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2225Y1 - 이동 울타리 - Google Patents
이동 울타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262225Y1 KR200262225Y1 KR2020010030769U KR20010030769U KR200262225Y1 KR 200262225 Y1 KR200262225 Y1 KR 200262225Y1 KR 2020010030769 U KR2020010030769 U KR 2020010030769U KR 20010030769 U KR20010030769 U KR 20010030769U KR 200262225 Y1 KR200262225 Y1 KR 200262225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pport
- fence
- strength
- present
- moving
- Prior art date
Links
Landscapes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이동 울타리를 지지하는 지지체의 양 측면에 소정 단차를 형성함으로써 지지체의 강도가 더욱 보강되도록 한 이동 울타리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사다리꼴 입방체로 상부에 슬리트가 형성된 지지체와, 이 지지체의 슬리트에 끼워지는 안내판을 포함하는 이동 울타리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에는 지지체의 강도를 보강하는 소정 크기로 된 단차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이동 울타리의 지지체는 지지체의 양 측면 모서리을 따라 양 측면 모서리에 평행하게 소정 크기의 단차가 형성되기 때문에 종래 단차가 형성되지 않는 이동 울타리의 지지체에 비해 강도가 상당부분 보강되게 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이동 울타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 울타리를 지지하는 지지체의 양 측면에 소정 단차를 형성함으로써 지지체의 강도가 더욱 보강되도록 한 이동 울타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 울타리는 도로의 포장 및 보수 등의 제반 공사시에 공사장 주변에 설치되어 차량 및 보행자의 진입금지 등을 유도함으로써 차량 및 보행자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역할을 하며, 통상 가설 펜스(Fence) 또는 안전 펜스라고도 하고, 철재의 파이프(Pipe)와 철판 등으로 용접된 규격품이 주로 사용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이동 울타리는 철재이기 때문에 인력에 의해 운반 및 이동이 용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비나 눈 등에 의해 녹이 발생되어 점차 부식되게 된다.
이에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한 고안으로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1998-0021749(출원일자 1998년 11월 10일)의 '조립식 이동 울타리' 및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2000-0015139(출원일자 2000년 05월 29일)의 '개량된 조립식 이동 울타리' 등이 개시된 바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종래에 고안된 이동 울타리를 살펴보면, 종래 이동 울타리(100)는 좌우 다리 역할을 하는 사다리꼴 입방체 형상의 지지체(110)와, 이러한 지지체(110) 사이에 결합되어 표지판 역할을 하는 안내판(130) 및 이 안내판(130)이 결합되는 양 지지체(110)가 좌우로 더이상 벌어지지 않도록 단단히 연결시켜 주는 횡간봉(150)으로 구성되며, 운반 및 이동이 용이하면서도 녹이 슬지 않는 수지 재질의 중공체로 형성된다.
이때, 종래 이동 울타리(100)의 지지체(110)에는 안내판(130)이 결합되도록 하는 슬리트(Slit,115)와, 횡간봉(150)이 결합되도록 하는 횡간홀(Hole,114) 등이 형성되기 때문에 안내판(130)과 횡간봉(150)은 지지체(110)에 용이하게 결합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이동 울타리(100)는 수지 재질이면서 중공체로 형성되기 때문에 종래 철재(미도시)에 비해 상대적으로 강도가 취약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특히, 종래 이동 울타리(100)의 지지체(110) 같은 경우에는 이동울타리(100)가 세워지도록 이동 울타리(100)를 좌우에서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바, 어느 부분보다 강한 강도가 요구되지만 종래 이동 울타리(100)의 지지체(110)는 단순히 사다리꼴 입방체 형상으로 수지 재질이면서 중공체로 형성되기 때문에 다른 부분과 같이 강도가 취약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한 것으로써, 본 고안의 목적은종래와 같은 수지 재질이면서도 보다 강한 강도의 지지체를 구비하는 이동 울타리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 이동 울타리의 일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종래의 이동 울타리 중 지지체만을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 이동 울타리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한 본 고안의 이동 울타리 중 지지체만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3에 도시한 본 고안의 이동 울타리 중 지지체만을 도시한 정면도.
도 6은 도 4의 A-A 부분을 도시한 단면도.
이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고안은 사다리꼴 입방체로 상부에 슬리트가 형성된 지지체와, 이 지지체의 슬리트에 끼워지는 안내판을 포함하는 이동 울타리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에는 지지체의 강도를 보강하는 소정 크기로 된 단차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단차는 지지체의 양 측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이동 울타리(200)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따른 이동 울타리(200)는 크게 지지체(210)와, 안내판(230)과, 횡간봉(250)으로 구성되며, 도로 등의 제반 공사장 주변에 설치되어 차량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지지체(210)는 사출성형되며, 이동 울타리(200)가 세워질 수 있도록 이동 울타리(200)를 좌우에서 지지하는 다리 역할을 하는 바, 최소 두개이상 같이 설치되며, 다소간 안정된 형태인 사다리꼴 입방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때, 지지체(210)의 재질은 폴리 에틸렌(Polyethylene) 등과 같은 수지 재질로 형성되며, 내부에 소정 공간이 마련된 중공체로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지지체(210)의 상부에는 안내판(230)의 일측 단부가 끼워지도록 슬리트(215)가 형성되며, 지지체(210)의 하부에는 횡간봉(250)의 일 단부가 끼워지도록 횡간홀(214)이 형성되고, 지지체(210)의 중앙에는 바람이 통풍되도록 하여 바람에 의해 이동 울타리(200)가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관통홀(213)이 형성된다.
이때, 슬리트(215)는 지지체(210)가 사출성형될 경우 금형(미도시)의 탈착을 용이하게 하도록 소정 형태로 단차지게 형성되며, 특히 슬리트(215)의 상단부에는 차량 및 보행자의 진입금지를 유도하는 진입금지선인 윙카(미도시)가 부가적으로 더 설치될 경우 이 윙카가 걸어질수 있도록 윙카걸이홈(216)이 형성된다. 그리고, 횡간홀(214)이 형성된 지지체(210)의 하부 양 측면에는 지지체(210) 즉 이동울타리(200)의 중량을 더 보강해야 할 경우 유저(User)에 의해 추가적으로 횡간봉(250)이 설치될 수 있도록 후크(Hook)형상의 횡간봉 걸이홈(217)이 형성된다.
또한, 지지체(210)의 양 측면 즉 지지체(210)의 좌우 외곽부에는 지지체(210)의 강도보강을 위해 소정 크기로 된 단차(212)가 형성된다. 이때, 이러한 단차(212)는 지지체(210)의 양 측면 일부분에만 한정되게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지지체(210)의 전체 강도보강을 위해 지지체(210)의 양 측면 모서리를 따라 양 측면 모서리에 평행하게 형성된다. 여기에서, 지지체(210)의 단차(212)는 지지체(210)의 양 측면 상하 중심선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되게 형성됨이 바람직하고,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안내판(230)은 직사각형 평판 형상으로, 지지체(210)에 형성된 슬리트(215)에 일측 단부가 끼워져 결합되고, 일면 및 타면에는 '진입 금지'나 '공사중' 등과 같은 다양한 문구가 새겨져 차량 운전자가 도로상태를 미연에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횡간봉(250)은 원형 로드(Rod) 형상으로, 지지체(210)에 형성된 횡간홀(214)에 끼워지며, 안내판(230)이 끼워진 양 지지체(210)가 좌우로 더이상 벌어지지 않도록 함으로써 좌우 양 지지체(210)를 단단히 결합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이하, 이와 같이 구성된 본고안 이동 울타리(200)의 결합 순서와 함께 그 효과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따른 이동 울타리(200)를 결합시키기 위해서는 먼저 유저가 두개 이상의 지지체(210)와, 1개 이상의 안내판(230) 그리고 1개 이상의 횡간봉(250)을 구비하여야 한다. 이에 이하에서는 지지체(210)를 그 사용되어지는 순서대로 제 1지지체 및 제 2지지체로 나누어 명명하기로 한다.
먼저, 유저는 제 1지지체를 지면에서 세운 다음, 제 1지지체의 슬리트에 안내판(230)의 일측 단부를 끼워서 결합시키게 되고, 안내판(230)의 타측 단부는 제 2지지체의 슬리트에 끼워서 결합시키게 된다.
이후, 유저는 안내판(230)의 결합이 완료되면, 제 1지지체의 횡간홀과 제 2지지체의 횡간홀에 각각 횡간봉(250)의 일 단부 및 타 단부를 끼워서 각각 결합함으로써 이동 울타리(200)의 결합을 완료하게 된다.
이때, 이동울타리(200)의 중량을 더 보강해야 할 경우 유저는 제 1지지체 및 제 2지지체에 형성된 횡간봉 걸이홈(217)에 횡간봉(250)을 추가적으로 설치할 수 있으며, 차량 및 보행자의 진입을 금지하도록 윙카가 더 부가적으로 설치되어야 할 경우 윙카를 윙카 걸이홈(216)에 걸어서 설치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결합된 이동 울타리(200)는 도로의 제반 공사장 주변에 설치되어 차량 및 보행자의 진입금지 등을 유도함으로써 차량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게 된다. 그러나, 종종 차량 운전자의 부주의 또는 이동 울타리(200) 사용자의 부주의 등으로 이동 울타리(200)의 지지체(210) 양 측면에는 소정 크기의 충격이 가해지게 된다. 이때, 본 고안에 따른 이동 울타리(200)의 지지체(210) 양 측면에는 단차(212)가 형성되고, 이 단차(212)는 지지체(210)의 강도를 보강시켜주기 때문에 충격을 받은 본 고안의 지지체(210)는 좀처럼 부셔지거나 찌그러지지 않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이동 울타리의 지지체에는 지지체의 양 측면 모서리를 따라 양 측면 모서리에 평행하게 소정 크기의 단차가 형성되기 때문에 종래 단차가 형성되지 않는 이동 울타리 지지체에 비해 강도가 상당부분 보강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 사다리꼴 입방체로 상부에 슬리트가 형성된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의 상기 슬리트에 끼워지는 안내판을 포함하는 이동 울타리에 있어서,상기 지지체에는 상기 지지체의 강도를 보강하는 소정 크기로 된 단차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울타리.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차는 상기 지지체의 양 측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울타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10030769U KR200262225Y1 (ko) | 2001-10-09 | 2001-10-09 | 이동 울타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10030769U KR200262225Y1 (ko) | 2001-10-09 | 2001-10-09 | 이동 울타리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62225Y1 true KR200262225Y1 (ko) | 2002-03-18 |
Family
ID=731097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10030769U KR200262225Y1 (ko) | 2001-10-09 | 2001-10-09 | 이동 울타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262225Y1 (ko) |
-
2001
- 2001-10-09 KR KR2020010030769U patent/KR200262225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1735504B1 (en) | Prefabricated road median wall | |
US7600942B2 (en) | Barrier device with adjustable external reinforcement structure | |
CA2601701A1 (en) | Barrier device with external reinforcement structure | |
US5938370A (en) | Safety barrier with passageway | |
KR200262225Y1 (ko) | 이동 울타리 | |
KR100673306B1 (ko) | 도로용 중앙분리대 | |
KR100507388B1 (ko) | 기둥형 보강체가 삽입된 가드레일 | |
KR101240414B1 (ko) | 파형강판 콘크리트블록 | |
KR200300000Y1 (ko) | 기둥형 보강체가 삽입된 가드레일 | |
KR200384164Y1 (ko) | 이동 울타리 | |
WO2001046525A1 (en) | Apparatus for covering vehicle traffic dividers | |
CN215405764U (zh) | 一种橡胶马 | |
CN202430654U (zh) | 钢管索锁应力防撞活动护栏 | |
CN213013751U (zh) | 一种预制道路构件 | |
JP3190271B2 (ja) | コンクリート製保護ブロック | |
KR101135324B1 (ko) | 간선도로용 자전거 도로 구축용 블럭 | |
KR200179649Y1 (ko) | 과속방지턱 | |
KR101845446B1 (ko) | 적사대 | |
KR102055537B1 (ko) | 곡선 포장이 가능한 일체형 거푸집 | |
CN206090221U (zh) | 钢混结构路牙石 | |
KR200154105Y1 (ko) | 폐타이어를 이용한 안전방호대 | |
KR200373179Y1 (ko) | 도로용 중앙분리대 | |
KR200154103Y1 (ko) | 폐타이어를 이용한 안전방호대 | |
KR20100054913A (ko) | 도로분리대용 지주 | |
KR20050113582A (ko) | Pe 도로중앙분리대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T201 |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T601 |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