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2809Y1 - 떡볶이용 떡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떡볶이용 떡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2809Y1
KR200262809Y1 KR2020010032755U KR20010032755U KR200262809Y1 KR 200262809 Y1 KR200262809 Y1 KR 200262809Y1 KR 2020010032755 U KR2020010032755 U KR 2020010032755U KR 20010032755 U KR20010032755 U KR 20010032755U KR 200262809 Y1 KR200262809 Y1 KR 20026280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ce cake
filling
cutting
discharge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27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선규
Original Assignee
정선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선규 filed Critical 정선규
Priority to KR202001003275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280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280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2809Y1/ko

Links

Landscapes

  • Cereal-Derived Produc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떡볶이용 떡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은 상측으로는 충진물을 투입하는 투입구를 형성하고 하측으로는 충진물토출구를 형성하며 전후방으로 실린더를 형성한 몸체 상측으로는 충진물투입모터를 형성하고 상기 몸체 내측으로는 충진물투입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충진물투입스크류를 형성한 충진물투입부와 후방으로 충진물토출모터를 형성하고 상기 충진물토출모터의 구동축에는 크랭크편을 형성하며 상기 크랭크편에는 크랭크축의 후단을 편심 연결 형성하되 상기 크랭크축 전단은 양측으로 이동편이 형성되고 전방으로는 실린더에 삽입되는 피스톤과 연결되며 상기 실린더 전방에는 전방으로 토출노즐이 형성된 충진물토출관을 연통되도록 형성한 충진물토출부와 충진물의 외부에 반죽이 감싸여 토출되도록 상측으로는 반죽투입구를 형성하고 전방으로는 떡토출구가 형성된 떡토출관을 형성한 떡토출몸체의 하측에는 반죽모터를 형성하고 상기 반죽모터에 의해 구동되며 상기 충진물토출관을 수용하는 중공스크류를 떡토출관 내측으로 형성된 반죽이송부와 떡토출구전방으로는 상측으로 절단모터를 형성하고 상기 절단모터의 구동에 의하여 동일회전수로 회전되도록 외경에 다수의 절단날을 형성한 절단로울러와 상기 절단날에 회전에 의하여 접하도록 다수의 절단홈을 형성한 함몰절단로울러를 형성한 절단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떡볶이용 떡 제조장치{ROLL OF RICE CAKE PRODUCTION EQUIPMENT}
본 고안은 떡볶이용 떡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떡볶이용 떡의 내부에 다양한 충진물을 주입하여 떡볶이용 떡의 양단을 밀폐하면서 절단하므로서 떡볶이용 떡의 내부에 충진된 충진물이 떡볶이 조리시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며 떡볶이용 떡 내부에 충진되는 충진물을 양을 조절하기가 용이하고 절단되는 떡볶이용 떡의 길이를 조절하여 절단할 수 있음은 물론 직선의 절단 및 사선절단을 가능하게 한 떡볶이용 떡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떡볶이용 떡은 쌀가루나 밀가루를 증기로 익힌 다음 스크류로 반죽하여 원통형상으로 길게 형성한 것으로 일명 가래떡이라고도 한다.
이와같은 떡볶이용 떡은 원통형상으로 쌀이나 밀가루만으로 형성된 떡을 조리하여 취식하였다.
그러나 이와같은 종래의 떡볶이용 떡은 쌀이나 밀가루와 같은 소재만으로 제조되기 때문에 성장기 어린이들에게 고른 영양을 취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떡볶이용 떡의 내부에 쏘세지나 치즈, 햄, 피자치즈 등의 충진물을 충진하여 떡볶이의 영양을 보충하며 신세대 어린이들의 기호에 맞게 제조되고 있다.
상기와 같이 내부에 충진물이 충진되는 떡볶이용 떡을 제조하기 위한 장치로서는 특허공개 제 2000-54541 및 특허공개 제 2000-9635호와 같은 장치가 제공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떡볶이용 떡의 제조장치중 특허공개 제 2000-54541호는 이중동심 스크류를 사용하여 외부의 스크류는 떡을 제조하고 내부의 스크류는 충진물을 투입하는 장치로서 외부스크류의 관체내부에 내부스크류가 동시에 회전 하므로써 상기 내,외부 스크류가 동일회전축으로 회전하도록 정밀하게 제작하기가 어려웠으며 떡볶이용 떡의 내부에 충진되는 충진물의 양을 조절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특허공개 제 2000-9635호의 떡볶이용 떡의 제조장치는 가래떡반죽물과 충진물에 해당하는 피자양념조성물을 반죽 및 압축이송하는 스크류가 각각 한쌍으로 형성되어 있어 기기장치가 복잡하였으며 떡이 토출되는 토출부가 압출되는 떡이나 충진물과 일진선상에 위치하지 않어 충진물이 떡볶이용 떡의 중앙에 위치하지 않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여 충진물이 일정하게 충진된 떡볶이용 떡을 제조하기가 어려웠으며 이 또한 충진물의 양의 조절이 원할 하지 못함은 물론 절단각도를 조절장치가 다양한 모양의 떡볶이용 떡을 제조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떡볶이용 떡 반죽투입부나 내용물투입부 절단부등을 각각 개별구동하여 제조장치 각부의 회전력을 개별조절 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떡볶이용 떡의 내부에 충진되는 충진물의 양을 조절하며 떡볶이용 떡의 절단시 길이를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 절단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으며 절단시 떡볶이용 떡의 양단을 밀폐하여 음식물 조리시 떡볶이용 떡의 내부에 충진된 충진물이 떡볶이 조리시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떡볶이용 떡 제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상측으로는 충진물을 투입하는 투입구를 형성하고 하측으로는 충진물토출구를 형성하며 전후방으로 실린더를 형성한 몸체 상측으로는 충진물투입모터를 형성하고 상기 몸체 내측으로는 충진물투입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충진물투입스크류를 형성한 충진물투입부와 상기 충진물투입부의 실린더를 통하여 충진물을 토출하도록 후방에 충진물토출모터를 형성하고 상기 충진물토출모터의 구동축에는 크랭크편을 형성하며 상기 크랭크편에는 크랭크축의 후단을 편심 연결 형성하되 상기 크랭크축 전단은 양측으로 이동편이 형성되고 전방으로는 실린더에 삽입되는 피스톤과 연결되며 상기 실린더 전방에는 전방으로 토출노즐이 형성된 충진물토출관을 연통되도록 형성한 충진물토출부와 상기 충진물토출부의 충진물토출관에서 토출되는 충진물의 외부에 반죽이 감싸여 토출되도록 상측으로는 반죽투입구를 형성하고 전방으로는 떡토출구가 형성된 떡토출관을 형성한 떡토출몸체의 하측에는 반죽모터를 형성하고 상기 반죽모터에 의해 구동되며 상기 충진물토출관을 수용하는 중공스크류를 떡토출관 내측으로 형성된 반죽이송부와 상기 반죽이송부의 떡토출구를 통하여 토출되는 떡을 절단하기 위하여 떡토출구전방으로는 상측으로 절단모터를 형성하고 상기 절단모터의 구동에 의하여 동일회전수로 회전되도록 외경에 다수의 절단날을 형성한 절단로울러와 상기 절단날에 회전에 의하여 접하도록 다수의 절단홈을 형성한 함몰절단로울러를 형성한 절단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떡볶이용 떡 제조장치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떡볶이용 떡 제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떡볶이용 떡 제조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떡볶이용 떡 제조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충진물투입부 11 : 몸체
12 : 투입구 13 : 충진물토출구
14 : 실린더 15 : 충진물투입모터
16 : 충진물투입스크류 20 : 충진물토출부
21 : 충진물토출모터 22 : 크랭크편
23 : 크랭크축 24 : 이동편
25 : 피스톤 26 : 토출노즐
27 : 충진물토출관 30 : 반죽이송부
31 : 떡토출몸체 32 : 반죽투입구
33 : 떡토출구 34 : 떡토출관
35 : 반죽모터 36 : 중공스크류
37 : 떡토출노즐 40 : 절단부
41 : 절단모터 42 : 구동기어
43 : 체인 44 : 절단로울러
45 : 함몰로울러 46 : 브라켓
47 : 절단날 48 : 절단홈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떡볶이용 떡 제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떡볶이용 떡 제조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떡볶이용 떡 제조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고안의 떡볶이용 떡 제조장치는 충진물투입부(10)의 몸체(11) 상측으로는 충진물을 투입하는 투입구(12)를 형성하고 하측으로는 충진물토출구(13)를 형성하며 상기 충진물토출구(13)의 외경 전후방으로는 실린더(14)를 형성하되 몸체(11) 상측으로는 충진물투입모터(15)를 형성하고 상기 몸체(11) 내측으로는 충진물투입모터(15)에 의해 구동되어 충진물토출구(13)로 충진물을 토출하도록 하는 충진물투입스크류(16)를 형성한다.
이러한 상기 충진물투입부(10)의 실린더(14)를 통하여 충진물을 토출하도록 충진물토출부(20)를 형성하되 상기 충진물토출부(20)의 후방으로는 충진물토출모터(21)를 형성하고 상기 충진물토출모터(21)의 구동축에는크랭크편(22)을 형성하며 상기 크랭크편(22)에는 크랭크축(23)의 후단을 편심 연결 형성하되 상기 크랭크축(23) 전단은 양측으로 이동편(24)이 형성되고 전방으로는 실린더(14)에 삽입되는 피스톤(25)과 연결되어 전후방으로 행정되도록 형성하고 상기 실린더(14) 전방에는 전방으로 토출노즐(26)이 형성된 충진물토출관(27)을 연통되도록 형성하여 충진물이 토출되도록 형성한다.
이와같이 형성된 충진물토출부(20)의 충진물토출관(27)에서 토출되는 충진물의 외부에 반죽이 감싸여 토출되도록 반죽이송부(30)를 형성하되 상기 반죽이송부(30)는 떡토출몸체(31)의 상측으로 반죽투입구(32)를 형성하고 전방으로는 단부에 떡토출구(33)가 형성된 떡토출관(34)을 형성하며 상기 떡토출몸체(31)의 하측에는 반죽모터(35)를 형성하여 상기 반죽모터(35)에 의해 충진물토출관(26)을 수용하는 중공스크류(36)가 떡토출관(34) 내측으로 형성된다.
이와같은 떡토출구(33)에는 다양한 굵기의 떡토출노즐(37)을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의 반죽이송부(30)의 떡토출구(33)를 통하여 토출되는 떡을 절단하기 위하여 떡토출구(33) 전방으로 절단부(40)를 형성하되 상기 절단부(40)는 상측으로 절단모터(41)를 형성하고 상기 절단모터(41)의 구동에 의하여 동일회전수로 회전되도록 동일잇수의 구동기어(42)를 체인(43)에 의하여 구동하며 상기 구동기어(42)의 구동에 의하여 구동되는 절단로울러(44)와 함몰절단로울러(45)는 양측의 브라켓(46) 사이에 축설되며 상기 절단로울러(44) 외경에는 다수의 절단날(47)을 형성하고 상기 절단로울러(44)의 절단날(47)에 회전에 의하여 접하도록 함몰절단로울러(45)의 외경에는 다수의 절단홈(48)을 형성한다.
이와같은 절단날(47)과 절단홈(48)은 날카롭지 않게 형성하여 토출되는 떡을 압축에 의하여 절단되도록 형성하므로서 토출되는 떡이 절단과 동시에 밀폐되도록 할 수 있으며 절단부(40)를 반죽이송부(30)의 전방에 사각으로 위치되게 고정시키면 절단되는 떡의 각도가 사각으로 절단되어 여러가지 모양으로 절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떡을 제조하기 위하여 쌀가루나 밀가루를 증기로 익혀서 준비하고 충진물은 기호에 맞게 쏘세지나 치즈, 햄, 피자치즈 등을 일정한 크기로 만들어서 준비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떡반죽은 반죽이송부(30)의 반죽투입구(32)에 투입하고 충진물은 충진물투입부(10)의 투입구(12)를 통하여 투입한다.
이와같이 떡반죽과 충진물을 투입하면 떡반죽은 중공스크류(36)의 회전에 의하여 떡토출관(34)을 통하여 반죽 이송되면서 떡토출구(33)를 통하여 토출된다.
이와 동시에 충진물은 충진물투입스크류(16)를 통하여 하측에형성된 충진물토출구(13)을 통하여 토출되어 실린더(14)로 이동하게 되고 실린더(14)로 이동하게 된 충진물은 충진물토출부(20)의 충진물토출모터(21)의 회전으로 크랭크편(22)이 회전하여 크랭크축(23)의 후단이 회전하면서 크랭크축(23)의 전단이 전후방으로 이동을 하게되어 이동편(24)에 고정된 피스톤(25)이 전후방으로 이동하면서 충진물을 충진물토출관(27)의 토출노즐(26)을 통하여 토출된다.
이와같이 토출되는 충진물은 중공스크류(36)의 중앙으로 토출되면서 떡토출관(34)의 중앙으로 토출되어 충진물이 중앙에 충진된 상태로 떡토출구(33)를 통하여 토출된다.
이때 토출되는 떡볶이용 떡은 절단부(40)의 회전하는 절단로울러(44)와 함몰로울러(45)의 회전에 의하여 절단날(47)과 절단홈(48) 사이에 압축되어 절단된다.
이와같이 토출되는 떡을 절단하면 떡볶이용 떡이 완성되는 것으로서 충진물의 양을 많이 충진하기 위해서는 충진물투입모터(15)와 충진물토출모터(21)의 회전수를 늘리면 되고 충진물의 양을 적게 충진하기 위해서는 충진물투입모터(15)와 충진물토출모터(21)의 회전수를 줄이면 된다.
또한 토출되는 떡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절단부(40)의 절단모터(41)와 반죽모터(35)의 회전수를 조절하여 선택할 수 있으며 절단되는 떡의 전단면 경사도는 절단부(40)의 위치를 직각이나 사각의 위치에 놓고 고정하면서 절단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떡볶이용 떡의 내부에 충진되는 충진물의 양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고 토출되는 떡의 절단시 떡의 양단을 밀폐하여 충진물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떡 절단의 각도 및 길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어 제품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를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1)

  1. 상측으로는 충진물을 투입하는 투입구를 형성하고 하측으로는 충진물토출구를 형성하며 전후방으로 실린더를 형성한 몸체 상측으로는 충진물투입모터를 형성하고 상기 몸체 내측으로는 충진물투입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충진물투입스크류를 형성한 충진물투입부와,
    상기 충진물투입부의 실린더를 통하여 충진물을 토출하도록 후방에 충진물토출모터를 형성하고 상기 충진물토출모터의 구동축에는 크랭크편을 형성하며 상기 크랭크편에는 크랭크축의 후단을 편심 연결 형성하되 상기 크랭크축 전단은 양측으로 이동편이 형성되고 전방으로는 실린더에 삽입되는 피스톤과 연결되며 상기 실린더 전방에는 전방으로 토출노즐이 형성된 충진물토출관을 연통되도록 형성한 충진물토출부와,
    상기 충진물토출부의 충진물토출관에서 토출되는 충진물의 외부에 반죽이 감싸여 토출되도록 상측으로는 반죽투입구를 형성하고 전방으로는 떡토출구가 형성된 떡토출관을 형성한 떡토출몸체의 하측에는 반죽모터를 형성하고 상기 반죽모터에 의해 구동되며 상기 충진물토출관을 수용하는 중공스크류를 떡토출관 내측으로 형성된 반죽이송부와,
    상기 반죽이송부의 떡토출구를 통하여 토출되는 떡을 절단하기 위하여 떡토출구전방으로는 상측으로 절단모터를 형성하고 상기 절단모터의 구동에 의하여 동일회전수로 회전되도록 외경에 다수의 절단날을 형성한 절단로울러와 상기 절단날에 회전에 의하여 접하도록 다수의 절단홈을 형성한 함몰절단로울러를 형성한 절단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떡볶이용 떡 제조장치.
KR2020010032755U 2001-10-26 2001-10-26 떡볶이용 떡 제조장치 KR20026280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2755U KR200262809Y1 (ko) 2001-10-26 2001-10-26 떡볶이용 떡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2755U KR200262809Y1 (ko) 2001-10-26 2001-10-26 떡볶이용 떡 제조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6178A Division KR20030034553A (ko) 2001-10-26 2001-10-26 떡볶이용 떡 제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2809Y1 true KR200262809Y1 (ko) 2002-03-18

Family

ID=731111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2755U KR200262809Y1 (ko) 2001-10-26 2001-10-26 떡볶이용 떡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280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3789B1 (ko) 2007-12-21 2009-12-24 강두석 떡 성형장치
KR20190094643A (ko) * 2018-02-05 2019-08-14 조재구 떡볶이 핫도그의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3789B1 (ko) 2007-12-21 2009-12-24 강두석 떡 성형장치
KR20190094643A (ko) * 2018-02-05 2019-08-14 조재구 떡볶이 핫도그의 제조방법
KR102082841B1 (ko) 2018-02-05 2020-02-28 조재구 떡볶이 핫도그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4482853U (zh) 一种包子机
TWI286061B (en) A method and an apparatus for feeding food material, and apparatus for thereby extruding bar-like double-layered food material, and an apparatus for enveloping food material
JP3559222B2 (ja) 包あん機
BRPI0204195B1 (pt) aparelho para fabricar produtos alimentícios de dupla camada
CN110959642B (zh) 一种夹心面饼生产设备
GB2101924A (en) Apparatus for forming soft food material into globular shape
BR112012021439B1 (pt) Método e aparelho para fabricar produtos de confeitaria por extrusão
JP2007082461A (ja) 食品素材の押し出し方法及びその装置
FI98194C (fi) Ruokatuotteiden valmistuslaite
KR200262809Y1 (ko) 떡볶이용 떡 제조장치
KR20030034553A (ko) 떡볶이용 떡 제조장치
US10492498B2 (en) Filled pasta making machine and related method for making filled pasta
CN2930319Y (zh) 一种多功能食品包皮机
KR20200102296A (ko) 압출 제면기와 그에 의해 제조된 면
CN108576108A (zh) 旋转折叠揉面机
CN108684767A (zh) 旋转折叠揉面机的折叠旋转机构
CN108684768A (zh) 旋转折叠揉面机的挡面装置
JP5205589B2 (ja) マーブルケーキ生地絞り装置およびその絞り方法
JP6298196B2 (ja) 食品製造装置
CN108684766A (zh) 旋转折叠揉面机的漏面装置
JPH06153761A (ja) デポジッターの充填方法および充填装置
JP3726090B2 (ja) 包あん機
CN216219847U (zh) 一种高效挤面成型装置及面食机
US4596063A (en) Device for delivering portions of a doughy substance
JP3061995B2 (ja) 麺皮で覆われた食品の成形方法とその成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