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0632Y1 - 전동차량의 안전발판 - Google Patents

전동차량의 안전발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0632Y1
KR200230632Y1 KR2020000031017U KR20000031017U KR200230632Y1 KR 200230632 Y1 KR200230632 Y1 KR 200230632Y1 KR 2020000031017 U KR2020000031017 U KR 2020000031017U KR 20000031017 U KR20000031017 U KR 20000031017U KR 200230632 Y1 KR200230632 Y1 KR 20023063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fety
guider
platform
scaffold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101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수진
Original Assignee
박수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수진 filed Critical 박수진
Priority to KR202000003101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063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063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0632Y1/ko

Links

Landscapes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동차의 안전발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출입구 선단 바닥 아래에 양측 단부 및 중앙부에 지지대를 설치하여 이 지지대 내측 홈에 회전축을 결합하고 양단부에 발판 회전가이드 턱을 형성하여 이곳에 안전발판을 결합해 전동차 도어의 개문이 시작됨과 동시에 회전축이 구동하면서 안전발판이 회전하여 플랫폼 선단에 안착되어 지고 출입문이 폐문 될 때 완전히 닫히기 바로 직전에 회전축이 개문 때와는 반대로 역회전 구동되어 안전발판이 출입문 외측 부에 내접되어 지는 것으로, 전동차와 플랫폼 사이에 벌어진 틈으로 인해 발생되는 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 할 수 있고 노약자, 어린이, 장애자 등의 승하차가 용이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전동차량의 안전발판{Safety Footing of Streetcar}
본 고안은 전동차 출입문 하단에 설치되는 안전발판에 관한 것으로, 전동차가 정차하면 플랫폼과 차체와의 사이에 개문과 동시에 안전발판이 안착되어지고, 폐문시에 도어가 완전하게 닫히기 바로 직전에 안전발판이 내접되도록 하여 승객의 안전사고를 방지 할 수 있도록 구성된 전동차의 안전발판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전동차와 플랫폼 사이가 벌어진 틈에 노약자, 어린이의 승하차시 발이 빠지거나, 장애자의 휠체어가 승하차에 많은 불편을 초래하고 있어 안전사고에 대한 문제점으로 대두되고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전동차가 플랫폼에 정차하면 도어의 개문과 동시, 차체와 플랫폼 사이에 안전발판이 놓여지고, 폐문시 도어가 완전하게 닫히기 바로 직전에 안전발판이 내접되어지도록 하고, 발판이 놓여질 때 플랫폼과 차체의 높낮이 차를 해결하고 승하차시 차체의 노링(흔들림)을 흡수 할 수 있도록 하여 승하차시 발생되는 각종 안전사고를 방지하는 안전발판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 본 고안에 따른 안전발판의 사시도
도 2 본 고안에 따른 안전발판의 구성 사시도
도 3 본 고안에 따른 안전발판의 분해 사시도
도 4 본 고안에 따른 안전발판의 가이더 장착도
도 5 본 고안에 따른 안전발판의 플랫폼에 안착된 사시도
도 6 본 고안에 따른 안전발판의 플랫폼에 안착된 상세 단면도
도 7 본 고안에 따른 안전발판의 내접된 사시도
도 8 본 고안에 따른 안전발판의 내접된 상세 단면도
도 9 본 고안에 따른 안전발판의 높낮이 조절 가능범위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10 본 고안에 따른 또다른 실시예의 안전발판의 사시도
도 11 본 고안에 따른 또다른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
도 12 본 고안에 따른 또다른 실시예의 구동축 좌회전시 스위치 작동상태도
도 13 본 고안에 따른 또다른 실시예의 구동축 우회전시작동 상태도
도 14 본 고안에 따른 또다른 실시예의 안전발판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안전발판 2. 논슬립
3. 안전발판 지지대 4. 구동가이드턱
5. 보호케이스 6. 완충고무띠
7. 발판측 방진자석 8a,8b,8c. 구동축 지지대
9. 노링을 잡아주는 완충스프링 10. 감중스프링
11. 와선형구동축 12. 이동가이더
13. 방진자석 14. 가이더 이동홈
15. 가이더암 홀더 16. 발판 감중 스프링레바
17. 스프링 고정핀부 18. 감중스프링 고정핀부
19. 가이더암 20. 지지대홈
21. 스프링 고정홈 22. 회전구동축
23. 스프링 고정핀 레바 24. 감중스프링 고정홈
26. 가이더 체결홈 27. 감중스프링 홀더
28. 전동차 29. 플랫폼 선단
30. 전동차 출입문 40. 회전각도 조절지지대
41. 회전각도 조절링 42. 감속기
43. 회전구동모터 44. 구동가이더축
45. 회전각도 조절핀 46. EOCR(일렉트릭오버콘넥타)
47. 삼각 스위치 작동레바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시한바와 같이 본 고안의 구성은, 출입문 선단 하부에 안전발판(1)의 구동부가 삽입 될 수 있도록 홈을 형성하여 발판을 결합하는 것으로 발판이 회전되어안착시 전동차 바닥과 안전발판의 높이가 일치하도록 구동축 지지대(8a, 8b, 8c)를 바닥에 고정시키고, 구동축 지지대홈(20)에 결합하여 회전구동축(22) 양단부에 가이더 체결홈(26)에 결속하고 출입문의 수평이동을 회전력으로 전환하기 위하여 와선형 구동축(11)으로 형성하여 수평 이동가이더(12)가 이동하여 회전구동축(22)이 회전하고 구동가이드턱(4)이 안전발판 지지대(3)를 동시 회전하여 발판이 구동 되도록 하며 안전발판(1)이 프랫폼(29)의 높낮이에 따라 플랫폼(29)에 계속 안착을 위하여 안전발판에 노링을 잡아주는 완충스프링(9)을 회전 구동축(22)에 외측으로 끼워 스프링 고정홈(21)을 형성하여 회전구동축 스프링 고정핀부(17)를 체결 삽입하고 안전발판(1) 안쪽부에 감중스프링 홀더(27)를 형성하여 감중 스프링레바(16)를 체결하고 감중스프링 고정핀부(18)를 구동축 지지대(8b)의 감중스프링 고정홈(24)에 삽입하여 중량물의 안전발판(1)의 구동시 하중을 감소케하여 회전구동을 가볍게 하도록 하고 안전발판(1) 단부 저면 일부바닥에 완충 고무띠(6)를 부착하여 플랫폼(29)에 닿을 때의 충격을 흡수하도록 하고 구동 가이드 턱(4)의 회전각도가 전회전의 1/4정도면 90°인데 플랫폼(29)의 높음과 낮음 등으로 가이더 체결홈(26)에 70°∼ 110°의 작용도 가능하도록 가이더 체결홈(26)을 형성하였고 발판의 내접시 안전발판(1)의 흔들림, 소음 등을 방지시키기 위하여 발판 측에 방진자석(7)과 가이더암 홀더(15) 상단부에 안전발판 방진자석(13)을 융착하고 전동차 출입문(30)이 열리기 시작할 때 출입문 하단측부에 부착된 가이더암 홀더(15)가 와선회전 구동축 수평 이동가이더(12)를 끌면 와선형 구동축(11)이 회전을 하여 안전발판(1)이 내려져 프랫폼(29)에 안착되어지고 와선 부분을 지난 부분에서는 수평이동을 계속하여 도어가 완전하게 열리며, 폐문시 가이더암 홀더(15)가 반대편으로 수평이동 하게되고 와선형 구동축(11)의 와선 부분에서는 와선형 구동축(11)이 역회전을 하므로 안전발판(1)이 문 측으로 내접되어지는 것이다.
또 다른 일실시 예로 안전발판(1)의 구성은 같으나 구동방법에 있어서 구동체 보호케이스(5)내에 회전 구동모터(43)에 감속기(42)를 체결하여 감속기(42) 단부에 구동 가이더축(44)을 형성 결합하고 다음 구동 회전 각도조절 지지대(40)를 관통하여 가이더 체결홈(26)에 삽착하여 안전발판(1)을 구동하는 것으로, 전동차 출입문(30) 하단 외우측부에 삼각스위치 작동레바(47)를 부착하고 반대 측부에 EOCR 스위치(46)를 고정결합하고 내접시 삼각스위치 작동레바(47)가 EOCR 스위치(46)를 밀어켜고 지나가면 회전구동모터(43)가 작동하면서 안전발판(1)을 구동하며 이때 플랫폼(29)의 높낮이로 인한 구동 멈춤은 회전각도 조절링(41)의 조절핀(45)에 닿아 부하가 걸림과 동시에 전원이 차단되어 멈추게되고 반대로 폐문시 도어(30)가 닫혀지기 바로 직전에 도13과 같이 삼각스위치 작동레바(47)가 EOCR 스위치(46)를 밀어 누르면 회전 구동모터(43)가 역회전하여 전동차의 안전발판(1)이 내접되어지도록 하고 또한 플랫폼(29)과 안전발판(1)의 완전접속 및 전동차의 노링에 대응하기 위하여 회전구동모터(43) 후미부에 완충스프링(9)을 형성 체결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지하철 전동차가 정차하게 되면 개문과 동시에 안전발판이 놓여진 후 완전 개문되고 폐문시 완전히 닫히기 바로 직전에 안전발판이 내접되므로 승객의 승하차시 플랫폼과 전동차간 벌어짐에 발이 끼거나 휠체어 이동 등의 불편과 위험요소를 미연에 방지함으로 안전사고를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전동차 출입문에 가이더암홀더(15)를 형성하여 부착하고, 이동가이더(12)가 수평이동 함으로서 와선형 구동축(11)을 회전시켜 구동가이드턱(4)이 안전발판(1)의 가이더체결홈(26)에 접속되어 안전발판이 안착과 내접이 반복 되도록 하고 안전발판(1)의 노링을 잡아주는 완충스프링(9)을 안전발판 측부에 결합하여 발판의 중량을 감소시키는 감중스프링(10)이 결합되어지는 전동차량의 안전발판.
  2. 청구항 1항에 있어서 구동부분을 안전발판 중앙축부 내에 구성하여 회전구동모터(43)를 회전각도 조절링(41)에 체결하고 구동가이드축(44)을 가이더체결홈(26)에 결속하며, 도어의 일측 단부(30)에 삼각스위치 작동레바(47)를 부착시키고 동위치 차체에 결합된 ECOR(일렉트릭오버콘넥타)을 접속과 반접속을 반복하면 회전과 역회전을 함으로서 안전발판(1)이 안착과 내접이 반복되어 지는 전동차량의 안전발판.
  3.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안전발판 지지대(3) 측부에 가이더체결홈(26)은 안전발판(1)이 플랫폼 선단에 안착시 70°∼ 110°까지의 여유 홈을 형성하여 플랫폼의 높낮이에 대응 될 수 있도록 하는 안전발판 지지대측부 가이더체결홈.
KR2020000031017U 2000-11-06 2000-11-06 전동차량의 안전발판 KR20023063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1017U KR200230632Y1 (ko) 2000-11-06 2000-11-06 전동차량의 안전발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1017U KR200230632Y1 (ko) 2000-11-06 2000-11-06 전동차량의 안전발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0632Y1 true KR200230632Y1 (ko) 2001-07-19

Family

ID=730601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1017U KR200230632Y1 (ko) 2000-11-06 2000-11-06 전동차량의 안전발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063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8319A (ko) * 2001-05-21 2002-11-27 박수진 전동차량 안전발판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6192A (ko) * 1988-10-08 1990-05-07 요이찌 도꾸나가 차량 승강구 안전장치
JPH0316872A (ja) * 1989-06-14 1991-01-24 Hitachi Ltd 車両用補助ステップ装置
KR940005516Y1 (ko) * 1991-12-18 1994-08-18 이세희 신발의 공간 내피 원단
KR960007806U (ko) * 1994-08-10 1996-03-15 김재수 차량 출입구 안전장치
KR970005439U (ko) * 1995-07-07 1997-02-19 신상순 전동열차의 승하차용 스텝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6192A (ko) * 1988-10-08 1990-05-07 요이찌 도꾸나가 차량 승강구 안전장치
JPH0316872A (ja) * 1989-06-14 1991-01-24 Hitachi Ltd 車両用補助ステップ装置
KR940005516Y1 (ko) * 1991-12-18 1994-08-18 이세희 신발의 공간 내피 원단
KR960007806U (ko) * 1994-08-10 1996-03-15 김재수 차량 출입구 안전장치
KR970005439U (ko) * 1995-07-07 1997-02-19 신상순 전동열차의 승하차용 스텝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8319A (ko) * 2001-05-21 2002-11-27 박수진 전동차량 안전발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67608B2 (en) Wind stop device
US7326024B2 (en) Wheelchair lift assembly having a compact stowed profile
JP4625332B2 (ja) 車両に用いられるパラレルグライド式ドア
KR101761841B1 (ko) 차량용 보조발판
US6918208B2 (en) Lead screw window regulator
KR100770435B1 (ko) 플랫폼용 스텝장치
KR200230632Y1 (ko) 전동차량의 안전발판
US5383304A (en) Sliding doors
CN109733417B (zh) 列车站台伸缩踏板装置
WO2003064208A1 (en) Ramp assembly having a lift and lock mechanism
KR20030008974A (ko) 차량용 파워 윈도우 레귤레이터
JPH11268635A (ja) プラットホーム用可動柵
KR200230637Y1 (ko) 전동차량의 안전발판
KR100413507B1 (ko) 자동차의 슬라이딩도어 자동 개폐장치
KR100638176B1 (ko) 탑승체 추락방지용 전동식 안전바를 갖는 휠체어 리프트
JP3616497B2 (ja) 自動車の乗降用アシストグリップ
JP4527263B2 (ja) 車両用昇降装置
CN112572498B (zh) 逃生梯、轨道车辆及轨道交通系统
JPH0820284A (ja) 車輌トランク用仕切り
KR200237316Y1 (ko) 아암식시이트벨트
CN211442501U (zh) 自固定式铰链结构及汽车
KR200378545Y1 (ko) 비상시 수동조작이 가능한 전동식 안전보호대를 갖는휠체어 리프트
KR102649499B1 (ko) 전동 사이드스텝 안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동 사이드스텝 구조체
KR20020088319A (ko) 전동차량 안전발판
CN214397072U (zh) 一种折叠锁定机构及滑板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