와; 레버(5)의 끝단에 연결되어 이퀄라이져(61)를 포함하는 플렉시블 와이어(6), 상기 이퀄라이져(61)와 연결되며 상기 슈(42)에 장착된 슈 레버(44)와 연결되는 휠용 와이어(7)로 이루어 진다.
특히, 주 브레이크를 이루는 파이프 라인(3)의 중간에는, 주차 레버(5)와 연결된 플렉시블와이어(6)의 전후진 이동에 따라 작동되는 유체 단속부(9)가 장착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 2는 상기 유체 단속부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그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우징(91)의 내부 중앙에는 양측에 탭부(921)가 형성되어 있는 관통공(9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관통공(92)에는, 모터(93)에 의해 회전되는 볼(94)과,볼(94)의 양측을 눌러주는 볼시트(95)와, 양측에 설치되어 상기 탭부(921)에 체결되며 내측으로 전진 이동되는 시트누름부(96)가 장착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 볼 시트(95)의 외측과 시트누름부(96)의 사이에는 볼시트(95)가 후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접시스프링(97)이 장착되는 것이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상기 유체단속부(9)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관통공(92;도2참조)에 장착된 볼(94)은 상측에 장착된 모터(93;도2참조)에 의해 90도씩 회전되는 것으로서, 중앙에는 유체흐름공(941)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볼시트(95)는, 내측에 구형의 밀착부(951a)가 형성된 테플론시일(951)과, 테플론시일(951)의 후면과 외경을 감싸 테플론시일(951)의 변형을 방지하는 커버(952)로 이루어진 것이다.
상기 시트누룸부(96)는, 관통공(92)에 끼워지는 삽입부(961)와 관통공(92)의 양측에 형성되어 있는 탭부(921;도2참조)에 체결되는 나선부(962)가 형성되어 있으며, 중앙에는 파이프라인(3;도2참조)이 체결되는 유체유입공(963)이 형성되는 것이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동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을 언덕길 등에 주차할 경우에는 운전자는 통상적으로 주브레이크를 이루는 풋 페달(1)을 누른 상태에서, 주차브레이크의 레버(5)를 당기는 것이 당연하다.
따라서 먼저, 상기 주브레이크의 풋 페달(1)을 운전자가 밟고 있는 시점에서는, 마스터 실린더(2)의 유체가 파이프라인(3)을 통해 휠실린더(43)의 내부에 채워진 상태를 유지한다.
그후, 상기 주차브레이크의 레버(5)를 당기게 되면, 레버(5)와 연동되어 전진되는 플렉시블 와이어(6)가 전진 이동됨으로서, 상기 유체 단속부(9)을 이루는 스위치가 온되어 모터(93)는 90도가 회전됨에 따라 볼(94)이 파이프라인(3)의 유체를 단속하는 것이다. 즉, 상기 휠실린더(43)에 체워진 유체를 정지상태로 유지시키는 것이다.
특히, 상기 볼시트 누룸부(96)의 외측에는 나선부(962)가 형성됨으로서, 상기 유체단속수단을 장기간 사용할 경우에는 상기 볼시트 누룸부(96)를 내측으로 전진 이동시켜 볼(94)와 테플론시일(951)의 밀착부(951a)사이에 틈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즉, 테플론시일(951)의 후방을 접시스프링(97)으로 항상 눌러줌에 따라서, 볼(94)와 밀착부(951a)의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유체단속부를 장기간 사용할 경우에도 브레이크유의 누유를 방지함으로서, 차량의 주행중 브레이크장치의 오동작을 방지하여 사고를 예방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예를 참고로 설명 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지닌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Claims (1)

  1. 주 브레이크를 이루는 파이프 라인(3)의 중간에는, 주차 레버(5)와 연결된 플렉시블와이어(6)의 전후진 이동에 따라 작동되는 유체 단속부(9)가 장착되어 있는 브레이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체 단속부(9)의 하우징(91)의 내부 중앙에는 양측에 탭부(921)가 형성되어 있는 관통공(9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관통공(92)에는, 모터(93)에 의해 회전되며 유체흐름공(941)이 형성된 볼(94)과, 볼(94)의 양측을 눌러주며 내측에 구형이 밀착부(951a)가 형성된 테플론시일(951) 및 테플론시일(951)의 후면과 외경을 감싸는 커버(952)로 이루어진 볼시트(95)와, 양측에 설치되며 관통공(92)에 끼워지는 삽입부(961)와 관통공(92)의 양측에 형성되어 있는 탭부(921)에 체결되는 나선부(962)가 형성된 시트누름부(96)가 장착되어 있고;
    상기 볼 시트(95)의 외측과 시트누름부(96)의 사이에는 접시스프링(97)이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이동 방지용 브레이크 장치의 유체단속부.
KR2019990001456U 1999-02-02 1999-02-02 차량이동 방지용 브레이크 장치의 유체단속부 KR20026324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1456U KR200263241Y1 (ko) 1999-02-02 1999-02-02 차량이동 방지용 브레이크 장치의 유체단속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1456U KR200263241Y1 (ko) 1999-02-02 1999-02-02 차량이동 방지용 브레이크 장치의 유체단속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7611U KR19990017611U (ko) 1999-05-25
KR200263241Y1 true KR200263241Y1 (ko) 2002-02-04

Family

ID=547549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1456U KR200263241Y1 (ko) 1999-02-02 1999-02-02 차량이동 방지용 브레이크 장치의 유체단속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324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7611U (ko) 1999-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08660B2 (en) Disc brake apparatus
JPH0678057B2 (ja) ブレ−キ装置
KR200263241Y1 (ko) 차량이동 방지용 브레이크 장치의 유체단속부
JP4823742B2 (ja) 自動二輪車のブレーキ装置
JP2001146155A (ja) 車輪のブレーキ制御装置
JP4422676B2 (ja) バーハンドル車両用連動ブレーキ機構
KR20080100872A (ko) 페달비 가변형 브레이크 페달유닛
JPH0443018B2 (ko)
KR100372420B1 (ko) 자동차의 제동장치
JPH111161A (ja) エンジン駆動式ブレーキ装置
KR20090011750A (ko) 자동차용 디스크 브레이크
JP3111334B2 (ja) センタバルブ型車両用液圧マスタシリンダ
KR101612277B1 (ko) 브레이크 라이트 스위치
KR0119230Y1 (ko) 푸트 브레이크 페달의 연결 구조
KR100192401B1 (ko) 자동차용 주차브레이크의 조작감향상구조
KR200206377Y1 (ko) 테이퍼를 갖는 디스크 브레이크의 슬라이딩핀 구조
JPH07197961A (ja) 液圧ブレーキ装置
KR200143120Y1 (ko) 브레이크장치의 유압 호스 고정구조
KR0178944B1 (ko) 자동차의 안티-로크 브레이크 시스템
KR19990031032U (ko) 운전교습 차량용 보조 브레이크 페달 구조
KR19990007774A (ko) 주정차시 차량이동 방지용 브레이크장치
KR19990027952U (ko) 자동차용 액셀레이터 플레이트
JPH10175534A (ja) 自動二輪車のアンチスキッドブレーキ装置
KR19990050300A (ko) 후방브레이크 유닛
JPH0441107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