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5953Y1 - 도로용 경계블록 - Google Patents

도로용 경계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5953Y1
KR200255953Y1 KR2020010026091U KR20010026091U KR200255953Y1 KR 200255953 Y1 KR200255953 Y1 KR 200255953Y1 KR 2020010026091 U KR2020010026091 U KR 2020010026091U KR 20010026091 U KR20010026091 U KR 20010026091U KR 200255953 Y1 KR200255953 Y1 KR 20025595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boundary block
block body
road
road bound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609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성
김용철
Original Assignee
(주)엠피기술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엠피기술산업 filed Critical (주)엠피기술산업
Priority to KR202001002609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595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595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5953Y1/ko

Links

Landscapes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도와 인도 사이의 경계선상에 연속적으로 연결배치되는 도로용 경계블록에 있어서, 블록본체와; 상기 차도를 향한 상기 블록본체의 일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완충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차량 접촉시 차량이 부분적으로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도로용 경계블록이 제공된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도로용 경계블록에 반사체를 마련한다면 어두운 밤에도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으며, 손잡이부를 마련한다면 설치 시공시 파지하기가 용이해질 수 있다.

Description

도로용 경계블록{border block for road}
본 고안은, 도로용 경계블록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그 구조가개선된 도로용 경계블록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인도는 차도에 비해 높게 형성되며, 인도와 차도의 경계선상에는 도로용 경계블록이 설치되는 것이 보통이다. 이러한 경계블록은 긴 사각벽돌의 형상을 가지며, 인도와 차도의 경계선을 따라 연속적으로 배치된다.
경계블록의 시공은, 경계블록이 배치되는 부분의 노면을 평탄하게 한 다음, 시멘트가 섞인 모래를 도포하고 경계블록을 일렬로 배치한 후, 경계블록과 인도 및 차도간의 틈새로 시멘트물을 부어 건조시킴으로써 완료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경계블록에 있어서는, 별도의 파지용 손잡이가 마련되어 있지 않아, 시공위치까지 파지한 후 이동시키기가 불편하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경계블록은 단지 차도와 인도간의 경계를 형성하고 있을 뿐, 차량을 보호하는 기능은 부여하지 못한다. 즉, 차량을 후진하거나 경계블록에 인접하게 차량을 파킹할 경우, 운전미숙으로 인해 차량의 범퍼 및 외면이 경계블록에 부딪힌다면 부딪힌 영역은 파손될 수밖에 없다.
따라서, 경계블록에 별도의 완충수단을 마련하여 차량의 충돌시 완충작용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다면, 차량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에 더하여 경계블록에 빛에 의해 난반사될 수 있는 소정의 발광수단을 설치한다면, 어두운 밤에도 운전자가 경계블록을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게 되어 인도로 돌진하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차량이 접촉하여 차량이 부분적으로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도로용 경계블록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어두운 밤에도 식별 가능한 도로용 경계블록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설치 시공시 파지하기가 용이한 도로용 경계블록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도로용 경계블록의 설치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도로용 경계블록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2의 Ⅳ-Ⅳ선에 따른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도로용 경계블록의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도로용 경계블록의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차도 15 : 인도
20 : 도로용 경계블록 21 : 블록본체
22 : 완충지지부재 22a : 전면부
22b : 스커트부 22c : 앵커통과공
24 : 파지용 손잡이부 25 : 반사체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차도와 인도 사이의 경계선상에 연속적으로 연결배치되는 도로용 경계블록에 있어서, 블록본체와; 상기 차도를 향한 상기 블록본체의 일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완충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용 경계블록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고무재질로 형성될 수 있는 상기 완충지지부재는 전면부와, 상기 전면부의 대향하는 양측변으로부터 상기 블록본체를 향해 연장된 스커트부를 갖도록 할 수 있다. 만일, 완충지지부재에 스커트부가 형성된다면, 상기 블록본체에는 상기 스커트부와 형상맞춤되도록 함몰절취된 스커트결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유리하다.
상기 전면부와 상기 전면부의 대향측에 배치된 상기 블록본체의 판면에는 적어도 한 쌍의 파지용 손잡이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도로용 경계블록을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다.
상기 전면부에는 불빛에 의해 난반사되는 적어도 하나의 반사체가 마련될 수 있으며, 이럴 경우, 어두운 밤에도 운전자가 경계블록을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다.또한, 상기 반사체는 전원의 공급 및 차단에 의해 점등되는 램프로 구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며, 제2실시예에 대해서는 제1실시예와 차별되는 부분만 설명하고 참조부호는 구별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1)이 통행하는 차도(10)에 대해 인도(15)는 보행자의 안전을 위해 높게 설치되며, 차도(10)와 인도(15) 사이의 경계선상에는 본 고안에 따른 도로용 경계블록(20)이 설치되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도로용 경계블록(20)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긴 사각벽돌로 이루어진 블록본체(21)와, 블록본체(21)의 일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완충지지부재(22)를 갖는다. 완충지지부재(22)는 충돌한 차량(1)에 대해 완충시킬 수 있는 재질, 예를 들어 고무, 우레탄, 합성수지, 스펀지 및 압축 스티로폼 등과 같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차도(10)를 향한 블록본체(21)의 일면에 결합된다.
완충지지부재(22)는 차도(10)를 향한 블록본체(21)의 일면에 배치되는 전면부(22a)와, 전면부(22a)의 대향하는 양측변으로부터 블록본체(21)를 향해 연장된 스커트부(22b)를 갖는다. 스커트부(22b)는 블록본체(21)의 상면 및 하면 일부분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스커트부(22b)는 블록본체(21)의 상면 및 하면 중 어느 한 부분에만 연장되도록 마련될 수도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형성하지 않을 수도 있다.
전면부(22a)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앵커통과공(22c)이 형성되어 있다. 앵커통과공(22c)으로는 앵커볼트(23)가 삽입되어 완충지지부재(22)를 블록본체(21)에 결합시키게 된다. 이 때, 앵커볼트(23)가 전면부(22a)의 판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앵커통과공(22c)은 판면으로부터 소정 깊이 함몰시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앵커볼트(23)는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 영역이 분할되어 삽입시, 반경방향 외측으로 팽창하는 것으로 사용하는 것이 보다 효과적이다.
완충지지부재(22)의 스커트부(22b)가 형상맞춤되게 배치될 수 있도록 블록본체(21)에는 스커트결합부(21a)가 형성되어 있다. 스커트결합부(21a)는 블록본체(21)의 성형시 일체로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만일 기존에 사용되는 경계블록(20)을 이용할 경우에는 모서리 영역의 일부분은 연마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완충지지부재(22)의 전면부(22a)와 전면부(22a)의 대향측에 위치한 블록본체(21)의 판면에는 파지용 손잡이부(24)가 형성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도로용 경계블록(20)은 그 길이가 길게 형성되는 것이 보통이므로 손잡이부(24)는 경계블록(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양측에 두 쌍으로 마련하여 두 사람이 함께 파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유리하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도로용 경계블록(20)은 파지하기가 매우 용이해진다. 이 때, 파지용 손잡이부(24)는 완충지지부재(22)의 전면부(22a)를 제외한 블록본체(21)의 양측 판면에 형성시킬 수도 있다.
한편, 전면부(22a)의 판면에는 불빛, 예를 들어 달빛이나 자동차의 라이트에의해 난반사되는 복수의 반사체(25)가 마련되어 있다. 반사체(25)는 어두운 밤에 운전자가 경계블록(20)을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여 우발적으로 인도(15)로 돌진하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예방하기 위해 마련된다. 이러한 반사체(25)는 완충지지부재(22)의 전면부(22a) 판면에 반사체설치부(26)를 마련한 다음,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반사체(25)를 반사체설치부(26)에 접착시킬 수도 있을 뿐만 아니라 반사체(25)를 완충지지부재(22)의 전면부(22a) 판면에 끼워 넣을 수도 있다.
또한, 야광으로된 반사체(25) 대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에 의해 점멸되는 램프(30)로 대체한다면 어두운 밤에도 그 식별이 보다 용이할 수 있다. 이럴 경우, 램프(3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반사체설치부(26')에 수용시킨 후, 램프(30)의 보호를 위해 반사체설치부(26')의 개구 연부에 투명재질의 보호판(31)을 마련하는 것이 보다 유리할 것이다. 이 때, 램프(30)는 소정 간격으로 점멸되는 것으로 이용할 수도 있다.
이 때, 반사체(25)는 반 구 형상으로 복수개를 배치할 수도 있으며, 도 5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1)의 이동 진행방향을 표시하는 표시패턴(25')으로 형성하거나, 별도의 광고용 패턴(미도시)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도로용 경계블록(20)은 파지용 손잡이부(24)가 마련되어 있어 시공시 매우 편리하다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경계블록(20)을 차도(10)와 인도(15) 사이의 경계선상에 연속적으로 배치하게 되면, 완충지지부재(22)로 인해 우발적으로 돌진하거나 혹은 운전미숙으로 인해 충돌한 차량(1)의 범퍼 및 외면이 손상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반사체(25)로 인해 어두운 밤에도 운전자가 경계블록(20)을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게 되어 인도(15)로 돌진하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차량이 접촉하여 차량이 부분적으로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도로용 경계블록이 제공된다.
또한, 반사체가 마련되어 있어 어두운 밤에도 식별이 가능하며, 손잡이부로 인해 설치 시공시 파지하기가 용이한 도로용 경계블록이 제공된다.

Claims (7)

  1. 차도와 인도 사이의 경계선상에 연속적으로 연결배치되는 도로용 경계블록에 있어서,
    블록본체와;
    상기 차도를 향한 상기 블록본체의 일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완충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용 경계블록.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지지부재는 전면부와, 상기 전면부의 대향하는 양측변으로부터 상기 블록본체를 향해 연장된 스커트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용 경계블록.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본체에는 상기 스커트부와 형상맞춤되도록 함몰절취된 스커트결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용 경계블록.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부와 상기 전면부의 대향측에 배치된 상기 블록본체의 판면에는 적어도 한 쌍의 파지용 손잡이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용 경계블록.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부에는 불빛에 의해 난반사되는 적어도 하나의 반사체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용 경계블록.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지지부재는 고무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용 경계블록.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체는 전원의 공급 및 차단에 의해 점등되는 램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용 경계블록.
KR2020010026091U 2001-08-28 2001-08-28 도로용 경계블록 KR20025595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6091U KR200255953Y1 (ko) 2001-08-28 2001-08-28 도로용 경계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6091U KR200255953Y1 (ko) 2001-08-28 2001-08-28 도로용 경계블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5953Y1 true KR200255953Y1 (ko) 2001-12-13

Family

ID=730686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6091U KR200255953Y1 (ko) 2001-08-28 2001-08-28 도로용 경계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595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5849B1 (ko) 2005-11-14 2006-03-30 주식회사 한조엔지니어링 충격흡수형 도로경계석 설치구조
WO2012086927A1 (ko) * 2010-12-21 2012-06-28 Park Ju Ryong 안전 경계석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5849B1 (ko) 2005-11-14 2006-03-30 주식회사 한조엔지니어링 충격흡수형 도로경계석 설치구조
WO2012086927A1 (ko) * 2010-12-21 2012-06-28 Park Ju Ryong 안전 경계석
KR200465970Y1 (ko) * 2010-12-21 2013-03-25 박주룡 안전 경계석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55413B1 (ko) 태양전지를 이용한 조명 경계석
KR101131851B1 (ko) 횡단보도의 야간 조명 및 보조 신호등 기능을 구비한 볼라드
KR200255953Y1 (ko) 도로용 경계블록
KR200416774Y1 (ko) 횡단보도의 신호등과 연동하는 발광수단을 구비한 합성수지경계석
KR101337335B1 (ko) 볼라드
KR200394458Y1 (ko) 차로표시체
KR20120071726A (ko) 도로용 경계석
KR200180323Y1 (ko) 도로 경계석용 표시판
KR20090035865A (ko) 폐타이어를 이용한 도로경계석
KR200395641Y1 (ko) 중앙분리대 및 옹벽의 안전유도등
KR200181692Y1 (ko) 도로표지병
KR100648890B1 (ko) 완충식 도로 표지병
KR200207045Y1 (ko) 도로 경계석용 반사경
KR200343192Y1 (ko) 완충식 도로 표지병
KR200255952Y1 (ko) 경계블록용 완충장치
KR102633984B1 (ko) 반사시이트의 교체가 용이한 도로경계석
KR200447075Y1 (ko) 안전형 보차도경계석
KR200294553Y1 (ko) 안전운전을위한표시수단을갖는도로경계석
JPH08177019A (ja) 発光式縁石
KR200230682Y1 (ko) 반사체를 구비한 보차도경계석
KR200401523Y1 (ko) 도로용 표지병 구조
KR200305613Y1 (ko) 도로용 반사구
KR20010091755A (ko) 노면 표지병
KR200406878Y1 (ko) 흡음 도로 경계석
KR200320529Y1 (ko) 반사체가 결합된 경계블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213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