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4502Y1 - 교량 상판 난간 추락방지용 러버펜더 충격흡수시설 - Google Patents
교량 상판 난간 추락방지용 러버펜더 충격흡수시설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224502Y1 KR200224502Y1 KR2020000033931U KR20000033931U KR200224502Y1 KR 200224502 Y1 KR200224502 Y1 KR 200224502Y1 KR 2020000033931 U KR2020000033931 U KR 2020000033931U KR 20000033931 U KR20000033931 U KR 20000033931U KR 200224502 Y1 KR200224502 Y1 KR 200224502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ubber fender
- shock absorbing
- fixed
- galvanized
- bridge
- Prior art date
Links
Landscapes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이 주행하는 교량 상판의 측면에 설치되는 추락방지용 러버 펜더를 이용한 충격흡수시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교량 상판의 난간에 특수 고안된 러버 펜더를 설치하여 충돌사고에 의한 인명피해 및 하자 보수비용을 경감시킬 수 있는 교량 상판 난간 추락방지용 러버펜더 충격흡수시설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교량 상판의 양측면에 형성되는 난간의 상부에 설치되는 충격흡수시설에 있어서, 교량 상판의 난간에는 기초 앵커로 고정되는 아연도금 강재기둥을 설치하고, 상기 아연도금 강재기둥에는 수직방향으로 아연도금 사각 파이프를 고정볼트로 단을 이루도록 다수개 고정하며, 상기 아연도금 사각 파이프중 제일 하부에 고정되는 아연도금 사각 파이프에는 충격 흡수부와 돌출 결합부를 형성한 고무 펜더를 결합볼트로 고정하는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상판 난간 추락방지용 러버펜더 충격흡수시설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차량이 주행하는 교량 상판의 측면에 설치되는 추락방지용 러버 펜더를 이용한 충격흡수시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교량 상판의 난간에 특수 고안된 러버 펜더를 설치하여 충돌사고에 의한 인명피해 및 하자 보수비용을 경감시킬 수 있는 교량 상판 난간 추락방지용 러버펜더 충격흡수시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 상판에는 양측에 차량의 주행시 발생될 수 있는 충돌사고로 인해 차량이 교량 상판의 하부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교량 상판의 난간에 가드 레일을 설치하거나 콘크리트 구조물을 설치한다.
상기 가드 레일이나 콘크리트 구조물은 차량의 추락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충격흡수시설로 사용된다.
도 1은 종래의 교량 상판에 설치된 난간과 트럭이 충돌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교량 상판(10)의 측면부에는 난간(12)이 설치되고, 상기 난간(12)에는 철재로 형성되는 가드 레일(14)이 교량 상판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설치된다.
상기 가드 레일(14)은 일반적으로 철재로 제작되며, 상기 교량 상판(10)의 하부로 차량(16)이 추락되지 않도록 방호벽의 개념을 가진 충격흡수시설이라고 말할 수 있다.
상술한 구조로 형성된 교량 상판의 난간구조는, 대형 차량이 난간의 가드 레일에 충돌하게 되면 가드 레일이 견고하지 않아 충격흡수시설이 파괴되면서 차량이 교량 상판의 하부로 추락하게 되는 위험성이 존재하였고, 이때 차량의 추락사고에 의한 대형의 인명 사고가 발생될 소지가 있었으며, 또한 부서진 가드 레일을 수리하는 하자 보수비용이 높은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대형 차량 또는 대형 버스가 난간에 설치된 충격흡수시설에 충돌하더라도 전해지는 충격력을 흡수하는 시설을 설치하여 운전자 및 승객의 안전성을 높이고 충격흡수시설의 파손을 최소한으로 할 수 있으며, 이로인해 충격흡수시설을 관리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교량 상판 난간 추락방지용 러버펜더 충격흡수시설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교량 상판의 양측면에 형성되는 난간의 상부에 설치되는 충격흡수시설에 있어서, 교량 상판의 난간에는 기초 앵커로 고정되는 아연도금 강재기둥을 설치하고, 상기 아연도금 강재기둥에는 수직방향으로 아연도금 사각 파이프를 고정볼트로 단을 이루도록 다수개 고정하며, 상기 아연도금 사각 파이프중 제일 하부에 고정되는 아연도금 사각 파이프에는 충격 흡수부와 돌출 결합부를 형성한 고무 펜더를 결합볼트로 고정하는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상판 난간 추락방지용 러버펜더 충격흡수시설을 제공한다.
도 1은 종래의 교량 상판에 설치된 난간과 트럭이 충돌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교량 상판에 설치되는 러버펜더 충격흡수시설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도 2의 A부의 러버펜더 충격흡수시설의 상세도.
도 4는 본 고안의 러버펜더 충격흡수시설이 분해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
30 : 교량 상판 32 : 난간
34 : 충격흡수시설 36 : 아연도금 강재기둥
38 : 러버 펜더 40 : 기초 앵커
41,42 : 아연도금 사각파이프 44,46 : 고정볼트
48 : 결합볼트 50 : 충격흡수부
52 : 돌출 결합부 60 : 대형 차량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성과 작동 상태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교량 상판에 설치되는 러버펜더 충격흡수시설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A부의 러버펜더 충격흡수시설의 상세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러버펜더 충격흡수시설이 분해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에서 알 수 있듯이, 교량 상판(30)의 난간(32)에는 아연도금 강재로 구성된 충격흡수시설(34)이 설치되는데, 상기 충격흡수시설(34)은 아연도금 강재기둥(36)의 하부에 러버 펜더(38)가 고정된다.
상기 도 2에서는 대형 차량(60)과 충격흡수시설(34)이 충돌된 상태를 설명하고 있다.
도 3에서 알 수 있듯이, 교량 상판(30)에는 측면에 난간(32)이 설치되고 상기 난간(32)에는 상부로 충격흡수시설(34)이 설치되는데, 상기 충격흡수시설(34)은 아연도금 강재기둥(36)의 하부가 난간(32)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기초 앵커(40)를 사용하여 매설하며, 상기 아연도금 강재기둥(36)에는 수직방향의 하부에 러버 펜더(38)를 설치한다. 상기 아연도금 강재기둥(36)에 러버 펜더(38)가 고정되는 경우 그 결합력을 강화하기 위해 아연도금 사각파이프(41)를 아연도금 강재기둥(36)에 고정볼트(44)로 고정한 후 상기 아연도금 사각파이프(41)의 상하부에 결합볼트(48)를 사용하여 러버 펜더(38)를 고정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아연도금 강재기둥(36)에는 수직방향의 상부에 아연도금 사각파이프(42)를 2단으로 고정볼트(46)를 사용하여 교량 상판의 길이방향과 일치하도록 고정시키는데, 이때 상기 아연도금 강재기둥(36)에는 러버 펜더(38)가 결합된 아연도금 사각파이프(41)와 그 직상부에 2단으로 설치되는 아연도금 사각파이프(42)가 설치되는 구조이다.
상기 러버 펜더(38)는 교량 상판(30)의 도로방항을 향하는 일측에 충격 흡수부(50)를 형성하고 아연도금 강재기둥(36)을 설치한 타측에 돌출 결합부(52)를 형성하는 구조이다. 즉, 상기 러버 펜더(38)는 충격 흡수부(50)와 돌출 결합부(52)가 일체로 형성된 형상이며, 상기 러버 펜더(38)의 돌출 결합부(52)가 아연도금 사각기둥(41)에 고정볼트(44)로 고정된다.
도 4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충격흡수시설(34)은 아연도금 강재기둥(36)의 하부 측면에 러버 펜더(38)를 설치하고 아연도금 강재기둥(36)의 상부 측면에 아연도금 사각파이프(41)(42)를 설치하고 있는 관계로, 대형 차량인 트럭 또는 버스가 충격흡수시설(34)에 충돌되는 경우에도 러버 펜더(38)가 그 충격력을 흡수하며, 또한 아연도금 강재기둥(36)의 상부 측면에 설치되는 아연도금 사각파이프(41)(42)가 수평하게 설치되어 있는 관계로 종래의 날개 모양의 가드 레일보다는 사각 파이프 형상으로 구성되어 월등히 뛰어난 충격력에 견딜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러버 펜더(38)에는 일측에 충격 흡수부(50)가 설치되어 있는 관계로 트럭과 충돌사고를 일으키더라도 그 충격력을 완화시켜줄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본 고안의 구성과 작동 상태에 따른 효과를 설명한다.
본 고안의 충격흡수시설은, 아연도금 강재기둥의 하부 측면에 러버 펜더를 설치하고 아연도금 강재기둥의 상부 측면에 아연도금 사각파이프를 다수개 설치하고 있는 관계로, 대형 차량인 트럭이 충격흡수시설에 충돌되는 경우에도 러버 펜더가 그 충격력을 1차적으로 흡수하고, 또한 상기 아연도금 강재기둥의 상부 측면에 설치되는 아연도금 사각파이프가 수평하게 설치되어 있는 관계로 종래의 날개 모양의 가드 레일보다는 월등히 뛰어난 충격력에 견딜 수 있게 되며, 상기 러버 펜더는 그 구조상 일측에 충격 흡수부가 설치되어 있는 관계로 트럭과 충돌사고를 일으키더라도 그 충격력을 완화시켜줄 수 있게 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충격흡수시설은 충돌사고에 파손의 정도가 심하지 않게 되므로 교량 상판의 충격흡수시설에 대한 하자 보수 작업 및 관리비를 대폭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상기 충격흡수시설의 설치로 인하여 충돌사고시 추락사고를 철저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되므로 대형의 인명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얻을 수 있게 된다.
Claims (1)
- 교량 상판의 양측면에 형성되는 난간의 상부에 설치되는 충격흡수시설에 있어서, 교량 상판(30)의 난간(32)에는 기초 앵커(40)로 고정되는 아연도금 강재기둥(36)을 설치하고, 상기 아연도금 강재기둥(36)에는 수직방향으로 아연도금 사각 파이프(41)(42)를 고정볼트(44)(46)로 단을 이루도록 다수개 고정하며, 상기 아연도금 사각 파이프(41)(42)중 제일 하부에 고정되는 아연도금 사각 파이프(41)에는 충격 흡수부(50)와 돌출 결합부(52)를 형성한 고무 펜더(38)를 결합볼트(48)로 고정하는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상판 난간 추락방지용 러버펜더 충격흡수시설.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00033931U KR200224502Y1 (ko) | 2000-12-04 | 2000-12-04 | 교량 상판 난간 추락방지용 러버펜더 충격흡수시설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00033931U KR200224502Y1 (ko) | 2000-12-04 | 2000-12-04 | 교량 상판 난간 추락방지용 러버펜더 충격흡수시설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24502Y1 true KR200224502Y1 (ko) | 2001-05-15 |
Family
ID=730609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00033931U KR200224502Y1 (ko) | 2000-12-04 | 2000-12-04 | 교량 상판 난간 추락방지용 러버펜더 충격흡수시설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224502Y1 (ko) |
-
2000
- 2000-12-04 KR KR2020000033931U patent/KR200224502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2008274754A (ja) | 制止ネット | |
WO2018105959A1 (ko) | 비탈면에 설치된 가드레일의 수평지지력 보강ㆍ제어시스템 및 비탈면에 설치된 가드레일의 수평지지력 보강ㆍ제어 구조 및 이를 이용한 가드레일 설치공법 | |
JP4618735B2 (ja) | 自動車道路の高架橋の路版側端部の老朽化した壁高欄の改良方法 | |
KR100847736B1 (ko) | 와이어로프를 이용한 충격흡수용 가드레일 | |
KR100345739B1 (ko) | 차도용 철재난간과 이에 설치되는 충격완화장치 | |
KR100619545B1 (ko) | 터널 내부에 설치되는 완충장치 | |
KR100723027B1 (ko) | 충격흡수장치와 도난방지장치를 갖춘 차량 방호 울타리 | |
KR200432896Y1 (ko) | 와이어케이블을 이용하는 가드레일 지주보강구조 | |
CN210049095U (zh) | 一种桥梁护栏 | |
KR200224502Y1 (ko) | 교량 상판 난간 추락방지용 러버펜더 충격흡수시설 | |
KR200390596Y1 (ko) | 추락방지 및 충격 흡수형 난간구조물 | |
KR101288063B1 (ko) | 교량용 난간 | |
KR100373906B1 (ko) | 도로용 충격흡수 가드레일 | |
KR20050071443A (ko) | 유지관리용 조립식 도로난간 | |
KR200234810Y1 (ko) | 우레탄 고무를 이용한 충격흡수형 난간 | |
KR200252803Y1 (ko) | 충격흡수가 가능한 도로용 차도난간 | |
CN220301156U (zh) | 一种桥梁钢结构拼接护栏 | |
KR100515386B1 (ko) | 도로용 충격흡수 방호시설 | |
KR200215173Y1 (ko) | 도로 난간 보강 구조 | |
CN216040878U (zh) | 一种用于公路交通的安全防护栏 | |
KR200367078Y1 (ko) | 충격흡수가 가능한 교량 난간 설치구조 | |
KR100467284B1 (ko) | 곡선파이프를 이용한 도로 교량용 가드레일 | |
KR200336615Y1 (ko) | 유지관리용 조립식 도로 철재난간 | |
KR200228231Y1 (ko) | 2중 철재방호책 | |
JP7148125B2 (ja) | 地覆構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50303 Year of fee payment: 5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