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8071U - 수동 변속기의 디텐트 기구 - Google Patents

수동 변속기의 디텐트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8071U
KR19990018071U KR2019970031259U KR19970031259U KR19990018071U KR 19990018071 U KR19990018071 U KR 19990018071U KR 2019970031259 U KR2019970031259 U KR 2019970031259U KR 19970031259 U KR19970031259 U KR 19970031259U KR 19990018071 U KR19990018071 U KR 1999001807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ft
detent
manual transmission
control finger
detent mechanis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312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광금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20199700312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18071U/ko
Publication of KR1999001807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8071U/ko

Links

Landscapes

  • 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Change-Speed Gearing (AREA)
  • Gear-Shifting Mechanis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동 변속기의 디텐트 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변속 레버의 조작에 따라 시프트 레일을 직선 이동시켜 기어를 변속토록 설치된 콘트롤 핑거 후미에 복수개의 롤러를 이용한 디텐트 기구를 설치함으로써 변속 조작감이 향상되도록 한 수동 변속기의 디텐트 기구에 관한 것이다.
상기 본 고안은 변속 레버의 조작에 따라 콘트롤 샤프트와 연동되어 시프트 러그 및 시프트 레일을 직선 이동시켜 변속이 이루어지게 하는 콘트롤 핑거가 포함된 수동 변속기에 있어서, 상기 콘트롤 핑거(58)의 후미에 호형의 디텐트 홈(58a)을 형성하고, 상기 디텐트 홈(58a)에 복수개의 롤러(70)를 설치하여, 상기 콘트롤 샤프트(75)의 회전에 따라 콘트롤 핑거(58)가 회동될 때 스프링(74)에 의해 지지되는 디텐트 볼(72)이 복수 개의 롤러(70)와 구름 접촉되어 변속 절도감이 형성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수동 변속기의 디텐트 기구
본 고안은 수동 변속기의 디텐트 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변속 레버의 조작에 따라 시프트 레일을 직선 이동시켜 기어를 변속토록 설치된 콘트롤 핑거 후미에 복수개의 롤러를 이용한 디텐트 기구를 설치함으로써 변속 조작감이 향상되도록 한 수동 변속기의 디텐트 기구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구동력은 자동차에 실은 하물의 양과 도로의 상황 및 주행 속도 등에 따라서 크게 변화하므로, 이것에 대응하여 자동차에는 엔진의 동력을 적절한 구동력으로 변환시키기 위해 변속기를 설치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변속기는 엔진과 구동축의 사이에 설치되고 수동식 변속기와 자동 변속기 등이 있는 바, 상기 수동식 변속기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석 옆에 있는 변속 레버(1)의 동작에 따라 변속기(4)까지 연결된 시프트 케이블(2)과 셀렉터 케이블(3)이 움직이게 되고, 이 2개의 케이블(2,3)은 도 2에 도시된 시프트 레버(6)와 셀렉터 레버(5)를 움직여 변속이 이루어지게 된다.
즉, 상기 셀렉터 케이블(3)의 이동에 따라 셀렉터 레버(5)는 콘트롤 샤프트(7)를 상하로 움직이고, 콘트롤 샤프트(7)에 있는 콘트롤 핑거(8)는 5단/후진, 3단/4단, 1단/2단 등의 각 변속단의 시프트 러그(9)를 선택하게 된다.
또한, 상기 시프트 케이블(2)을 움직이면 시프트 레버(6)가 좌우로 움직이고, 상기 콘트롤 핑거(8)는 1,3,5단 및 중립, 그리고 2,4,후진 쪽으로 시프트 러그(9)를 움직이며, 이 시프트 러그(9)는 시프트 레일(10)에 시프트 포크(11)와 함께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결국 시프트 포크(11)가 싱크로나이저 슬리브(미도시)를 움직여 변속이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한 수동 변속기의 변속 조작기구에는 변속 레버 조작시 변속 절도감을 형성하기 위해 디텐트 기구가 설치되는 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프트 레일(10)상에 설치된 것과,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트롤 핑거(8') 후미에 설치된 것이 있다.
즉, 도 3a에서는 시프트 레일(10)상에 3개의 그루브(10a)가 형성되어 있고, 이 그루브(10a)에 형합되도록 변속기 케이스의 홈(13)에 지지되는 디텐트 볼(11) 및 스프링(12)이 설치되어 변속 레버 조작에 따라 콘트롤 핑거(8)가 콘트롤 샤프트(7)를 중심으로 좌우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시프트 러그(9)를 통해 시프트 레일(10)이 축방향으로 왕복 운동하게 되고, 이때 상기 디텐트 볼(11)이 스프링(12)의 탄발력을 받으면서 시프트 레일(10)의 이동위치를 결정하게 된다.
또한, 도 3b에서는 콘트롤 핑거(8') 후미에 3개의 그루브(8a')를 형성하고, 여기에 형합되는 디텐트 볼(11') 및 스프링(12')을 지지 홈(13')에 지지되게 함으로써 콘트롤 샤프트(7') 회전시 디텐트 볼(11')이 콘트롤 핑거(8')의 회전 위치를 결정하여 시프트 러그(9') 및 시프트 레일(10')의 축방향 이동을 보다 확실히 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수동 변속기의 디텐트 기구는 시프트 레일이나 콘트롤 핑거에 디텐트 볼 및 스프링이 설치되어 변속 절도감을 형성시키지만 디텐트 볼(11,11')이 그루브(10a,8a')에서 구름 접촉되면서도 금속성 스프링(12,12')의 탄성력에 의해 그루브(10a,8a')와 미끄럼 접촉도 이루어지기 때문에 보다 향상된 변속 조작감을 갖는데는 한계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콘트롤 핑거의 후미에 두 개의 롤러를 설치하여 디텐트 볼이 확실하게 구름 접촉되면서 디텐트 위치를 결정토록 함으로써 디텐트 기구의 마찰이 최소화되어 변속 조작감이 향상되도록 한 수동 변속기의 디텐트 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의 수동 변속기의 디텐트 기구는, 변속 레버의 조작에 따라 콘트롤 샤프트와 연동되어 시프트 러그 및 시프트 레일을 직선 이동시켜 변속이 이루어지게 하는 콘트롤 핑거가 포함된 수동 변속기에 있어서, 상기 콘트롤 핑거의 후미에 호형의 디텐트 홈을 형성하고, 상기 디텐트 홈에 복수개의 롤러를 설치하여, 상기 콘트롤 샤프트의 회전에 따라 콘트롤 핑거가 회동될 때 스프링에 의해 지지되는 디텐트 볼이 복수 개의 롤러와 구름 접촉되어 변속 절도감이 형성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수동 변속기 외부의 변속 조작 기구가 도시된 사시도,
도 2는 수동 변속기 내부의 변속 조작 기구가 도시된 사시도,
도 3은 종래 수동 변속기의 디텐트 기구가 도시된 도면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수동 변속기의 디텐트 기구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7 : 콘트롤 샤프트 58 : 콘트롤 핑거
58a : 디텐트 홈 59 : 시프트 러그
60 : 시프트 레일 70 : 롤러
72 : 디텐트 볼 74 : 스프링
76 : 지지홈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의한 수동 변속기의 디텐트 기구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속 레버(미도시 됨)의 조작에 따라 콘트롤 샤프트(57)와 연동되어 시프트 러그(59) 및 시프트 레일(60)을 직선 이동시켜 변속이 이루어지게 하는 콘트롤 핑거(58)의 후미에 호형의 디텐트 홈(58a)을 형성하고, 상기 디텐트 홈(58a)에 콘트롤 샤프트(57) 방향으로 복수개의 롤러(70)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콘트롤 핑거(58)의 후미측의 지지홈(76)에 스프링(74) 및 디텐트 볼(72)을 설치하여, 상기 디텐트 볼(72)이 상기 콘트롤 샤프트(57)의 회전에 따라 콘트롤 핑거(58)가 회동될 때 상기 복수 개의 롤러(70)와 구름 접촉되면서 변속 절도감을 형성토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따른 수동 변속기의 디텐트 기구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변속 레버의 조작으로 콘트롤 샤프트(57)가 회전하게 되면 콘트롤 핑거(58)도 회전하면서 시프트 러그(59) 및 시프트 레일(60)을 왕복 운동시키면서 기어 변속을 실시하게 된다.
이때, 상기 콘트롤 핑거(58) 후미에 복수개의 롤러(70) 및 디텐트 볼(72)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콘트롤 핑거(58)가 회전하게 되면 상기 디텐트 볼(72)이 스프링(74)의 탄발력에 받으면서 상기 롤러(70)에 구름 접촉되게 된다.
즉, 도 4에서와 같이 디텐트 볼(72)이 두 개의 롤러(70) 사이에 위치된 중립 상태에서 콘트롤 핑거(58)가 일측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디텐트 볼(72)이 롤러(70)와 구름 접촉되면서 롤러(70)의 한쪽으로 이동하여 변속 위치를 결정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변속단이 결정된 상태에서 콘트롤 핑거(58)가 중립 위치로 회전하면 디텐트 볼(72)이 롤러(70)와 구름 접촉되면서 두 개의 롤러(70) 사이에 위치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디텐트 볼(72)이 금속성 스프링(74)에 의해 회전력이 제한 받더라도 롤러(70)가 콘트롤 핑거(58)의 디텐트 홈(58a)내에서 회전하게 되므로 상기 디텐트 볼(72) 과 롤러(70)는 항상 구름 접촉되면서 변속 위치를 결정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본 고안의 수동 변속기의 디텐트 기구는 콘트롤 핑거(58)의 후미에 복수개의 롤러(70)가 설치되어 변속 조작시 디텐트 볼(72)이 구름 접촉되기 때문에 변속 저항감이 최소화될 뿐아니라 변속 조작감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Claims (1)

  1. 변속 레버의 조작에 따라 콘트롤 샤프트와 연동되어 시프트 러그 및 시프트 레일을 직선 이동시켜 변속이 이루어지게 하는 콘트롤 핑거가 포함된 수동 변속기에 있어서,
    상기 콘트롤 핑거의 후미에 호형의 디텐트 홈을 형성하고, 상기 디텐트 홈에 복수개의 롤러를 설치하여, 상기 콘트롤 샤프트의 회전에 따라 콘트롤 핑거가 회동될 때 스프링에 의해 지지되는 디텐트 볼이 복수 개의 롤러와 구름 접촉되어 변속 절도감이 형성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변속기의 디텐트 기구.
KR2019970031259U 1997-11-06 1997-11-06 수동 변속기의 디텐트 기구 KR1999001807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1259U KR19990018071U (ko) 1997-11-06 1997-11-06 수동 변속기의 디텐트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1259U KR19990018071U (ko) 1997-11-06 1997-11-06 수동 변속기의 디텐트 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8071U true KR19990018071U (ko) 1999-06-05

Family

ID=696913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31259U KR19990018071U (ko) 1997-11-06 1997-11-06 수동 변속기의 디텐트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18071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3073B1 (ko) * 2006-08-21 2008-02-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수동 변속기 차량의 시프트 변속감 향상을 위한 디텐트기구
KR101345837B1 (ko) * 2012-06-20 2013-12-30 현대위아 주식회사 중립 및 후진 위치 검출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3073B1 (ko) * 2006-08-21 2008-02-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수동 변속기 차량의 시프트 변속감 향상을 위한 디텐트기구
KR101345837B1 (ko) * 2012-06-20 2013-12-30 현대위아 주식회사 중립 및 후진 위치 검출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90018071U (ko) 수동 변속기의 디텐트 기구
KR100368650B1 (ko) 수동 변속기의 변속 조작장치
KR200162151Y1 (ko) 수동 변속기의 시프트 레일 위치 결정 기구
KR100379634B1 (ko) 수동변속기의 시프트 레일 어셈블리
KR100558299B1 (ko) 차량의 변속작동장치
KR100259641B1 (ko) 수동변속기의변속조작기구
KR200184817Y1 (ko) 변속기의시프트레일절도기구
KR200294548Y1 (ko) 수동 변속기의 변속 조작기구
KR19980056862A (ko) 차량용 수동 변속기의 변속 조작 장치
KR100522871B1 (ko) 수동 변속기의 콘트롤 샤프트 디텐트 구조
KR20070049430A (ko) 수동 변속기의 콘트롤 샤프트 디텐트 구조
KR20110109583A (ko) 수동변속기의 변속레버 중립 위치 결정 장치
KR19990020808U (ko) 수동 변속기의 시프팅 장치
KR100506995B1 (ko) 수동 변속기의 변속 조작 가이드 기구
KR100471859B1 (ko) 수동변속기의 컨트롤 핑거
KR102465902B1 (ko) 수동변속기의 변속조작기구
KR100323416B1 (ko) 수동 변속기의 중립 위치 설정 기구
KR200219645Y1 (ko) 수동변속기의변속조작기구
KR20210072565A (ko) 수동변속기의 변속조작장치
KR100439985B1 (ko) 수동변속기의 변속조작장치
KR100642545B1 (ko) 수동변속기의 변속조작기구
KR100188753B1 (ko) 자동차용 수동 변속기의 시프트 컨트롤 구조
KR950011260B1 (ko) 자동차용 수동 변속기의 변속장치
KR20060021639A (ko) 수동변속기의 변속조작기구
KR100218804B1 (ko) 수동 변속기용 변속조작기구의 록킹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