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6173Y1 - 유선형으로이루어진자동차시이트의회전장치 - Google Patents

유선형으로이루어진자동차시이트의회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6173Y1
KR200236173Y1 KR2019980001916U KR19980001916U KR200236173Y1 KR 200236173 Y1 KR200236173 Y1 KR 200236173Y1 KR 2019980001916 U KR2019980001916 U KR 2019980001916U KR 19980001916 U KR19980001916 U KR 19980001916U KR 200236173 Y1 KR200236173 Y1 KR 20023617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rotating device
center
streamline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191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80007359U (ko
Inventor
영 구 김
용 일 박
Original Assignee
지용득
주식회사 고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용득, 주식회사 고려 filed Critical 지용득
Priority to KR201998000191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6173Y1/ko
Publication of KR98000735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735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617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6173Y1/ko

Links

Landscapes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승합차의 중앙좌석에 탑승자가 자유로운 방향으로 탑승할 수 있도록 하는 시이트 회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회전장치를 이루는 하부고정체의 후방부를 돌출부위가 없는 유선형으로 형성하고 단면은 "∪"한 형태로 절곡한 상태로 형성하여 상부 회전체가 하부 고정체보다 크지 않도록 형성하므로서 후방좌석에 착석한 사람이 발을 넓은 공간내에서 편안하게 놓을 수 있도록 하고 절곡된 단면을 라운드 처리하여 진동등에 의하여 발이 부딧쳐도 부상을 당하지 않도록 하는 유선형으로 이루어진 자동차 시이트의 회전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유선형으로 이루어진 자동차 시이트의 회전장치
본 고안의 승합차의 중앙좌석에 탑승자가 자유로운 방향으로 탑승할 수 있도록 하는 시이트 회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회전장치의 뒷부분의 모양을 유선형으로 형성하여 중앙좌석의 뒷좌석에 탑승한 탑승자가 발을 편안한 위치에 놓을 수 있도록 하고 진동등에 의하여 뒷좌석에 탑승한 탑승자의 발목등이 중앙좌석의 시이트 회전장치에 부딧치어 부상을 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유선형으로 이루어진 자동차 시이트의 회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승합차는 다수의 인원을 탑승시키도록 하는 승용차로서 9인승과 12인승이 있어 왔던바, 특히 자동차가 주행중에 탑승한 탑승자들 서로가 회의하거나 대화를 할 때 후방에 탑승한 사람들이 서로 마주보면서 회의 및 대화를 할 수 있도록 승합차의 중앙좌석 하부에 시이트 회전장치를 구비하여 중앙좌석을 탑승자 임의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여 왔었으며, 이러한 종래의 시이트 회전장치는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차체에 고정된 하부고정체(3)와 중앙좌석에 고정대(10)에 의하여 고정된 상부회전체(4)이 서로 결합되고 중앙에는 상부회전체(4)가 회전이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브라켓 홀더(6)를 구비하며 상부회전체(4)의 전방에는 손잡이(7)에 의하여 작동되고 브라켓 홀더(6)의 작동을 제어하는 래칫부재(5)를 구비하며, 후방에는 뒷좌석의 탑승자가 발을 편안하게 놓을 수 있도록 양단에 돌출부위(11)를 가지는 후방요입부(12)를 형성하여서 된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시이트 회전장치에 있어서 상부회전체(4)의 후방요입부(12)는 양측에 돌출부위(11)가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이어서 하부고정체(3)의 폭보다 넓으므로 후방좌석에 착석한 사람이 다리를 중앙좌석의 저면에 삽입시키면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부위(11)에 후방좌석에 착석한 사람의 정강이가 걸리게 되어 후방좌석에 착석한 사람의 발은 돌출부위(11)를 제외한 후방요입부(12)에 한정되므로 공간이 좁아 장시간 여행시에는 불편하게 되고 중앙좌석을 회전시킬 때에는 상부회전체(4)의 돌출부위가 후방좌석에 착석한 사람의 발에 걸리게 되어 회전에 방해가 됨을 물론 후방좌석에 착석한 사람의 다리를 다치게 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되었으며, 또한 하부고정체(3)의 후방은 하부로 절곡된 단부에 의하여 차량의 진동이 발생할에는 발목이나 정강이가 상기 단부에 부딧치어 부상을 당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어 왔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시이트 회전장치에서 발생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회전장치를 이루는 하부고정체의 후방부를 돌출부위가 없는 유선형으로 형성하고 단면은 "∪"한 형태로 절곡한 상태로 형성하여 상부 회전체가 하부 고정체보다 크지 않도록 형성하므로서 후방좌석에 착석한 사람이 발을 넓은 공간내에서 편안하게 놓을 수 있도록 하고 절곡된 단면을 라운드 처리하여 진동등에 의하여 발이 부딧쳐도 부상을 당하지 않도록 하는 유선형으로 이루어진 자동차 시이트의 회전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단면도.
도 3은 종래의 회전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중앙좌석 (2) 회전장치 (3) 하부고정체
(4) 상부회전체 (5) 래칫부재 (6) 브라켓 홀더
(7) 손잡이 (8) 후방부 (9) 후방단부
이하, 본 고안의 구성과 작용을 첨부된 도면도 1과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차체에 고정된 하부고정체(3)와 중앙좌석(1)에 고정대(10)에 의하여 고정된 상부회전체(4)이 서로 결합되고 중앙에는 상부회전체(4)가 회전이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브라켓 홀더(6)를 구비하며 상부회전체(4)의 전방에는 손잡이(7)에 의하여 작동되고 브라켓 홀더(6)의 작동을 제어하는 래칫부재(5)를 구비하여서 된 시이트 회전장치(2)에 있어서,
상기 하부고정체(3)의 후방부(8)를 유선형으로 형성하고 후방부(8)의 단면은 "∪"한 형태의 라운드로 절곡하여 후방단부(9)를 형성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살펴보면,
다인승용 승합차에 탑승자가 중앙좌석(1)과 중앙좌석의 후방에 있는 후방좌석에 착석한 상태에서 중앙좌석(1)의 탑승자가 탑승위치를 임의로 조절하고자 할 때에는 손잡이(7)를 잡아당겨 회전장치(2)의 래칫부재(5)를 통해서 브라켓 홀더(6)의 잠금을 해제시킴으로서 차체에 고정된 하부고정체(3)에서 중앙좌석(1)에 고정된 상부회전체(4)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여 중앙좌석(1)을 탑승자의 임의대로 회전시켜 주면 되는 것이다.
이때, 차체에 고정된 회전장치의 하부고정체(3)는 회전되지 않고 중앙좌석(1)에 고정된 상부회전체(4)만 회전되는 것으로서, 중앙좌석(1)의 후방에 구비된 후방좌석에 탑승한 사람은 후방좌석에 착석한 상태에서 발을 뻣으면 발목등의 부위가 중앙좌석(1)의 하부에 삽입하게 되므로서 발목이 하부고정체(3)의 저부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하부고정체(3)의 후방부(8)는 후방좌석에 착석한 사람이 편안하게 발을 놓을 수 있도록 유선형으로 형성되어있고 후방부(8)의 단면은 "∪"한 형태의 라운드로 절곡되어 후방단부(9)를 형성하고 있으므로 후방좌석에 착석한 사람의 다리가 하부고정체(3)에 제약을 받지 않는 상태이므로 편안하게 발을 놓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중앙좌석(1)을 회전시킬 때에도 중앙좌석(1)의 하부에 놓여진 다리에 걸리는 것을 해소하여 회전을 원활하게 할 뿐만 아니라 후방좌석에 착석한 사람에게 피해를 주지 않는 것이며, 차체에 진동등이 발생되어 하부고정체(3)의 후방부(8)에 부딧치게 되어도 후방부(8)의 단부가 "∪"한 형태로 절곡되어 후방단부(9)를 형성하고 있고 후방단부(9)의 절곡부위는 라운드되어 있어 부상을 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같이 본 고안은 회전장치에 있어서 차체에 고정된 하부 고정체의 후방부를 유선형으로 형성하여 중앙좌석의 하부공간을 넓혀 주므로서 후방좌석에 착석한 사람이 주앙좌석의 하부로 발을 삽입하였을 때 넓은 공간에서 발을 두게 하므로서 편안한 상태에서 착석이 가능하도록 하고 중앙좌석의 회전시에 중앙좌석에 놓여진 발에 걸림는 것을 해결하여 회전을 원활히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차체의 진동등에 의하여 발이 하부 고정체에 부딧치어도 라운드 상태로 절곡된 절곡단부에 의하여 부상을 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고안이다.

Claims (1)

  1. 차체에 고정된 하부고정체(3)와 중앙좌석(1)에 고정대(10)에 의하여 고정된 상부회전체(4)이 서로 결합되고 중앙에는 상부회전체(4)가 회전이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브라켓 홀더(6)를 구비하며 상부회전체(4)의 전방에는 손잡이(7)에 의하여 작동되고 브라켓 홀더(6)의 작동을 제어하는 래칫부재(5)를 구비하여서 된 시이트 회전장치(2)에 있어서,
    상기 하부고정체(3)의 후방부(8)를 유선형으로 형성하고 후방부(8)의 단면은 "∪" 형태의 라운드로 절곡하여 후방단부(9)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선형으로 이루어진 자동차 시이트의 회전장치.
KR2019980001916U 1998-02-14 1998-02-14 유선형으로이루어진자동차시이트의회전장치 KR20023617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1916U KR200236173Y1 (ko) 1998-02-14 1998-02-14 유선형으로이루어진자동차시이트의회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1916U KR200236173Y1 (ko) 1998-02-14 1998-02-14 유선형으로이루어진자동차시이트의회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7359U KR980007359U (ko) 1998-04-30
KR200236173Y1 true KR200236173Y1 (ko) 2001-10-25

Family

ID=697124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1916U KR200236173Y1 (ko) 1998-02-14 1998-02-14 유선형으로이루어진자동차시이트의회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617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7359U (ko) 1998-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558451Y2 (ja) 車両用シート
JPH0858444A (ja) 一体型チャイルドシートのためのシートベルト取付部材
JP3994753B2 (ja) 車両用シート装置
JPH07251661A (ja) 一体化された子供用座席を装備した自動車座席
KR200236173Y1 (ko) 유선형으로이루어진자동차시이트의회전장치
JPH11334434A (ja) 車両用シートのシートバック
KR100945574B1 (ko) 철도 차량용 풋레스트
JP2973579B2 (ja) 座 席
KR0128699Y1 (ko) 자동차의 아암 레스트구조
JPH10137070A (ja) フットレスト機構
KR200346528Y1 (ko) 차량의 어린이용 안전시트
JP2001211964A (ja) 車両用アームレストの取付構造
JP2001233108A (ja) 車両用シート
JP2001270355A (ja) 車両用シート
JPH10166917A (ja) 自動車用シート
KR0125229Y1 (ko) 자동차용 시트의 높낮이 조절 장치
JP3732396B2 (ja) 折畳み座席
JP2569461Y2 (ja) ウォークインシートのシートクッション構造
JP2004010035A (ja) 着脱自在へく字型手すり
JP3879422B2 (ja) 車両用シート装置
KR100401741B1 (ko) 자동차용 시트쿠션 확장 장치
JP5809427B2 (ja) 乗り物用シート
KR200147842Y1 (ko) 풋레스트 장치가 장착된 시트
JP2001037578A (ja) 車両用アームレスト
JP3887711B2 (ja) 車両用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15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