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2956Y1 - 계란의 편방향 보정장치 - Google Patents

계란의 편방향 보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2956Y1
KR200262956Y1 KR2020010034984U KR20010034984U KR200262956Y1 KR 200262956 Y1 KR200262956 Y1 KR 200262956Y1 KR 2020010034984 U KR2020010034984 U KR 2020010034984U KR 20010034984 U KR20010034984 U KR 20010034984U KR 200262956 Y1 KR200262956 Y1 KR 20026295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gg
eggs
guide member
way correction
w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49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택진
Original Assignee
윤택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택진 filed Critical 윤택진
Priority to KR20200100349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295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295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2956Y1/ko

Links

Landscapes

  • Wrapping Of Specific Fragile Articles (AREA)
  • Feeding Of Articles To Conveyors (AREA)
  • Attitude Control For Articles On Convey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계란의 방향을 일정하게 맞추어주는 장치의 구조를 간단하게 함은 물론, 계란의 방향을 일정하게 맞추기 위해 이송시키는 거리를 짧게 하여 계란의 손상을 방지하도록 한 계란의 편방향 보정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은 계란의 뾰족한 부분과 뭉뚝한 부분을 일정한 방향으로 맞추어주도록 하는 계란의 편방향 보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계란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통로를 제공하며 중간부에는 계란의 방향을 바꾸어주도록 일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절곡 형성되어 있는 편방향 보정구간이 구비된 가이드부재; 및 상기 가이드부재의 하측에 소정 거리 이격되도록 설치되며 외주면에는 지지홈들이 형성된 이송롤러들을 제자리 회전하도록 설치하여 상기 계란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롤러컨베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계란의 편방향 보정장치{ONE SIDE DIRECTION REVISION DEVICE OF EGG}
본 고안은 계란의 편방향 보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계란의 뾰족한 부분을 일정한 방향으로 가지런히 하여 주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계란의 대량 처리나 포장에서는 자동화된 고성능의 자동처리 기계가 이용되고 있다. 이들 자동처리기에서는 계란의 뾰족한 부분과 뭉뚝한 부분을 미리 각각 일정 방향으로 맞추는, 즉 계란의 방향을 일정하게 맞추는 편방향 보정이 필요하고, 이는 각 공정에서 그 작업효율과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매우 중요하다. 예를 들어 대량의 계란을 빠른 흐름 중에 각각의 계란에 대하여 순간적으로 정확히 중량 선별하거나 혹은 날짜 표시를 인쇄하거나 라벨을 붙이는 경우에는 그 방향이 일정할 것이 요구된다.
계란의 포장후의 품질 유지면에서 계란의 생명 과학적 견지에서 계란의 뾰족한 부분을 밑으로 하여 용기에 채우는 것이 상식으로 되어 있으므로 포장 공정에서의 계란의 방향을 일정하게 맞추는 것이 반드시 필요하다.
종래에도 계란의 방향을 일정하게 맞추는 장치가 등록특허 제129682호의 "계란의 방향을 일정하게 맞추는 장치"와 실용신안 공고번호 제1997-4931호의 "계란의 편방향 보정장치" 등에서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들은 구조가 매우 복잡하고, 또 계란의 방향을 일정하게 맞추기 위해 사용하는 가이드부재가 여러번 절곡 형성되어 있고, 또 그 가이드부재에 의해 계란의 방향을 일정하게 맞추기 위한 계란의 이송경로가 길어지게 됨으로서, 상대적으로 계란은 상기 가이드부재와의 접촉이 많아지게 되어 계란이 손상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즉, 계란은 최대한 회전이 안되게 하는 것이 그 계란의 손상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는데 상기 종래 기술들은 계란의 회전이 상대적으로 많이 되어야 함으로서 그만큼 계란의 손상도 늘어나는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계란의 방향을 일정하게 맞추어주는 장치의 구조를 간단하게 함은 물론, 계란의 방향을 일정하게 맞추기 위해 이송시키는 거리를 짧게 하는 한편 계란의 회전을 최대한 방지하도록 하여 계란의 손상을 방지하도록 한 계란의 편방향 보정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은 계란의 뾰족한 부분과 뭉뚝한 부분을 일정한 방향으로 맞추어주도록 하는 계란의 편방향 보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계란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통로를 제공하며 중간부에는 계란의 방향을 바꾸어주도록 일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절곡 형성되어 있는 편방향 보정구간이 구비된 가이드부재; 및 상기 가이드부재의 하측에 소정 거리 이격되도록 설치되며 외주면에는 지지홈들이 형성된 이송롤러들을 제자리 회전하도록 설치하여 상기 계란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롤러컨베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란의 편방향 보정장치에 의해 달성 가능하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계란의 편방향 보정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일 예를 나타낸 평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계란의 편방향 보정장치에 구비된 회전롤러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계란의 편방향 보정장치에 구비되는 보정구간에서 계란이 반전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가이드부재 12 - 보정구간
20 - 롤러컨베이어 22 - 회전롤러
24 - 지지홈 E - 계란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계란의 편방향 보정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일 예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계란의 편방향 보정장치에 구비된 회전롤러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도 1의 화살표 방향으로 계란(E)을 이송시키면서 계란(E)의 뾰족한 부분과 뭉뚝한 부분을 일정한 방향으로 맞추어주도록 하는 것으로, 본 고안은 가이드부재(10)를 구비하고 있다. 이 가이드부재(10)는 계란(E)의 이송 통로를 제공하고 또 계란(E)의 방향을 바꾸어주도록 하는 편방향 보정구간(12)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편방향 보정구간(12)은 가이드부재(10)의 대략 중간부에 일측으로 경사지도록 절곡 형성되어 있으며, 그 절곡 형성되어 있는 구간에서 계란의 방향을 바꾸어준다. 도 1에서는 상기 가이드부재(10)에 의해 형성되는 통로를 2개만 도시하였으나, 실용상 6개가 편리하고, 그 통로의 수는 임의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롤러컨베이어(20)를 구비하고 있다. 이 롤러컨베이어는 회전롤러(22)들로 이루어진 것으로, 상기 회전롤러(22)들은 계란(E)을 이송시킬 수 있도록 일렬로 설치되어 제자리 회전된다. 상기 회전롤러(22)의 외주면에는 지지홈(24)들이 형성되어 있다. 이 지지홈(24)들은 계란(E)이 일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여 계란의 손상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회전롤러(22)의 상부에 상기 가이드부재(10)를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설치하는 것으로, 그 가이드부재(10)와 회전롤러(22)의 간격은 계란의 지름보다 조금 낮게 위치하게 되며, 상기 회전롤러(22)에 의해 도 1의 화살표 방향으로 이송되는 계란(E)은 가이드부재(10)의 중간부에 절곡 형성되어 있는 편방향 보정구간(12)에서 계란의 방향이 맞추어진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계란의 편방향 보정장치에서 편방향 보정구간에서 계란이 반전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계란의 구름운동에 대하여 살펴보면, 평탄한 면 위에 있는 계란을 굴리게 되면 계란의 뾰족한 부분은 작은 원을 그리고 계란의 뭉뚝한 부분은 큰 원을 그리기 때문에 계란의 뾰족한 부분을 중심으로 하여 부채꼴 모양으로 굴러가게 된다.
이와 같이 원리에 의해 제자리 회전하는 회전롤러(22)들의 상부에 계란(E)을 위치하게 되면, 상기 계란(E)은 평탄한 면 위에서 구름 운동하는 것과 동일하게 회전한다. 그러나 회전하는 계란은 상기 회전롤러(22)들의 사이에 끼워져 부채꼴 모양으로는 이동할 수 없고 회전롤러(22)에 안내되면서 계란의 뾰족한 부분측을 향해 전진 이동한다. 즉, 계란은 뾰족한 부분측으로 쏠리면서 이송되는데, 이 원리를 이용하여 편방향 보정구간(12)에서 계란의 방향을 일정하게 맞추어준다.
상기 롤러컨베이어(20)의 회전롤러(22)에 의해 이동되는 계란은 뾰족한 부분측으로 쏠리면서 이송되는데, 가이드부재(10)의 대략 중간부에 절곡 형성되어 있는 편방향 보정구간(12)에서 방향이 전환되어 계란의 방향이 일정하게 맞추어진 상태로 이동된다.
상기 계란의 무게중심은 노른자 부위가 위치한 뾰족한 부분측으로 쏠려 있음으로서, 계란의 뾰족한 부분측이 수직으로 세워지는 순간 그 계란의 무게중심에 의해 반전된다.
상기 계란이 가이드부재(10)의 절곡 형성되어 있는 편방향 보정구간(12)에서 계란의 뾰족한 부분 측으로 계속 쏠리면서 이동되므로 상기 계란은 도 3의 실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가이드부재(10)를 타가 올라가는 형태로 계속 진행되고 계란의 무게중심이 바뀌는 순간에 도 3의 가상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반전하게 되어 편방향을 보정하게 된다. 이와 같이 편방향을 보정하는 상기 편방향 보정구간(12)에 위치한 회전롤러(22)들은 그 회전을 최대한 천천히 회전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즉, 편방향 보정구간(12)에 위치한 롤러들의 회전은 그 양측에 위치한 롤러들의 회전보다 천천히 회전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상기와 같이 반전되어 방향이 맞추어진 계란은 회전롤러(22)의 외주면에 형성된 지지홈(24)에 의해 계란의 회전은 최대한 방지되면서 이동되도록 하여 계란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롤러컨베이어(20)에 의해 이송되면서 계란의 방향이 이미 맞추어진 상태의 계란은 그 상태로 이동되고, 계란의 방향이 맞추어지지 않은 상태로 공급되는 것은 계란의 뾰족한 부분측으로 쏠리면서 이동된다. 즉, 도 1의 위쪽에 나타낸 통로(A)에는 계란의 방향이 맞추어진 상태로 이동되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1의 아래쪽에 나타낸 통로(B)에는 계란의 방향이 맞추어지지 않은 상태로 이동되는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통로(B)를 통해 이동되는 계란이 반전되어 계란의 방향을 일정하게 한다.
이상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계란의 방향을 일정하게 하도록 하기 위한 편방향 보정장치의 구조를 간단하게 할 수 있음은 물론, 계란의 이송되는 거리를 짧게 하여 계란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계란의 뾰족한 부분과 뭉뚝한 부분을 일정한 방향으로 맞추어주도록 하는 계란의 편방향 보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계란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통로를 제공하며 중간부에는 계란의 방향을 바꾸어주도록 일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절곡 형성되어 있는 편방향 보정구간이 구비된 가이드부재; 및
    상기 가이드부재의 하측에 소정 거리 이격되도록 설치되며 외주면에는 지지홈들이 형성된 이송롤러들을 제자리 회전하도록 설치하여 상기 계란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지지홈들이 형성되어 있는 롤러컨베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란의 편방향 보정장치.
KR2020010034984U 2001-11-14 2001-11-14 계란의 편방향 보정장치 KR20026295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4984U KR200262956Y1 (ko) 2001-11-14 2001-11-14 계란의 편방향 보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4984U KR200262956Y1 (ko) 2001-11-14 2001-11-14 계란의 편방향 보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2956Y1 true KR200262956Y1 (ko) 2002-03-18

Family

ID=730707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4984U KR200262956Y1 (ko) 2001-11-14 2001-11-14 계란의 편방향 보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295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82627A (en) Automatic wafer orienting apparatus
JP3349084B2 (ja) 物品の分岐仕分装置
JP5427886B2 (ja) 搬送及び分離装置
US3894631A (en) Egg transfer mechanism
US3847273A (en) Turning device for flexible web product
JP2569162B2 (ja) 書類フィーダ
JPH08258976A (ja) 製品コンベアライン
KR200262956Y1 (ko) 계란의 편방향 보정장치
JP2005343679A (ja) 循環式整列搬送装置
JP3881913B2 (ja) 集中集卵コンベアのための集卵装置
JP6887616B2 (ja) ガラス板の搬送装置及びガラス板の製造方法
US2796967A (en) Egg aligner
JPH06115679A (ja) 方向転換装置
JP2006021916A (ja) 振分けコンベヤ
JPH11199033A (ja) 物品供給装置
JP2009101555A (ja) 板体の搬送方法及びその装置
JPH0127925B2 (ko)
JP2013119463A (ja) 搬送装置
JP2000085933A (ja) 包装機における搬送装置
KR100393379B1 (ko) 사과꼭지를 위로 향하도록 자세를 교정하여 하나씩공급하는 장치
JP4314941B2 (ja) 搬送設備
KR20090072129A (ko) 사행 보정 장치가 구비된 컨베이어 시스템
JP3691232B2 (ja) 農産物の移送供給装置
JPH05338777A (ja) 物品の方向修正装置
JPH0542435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