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5565Y1 - 근접 시력 진단기 - Google Patents

근접 시력 진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5565Y1
KR200255565Y1 KR2020010027129U KR20010027129U KR200255565Y1 KR 200255565 Y1 KR200255565 Y1 KR 200255565Y1 KR 2020010027129 U KR2020010027129 U KR 2020010027129U KR 20010027129 U KR20010027129 U KR 20010027129U KR 200255565 Y1 KR200255565 Y1 KR 20025556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t
image
vision
images
memo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71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육경환
Original Assignee
미래광학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래광학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미래광학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100271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556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556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5565Y1/ko

Links

Landscapes

  • Eye Examina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동작버튼들을 포함하는 동작선택 수단, 차트에 포함되는 복수의 이미지들, 상기 이미지들 각각에 부여되는 이미지 식별기호들, 및 상기 각 이미지들에 해당하는 차트 상의 위치들을 규정하는 이미지 위치 데이터를 포함하는 메모리, 상기 차트를 이동시키기 위한 차트 구동 수단, 상기 동작선택 수단으로부터 입력된 신호에 해당하는 상기 차트의 이미지를 출력하기 위한 화면 출력 수단, 및 상기 동작선택 수단으로부터 입력된 신호에 해당하는 상기 차트 상의 위치로 상기 차트를 이동시키기 위한 차트의 이동거리 또는 이동경로를 계산하고, 상기 차트의 이동거리 또는 이동경로에 따라 상기 차트를 이동시키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상기 차트 구동 수단으로 전송하고, 상기 동작선택 수단으로부터 입력된 신호에 해당하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차트의 이미지를 출력하게 하는 제어신호를 상기 화면 출력 수단으로 전송하는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근접 시력 진단기를 제공한다. 본 고안에 의하여 피검자가 현재 보고 있는 차트 상의 이미지를 검안자가 뚜렷하게 그리고 장소에 크게 구애받지 않고 볼 수 있어 검안자가 피검자의 시력 측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근접 시력 진단기{SHORT-DISTANCE VISUAL ACUITY TESTER}
본 고안은 근접 시력 진단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피검자가 보이지 않는 위치에 설치되거나 또는 근접 시력 진단기 본체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이 가능한 장치로 형성되어 시력 측정시에 검안자가 시력 측정에 사용되는 이미지를 용이하게 볼 수 있게 해주는 화면 출력 수단, 특히 LCD가 구비된 근접 시력 진단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시력이 1.0이라는 것은 5미터 거리에서 피검자가 란돌트 링을 보면서 각도 1분의 절개각을 구분할 수 있는 시력을 가진 것을 말하며, 시력이 2.0인 사람은 절개각 0.5분을 구별할 수 있는 사람을 의미하고, 반대로 시력이 0.5인 사람은 2분의 절개각을 구별할 수 있는 사람을 의미한다.
따라서, 시력을 측정할 경우, 피검자와 시력 측정용 차트는 반드시 5미터의 거리를 확보하여야 하지만, 일반적인 안경점이나 안과 병원에서 시력 측정을 위하여 5미터의 거리를 확보하는 것은 상당히 많은 코스트를 요구하며, 특히 우리나라와 같이 땅값이 비싼 경우에는 더욱 심각한 문제가 된다. 따라서, 여러 가지 편법이 사용되는데, 대표적인 것으로는 차트의 크기를 3/5 으로 줄인 3미터 차트를 사용하는 방법과 여러 개의 평면거울을 사용하여 광학적으로 5 미터인 거리를 만드는 방법이 있다. 3미터 차트의 경우, 무엇보다 기준에 부합되지 않기 때문에 시력 측정은 할 수 있다고 하더라도 정확성을 인정받을 수 없으며, 평면거울을 사용하여 거리를 확보하는 것은 난반사 등 정확한 시력 측정을 방해하는 여러 문제점이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면서 좁은 공간에서 시력을 측정할 수 있는 방법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이와 같은 목적으로 개발된 장치를 통상적으로 근접 시력 진단기라고 한다. 이와 같은 근접 시력 진단기는 대형 오목거울과 하프 미러(half mirror)라고 불리는 평면거울을 이용하여 장치 내부 3.9 미터 상에 시력 측정을 위한 차트의 허상을 형성하고, 피검자가 시력 진단기 전방 1.1 미터의 거리에 위치하면, 자신으로부터 5 미터 전방에 위치한 차트를 보는 것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으므로, 기존의 방법에 의한 문제점 없이 시력 검사를 정확하게 실시할 수 있다.
도 1은 통상적인 근접 시력 진단기의 작동 원리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근접 시력 진단기 내의 실제 차트는 광학계를 통해 12배 확대된 허상으로 형성함과 동시에 시력 측정을 위하여 필요한 광학적인 거리 상에 위치하게 된다. 도 1을 참조하여, 통상적인 근접 시력 진단기의 차트 표시 원리를 설명하면, 먼저 램프(1)에 의해 발생된 빛은 유리로 만들어진 차트(2)를 통과한다. 차트(2)는 일반적으로 유리에 크롬을 도금한 후 에칭(etching)하여 제작되는 것이다. 빛은 크롬층을 통과하지 못하므로, 차트(2)에 크롬으로 그려진 숫자나 도형이 램프(1)에서 출사된 빛에 의하여 전사된다. 차트(2)를 통과한 빛은 빛의 경로 상에 위치한 45도 거울(3)에서 반사되어 위로 올라가며 하프 미러(4)를 통과한다. 이 하프 미러(4)의 하부는 무반사 코팅이 되어 있고 그 상부는 약한 반사 코팅이 되어 있어서, 하부에서 올라온 빛은 그대로 통과하여 최상부의 오목거울(5)에서 반사되고, 반사되어 다시 내려온 빛은 하프 미러(4)의 상부에서 반사되어 투시창(6)을 통해 피검자에게 보여지게 된다. 이때 상기 오목거울(5)에 형성된 상과 하프 미러(4) 사이의 거리 A와 하프 미러(4)와 투시창(6) 사이의 거리 B의 합은 총 3.9 미터가 되도록 조절되어 있으므로, 피검자가 투시창(6)으로부터 1.1 미터의 거리(C)에 위치하면 결과적으로 5 미터 거리의 상을 보게 된다.
피검자에게 보여지는 숫자나 도는 차트(2), 대형 마스크(7), 소형 마스크(8)의 위치 조합에 의해 선택된다. 도 2는 차트(2), 대형 마스크(7), 소형 마스크(8)의 위치 조합에 의하여 선택되어, 피검자에게 보여지는 이미지를 예시하는 도면으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검자에게 보여지는 이미지는 차트(2), 대형 마스크(7), 소형 마스크(8)의 위치 조합에 따라 완전히 개방된 상태(A)와 수평 방향으로 보이는 상태(B), 수직 방향으로 보이는 상태(C) 및 부분적인 이미지만 보이는 상태(D) 등으로 각각 조절될 수 있다.
도 3은 통상적인 근접 시력 진단기의 차트 및 마스크의 위치를 조합하여 소정의 이미지를 구현하는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즉, 도 3은 상기 차트(2), 대형마스크(7), 및 소형 마스크(8)의 상대적인 위치를 조절하여, 검안자가 소정의 이미지를 구현하는 일 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차트(2)가 바뀔 때는 먼저 소형 마스크(8)가 전체 차트를 가려주어, 차트(2)의 전환 시에 생기는 시각적인 장애를 제거하며, 차트(2)가 자리를 잡은 다음 대형 마스크(7)가 움직여 보여줄 차트(2)의 형상이 결정되고, 다음으로 소형 마스크(8)를 움직여 최종적으로 피검자에게 보여지는 이미지를 결정하게 된다.
한편, 검안자가 근접 시력 진단기를 사용하여 피검자의 시력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피검자가 현재 보고 있는 차트 상의 이미지를 검안자도 역시 볼 수 있어야 한다. 그것은 피검자가 검안자가 지적한 이미지에 대한 정확한 답을 할 수 있는지를 판단하기 위해서이다.
종래에는 차트 상의 현재 이미지를 검안자가 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직경 60 mm 정도의 오퍼레이터 미러를 근접 시력 진단기 내부에 설치한다. 이러한 오퍼레이터 미러는 그것 상에 차트의 상을 형성하고, 형성된 차트의 상이 검안자에게 전달되어 검안자가 차트의 이미지를 볼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오퍼레이터 미러는 통상적으로 검안자가 근접 시력 진단기의 위치에서 좌측면으로부터 10 cm, 전방으로 50 cm 떨어진 위치에서 볼 수 있도록 근접 시력 진단기를 조립할 때 미러의 각도를 조절한다. 검안자는 이 위치에서만 오퍼레이터 미러를 통하여 차트의 상을 볼 수 있기 때문에 검안자는 항상 거의 동일한 위치에서 검안을 진행하여야 한다. 또한, 조립시 잘못으로 정해진 각도로 오퍼레이터미러를 조절하지 않은 경우에는 정해진 위치에서 차트의 상을 볼 수 없다. 더군다나, 이 위치에서 검안을 진행할 때, 차트의 큰 상에 대해서는 잘 보이지만 작은 상이나 기타 편광 등의 검안을 하기 위한 상은 이러한 작은 거울로는 상의 모습을 뚜렷하게 볼 수 없기 때문에 검안자는 현재 피검자가 보고 있는 상이 무엇인지 확실하게 판단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오퍼레이터 미러는 먼지에 상당히 민감하기 때문에 근접 시력 진단기를 유지하는데 어려움을 겪는다.
따라서, 피검자가 보고 있는 차트의 이미지를 검안자가 뚜렷하게 그리고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볼 수 있는 장치가 있다면 큰 편리성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피검자가 현재 보고 있는 차트 상의 이미지를 검안자가 뚜렷하게 그리고 장소에 크게 구애받지 않고 볼 수 있어 검안자가 피검자의 시력 측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근접 시력 진단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근접 시력 진단기는 검안자가 차트의 상을 보게 하는 수단으로서, 화면출력 수단을 사용하므로, 조립 상의 문제점이 별로 없고 기기의 유지, 관리에 어려움이 없다.
도 1은 통상적인 근접 시력 진단기의 작동 원리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통상적인 근접 시력 진단기의 차트 및 마스크의 조합에 의하여 선택되어, 피검자에게 보여지는 이미지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통상적인 근접 시력 진단기의 차트 및 마스크의 위치를 조합하여 소정의 이미지를 구현하는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종래 기술에 따라 현재 시력측정을 하고 있는 차트 상의 이미지를 검안자가 볼 수 있도록 해주는 오퍼레이터 미러가 구비된 근접 시력 진단기의 개략도이다.
도 5는 차트의 위치 이동 및 차트 상의 현재 이미지를 검안자가 볼 수 있도록 해주는 화면출력을 위한 본 고안의 근접 시력 진단기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라 차트 상의 현재 이미지를 검안자가 볼 수 있도록 해주는 화면출력 수단 (LCD)이 측면 외벽에 설치된 근접 시력 진단기의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에서 사용할 수 있는 근접 시력 진단기의 리모콘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근접 시력 진단기를 사용하여 원하는 차트 상의 이미지 위치로 차트를 이동시키고 현재 이미지를 화면에 출력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차트의 현재 이미지를 출력하는 화면출력 수단을 포함하는 근접 시력 진단기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근접 시력 진단기는 광원, 복수의 시력 검사용 이미지들을 포함하는 차트, 및 상기 광원으로부터 나와 상기 차트를 통과한 빛의 중간 경로를 변경시킴으로써 상기 빛의 전체 경로가 상기 차트와 피검자 사이의 실제 거리보다 길게 하는 광 경로 연장수단을 포함하는 근접 시력 진단기에 있어서, 사용자가 시력 측정을 위한 동작을 선택할 수 있게 하는 동작버튼들을 포함하는 동작선택 수단, 상기 차트에 포함되는 복수의 이미지들, 상기 이미지들 각각에 부여되는 이미지 식별기호들, 및 상기 각 이미지들에 해당하는 차트 상의 위치들을 규정하는 이미지 위치 데이터를 포함하는 메모리, 상기 차트를 이동시키기 위한 차트 구동 수단, 상기 동작선택 수단으로부터 입력된 신호에 해당하는 상기 차트의 이미지를 출력하기 위한 화면 출력 수단 - 이 출력 수단은 상기 피검자가 보이지 않는 위치에 설치되거나 또는 상기 근접 시력 진단기 본체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이 가능한 장치로 형성되어 검안자가 시력 측정시에 상기 선택된 차트의 이미지를 보기 위하여 사용됨 -, 및 상기 동작선택 수단으로부터 입력된 신호에 해당하는 상기 차트 상의 위치로 상기 차트를 이동시키기 위한 차트의 이동거리 또는 이동경로를 계산하고, 상기 차트의 이동거리 또는 이동경로에 따라 상기 차트 구동 수단이 상기 차트를 이동시키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상기 차트 구동 수단으로 전송하고, 상기 동작선택 수단으로부터 입력된 신호에 해당하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차트의 이미지를 상기 화면 출력 수단이 출력하게 하는 제어신호를 상기 화면 출력 수단으로 전송하는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상기 메모리는 현재 머물러 있는 상기 차트의 위치에 해당하는 현재 이미지 식별기호 또는 현재 이미지 위치 데이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작선택 수단의 입력 신호에 해당하는 이미지 위치 데이터와 현재 이미지 위치 데이터의 차이에 의해 상기 차트 위치의 이동 거리를 계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메모리는 마스크의 형상들에 대한 식별기호, 형상 정보 및 현재 적용되고 있는 마스크의 현재 형상에 대한 식별기호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트의 현재 이미지에 관한 데이터를 상기 마스크의 현재 형상에 대한 정보에 의하여 한정시킴으로써 차트의 현재 이미지 중 일부만을 상기 화면출력 수단이 출력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상기 이미지 출력 수단은 상기 근접 시력 진단기의 측면 외벽에 설치되는 LCD이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동작선택 수단은 리모콘으로 구성되고, 상기 리모콘으로부터 발생한 신호를 처리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리모콘 신호 수신 처리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트 구동 수단은 바람직하게, 스테핑 모터이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하는 이미지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차트 상에 하나의 단위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말한다. 차트 상에는 이러한 이미지 단위들이 복수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차트 상의 단위 이미지들은 리모콘의 차트 선택 버튼에 의하여 선택되는 것이며, 메모리에 저장되는 단위이기도 하다. 또한, 이러한 이미지들은 마스크에 의하여 그 영역의 부분이 가려져서 그 중 일부만이 피검자에게 보여질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근접 시력 진단기 및 그 원점 조정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차트의 위치 이동 및 차트 상의 현재 이미지를 검안자가 볼 수 있도록 해주는 화면출력을 위한 본 고안의 근접 시력 진단기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본 고안의 근접 시력 진단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광원(1), 차트(2), 광원(1)으로부터 나와서 차트(2)를 통과한 빛의 중간 경로를 변경시킴으로써 빛의 전체 경로가 차트(2)와 피검자 사이의 실제 거리보다 길게 하는 광 경로 연장수단을 포함한다. 광 경로 연장수단은 도 1에서는 45도 반사거울(3), 하프미러(4) 및 오목거울(5)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포함하는 본 고안의 근접 시력 진단기는 또한, 검안자가 선택한 차트 상의 이미지를 피검자가 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차트의 위치 이동 및 피검자가 보고 있는 차트 상의 현재 이미지를 검안자가 볼 수 있게 하기 위한 현재 이미지의 화면 출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근접 시력 진단기는,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용자(검안자)가 피검자의 시력을 측정하기 위한 동작을 선택할 수 있게 하는 동작버튼들을 포함하는 리모콘과 같은 동작선택 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본 고안의 근접 시력 진단기는 차트를 이동시키기 위한 스테핑 모터와 같은 차트 구동 수단 및 동작선택 수단으로부터 입력된 신호에 해당하는 차트의 이미지를 출력하기 위한 LCD와 같은 화면 출력 수단을 포함한다. 스테핑 모터와 LCD는 각각 모터제어부와 LCD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구동된다. 또한, 본 고안의 근접 시력 진단기는 리모콘으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처리하고, 모터제어부 및 LCD 제어부에 해당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중앙처리장치부 및 메모리 (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한다.
메모리는 차트에 포함되는 복수의 이미지들에 관한 데이터, 이 이미지들 각각에 부여되는 이미지 식별기호들, 및 각 이미지들에 해당하는 차트 상의 위치들을규정하는 이미지 위치 데이터를 포함한다. 또한, 메모리는 피검자가 현재 보고 있는 차트 상의 현재 이미지에 해당하는 현재 이미지 식별기호 또는 현재 이미지 위치 데이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는 마스크의 형상들에 대한 식별기호, 형상 정보 및 현재 적용되고 있는 마스크의 현재 형상에 대한 식별기호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중앙처리장치부 및 LCD 제어부는 상기 차트의 현재 이미지에 관한 데이터를 상기 마스크의 현재 형상에 대한 정보에 의하여 한정시킴으로써 차트의 현재 이미지 중 일부만을 상기 화면출력 수단이 출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근접 시력 진단기는 리모콘의 신호를 처리하여 중앙처리장치가 수신할 수 있는 형태의 신호로 변환한 후 그 신호를 중앙처리장치로 전송하는 리모콘 신호 수신 처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 제어부를 중앙처리장치부, 모터제어부, LCD 제어부로 구분하여 표시하였지만, 이것은 논리적인 구분이며, 실제로는 하나의 단위로 제작할 수 있으며 또한 각각의 별도의 단위로 제작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리모콘 신호 수신 처리부는 제어부의 논리적 단위로 구성될 수도 있고, 별개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라 차트 상의 현재 이미지를 검안자가 볼 수 있도록 해주는 화면출력 수단 (LCD)이 측면 외벽에 설치된 근접 시력 진단기의 개략도이다.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화면출력 수단, 특히 LCD는 근접 시력 진단기의 측면 외벽에 설치되어 검안자가 피검자의 시력 측정시에 위치에 크게 구애받지 않고 용이하게 차트의 현재 이미지를 볼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근접 시력 진단기의 화면 출력 수단은 근접 시력 진단기 본체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이 가능한 장치일 수 있다. 근접 시력 진단기의 본체의 해당하는 정보를 무선통신 또는 유선통신에 의하여 수신하여 화면에 차트의 현재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는 화면 출력 수단의 예로는 퍼스널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등과 같은 범용적으로 사용되는 컴퓨터, 근접 시력 진단기의 화면 출력 수단으로서 적합하도록 특별히 고안된 화면 출력 수단, 무선통신에 의하여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무선통신 단말기 등일 수 있다.
도 7은 근접 시력 진단기의 리모콘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근접 시력 진단기를 원격 조정하기 위한 리모콘은 다수의 차트 선택 버튼(71), 적색 및 녹색의 색맹 및 색약을 검사하기 위한 적녹 검사 버튼(72), 마스크 이동 버튼(73), 프로그램 차트 전진(74), 프로그램 차트 후진(75), 리셋 버튼(76), 램프 온/오프 버튼(77), 수직 차트 라인 버튼(78), 수평 차트 라인 버튼(79) 및 개체 차트 버튼(80)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에서, 차트 선택 스위치(71) 및 적녹 검사 스위치(72)는 차트 상에 위치하는 이미지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 버튼이다. 프로그램 차트 전진(74) 및 프로그램 차트 후진(75)은 전원이 온되었을 때 또는 리셋 시에 차트의 초기화 위치를 정확하게 맞추기 위하여 차트를 전진 또는 후진시키기 위한 버튼이다. 이것은 본 출원인의 이전 특허출원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01-49854호, 출원일: 2001년 8월 20일)에 기재된 기술사항과 관련있는 것이며, 이에 관한 상세한 서술은 생략하기로 한다. 리셋 버튼(76)은 차트의 위치를 초기화하기 위한 것이며, 마스크 이동 버튼(73), 수직 차트 라인 버튼(78), 수평 차트 라인 버튼(79) 및 개체 차트버튼(80)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트 상의 한 이미지에 대하여 피검자에게 보이는 영역을 제한하여 나타내기 위한 동작 버튼들이다. 상기에서 차트의 이동에 관한 동작 버튼들 및 마스크와 관련된 버튼들만이 본 고안과 관련되어 있다.
도 8은 본 고안의 근접 시력 진단기를 사용하여 원하는 차트 상의 이미지 위치로 차트를 이동시키고 현재 이미지를 화면에 출력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이제, 상기 도 5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차트의 이동 및 차트의 현재 이미지의 화면 출력을 수행하기 위한 본 고안의 근접 시력 진단기의 작동을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가 본 고안의 근접 시력 진단기의 전원을 온시키면 (단계 100), 기기는 먼저 차트 위치를 초기화하고 LCD 화면에 초기화면을 출력한다 (단계 110). 통상적으로 근접 시력 진단기는 전원을 온시킬 때 또는 리셋 시에 차트는 정해진 위치를 가진다. 이러한 위치는 차트 위치들에 있어서 기준이 될 수 있다. 또한, 초기화면의 출력은 미리 정해진 차트의 위치에 해당하는 차트의 이미지를 메모리로부터 LCD 제어부가 읽어들임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다음으로, 현재 차트의 위치에 관한 정보, 예를 들어, 차트의 현재 이미지 식별기호 또는 현재 이미지 위치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한다 (단계 120). 이러한 현재 차트의 위치에 관한 정보는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이 본 고안의 근접 시력 진단기의 동작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해 줄 것이지만, 이것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목적을 달성할 수는 있다. 한편, 상기에서는 전원을 온시킬 때, 차트 위치의 초기화와 초기화면을 LCD 화면에 출력하는 것을 동시에 수행하고 있으나, 단계 120에서 메모리에 저장된 현재 차트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참조하여 메모리에 저장된 차트의 현재 이미지를 출력하는 형태로 수행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근접 시력 진단기의 제어부 (중앙처리장치부)는 차트의 이동에 관한 리모콘 신호가 수신되었는지를 판단한다 (단계 130). 여기에서는 리모콘 신호들 중 차트의 이동 및 마스크와 관련된 신호들에 관해서만 서술한다. 다른 동작 신호가 있는 경우 제어부는 그에 대한 판단을 하고 적절한 처리를 수행하지만, 이것은 본 고안과는 관련이 없으므로 여기에서는 그 동작에 대해서는 서술을 생략하기로 한다. 차트의 이동에 관한 리모콘 신호가 수신되면, 먼저 중앙처리장치부는 수신된 동작신호의 동작 내용이 무엇인지 파악하고, 그러한 동작을 위하여 필요한 계산을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참조하여 수행한다 (단계 140). 즉, 중앙처리장치부는 수신된 동작신호가 차트를 차트의 특정 이미지로 이동시키라는 것에 해당한다면, 그것을 파악한 후 그러한 동작을 수행하기 위하여 먼저 차트의 이동거리를 계산하거나 또는 차트의 이동경로를 선택한다.
메모리에 현재 이미지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면, 그것을 이용한다. 즉, 중앙처리장치부는 동작신호에 의하여 요구되는 차트의 위치, 즉 이동하여야 할 차트의 위치와 현재 차트의 위치의 차이를 계산한다. 예를 들어, 란돌트링C 0.05를 기준 위치 (O도)로 정했을 때, 란돌트링 0.1과 0.16인 시력을 측정할 수 있는 차트의 이미지는 기준에서 13.5도 회전하는 곳에 위치한다. 이 경우, 차트의 이동 거리는 (13.5도 - 0도) = 13.5도가 된다. 이 때, 메모리에 차트의 위치에 관한 정보, 즉 이미지 위치 데이터가 기준 위치에 대한 각도로서 표시되어 있다면, 통상적으로 스테핑 모터는 1 펄스당 0.8도가 움직이도록 제어되므로, 계산된 값을 작동하여야 할 스테핑 모터의 펄스수로 변환할 수 있다. 상기에서 차트의 위치에 대한 정보로서 기준위치에 대한 각도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대신에, 이에 해당하는 스테핑 모터의 펄스수를 저장할 수도 있다. 이렇게 계산된 차트의 이동거리에 근거하여 중앙처리장치는 계산된 차트의 이동거리만큼 차트를 이동시키라는 제어신호를 모터제어부로 보내고, 모터제어부는 차트의 이동거리만큼에 해당하는 펄스수만큼 스테핑모터를 구동함으로써 차트는 계산된 차트의 이동거리만큼 이동된다.
한편, 이와 다르게, 차트의 현재 위치를 메모리에 저장하지 않는 경우 및 제어부가 차트의 현재 위치를 알지 못하는 경우에는, 제어부는 차트의 이동 경로를 현재 차트의 위치 →차트의 초기 위치 →요구된 차트의 위치로 설정하고, 제어신호를 모터제어부로 전송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차트의 이동거리를 길게 하고, 차트의 이동시간을 길게 하기 때문에 특별한 이유가 없다면 상기의 방법보다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의 제어신호를 입력받은 모터제어부는 상기의 제어신호에 따라 해당하는 펄스수만큼 스테핑 모터를 구동하여 차트를 요구되는 위치로 이동시킨다 (단계 150).
그리고, LCD 제어부는 이동하여야 할 차트의 위치에 관한 정보, 즉, 이동하여야 할 차트의 이미지 식별기호 또는 차트의 이미지 위치 데이터를 참조하여 메모리에 저장된 해당하는 차트의 이미지를 LCD 화면에 출력한다 (단계 160). 이 때, 그 차트의 위치에 해당하는 이미지가 마스크(도 2의 7 및 8)에 의하여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택된 전체 이미지 중 일부만 보이도록 하는 동작버튼들(도 7의 78, 79, 80)이 중앙처리장치부에 의하여 파악되면, 중앙처리장치부 및 LCD 제어부는 메모리에 저장된 마스크의 형상들에 대한 식별기호, 형상 정보 및 현재 적용되고 있는 마스크의 현재 형상에 대한 식별기호를 참조하여 차트의 현재 이미지에 관한 데이터를 마스크의 현재 형상 정보에 의하여 한정시킴으로써 차트의 현재 이미지 중 일부만을 화면출력 수단이 출력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적용되는 마스크의 형상이 도 2의 B와 같은 경우에, 중앙처리장치부는 현재 적용되고 있는 마스크의 형상 식별기호에 의하여 현재 적용되고 있는 마스크의 형상을 메모리로부터 읽어서 선택된 이미지 전체 영역 중 화면 출력 수단에 출력하지 않아야 할 영역을 파악한다. 그러면, LCD 제어부는 이렇게 파악된 이미지를 출력하지 않아야 할 영역에 해당하는 이미지를 화면 출력 수단에 출력하지 않음으로써 요구되는 이미지 영역만이 화면 출력 수단에 출력되도록 한다.
차트의 이동이 완료되면, 차트의 이동에 의하여 설정된 차트의 위치를 차트의 현재 위치로 설정하여 그에 대한 정보를 메모리에 저장한다 (단계 170). 이것은 다음에 차트 이동시에 차트의 이동거리를 계산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임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근접 시력 진단기를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설명하였지만, 이러한 실시예는 본 고안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변형 및 변경될 수 있으며, 그러한 변형 및 변경도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본 고안은 피검자가 현재 보고 있는 차트 상의 이미지를 검안자가 뚜렷하게 그리고 장소에 크게 구애받지 않고 볼 수 있어 검안자가 피검자의 시력 측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근접 시력 진단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근접 시력 진단기는 검안자가 차트의 상을 보게 하는 수단으로서, 화면출력 수단을 사용하므로, 조립 상의 문제점이 별로 없고 기기의 유지, 관리에 어려움이 없다.

Claims (6)

  1. 광원, 복수의 시력 검사용 이미지들을 포함하는 차트, 및 상기 광원으로부터 나와 상기 차트를 통과한 빛의 중간 경로를 변경시킴으로써 상기 빛의 전체 경로가 상기 차트와 피검자 사이의 실제 거리보다 길게 하는 광 경로 연장수단을 포함하는 근접 시력 진단기에 있어서,
    사용자가 시력 측정을 위한 동작을 선택할 수 있게 하는 동작버튼들을 포함하는 동작선택 수단,
    상기 차트에 포함되는 복수의 이미지들, 상기 이미지들 각각에 부여되는 이미지 식별기호들, 및 상기 각 이미지들에 해당하는 차트 상의 위치들을 규정하는 이미지 위치 데이터를 포함하는 메모리,
    상기 차트를 이동시키기 위한 차트 구동 수단,
    상기 동작선택 수단으로부터 입력된 신호에 해당하는 상기 차트의 이미지를 출력하기 위한 화면 출력 수단 - 이 출력 수단은 상기 피검자가 보이지 않는 위치에 설치되거나 또는 상기 근접 시력 진단기의 본체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이 가능한 장치로 형성되어 검안자가 시력 측정시에 상기 선택된 차트의 이미지를 보기 위하여 사용됨 -, 및
    상기 동작선택 수단으로부터 입력된 신호에 해당하는 상기 차트 상의 위치로 상기 차트를 이동시키기 위한 차트의 이동거리 또는 이동경로를 계산하고, 상기 차트의 이동거리 또는 이동경로에 따라 상기 차트 구동 수단이 상기 차트를 이동시키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상기 차트 구동 수단으로 전송하고, 상기 동작선택 수단으로부터 입력된 신호에 해당하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차트의 이미지를 상기 화면 출력 수단이 출력하게 하는 제어신호를 상기 화면 출력 수단으로 전송하는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접 시력 진단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현재 머물러 있는 상기 차트의 위치에 해당하는 현재 이미지 식별기호 또는 현재 이미지 위치 데이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작선택 수단의 입력 신호에 해당하는 이미지 위치 데이터와 현재 이미지 위치 데이터의 차이에 의해 상기 차트 위치의 이동 거리를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접 시력 진단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마스크의 형상들에 대한 식별기호, 형상 정보 및 현재 적용되고 있는 마스크의 현재 형상에 대한 식별기호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트의 현재 이미지에 관한 데이터를 상기 마스크의 현재 형상에 대한 정보에 의하여 한정시킴으로써 차트의 현재 이미지 중 일부만을 상기 화면출력 수단이 출력하게 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근접 시력 진단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출력 수단은 상기 근접 시력 진단기의 측면 외벽에 설치되는 LC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접 시력 진단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선택 수단은 리모콘으로 구성되고, 상기 리모콘으로부터 발생한 신호를 처리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리모콘 신호 수신 처리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접 시력 진단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트 구동 수단은 스테핑 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접 시력 진단기.
KR2020010027129U 2001-09-05 2001-09-05 근접 시력 진단기 KR20025556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7129U KR200255565Y1 (ko) 2001-09-05 2001-09-05 근접 시력 진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7129U KR200255565Y1 (ko) 2001-09-05 2001-09-05 근접 시력 진단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5565Y1 true KR200255565Y1 (ko) 2001-12-13

Family

ID=730688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7129U KR200255565Y1 (ko) 2001-09-05 2001-09-05 근접 시력 진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5565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0198B1 (ko) 2008-03-07 2010-12-10 김덕철 사시 및 양안시 측정 장치
KR101014647B1 (ko) 2008-04-22 2011-02-16 (주)행성디지털 시력검사장치 및 그를 이용한 시력검사시스템
KR101066034B1 (ko) 2009-06-04 2011-09-20 주식회사 포텍 자동 시력표와 리모콘의 통신채널 설정 방법
KR101370588B1 (ko) 2011-06-17 2014-03-06 이창선 3d 영상을 이용한 시기능 이상자의 시기능 훈련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0198B1 (ko) 2008-03-07 2010-12-10 김덕철 사시 및 양안시 측정 장치
KR101014647B1 (ko) 2008-04-22 2011-02-16 (주)행성디지털 시력검사장치 및 그를 이용한 시력검사시스템
KR101066034B1 (ko) 2009-06-04 2011-09-20 주식회사 포텍 자동 시력표와 리모콘의 통신채널 설정 방법
KR101370588B1 (ko) 2011-06-17 2014-03-06 이창선 3d 영상을 이용한 시기능 이상자의 시기능 훈련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41349B2 (en) Ophthalmologic apparatus and ophthalmologic chart
JP5386224B2 (ja) 検眼装置
KR101175090B1 (ko) 안굴절력 측정 장치
JP4987276B2 (ja) 眼科装置
US6244713B1 (en) Optometric chart presenting apparatus
KR200255565Y1 (ko) 근접 시력 진단기
JP2008043402A (ja) 自覚式検眼装置
JP2010082252A (ja) 眼屈折力測定装置
JP7021539B2 (ja) 視力検査装置
US20070153667A1 (en) Visual target presenting optical device
US6220708B1 (en) Method and device for producing multicolored patterns
KR20160037438A (ko) 거리와 수평이 자동 측정되는 호롭터
JPH08215146A (ja) 視力表装置の遠隔操作装置
JP2022034690A (ja) 視力検査装置
KR100405229B1 (ko) 근접 시력 진단기 및 그 원점 조정 방법
JP2009112408A (ja) 視標呈示装置
JP4916753B2 (ja) 自覚式検眼装置
JP3679258B2 (ja) 動体視力検査装置
US11871992B2 (en) Subjective optometry system
JP2903515B2 (ja) 検眼装置
KR100386512B1 (ko) 근접 시력 진단기
JP2008272030A (ja) 自覚式検眼装置
JP3468919B2 (ja) 検眼装置
JP4413015B2 (ja) 自覚式検眼装置
JP2607757Y2 (ja) 視力検査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105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