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9645Y1 - 수동변속기의변속조작기구 - Google Patents

수동변속기의변속조작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9645Y1
KR200219645Y1 KR2019970028858U KR19970028858U KR200219645Y1 KR 200219645 Y1 KR200219645 Y1 KR 200219645Y1 KR 2019970028858 U KR2019970028858 U KR 2019970028858U KR 19970028858 U KR19970028858 U KR 19970028858U KR 200219645 Y1 KR200219645 Y1 KR 20021964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ft
rail
shifting
shift rail
mov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2885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15552U (ko
Inventor
김한득
Original Assignee
이계안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계안,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계안
Priority to KR201997002885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9645Y1/ko
Publication of KR1999001555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555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964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9645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24Providing feel, e.g. to enable sel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278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selector lever, e.g. grip parts, mounting or manufactu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3/0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 F16H63/02Final output mechanisms therefor; Actuating means for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0/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0/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70Gearings
    • B60Y2400/71Manual or semi-automatic, e.g. automated manual transmiss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3/0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 F16H63/02Final output mechanisms therefor; Actuating means for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2063/3079Shift rod assembly, e.g. supporting, assembly or manufacturing of shift rails or rods; Special details thereof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5/00Means for preventing, limiting or returning the movements of parts of a control mechanism, e.g. locking controlling member
    • G05G5/03Means for enhancing the operator's awareness of arrival of the controlling member at a command or datum position; Providing feel, e.g. means for creating a counterfor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Change-Speed Gearing (AREA)
  • Gear-Shifting Mechanis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동 변속기의 변속 조작 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변속기 케이스에 내재되어 변속 레버의 조작에 따라 직선 이동되는 시프트 레일이 포함된 수동 변속기의 변속 조작 기구에 있어서, 상기 시프트 레일(60)의 일측 둘레에 자성을 갖는 이동 자성체(70)가 장착되고, 상기 시프트 레일(60)이 변속단 위치 및 중립 위치로 이동될 때 상기 이동 자성체(70)와 인력이 작용되어 변속 절도감이 형성되도록 상기 변속기 케이스(50)에 복수개 고정 자성체(8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함으로써, 기어 변속시 변속 절도감 및 변속 조작감이 향상되도록 한 수동 변속기의 변속 조작 기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수동 변속기의 변속 조작 기구
본 고안은 수동 변속기의 변속 조작 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시프트 레일에 설치된 자성체의 상호 인력을 이용하여 변속단 위치 및 중립 위치를 결정하여 기어 변속시 변속 절도감이 향상되도록 한 수동 변속기의 변속 조작 기구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구동력은 자동차에 실은 하물의 양과 도로의 상황 및 주행 속도 등에 따라서 크게 변화하므로, 이것에 대응하여 자동차에는 엔진의 동력을 적절한 구동력으로 변환시키기 위해 변속기를 설치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변속기는 엔진과 구동축의 사이에 설치되고 수동식 변속기와 자동 변속기 등이 있는 바, 상기 수동식 변속기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자의 조작력을 받기 위한 변속 레버(10)가 설치되고, 상기 변속 레버(10)는 변속 기어 박스(15)에 연결되는 다수의 시프트 레일(20)을 조작하여 시프트 포크(25)를 통해 슬리브(30)를 이동시켜 변속 기어를 작동시킴으로써 변속을 실시한다.
여기서, 상기 시프트 레일(20)은 변속 레버(10)의 움직임에 따라 각 변속단의 설정 상태를 변경시키고 변경된 변속단을 유지하는 주요한 부품으로써, 상기와 같은 변속단의 변경을 위해서는 시프트 레일(20)이 종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변속단의 변경이 가능하게 되고, 변경된 변속단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시프트 레일(20)이 변속 레버(10)로부터의 조작력이 가해지지 않는 상태에서는 슬라이딩하지 못하도록 함으로써 가능하다.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속 레버 조작시 각 변속단에서 변속 절도감 및 변속 위치 결정을 위해 상기 시프트 레일(20) 상에는 다수의 그루브(22)가 차례로 배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그루브(22) 상부에 위치되는 변속기 케이스(1)에는 포핏 볼(42)과 포핏 스프링(44)으로 이루어진 디텐트 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즉, 상기 변속 레버의 조작으로 시프트 레일(20)이 종방향으로 이동될 때 스프링(44)에 의해 지지되는 포핏 볼(42)이 그루브(22) 위에서 이탈 및 형합되면서 변속단 위치를 결정시키고 변속 레버를 통해 변속 조작감을 가질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 기술은 기어 변속을 위해 변속 레버에서 시프트 레일에 변속 조작력이 전달되는 과정은 물리적인 힘에 의해 작동되므로 상기 시프트 레일 상에 디텐트 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하더라도 마찰과 이물질 등에 의한 저항으로 변속 걸림감이 작용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변속 조작감을 향상시키는 데는 한계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시프트 레일의 일측 끝단과 변속기 케이스에 각각 자성체를 설치하여 시프트 레일 이동시 중립 위치 및 변속단 결정 위치를 형성토록 함으로써 기어 변속시 변속 조작감이 향상되도록 한 수동 변속기의 변속 조작 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의 수동 변속기의 변속 조작 기구는, 변속기 케이스에 내재되어 변속 레버의 조작에 따라 직선 이동되는 시프트 레일이 포함된 수동 변속기의 변속 조작 기구에 있어서,
상기 시프트 레일의 일측 둘레에 자성을 갖는 이동 자성체가 장착되고, 상기 시프트 레일이 좌, 우측의 변속단 위치 및 중앙의 중립 위치로 이동될 때 상기 이동 자성체와 인력이 작용되어 변속 절도감이 형성되도록 상기 변속기 케이스에 일정간격을 두고 3개의 고정 자성체가 나란하게 설치되며;중앙의 고정 자성체는 상기 시프트 레일이 중립위치로 이동되었을 때 상기 이동 자성체와 근접되도록 위치되고, 좌,우측 고정 자성체는 상기 시프트 레일이 좌,우측의 변속단 위치로 이동되었을 때 각각 상기 이동 자성체와 근접되도록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수동 변속기의 내부 구조가 도시된 단면도,
도 2는 종래 수동 변속기의 변속 조작 기구의 주요부가 도시된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수동 변속기의 변속 조작 기구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0 : 변속기 케이스 60 : 시프트 레일
65 : 디텐트 기구 70 : 이동 자성체
80 : 고정 자성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의한 수동 변속기의 변속 조작 기구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속기 케이스(50)에 내재되어 변속 레버(미도시 됨)의 조작에 따라 직선 이동되는 시프트 레일(60)의 일측 둘레에 자성을 갖는 이동 자성체(70)가 장착되고, 상기 시프트 레일(60)이 변속단 위치 및 중립 위치로 이동될 때 상기 이동 자성체(70)와 인력이 작용되어 변속 절도감이 형성되도록 상기 변속기 케이스(50)에 복수개 고정 자성체(80)가 설치되어 있다.
즉, 기어 변속시 상기 이동 자성체(70)의 이동 위치인 변속기 케이스(50)에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의 고정 자성체(80)가 설치되어, 상기 시프트 레일(60)이 이동될 때 상기 이동 자성체(70)와 고정 자성체(80) 사이에 인력이 작용하여 변속단 위치 및 중립 위치를 형성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이동 자성체(70)는 환형으로 형성되어 시프트 레일(60) 둘레에 고정되고, 상기 고정 자성체(80)는 변속기 케이스(50)에 일정 간격을 사이에 두고 3개가 나란히 위치되고, 가운데 위치된 것(80b)은 변속단 중립 위치를 형성하며, 양측에 위치된 것(80a,80c)은 변속단 결정 위치를 형성토록 배열되어 있으며, 상기 이동 자성체(70) 및 고정 자성체(80)의 적어도 일방은 자석으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시프트 레일(60) 상에는 종래 기술과 동일한 볼 및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디텐트 기구(65)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따른 수동 변속기의 변속 조작 기구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운전자가 변속 레버를 작동하여 하나의 변속단 위치에서 다른 변속단으로 기어 변속을 실시하게 되면 시프트 레일(60)은 한쪽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시프트 레일(60)에 설치된 이동 자성체(70)는 도 3을 참고하면 일측 고정 자성체(80a)와 근접되어 있다가 변속 레버의 조작력에 따른 시프트 레일(60)의 이동으로 이탈되면서 중립 위치인 가운데 고정 자성체(80b)와 근접되는 동시에 상호 당기는 힘이 작용되므로 중립 위치에 일시적으로 멈추게 된다. 이때, 시프트 레일(60)도 상기 이동 자성체(70)와 고정 자성체(80b)의 인력에 의해 좌우 이동이 제한되면서 변속 절도감을 형성하게 된다.
이후, 시프트 레일(60)에 다른 변속단으로 이동시키는 변속 레버의 조작력이 계속 작용하게 되므로 시프트 레일(60)은 한쪽 방향으로 더 이동되고 마찬가지로 이동 자성체(70)도 가운데 고정 자성체(80b)에서 멀어지고 타측의 고정 자성체(80c)에 가까워지면서 인력이 작용되어 최종 변속단 위치에 멈추게 된다.
따라서, 기어 변속시 시프트 레일(60)이 직선 이동될 때 이동 자성체(70)와 고정 자성체(80)의 상호 자성에 의해 변속단 위치 및 중립 위치가 형성되므로 걸림감이 최소화되면서도 변속 절도감은 확실하게 보장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본 고안의 수동 변속기의 변속 조작 기구는 시프트 레일의 일측 끝단과 변속기 케이스에 각각 자성체가 설치되어 시프트 레일 이동시 중립 위치 및 변속단 결정 위치를 형성하기 때문에 기어 변속시 변속 절도감 및 변속 조작감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Claims (1)

  1. 변속기 케이스에 내재되어 변속 레버의 조작에 따라 직선 이동되는 시프트 레일이 포함된 수동 변속기의 변속 조작 기구에 있어서,
    상기 시프트 레일의 일측 둘레에 자성을 갖는 이동 자성체가 장착되고, 상기 시프트 레일이 좌,우측의 변속단 위치 및 중앙의 중립 위치로 이동될 때 상기 이동 자성체와 인력이 작용되어 변속 절도감이 형성되도록 상기 변속기 케이스에 일정간격을 두고 3개의 고정 자성체가 나란하게 설치되며; 상기의 고정 자성체중에서 중앙의 고성 자성체는 상기 시프트 레일이 중립위치로 이동되었을 때 상기 이동 자성체와 가장 근접되도록 위치되고, 좌,우측 고정 자성체는 상기 시프트 레일이 좌,우측의 변속단 위치로 이동되었을 때 각각 상기 이동 자성체와 가장 근접되도록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변속기의 변속 조작 기구.
KR2019970028858U 1997-10-17 1997-10-17 수동변속기의변속조작기구 KR20021964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8858U KR200219645Y1 (ko) 1997-10-17 1997-10-17 수동변속기의변속조작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8858U KR200219645Y1 (ko) 1997-10-17 1997-10-17 수동변속기의변속조작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5552U KR19990015552U (ko) 1999-05-15
KR200219645Y1 true KR200219645Y1 (ko) 2001-04-02

Family

ID=538972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28858U KR200219645Y1 (ko) 1997-10-17 1997-10-17 수동변속기의변속조작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964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00304A (ko) * 2013-02-06 2014-08-14 에스엘 주식회사 변속 레버의 디턴트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00304A (ko) * 2013-02-06 2014-08-14 에스엘 주식회사 변속 레버의 디턴트 장치
KR102031830B1 (ko) 2013-02-06 2019-10-14 에스엘 주식회사 변속 레버의 디턴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5552U (ko) 1999-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09769A (en) Shift lock units for shift lever devices
KR200219645Y1 (ko) 수동변속기의변속조작기구
KR200162151Y1 (ko) 수동 변속기의 시프트 레일 위치 결정 기구
KR100259641B1 (ko) 수동변속기의변속조작기구
KR200184817Y1 (ko) 변속기의시프트레일절도기구
KR20050098518A (ko) 수동변속기의 변속조작기구
KR19980034487U (ko) 수동 변속기의 쉬프트 레일 지지구조
KR200171002Y1 (ko) 시트 삽입형 시프트 레일 위치 결정 기구
KR100270051B1 (ko) 수동 변속기의 백업 램프 스위치 구조
KR19990015554U (ko) 수동 변속기의 시프트 레일 디텐트 구조
KR100439985B1 (ko) 수동변속기의 변속조작장치
KR100323416B1 (ko) 수동 변속기의 중립 위치 설정 기구
KR0173994B1 (ko) 자동차용 수동 변속기의 변속장치
KR100188753B1 (ko) 자동차용 수동 변속기의 시프트 컨트롤 구조
KR100188862B1 (ko) 자동차용 수동 변속기의 중립 위치 규제장치
KR950000788Y1 (ko) 자동차의 후진 오동작 방지장치
KR0120239Y1 (ko) 자동차용 수동 변속기의 변속 조작기구
KR19990018071U (ko) 수동 변속기의 디텐트 기구
KR200185463Y1 (ko) 자동변속기 차량용 매뉴얼 컨트롤 레버구조
KR19990020808U (ko) 수동 변속기의 시프팅 장치
KR19980054657U (ko) 수동 변속기의 시프트 레버 절도감 향상 기구
KR20010094115A (ko) 수동 변속기의 변속 조작 장치
KR20050046397A (ko) 변속 조작 기구의 실렉트 리턴 장치
KR0137523Y1 (ko) 자동차용 백램프스위치 취부구조
JP2602884Y2 (ja) 副変速機付トランスミッションのハイ・ロー切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11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