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8412Y1 - 탈착가능한 기름유도관을 갖는 구이판 - Google Patents

탈착가능한 기름유도관을 갖는 구이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8412Y1
KR200238412Y1 KR2020010008421U KR20010008421U KR200238412Y1 KR 200238412 Y1 KR200238412 Y1 KR 200238412Y1 KR 2020010008421 U KR2020010008421 U KR 2020010008421U KR 20010008421 U KR20010008421 U KR 20010008421U KR 200238412 Y1 KR200238412 Y1 KR 20023841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discharge pipe
roasting plate
oil discharg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842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창표
Original Assignee
홍창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창표 filed Critical 홍창표
Priority to KR202001000842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841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841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8412Y1/ko

Links

Landscapes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구이판의 상면 중앙의 기름배출구 외주연에 입설되는 돌기를 일체로 설정간격 배열 형성하고, 구이판 저면부 기름배출구 외주연에 삽입홈을 형성하여, 관상으로 되며 일단이 절곡되어 그 단부가 상기 삽입홈에 삽입/탈거 되도록 하고 타단은 구이판의 외주면측으로 구배되며 길게 연장되는 기름배출관과, 상기 구이판 저면부에 기름배출관 설정폭으로 이격되며 각각 하향 입설되는 고정구 하단에 홈을 형성하고, 상기 홈으로 삽입되어 기름배출관을 지지하기 위한 고정지지판에 의해 상기 기름배출관을 구이판으로부터 지지하도록 하는 것을 구성상 특징으로 하여, 구이판과 기름배출관의 분리 및 결합이 자유롭게 가능하도록 하고 구이판의 사용후에는 기름배출관 내부에 잔존하는 기름이나, 기름덩어리등을 매우 용이하며 손쉽게 제거 작업이 가능하도록 하고, 사용 후 보관시에는 기름배출관 내부를 항상 깨끗하고 청결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보관 하는 것이 가능하고, 아울러 청결한 상태를 유지하는 구이판의 사용이 언제나 가능하므로 육류등의 구이시에도 종래와 같이 기름배출관내부에 잔존하는 불순물등의 잔존물 연소등에 의해 발생되는 악취나 타는 냄새등을 사전에 완벽하게 예방할 수 있는 탈착가능한 기름유도관을 갖는 구이판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탈착가능한 기름유도관을 갖는 구이판{The meat roast plate to have oil-inducement pipe of separation and combination possiblity}
본 고안은 업소용 또는 일반 가정에서 육류등을 구워 취식할 수 있도록 하는 구이판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구이판의 중앙부위에 관통되는 기름유출구와 연관되어지는 기름유도관을 탈착 가능하도록 하여 구이판의 사용후 기름 덩어리나 찌꺼기등의 제거작업을 용이하게 하여 항상 청결한 상태에서 구이판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탈착가능한 기름유도관을 갖는 구이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구이판이라함은 음식점등의 업소에서 화덕에 안착시키거나 또는 일반 가정에서 가스렌지등에 안착시킨 후 열원으로부터 제공되는 열에 의해 구이판을 달궈 육류나 기타 음식물등을 굽거나 익혀 취식할 수 있는 수단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음은 주지의 사실이며, 야외등의 나들이시에도 구이판과 휴대용 가스렌지등을 휴대하여 적정 장소에서 구이판을 이용하여 육류나 기타 음식물등을 구워 취식하고 있음은 통상적이다.
이와같은 구이판은 도4에서 보듯이, 통상 금속재등을 이용하여 제작되고 있으며, 고기등을 구울때 발생되는 기름을 구이판(1)의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해 구이판(1) 중앙에 기름배출구(2)를 관통시키고, 기름배출구(2)와 일체로 다이케스팅등의 사출방법에 의해 기름배출관(3)이 저면부와 일체로 되어 절곡되며 연장되어 구이판(1)의 일측면으로 길게 형설되어져 있어, 이와같이 구이판(1)과 기름배출구(2)와 연통되는 기름배출관(3)이 일체로 사출 성형하거나 또는 구이판(1)의 저면부에 상기 기름배출관(3)과 일체로 되는 원형판재(4)를 용접등의 방법으로 용접 고정하는 구조를 갖는다.
그러나, 이와같은 종래의 구이판(1)을 사용한 다음, 기름배출구(2)와 연관되는 기름배출관(3)을 세척하여 기름찌꺼기와 육류등으로부터 발생되는 찌꺼기등을 제거하여야 하는데, 기름배출구(2)와 기름배출관(3)이 일체로 되어있고, 기름배출관(3)과 구이판(1) 저면부가 일체로 되어 있어, 기름배출관(3)의 내부까지 깨끗하게 세척하지 못하게 되므로 찌꺼기등에 의해 기름배출관(3)이 막히는 현상이 비일비재함은 물론, 사용시 기름이 원할하게 배출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열원으로부터 기름배출관(3) 내부의 찌꺼기가 타면서 악취등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또한 기름배출관(3)을 깨끗하게 세척할 수 없어, 위생상 청결하지 못한 상태에서 재차 구이판(1)을 사용하게 되는 문제점이 지적되어 왔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구이판 저면부에 형성되는 기름배출관을 탈착이 가능하도록 하여, 구이판의 사용후에는 기름배출관 내부의 기름덩어리나 찌꺼기등을 깨끗하게 세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구이판을 항상 깨끗하고 청결한 상태에서 위생적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데 본 고안의 근본적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구이판의 상면 중앙에 관통되는 기름배출구의 주위를 따라 돌기를 일체로 형성하여 고기등의 구이시 발생되는 찌꺼기등이 돌기에 걸러질수 있도록 하여 기름배출관측으로 찌꺼기의 유입을 방지하도록 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종단면도
도 3a,b는 본 고안의 기름유도수단의 각각의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종래의 기름유도수단을 갖는 구이판을 도시한 사시도
- 도면 중 주요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
100; 구이판 110; 기름유도홈 111; 직선상 기름유도홈
112; 원호상 기름유도홈 120; 기름배출구 130; 돌기
140; 삽입홈 150 손잡이 160; 마개
161; 돌출구 162; 돌기 삽입홈 200; 기름배출관
210; 삽입구 220; 개방구 230; 고정구
231; 홈 232; 고정지지판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상면으로 기름유도홈(110)이 구비되고 중앙에 관통되는 기름배출구(120)를 갖는 구이판(100)에 있어서,
상기 구이판(100)의 상면 기름배출구(120) 외주연에 입설되는 돌기(130)를 일체로 설정간격 배열 형성하고, 구이판(100) 저면부 기름배출구(120) 외주연에 삽입홈(140)을 형성하여, 관상으로 되며 일단이 절곡되어 그 단부가 상기 삽입홈 (140)에 삽입/탈거 되도록 하고 타단은 구이판의 외주면측으로 구배되며 길게 연장되는 기름배출관(200)과,
상기 기름배출관(200)을 구이판(100) 저면부에 기름배출관(100) 설정폭으로 이격되며 각각 하향 입설되는 고정구(230) 하단에 홈(231)을 형성하고, 상기 홈 (231)으로 삽입되어 기름배출관(200)을 지지하기 위한 고정지지판(232)에 의해 상기 기름배출관(200)을 구이판(100)으로부터 지지하도록 하는 것을 구성상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종단면도, 도 3a,b는 본 고안의 기름유도수단의 각각의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에서 보는바와 같이, 본 고안은 기름배출구(120)를 갖는 통상의 구이판 (100)에 탈착가능한 기름배출관(200)을 구비하는 것을 그 기술적 사상으로 한다.
먼저, 구이판(100) 상면의 기름배출구(120) 외주연으로는 설정간격 이격되며 구이판(100)과 일체로 입설되는 돌기(130)를 형성하여 구이판(100)의 사용시 고기등의 육류로부터 발생되는 찌꺼기등이 기름배출구(120)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구이판(100) 상면의 기름유도홈(110)은 구이판(100)의 상면 외주부에서 중심측으로 직선상 기름유도홈(111)을 형성하고, 각각의 직선상 기름유도홈 (111)간을 중심을 달리하는 원호상으로 연결하여 전체적으로 클로버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원호상 기름유도홈(112)을 형성한다.
이와같이 클로버상으로 형성하는 이유는 고기등의 육류 구이시 발생되는 기름의 유도 및 배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인바, 즉 원호상 기름유도홈(112)의 중앙부위가 상대적으로 상방으로 더욱 향하도록 하여 기름이 자연스럽게 원호상 기름유도홈(112)으로부터 양단부로 이동하여 직선상 기름유도홈(111)으로 유도된 후, 기름배출구(120)측으로 유도되어 배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는, 도4에서 보듯이 종래 원형으로 이루어지며 방사형상을 갖는 기름유도홈의 경우 방사상으로 되는 기름유도홈(110)내에서 기름의 점도에 의해 잘 배출되지 않는 것을 감안한 것으로, 본 고안의 클로버형상을 갖는 기름유도홈(110)의 안내에 의해 점도를 갖는 기름이라도 원호상 기름유도홈(112)의 중앙과 그 단부가 방사형상의 기름유도홈 (11)보다 그 위치변화를 더 제공하여 기름이 원할하게 직선상 기름유도홈(111)으로 유도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기름유도홈(110)의 내측 단부, 즉 기름 배출구(120)의 외주연으로는 적정간격으로 이격되며 돌출 입설되는 돌기(130)를 다수개 형설하여, 육류등의 고기를 굽거나 요리시 고기류로부터 발생되는 찌꺼기등이 기름유도홈(110)을 따라 기름배출구(120)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사전에 완벽하게 방지 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기름배출구(120)의 저면 외주연측으로는 후술하는 기름배출관(200)의 단부가 삽입/탈거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삽입홈(140)을 천설한다.
이와같이 되는 구이판(100)의 저면부측 기름배출구(120)의 삽입홈(140)측으로 기름배출관(200)을 삽입하여 체결되도록 하는데, 상기 기름배출관(200)은 도면에서 보는바와 같이 구이판(100)과 분리된 상태에서 구이판(100) 저면부의 기름배출구(120)의 삽입홈(140)과 강제 체결되거나 또는 분리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같은 기름배출관(200)은 도 3a에서 보듯이, 관상으로 되는 파이프로 구성하되 일단부가 상향 절곡되고 타단부는 길게 연장되어 구이판(100)의 외주면측으로 향하도록 하고, 적정각도 기름배출관(200)이 하방으로 구배되도록 하여 기름배출구(120)로부터 유출되는 기름이 기름배출관(200)을 타고 자연스럽게 외부로 유출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기름배출관(200)을 구이판(100)의 저면부측 기름배출구(120) 삽입홈 (140)과 체결되도록 한 다음, 기름배출관(200)을 고정 지지하기 위해 기름배출관 (200)의 폭만큼 이격된 상태의 위치에 고정구(230)를 하향 돌출 입설시키고, 상기 고정구(230)의 내측으로 상호 대향되도록 홈(231)을 천설 한 후, 상기 홈(231)으로 끼워질 수 있는 고정지지판(232)을 구비하여, 상기 기름배출관(200)을 고정구(230) 사이에 위치되는 상태에서 그 단부를 기름배출구(120)의 삽입홈(140)에 끼운 후, 고정구(230)의 홈(231)으로 판상의 고정지지판(232)을 삽입하여 기름배출관(200)을 상기 삽입홈(14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며 구이판(100)의 저면부에 견고히 고정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같은 고정구(230)는 기름배출관(200)의 길이에 따라 적적한 이격을 두며 1조 내지는 2조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이와는 달리, 도 3b에서 보는바와 같이 절곡되는 시점부터 연장되는 단부까지의 기름배출관(200) 상부를 개방하여 실시할 수 있는바, 예컨데 구이판(100) 저면의 삽입홈(140)측에 강제 끼움에 의해 끼워지는 기름배출관(200)의 절곡된 단부 하방측으로부터 직선상으로 구배를 이루며 이어지는 기름배출관(200)의 상단부를 절개, 개방하여 개방구(220)를 형성하여서 된다.
이와같이 상단부가 절개되어 개방구(220)를 갖는 기름배출관(200)을 구이판 (100)의 기름배출구(120)측 삽입홈(140)과 상기한 방법과 동일하게 강제 끼움에 의해 끼워 고정한 상태에서, 기름배출관(200)의 폭만큼 이격 하향 돌출 입설되는 고정구(230) 사이에 위치시킨 후, 고정지지판(232)을 이용하여 고정구(230)의 홈 (231)측으로 삽입 고정하여 기름배출관(200)을 구이판(100)의 저면부에 고정 지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기름배출관(200)의 상단부를 절개하여 개방구(220)를 형성할 경우, 구이판(100) 사용시 육류등이 구워지면서 발생되는 기름등의 유출을 원할히 한 다음, 사용을 마친 상태에서 나머지 응고된 상태로 기름배출관(200)내에 잔존하는 기름등의 제거를 상당히 용이하게 해결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구이판(100)을 이용하여 닭갈비등 주로 음식물을 볶는 방법에 의해 조리한 후 취식할 경우에는 상기 구이판(100)의 기름배출구(120)에 마개 (160)로 막아 사용할 수 있는바, 도면에서 보는바와 같이 마개(160)의 중앙 하단부로 기름배출구(120)의 내경과 내합될 수 있는 돌출구(161)를 형성하고 상단으로 기름배출구(120)의 외주연을 충분히 커버할 수 있도록 하며 그 하단면에 상기 돌기(130)가 내합될 수 있는 돌기삽입홈(162)을 형성한다.
따라서 이와같은 마개(160)를 이용하여 기름배출구(120)를 막음과 동시에 돌기삽입홈(162)내에 돌기(130)가 삽입되어 마개(160) 저면부와 구이판(100)의 기름배출구(120) 외주연간의 틈새를 차단할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본 고안의 구이판(100)을 사용할 경우, 구이판(100)의기름배출구(120) 저면부측 외주연에 형성되는 삽입홈(140) 내부로 기름배출관(200)의 절곡된 단부를 강제 끼움에 의해 끼운 후, 기름배출관(200)의 타단부 즉 길게 연장되는 부위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구(230) 사이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고정지지판(232)을 이용하여 고정구(230)의 하단에 천설되는 홈(231)에 끼워 고정구(230)내에 기름배출관(200)이 유동되지 않도록 고정하여, 구이판(100)과 기름배출관(200)과의 결합을 완료한다.
이와같이 결합이 완료된 구이판(100)을 이용하여 육류등을 구워 취식할 때에는 육류등으로부터 발생되는 찌꺼기등은 돌기(130)에 걸려지게 되어 찌꺼기등이 기름배출구(120)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기름만 기름유도홈(110)을 통해 기름배출구(120)로 유도 된 후 적정각도 구배되어 형성된 기름배출관(200)을 타고 외부로 유출되어지는 것이다. 한편 이와같이 취식이 완료된 후에는, 구이판(100)을 보관하기 위해서 재차 상기한 순서와는 반대로 구이판(100)과 기름배출관(200)과의 분리작업을 수행하여 보관하게 되는데, 먼저 고정지지판(232)을 고정구(230)의 홈 (231)으로부터 탈거시킨 후 기름배출관(200)의 절곡된 단부측을 삽입홈(140)으로부터 탈거시켜 완전하게 구이판(100)과 기름배출관(200)을 분리하게 된다.
그런다음, 분리된 기름배출관(200)을(예컨데 파이프상으로 되는 기름배출관의 경우) 와이어브러쉬(미도시)등으로 상기 기름배출관(200) 내부를 깨끗하게 세척하여 응고된 상태로 기름배출관(200)내에 잔존하는 기름덩어리등을 완벽하게 제거하거나, 또는 상방이 개방된 기름배출관(200)의 경우에는 더욱 손쉽게 개방구(220)를 통해 기름배출관(200) 내부를 세척하거나 기름덩어리등을 제거 한 후 기름배출관(200)과 구이판(100)을 장기간 보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구이판과 기름배출관의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하도록 하여 구이판의 사용후에 기름배출관 내부에 잔존하는 기름이나, 기름덩어리등을 매우 용이하며 손쉽게 제거 작업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한편 사용 후 보관시에는 기름배출관 내부를 항상 깨끗하고 청결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보관 하는 것이 가능하고, 아울러 청결한 상태를 유지하는 구이판의 사용이 언제나 가능하므로 육류등의 구이시에도 종래와 같이 기름배출관내부에 잔존하는 불순물등의 잔존물 연소등에 의해 발생되는 악취나 타는냄새등을 사전에 완벽하게 예방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Claims (3)

  1. 상면으로 기름유도홈(110)이 구비되고 중앙에 관통되는 기름배출구(120)를 갖는 구이판(100)에 있어서,
    상기 구이판(100)의 상면 기름배출구(120) 외주연에 입설되는 돌기(130)를 일체로 설정간격 배열 형성하고, 구이판(100) 저면부 기름배출구(120) 외주연에 삽입홈(140)을 형성하여, 관상으로 되며 일단이 절곡되어 그 단부가 상기 삽입홈(140)에 삽입/탈거 되도록 하고 타단은 구이판의 외주면측으로 구배되며 길게 연장되는 기름배출관(200)과,
    상기 기름배출관(200)을 구이판(100) 저면부에 기름배출관(100) 설정폭으로 이격되며 각각 하향 입설되는 고정구(230) 하단에 홈(231)을 형성하고, 상기 홈(231)으로 삽입되어 기름배출관(200)을 지지하기 위한 고정지지판(232)에 의해 상기 기름배출관(200)을 구이판(100)으로부터 지지하도록 하는 것을 구성상 특징으로 하는 탈착가능한 기름유도관을 갖는 구이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름배출관(200)의 연장되는 부위 상단부를 절개하여 개방구(220)를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탈착가능한 기름유도관을 갖는 구이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이판(100)의 기름배출구(200) 내경과 내합되는 돌출구(161)가 일체로 하향 돌출되고, 상단 저부면으로 상기 돌기(130)가 내합될 수 있는 돌기삽입홈 (162)이 형성되는 마개(160)에 의해 상기 기름배출구(120)의 개폐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는 탈착가능한 기름유도관을 갖는 구이판.
KR2020010008421U 2001-03-27 2001-03-27 탈착가능한 기름유도관을 갖는 구이판 KR20023841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8421U KR200238412Y1 (ko) 2001-03-27 2001-03-27 탈착가능한 기름유도관을 갖는 구이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8421U KR200238412Y1 (ko) 2001-03-27 2001-03-27 탈착가능한 기름유도관을 갖는 구이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8412Y1 true KR200238412Y1 (ko) 2001-10-10

Family

ID=730983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8421U KR200238412Y1 (ko) 2001-03-27 2001-03-27 탈착가능한 기름유도관을 갖는 구이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841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6289B1 (ko) 2011-01-27 2014-01-02 김태수 구이판
KR101926265B1 (ko) * 2017-06-26 2019-02-26 김광남 조리 팬의 배수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6289B1 (ko) 2011-01-27 2014-01-02 김태수 구이판
KR101926265B1 (ko) * 2017-06-26 2019-02-26 김광남 조리 팬의 배수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5082Y1 (ko) 석쇠장치
US20170035245A1 (en) Grill having multi-piece drip pan
KR200433024Y1 (ko) 기름 배출 수단이 구비된 숯불구이판
KR200238412Y1 (ko) 탈착가능한 기름유도관을 갖는 구이판
US20220304503A1 (en) Handling device for fried food
KR100509349B1 (ko) 이중석쇠
US9060641B1 (en) Grill grate with removable bars
KR101479097B1 (ko) 기름 배출 구조를 갖는 구이장치
KR200207259Y1 (ko) 고기구이용 불판
US7363923B2 (en) cooking range assembly and monolithic drip pan
WO2012109708A1 (en) Foldable barbecue apparatus for substantially minimizing fat and oil spills in both operating and storage conditions
KR200277433Y1 (ko) 구이판
JP2008513062A (ja) グリル調理器
JP5630762B2 (ja) 調理容器およびその蓋
KR100500903B1 (ko) 전골 및 육류구이 팬
KR200328720Y1 (ko) 직화구이용 고기 구이판
JP4677147B2 (ja) 無煙ロースター
KR200189809Y1 (ko) 육류 구이판
KR200254124Y1 (ko) 분리형 2중 구이판
KR100515097B1 (ko) 고기 구이용 불판
KR102432107B1 (ko) 구이용 불판
KR200395745Y1 (ko) 구이판
KR200407505Y1 (ko) 육류 구이판
KR100679537B1 (ko) 구이기
KR200339222Y1 (ko) 기름배출관이 구비된 구이요리용 가스로스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