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7608Y1 - 도로경계석 - Google Patents

도로경계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7608Y1
KR200227608Y1 KR2020000037008U KR20000037008U KR200227608Y1 KR 200227608 Y1 KR200227608 Y1 KR 200227608Y1 KR 2020000037008 U KR2020000037008 U KR 2020000037008U KR 20000037008 U KR20000037008 U KR 20000037008U KR 200227608 Y1 KR200227608 Y1 KR 20022760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ad boundary
boundary stone
tire
roadway
curv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700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익규
Original Assignee
이익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익규 filed Critical 이익규
Priority to KR202000003700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760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760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7608Y1/ko

Links

Landscapes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도로경계석에 관한 것으로, 도로변쪽에 차량이 근접 주차나 정차하면서 차도(20)쪽으로의 측면부위(12)(16)(18)에 타이어(30)의 바깥쪽부위가 직접적으로 접촉되더라도 경사각도에 의해 타이어(30)의 접촉훼손이 구조적으로 발생되지 않도록, 기본구조로 수평면인 상,하측부위에 대해 양쪽 측면부위(12)(16)(18)를 일정각도가 경사지게 절단형성시켜 차도(20)쪽으로의 상기 측면부위(12)(16)(18)가 인도쪽으로 눕혀지게 설치되는 한편, 응용구조로 상기 차도(20)쪽의 측면부위(12)(16)(18)가 그 상측이 일정각도의 절삭부위(14)로 절삭처리되고, 아울러 곡면형태로서 인도쪽으로 들어가거나 차도(20)쪽으로 튀어나오게 만곡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도로경계석{A Road Boundary Rock}
본 고안은 도로변에 설치되는 도로경계석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도쪽으로의 측면부위가 일정각도로 경사지게 설치형성됨으로서 도로변쪽에 차량이 근접 주차나 정차하더라도 타이어의 접촉훼손이 구조적으로 발생되지 않도록 한 석재로 형성된 도로경계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로 양쪽의 도로변에는 차도와 인도를 구분하는 경계표시로 도로경계석이 설치되는데, 지금까지 대부분의 도로경계석은 콘크리트재로 형성되었으나 콘크리트재의 특성상 수분에 취약하여 몇 년 지나지 않아 원형이 쉽게 훼손됨에 따라, 훼손된 콘크리트재의 도로경계석을 교체 및 보수하기 위해 주변의 정상적인 차도나 인도까지도 파헤쳐서 추가작업하는데 따른 불필요한 비용 손실이 발생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콘크리트재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사용수명이 오래갈 수 있는 석재를 도로경계석으로 사용하고 있는 추세이며, 콘크리트재에 비해 석재를 도로경계석으로 사용하게 되면 상대적으로 가격은 비싸나 원형 훼손이 거의 없어 장기간 사용할 수 있으므로, 초기 설치시의 가격부담은 있으나 장기간 사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 도시 미감도 살릴 수 있다는 장점 때문에 결과적으로 경제적일 수 있다.
그런데, 석재를 사용한 지금까지의 도로경계석은 도 5a 및 도 5b에서 보는 바와같이, 직각 직육면체형태로 차량의 주차나 정차시에 타이어(130)가 접촉될 수 있는 차도(120)쪽으로의 측면부위(112)가 수직면인 관계로 도로경계석(110)의 차도쪽 측면부위(112)에 차량의 타이어(130)가 직접 접촉될 경우, 도로경계석(110)의 날카로운 측면부위(112) 상단에 타이어(130)의 바깥쪽부위가 접촉훼손되어 경우에 따라서는 차량의 타이어(130)가 찢어질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지금까지 차도쪽 측면부위가 수직면인 직육면체형태로 석재의 도로경계석을 사용하는데 따른 제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도로변쪽에 차량이 근접 주차나 정차하면서 차도쪽으로의 측면부위에 타이어의 바깥쪽부위가 직접적으로 접촉되더라도 경사각도에 의해 타이어의 접촉훼손이 구조적으로 발생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도로경계석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a 및 도 1b는 본 고안에 의한 도로경계석의 기본구조 사시도 및 설치상태 예시도.
도 2a 및 도 2b는 본 고안에 의한 도로경계석의 응용구조 사시도 및 설치상태 예시도.
도 3a 및 도 3b는 본 고안에 의한 도로경계석의 다른 응용구조 사시도 및 설치상태 예시도.
도 4a 및 도 4b는 본 고안에 의한 도로경계석의 또다른 응용구조 사시도 및 설치상태 예시도.
도 5a 및 도 5b는 종래의 도로경계석에 대한 사시도 및 설치상태 예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도로경계석 12,16,18 : 측면부위
14 : 절삭부위 20 : 차도
30 : 타이어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도로경계석은 직육면체형태로서 차도의 도로변쪽에 설치되는 도로경계석에 있어서, 수평면인 상,하측부위에 대해 양쪽 측면부위를 일정각도가 경사지게 절단형성시켜 차도쪽으로의 상기 측면부위가 인도쪽으로 눕혀지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차도쪽의 측면부위는 그 상측이 일정각도의 절삭부위로 절삭처리되는 한편, 곡면형태로서 인도쪽으로 들어가거나 차도쪽으로 튀어나오게 만곡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석재를 사용한 도로경계석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a 및 도 1b는 본 고안에 의한 도로경계석(10)의 기본구조 및 그 설치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2a 및 도 2b는 본 고안에 의한 도로경계석(10)의 응용구조 및 그 설치상태를 도시한 것이며, 아울러 도 3a 내지 도 3d는 본 고안에 의한 도로경계석(10)의 보다 발전된 다른 응용구조 및 그 설치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에서 보는 바와같이, 콘크리트재 대신에 석재를 사용하여 차도(20)의 양쪽 도로변(도면부호 생략)에 설치되는 본 고안의 도로경계석은 일정크기의 석재를 한꺼번에 여러개로 직각절단 또는 경사절단할 수 있는 석재절단장치(도면도시 생략)를 통해 기본적으로 양쪽 측면부위(12)(16)(18)가 일정각도로 경사지게 절단형성된다.
즉, 수평면인 상,하측부위(도면부호 생략)에 대해 양쪽 측면부위(12)(16) (18)가 일정각도가 경사지게 절단형성되어 차도(20)쪽으로의 상기 측면부위(12) (16)(18)가 인도쪽으로 눕혀지게 설치되며, 특히 도 1a 및 도 1b의 기본구조에서 보는 바와같이 단면형태가 평행사변형을 이루어 타이어(30)의 바깥쪽부위가 도로경계석(10)의 측면부위(12) 상측에 직접적으로 접촉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기본구조의 좀더 개선된 응용형태로서 도 2a 및 도 2b에서 보는 바와같이, 차도(20)쪽 측면부위(12)의 상측이 일정각도의 절삭부위(14)로 절삭처리시킴으로서 차량의 타이어(30)가 측면부위(12)의 상측에 접촉훼손되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막을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응용구조의 보다 발전된 개선형태로서 도 3a 및 도 3b에서 보는 바와같이, 차도(20)쪽 측면부위(16)를 차도(20) 반대편의 인도(도면부호 생략)쪽으로 들어가게 만곡형성시켜 지역적으로 급커브될 수밖에 없는 도로환경에 설치함으로서, 급커브되는 차량의 타이어(30)가 급커브지역과 같이 활처럼 휘어진 도로경계석(10)의 측면부위(16)에 접촉훼손되는 것을 막을 수 있도록 하며, 아울러 측면부위(16)의 상측을 도 2a 및 도 2b에서와 같은 일정각도의 절삭부위로 절삭형성할 수도 있다.
아울러, 도 3c 및 도 3d의 또다른 응용 실시예는 곡면형태의 측면부위를 갖는 도 3a 및 도 3b의 응용구조와는 달리 차도(20)쪽 측면부위(18)를 차도(20)쪽으로 튀어나오게 만곡형성시킨 형태로서, 지그재그로 급커브될 수밖에 없는 도로환경에 이들 차도(20)쪽으로 튀어나오게 곡면만곡된 도로경계석(10)과 인도쪽으로 들어나게 곡면만곡된 도로경계석(10)을 해당 장소조건에 맞게 적절하게 설치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도로경계석(10)은 석재를 사용하여 차도(20)와 인도를 구분하는 경계석으로서, 참고도면에서는 도로경계석(10)의 수평면인 하측부위가 차도(20)와 평행하게 수평설치된다고 가정하여 설치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차도(20) 반대편의 인도쪽의 측면부위에는 도시하지 않은 시멘트로서 마감처리되면서 기존의 일반적인 도로경계석과 같은 시공방법으로 설치형성됨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의 석재를 사용한 도로경계석에 의하면, 도로변쪽에 차량이 근접 주차나 정차하면서 차도쪽으로의 측면부위에 타이어의 바깥쪽부위가 직접적으로 접촉되더라도 측면부위의 경사각도에 의해 타이어가 접촉훼손되는 것을 막을 수 있어, 타이어의 접촉훼손에 의한 안전사고를 줄일 수 있는 것은 물론 도시 미감도 살릴 수 있고 더나아가 시멘트재에 비해서는 소재 자체의 가격은 비싸나 추가적으로 발생되었던 교체 및 수리비용이 거의 없어 경제적일 수 있다는 등의 효과가 기대된다.

Claims (2)

  1. 직육면체형태로서 차도(20)의 도로변쪽에 설치되는 도로경계석에 있어서,
    수평면인 상,하측부위에 대해 양쪽 측면부위(12)(16)(18)가 일정각도가 경사지게 절단형성되어 차도(20)쪽으로의 상기 측면부위(12)(16)(18)를 인도쪽으로 눕혀지게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경계석.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도(20)쪽의 측면부위(12)(16)(18)는 그 상측이 일정각도의 절삭부위(14)로 절삭처리되는 한편, 곡면형태로서 인도쪽으로 들어가거나 차도(20)쪽으로 튀어나오게 만곡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경계석.
KR2020000037008U 2000-12-29 2000-12-29 도로경계석 KR20022760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7008U KR200227608Y1 (ko) 2000-12-29 2000-12-29 도로경계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7008U KR200227608Y1 (ko) 2000-12-29 2000-12-29 도로경계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7608Y1 true KR200227608Y1 (ko) 2001-06-15

Family

ID=730941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7008U KR200227608Y1 (ko) 2000-12-29 2000-12-29 도로경계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760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27608Y1 (ko) 도로경계석
KR100785311B1 (ko) 이탈 방지구조의 도로안전 경계석 및 그 시공방법
KR200387387Y1 (ko) 도로 경계석
KR100708440B1 (ko) 도로표지병 시공방법
KR100705705B1 (ko) 도로 경계석
CN204825561U (zh) 连锁功能隐蔽式混凝土路边石
KR200393596Y1 (ko) 도로 경계석
KR100734468B1 (ko) 바닥포장용 블럭
KR20110115638A (ko) 식별 및 설치가 용이한 경계블록
KR200314039Y1 (ko) 배수 박스를 이용한 보행자 도로 시설물
KR200327801Y1 (ko) 미끄럼 방지용 보행자 도로
KR100660127B1 (ko) 도로의 차선 식별력 향상공법 및 도로의 구조
KR200295930Y1 (ko) 블럭결합형 과속방지턱
KR200227573Y1 (ko) 도로의 충격완화형 국소 파손부 보수구조
KR200327724Y1 (ko) 도로경계블록
KR200255953Y1 (ko) 도로용 경계블록
KR200185662Y1 (ko) 보차도 경계블럭
KR200304808Y1 (ko) 다기능 도로경계석의 설치구조
KR200354790Y1 (ko) 차량진입 방지대
KR20030003469A (ko) 도로표지병
KR200334633Y1 (ko) 높이보정이 가능한 도로표지병
KR200200924Y1 (ko) 도로 경계석
KR100966905B1 (ko) 안전펜스 기능을 갖는 도로안전경계석
KR20210000903U (ko) 도로 경계석 보호커버
KR19980014564U (ko) 배수보도블럭야광경계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