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00304A - 변속 레버의 디턴트 장치 - Google Patents

변속 레버의 디턴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00304A
KR20140100304A KR1020130013454A KR20130013454A KR20140100304A KR 20140100304 A KR20140100304 A KR 20140100304A KR 1020130013454 A KR1020130013454 A KR 1020130013454A KR 20130013454 A KR20130013454 A KR 20130013454A KR 20140100304 A KR20140100304 A KR 201401003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
shift lever
magnets
moving magnet
fixed magne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34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31830B1 (ko
Inventor
김동재
Original Assignee
에스엘 주식회사
주식회사 에스엘 서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엘 주식회사, 주식회사 에스엘 서봉 filed Critical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134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1830B1/ko
Publication of KR201401003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03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18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18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3/0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 F16H63/02Final output mechanisms therefor; Actuating means for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8Det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3/0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 F16H63/02Final output mechanisms therefor; Actuating means for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04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final output mechanisms the final output mechanisms comprising elements moved by electrical or magnetic for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Change-Speed Gea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변속 레버의 디턴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변속 레버의 조작감을 개선하면서도 운전자의 적절한 변속 조작과 변속 레버의 정확한 변속 위치를 유도할 수 있는 변속 레버의 디턴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변속 레버의 디턴트 장치는 변속 레버의 일단에 결합되는 이동 마그넷, 상기 변속 레버의 회전에 따라 선택되는 변속단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이동 마그넷과 인접하도록 고정 설치되는 복수의 고정 마그넷, 및 상기 고정 마그넷 및 상기 복수의 고정 마그넷 중 하나 이상의 적어도 일측에 구비되는 자화 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변속 레버의 디턴트 장치 {Detent for shift lever}
본 발명은 변속 레버의 디턴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변속 레버의 조작감을 개선하면서도 운전자의 적절한 변속 조작과 변속 레버의 정확한 변속 위치를 유도할 수 있는 변속 레버의 디턴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용 변속 장치는 차량의 속도에 따라 엔진의 회전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기어비를 달리하도록 할 수 있으며, 운전자는 변속 장치(Transmission)의 기어비를 바꾸기 위하여 변속 장치에 있는 변속 레버(Shift lever)를 조작할 수 있다. 이러한 차량용 변속 장치의 변속 모드로는 운전자가 변속단을 바꿀 수 있는 수동 변속 모드와 운전자가 주행 모드(D)을 선택시에 속도에 따라 자동으로 변속단이 바뀌는 자동 변속 모드가 있다.
이와 함께, 하나의 변속 장치에서 수동 변속과 자동 변속을 수행할 수 있는 스포츠 모드형 변속 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스포츠 모드형 변속 장치는 원칙적으로 자동 변속을 수행하면서, 운전자가 기어의 단수를 높이거나 낮추어서 수동 변속을 수행하거나 수동 변속을 하는 변속 장치 옆에 자동 변속을 할 수 있는 변속 장치를 구비하여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차량용 변속 장치는 운전자의 적절한 변속 조작을 유도하고 변속 레버의 정확한 작동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디턴트 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일반적인 디턴트 장치는 디턴트 홈과 디턴트 홈에 끼워지는 볼, 볼이 디턴트 홈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 등으로 구성되어 운전자가 변속 레버를 조작할 때 볼이 디턴트 홈을 따라 이동하면서 디턴트 홈과 볼이 규정하는 적절한 위치로 변속 레버의 조작이 이루어지도록 유도하고, 운전자가 변속 레버를 조작할 때 조작감을 제공하게 된다.
그러나, 디턴트 홈과 볼과 같은 기계적인 디턴트 장치의 경우 접촉식이기 때문에 구성 요소들간의 마찰로 인하여 작동 소음 및 마모가 증가하여 디턴트 장치의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디턴트 장치의 작동 소음이나 마찰을 줄이면서도 조작감을 개선하고 변속 레버의 정확한 작동성을 제공하기 위한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02-0038901호 (2002.05.24)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변속 레버에 회전에 따라 이동되는 이동 마그넷과 변속 레버에 의해 선택되는 변속단에 대응하는 위치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 마그넷 사이에 자력 발생 면적을 증가시켜 조작감을 개선시킬 수 있는 변속 레버의 디턴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이동 마그넷과 고정 마그넷에 의한 비접촉 방식을 사용하여 작동 소음이나 마모를 감소시킬 수 있는 변속 레버의 디턴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이동 마그넷 및 고정 마그넷 중 하나 이상에 자화 부재를 구비하여 자력을 보강할 수 있는 변속 레버의 디턴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변속단에 따라 복수의 고정 마그넷이 설치된 경우, 각 고정 마그넷 사이를 이동 마그넷이 이동할 때 자력이 일시적으로 상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변속 레버의 디턴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변속 레버의 디턴트 장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변속 레버의 디턴트 장치는 변속 레버의 일단에 결합되는 이동 마그넷, 상기 변속 레버의 회전에 따라 선택되는 변속단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이동 마그넷과 인접하도록 고정 설치되는 복수의 고정 마그넷, 및 상기 고정 마그넷 및 상기 복수의 고정 마그넷 중 하나 이상의 적어도 일측에 구비되는 자화 부재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변속 레버의 디턴트 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변속 레버의 회전에 따라 이동하는 이동 마그넷 및 변속 레버의 회전에 따라 선택되는 변속단에 대응하는 위치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 마그넷 사이에 발생하는 자력을 통한 비접촉식 방식을 사용하기 때문에 작동 소음이나 마모가 감소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동 마그넷 및 고정 마그넷 사이의 대향면의 형상이 복수의 평면 또는 복수의 곡면 또는 하나 이상의 평면 및 곡면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자력 발생 면적을 증가시킴으로써 자력의 크기를 증가시켜 조작감을 개선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이동 마그넷 및 고정 마그넷 중 하나 이상에 자화 부재를 형성함으로써 이동 마그넷 및 고정 마그넷 사이에서 발생되는 자력을 보강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변속단에 따라 복수의 고정 마그넷이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된 경우, 복수의 고정 마그넷 사이에 보강 마그넷을 설치하여 이동 마그넷이 복수의 고정 마그넷 사이를 이동할 때 이격된 간격으로 인하여 일시적으로 자력이 상실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 장치의 외관이 도시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변속 레버의 디턴트 장치가 도시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변속 레버의 디턴트 장치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마그넷 및 고정 마그넷이 도시된 사시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마그넷 및 고정 마그넷이 도시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화 부재가 도시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변속 레버의 디턴트 장치가 도시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변속 레버의 디턴트 장치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공정 단계들, 잘 알려진 구조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의미로 사용한다. 그리고,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사시도, 단면도, 측면도 및/또는 개략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도시된 각 도면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고려하여 다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된 것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변속 레버의 디턴트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 장치의 외관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 장치(1)는 변속 레버(100) 및 변속 레버(100)의 일측을 감싸는 형태로서, 변속 레버(100)뿐만 아니라 변속단을 선택하기 위한 기능이나 특정 상황에서 변속 레버(100)의 이동을 차단하는 시프트 록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 요소들을 보호하는 베이스 브라켓(200)을 포함할 수 있다.
변속 레버(100)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일측으로 회전하여 변속단을 선택할 수 있으며, 변속 레버(100)의 일단에는 손잡이의 역할을 하는 노브(Knob)(110)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운전자는 노브(110)를 잡고 일방향으로 힘을 가함으로써 변속 레버(100)를 이동시켜 원하는 변속단을 선택할 수 있다. 이때, 변속 레버(100)가 이동하거나 회전한다는 표현은 바라보는 관점에 따라 달라지는 것으로서, 변속 레버(100)가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경우라도 운전자의 관점에서는 변속 레버(100)를 잡고 힘을 가하여 일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전술한 차량용 변속 장치(1)는 운전자가 변속 레버(100)를 조작할 때 정확한 변속 위치로 변속 레버(100)를 유도하고 적절한 변속 조작감을 제공할 수 있는 디턴트 장치가 구비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변속 조작감을 개선하고 작동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변속 레버의 디턴트 장치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변속 레버의 디턴트 장치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변속 레버의 디턴트 장치(300)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변속단을 선택하는 변속 레버(100)의 일단에 결합되는 이동 마그넷(310), 변속 레버(100)의 회전에 따라 선택되는 변속단에 대응하는 위치에 고정 설치되는 복수의 고정 마그넷(321, 322, 323), 및 이동 마그넷(310) 및 복수의 고정 마그넷(321, 322, 323)의 적어도 일측에 구비되는 자화 부재(3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마그넷(310)은 변속 레버(100)의 하단에 형성된 결합부(120)에 결합될 수 있으며, 이동 마그넷(310) 및 결합부(120)에는 볼트나 스크류 등의 결합 부재(130)가 관통하는 관통 홀(311, 131)이 각각 형성되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동 마그넷(310) 및 결합부(120)가 결합 부재(130)를 통해 결합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후크 결합이나 슬라이딩 결합 등과 같은 다양한 결합 방식이 사용될 수도 있다.
복수의 고정 마그넷(321, 322, 323)은 변속 레버(100)의 회전에 따라 선택되는 변속단에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고정 설치될 수 있으며, 이동 마그넷(310)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고정 마그넷(321, 322, 323)을 각각 제 1고정 마그넷(321), 제 2고정 마그넷(322) 및 제 3고정 마그넷(323)이라 칭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고정 마그넷(321, 322, 323)으로서 3개의 마그넷이 사용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나, 복수의 고정 마그넷(321, 322, 323)의 개수나 각 고정 마그넷(321, 322, 323)에 대응되는 변속단은 변속 모드(예를 들어, 자동 모드 또는 수동 모드 등)나 변속 패턴 등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제 1 내지 제 3고정 마그넷(321, 322, 323)은 변속 레버(100)의 회전에 따른 이동 마그넷(310)의 이동 궤적 상에 서로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변속 레버(100)가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변속단을 선택하기 때문에 이동 마그넷(310)의 이동 궤적은 소정의 곡률을 가질 수 있으며, 제 1 내지 제 3고정 마그넷(321, 322, 323)도 그에 따른 곡률을 가지면서 서로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고정 설치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제 1 내지 제 3고정 마그넷(321, 322, 323)은 서로 다른 각도로 고정 설치될 수 있는데, 이는 이동 마그넷(310)이 소정 곡률을 가지며 이동하기 때문에 이동 마그넷(310)이 제 1 내지 제 3고정 마그넷(321, 322, 323)이 설치된 위치로 이동하였을 때 이동 마그넷(310)과 제 1 내지 제 3고정 마그넷(321, 322, 323)이 각각 서로 평행하게 위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다시 말해서, 제 1 내지 제 3고정 마그넷(321, 322, 323)이 서로 평행하게 고정 설치된다면, 소정 곡률을 가지며 이동하는 이동 마그넷(310)과 제 1 내지 제 3고정 마그넷(321, 322, 323)이 서로 엇갈리게 위치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고, 이로 인해 원하는 크기의 자력이 발생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변속 레버(100)가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변속 레버(100)가 회전하지 않고 일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이동 마그넷(310)의 이동 궤적은 수평하게 되고, 그에 따라 제 1 내지 제 3고정 마그넷(321, 322, 323)도 서로 다른 각도가 아닌 서로 평행하게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전술한 이동 마그넷(310)과 제 1 내지 제 3고정 마그넷(321, 322, 323)은 서로 인력 및 척력이 작용하여 이동 마그넷(310)을 정확한 변속 위치로 유도하고 적절한 변속 조작감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변속 위치의 유도와 변속 조작감은 이동 마그넷(310) 및 제 1 내지 제 3고정 마그넷(321, 322, 323) 사이에 발생하는 자력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이동 마그넷(310) 및 제 1 내지 제 3고정 마그넷(321, 322, 323)에서 마주보는 면은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이동 마그넷(310)이 변속 레버(100)의 회전에 따라 이동할 때 물리적으로 간섭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제 1 내지 제 3고정 마그넷(321, 322, 323)은 지지부(340)에 고정 설치될 수 있으며, 지지부(340)는 제 1 내지 제 3고정 마그넷(321, 322, 323)의 일측 둘레, 예를 들어 외측 둘레가 삽입될 수 있는 복수의 삽입 홈(341a, 341b, 341c), 및 제 1 내지 제 3고정 마그넷(321, 322, 323)의 외측에 각각 형성된 고정 홈(321a, 322a, 323a)에 삽입되는 고정 돌기(342a, 342b, 342c)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동 마그넷(310) 및 제 1 내지 제 3고정 마그넷(321, 322, 323)이 마주보는 면(이하, "대향면"이라 함)은 복수의 평면, 복수의 곡면, 및 하나 이상의 평면과 곡면의 조합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복수의 평면은 서로 평행하지 않는 복수의 대향면을 의미하고, 복수의 곡면이란 곡면의 곡률에 의해 형성되는 원의 중심이나 곡률이 서로 다른 복수의 대향면을 의미하며, 하나 이상의 평면과 곡면의 조합이란 대향면이 평면과 곡면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경우를 의미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이동 마그넷(310) 및 제 1 내지 제 3고정 마그넷(321, 322, 323)의 대향면이 수평하지 않고 전술한 평면 및 곡면 중 하나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것은 이동 마그넷(310) 및 제 1 내지 제 3고정 마그넷(321, 322, 323) 사이에서 자력 발생 면적을 상대적으로 증가시킴으로써 자력의 크기를 보다 강하게 하여 조작감이 개선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마그넷 및 고정 마그넷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이때, 도 4에서는 전술한 제 1 내지 제 3고정 마그넷(321, 322, 323) 중 제 2고정 마그넷(322)을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며, 나머지 제 1 및 제 3고정 마그넷(321, 323)도 제 2고정 마그넷(322)과 변속단에 따른 설치 위치에서 차이가 있을 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마그넷(310) 및 제 2고정 마그넷(322)은, 이동 마그넷(310)의 일부가 돌출되어 제 2고정 마그넷(322)의 함몰된 부분에 삽입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이동 마그넷(310) 및 제 2고정 마그넷(322)의 대향면 형상은 측면에서 보았을 때 복수의 평면으로 이루어지는 대략 "T"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이동 마그넷(310) 및 제 2고정 마그넷(322)의 대향면 형상이 복수의 평면으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대향면 형상이 단순히 수평한 형상인 경우에 비하여 자력 발생 면적이 증가할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해 이동 마그넷(310) 및 제 2고정 마그넷(322) 사이에 발생되는 자력의 크기가 강해져 조작감을 개선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전술한 도 4에서는 이동 마그넷(310) 및 제 2고정 마그넷(322)의 대향면 형상이 "T"자 형상인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 1마그넷(310) 및 제 2고정 마그넷(322)의 대향면 형상이 수평인 경우에 비하여 자력 발생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는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마그넷 및 고정 마그넷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이때, 도 5 및 도 6도 전술한 도 4와 같이 이동 마그넷(310) 및 제 2고정 마그넷(322)을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이동 마그넷(310) 및 제 2고정 마그넷(322)의 대향면 형상이 "
Figure pat00001
"자 형상을 가지는 경우의 일 예이며, 도 6은 이동 마그넷(310) 및 제 2고정 마그넷(322)의 대향면 형상이 "士"자 형상을 가지는 경우의 일 예이다.
전술한 도 4 내지 도 6에서는 이동 마그넷(310) 및 제 2고정 마그넷(322)의 대향면이 서로 평행하지 않은 둘 이상의 평면을 포함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전술한 바와 같이 대향면 형상은 평면 및 곡면 중 하나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도 4 내지 도 6에서는 이동 마그넷(310) 및 제 2고정 마그넷(322)을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제 1 및 제 3마그넷(321, 323)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이동 마그넷(310) 및 제 1 내지 제 3마그넷(321, 322, 323)의 적어도 일측에는 자화 부재(330)가 장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자화 부재(330)는 자화가 용이한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이동 마그넷(310)에 구비된 자화 부재(330)를 이동 자화 부재(331), 제 1 내지 제 3 고정 마그넷(321, 322, 323)에 구비된 자화 부재(330)를 각각 제 1 내지 제 3고정 자화 부재(332a, 332b, 332c)라 칭하기로 한다.
전술한 이동 자화 부재(331) 및 제 1 내지 제 3고정 자화 부재(332a, 332b, 332c)는 각각 이동 마그넷(310) 및 제 1 내지 제 3고정 마그넷(331, 322, 323)에 의해 발생되는 자력과 더불어 추가적으로 자력을 보강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자력이 필요없을 때에는 생략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동 마그넷(310) 및 제 1 내지 제 3고정 마그넷(321, 322, 323)의 양측에 각각 이동 자화 부재(331) 및 제 1 내지 제 3고정 자화 부재(332a, 332b, 332c)가 모두 구비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자화 부재(330)가 형성되는 마그넷이나 방향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동 마그넷(310)과 제 1 내지 제 3고정 마그넷(331, 322, 323)의 대향면 형상이 전술한 전술한 도 2 내지 도 4와 같이 "T"자 형상인 경우에 자화 부재(330)가 구비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이동 마그넷(310)과 제 1 내지 제 3고정 마그넷(331, 322, 323)의 대향면 형상이 전술한 도 5 및 도 6과 같이 다양한 형상을 가지는 경우에도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으며, 자화 부재(330)의 형상은 자화 부재(330)가 구비되는 대상, 즉 마그넷의 형상에 따라 정해질 수 있다.
전술한 자화 부재(330)는 이동 마그넷(310) 및 제 1 내지 제 3고정 마그넷(331, 322, 323) 사이에서 발생하는 자력의 강도를 보강하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이동 마그넷(310) 및 제 1 내지 제 3고정 마그넷(331, 322, 323) 사이에서 발생시키려는 자력의 크기에 따라 그 규격, 예를 들어 두께 등이 달라질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이동 마그넷(310) 및 제 1 내지 제 3고정 마그넷(321, 322, 323)은 이동 마그넷(310)의 이동을 위해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위치하게 되는데, 전술한 이동 마그넷(310) 및 제 1 내지 제 3고정 마그넷(321, 322, 323)의 이격 간격과 자화 부재(330)들간의 이격 간격은 서로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동 마그넷(310) 및 제 1 내지 제 3고정 마그넷(321, 322, 323)의 이격 간격이 자화 부재(330)들간의 이격 간격보다 큰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예를 들어, 도 7과 같이 이동 마그넷(310) 및 제 2고정 마그넷(322)의 이격 간격을 d1이라 하고, 이동 자화 부재(331) 및 제 2고정 자화 부재(332b)의 이격 간격을 d2라 하면, d1이 d2보다 크도록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d1>d2가 되도록 하는 것은 이동 마그넷(310) 및 제 2고정 마그넷(322) 사이에서 보다 효율적으로 자력을 발생시키기 위하여 다양한 실험을 거쳐 얻어진 하나의 결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구조나 자력 등을 고려하여 d1와 d2는 동일해질 수도 있고, d2가 d1보다 크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내지 제 3고정 마그넷(321, 322, 323)은 지지부(340)에 서로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고정 설치되는 것을 알 수 있는데, 제 1 내지 제 3고정 마그넷(321, 322, 323)의 이격 간격은 변속 모드나 변속 패턴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때, 제 1 내지 제 3고정 마그넷(321, 322, 323) 각각이 이격 간격이 멀어지게 되는 경우 이동 마그넷(310)이 제 1 내지 제 3고정 마그넷(321, 322, 323) 사이를 이동할 때 멀어진 간격으로 인하여 자력이 일시적으로 끊어지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자력이 끊어지게 되면 일시적으로 조작감이 상실되어 조작감이 저하되고 오조작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제 1 내지 제 3고정 마그넷(321, 322, 323) 사이에서 자력이 끊기지 않고 지속적으로 발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변속 레버의 디턴트 장치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변속 레버의 디턴트 장치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며, 도 8 및 도 9는 전술한 바와 같이 이동 마그넷(310)이 제 1 내지 제 3고정 마그넷(321, 322, 323) 사이를 이동할 때 자력이 일시적으로 끊기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는 경우의 일 예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변속 레버의 디턴트 장치(300)는 전술한 도 2 및 도 3과 전체적으로 유사하게 구성되나 제 1 내지 제 3고정 마그넷(321, 322, 323) 사이에 복수의 보강 마그넷(351, 352)이 추가적으로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보강 마그넷(351, 352)은 전술한 제 1 내지 제 3고정 마그넷(321, 322, 323)과 유사하게 지지부(340)에 고정 설치될 수 있으며, 지지부(340)는 복수의 보강 마그넷(351, 352)의 일측 둘레, 예를 들어 외측 둘레가 삽입되는 삽입 홈(343a, 343b)과 복수의 보강 마그넷(351, 352) 외측에 형성된 고정 홈(351a, 352b)에 삽입되는 고정 돌기(344a, 344b)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보강 마그넷(351, 352)은 각각 제 1고정 마그넷(321) 및 제 2고정 마그넷(322) 사이와 제 2고정 마그넷(322) 및 제 3고정 마그넷(323) 사이에 고정 설치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 1 내지 제 3고정 마그넷(321, 322, 323)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일측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보강 마그넷(351, 352)이 각각 하나의 마그넷으로 구성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둘 이상의 마그넷으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복수의 보강 마그넷(351, 352)의 두께는 이동 마그넷(310) 및 제 1 내지 제 3고정 마그넷(321, 322, 323) 사이에서 자력이 끊어지지 않도록 하는 조건 하에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으며, 이동 마그넷(310) 및 제 1 내지 제 3고정 마그넷(321, 322, 323) 사이에서 자력이 끊어지지 않는다면 생략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변속 레버의 디턴트 장치(300)는 이동 마그넷(310) 및 제 1 내지 제 3고정 마그넷(321, 322, 323) 사이에 발생되는 자력을 통한 비접촉식 방식을 사용하여 변속 조작감을 제공하고 변속 레버의 정확한 작동성을 보장할 수 있기 때문에 작동 소음이나 마모 등이 발생하지 않아 수명이 증가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자화 부재(300)나 보강 마그넷(351, 352)를 통하여 자력을 보강하거나 자력의 끊김을 방지하여 변속 조작감을 개선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변속 레버
110: 노브
200: 베이스 브라켓
310: 이동 마그넷
321, 322, 323: 고정 마그넷
330: 자화 부재
340: 지지부
351, 352: 보강 마그넷

Claims (13)

  1. 변속 레버의 일단에 결합되는 이동 마그넷;
    상기 변속 레버의 회전에 따라 선택되는 변속단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이동 마그넷과 인접하도록 고정 설치되는 복수의 고정 마그넷; 및
    상기 고정 마그넷 및 상기 복수의 고정 마그넷 중 하나 이상의 적어도 일측에 구비되는 자화 부재를 포함하는 변속 레버의 디턴트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변속 레버의 일단에는 결합부가 형성되며,
    상기 이동 마그넷은,
    상기 결합부와 결합되는 변속 레버의 디턴트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마그넷 및 상기 결합부에는,
    결합 부재가 관통하는 결합 홀이 각각 형성되는 변속 레버의 디턴트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고정 마그넷은,
    상기 이동 마그넷과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이동 마그넷 및 상기 복수의 고정 마그넷이 마주보는 면의 형상은,
    복수의 평면 또는 복수의 곡면 또는 하나 이상의 평면 및 곡면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변속 레버의 디턴트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마그넷 및 상기 복수의 고정 마그넷이 이격된 간격은,
    상기 이동 마그넷 및 상기 복수의 고정 마그넷에 각각 구비된 상기 자화 부재 사이의 이격된 간격과 상이한 변속 레버의 디턴트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마그넷 및 상기 복수의 고정 마그넷이 이격된 간격은,
    상기 이동 마그넷 및 상기 복수의 고정 마그넷에 각각 구비된 상기 자화 부재 사이의 이격된 간격보다 큰 변속 레버의 디턴트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화 부재는,
    금속 재질인 변속 레버의 디턴트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고정 마그넷이 서로 일정 간격으로 고정 설치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변속 레버의 디턴트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복수의 고정 마그넷의 일측이 삽입되는 복수의 삽입 홈; 및
    상기 삽입 홈에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고정 마그넷 외측에 형성된 고정 홈에 삽입되는 고정 돌기를 포함하는 변속 레버의 디턴트 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저면은,
    상기 변속 레버의 회전시 상기 이동 마그넷의 이동 궤적에 따른 곡률을 가지며,
    상기 복수의 마그넷은,
    상기 지지부 저면의 곡률에 따라 서로 다른 각도로 설치되는 변속 레버의 디턴트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고정 마그넷 중 하나 이상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보강 마그넷을 더 포함하는 변속 레버의 디턴트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마그넷은,
    상기 복수의 고정 마그넷이 설치되는 지지부에 형성된 삽입 홈에 삽입되며,
    상기 삽입 홈에는,
    상기 보강 마그넷의 외측에 형성된 고정 홈에 삽입되는 고정 돌기가 형성되는 변속 레버의 디턴트 장치.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마그넷은,
    상기 이동 마그넷이 상기 보강 마그넷 양측에 각각 위치한 고정 마그넷 사이를 이동할 때 자력 유지되도록 하는 변속 레버의 디턴트 장치.
KR1020130013454A 2013-02-06 2013-02-06 변속 레버의 디턴트 장치 KR1020318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3454A KR102031830B1 (ko) 2013-02-06 2013-02-06 변속 레버의 디턴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3454A KR102031830B1 (ko) 2013-02-06 2013-02-06 변속 레버의 디턴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0304A true KR20140100304A (ko) 2014-08-14
KR102031830B1 KR102031830B1 (ko) 2019-10-14

Family

ID=517462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3454A KR102031830B1 (ko) 2013-02-06 2013-02-06 변속 레버의 디턴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183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7039A (ko) * 2016-11-29 2019-07-02 알프스 알파인 가부시키가이샤 조작 장치 및 그 조작 장치를 이용한 차량용 시프트 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9645Y1 (ko) * 1997-10-17 2001-04-02 이계안 수동변속기의변속조작기구
KR20020038901A (ko) 2000-11-18 2002-05-24 류정열 자동차의 자동변속레버 멈춤구조
KR200401324Y1 (ko) * 2005-09-01 2005-11-15 김종도 자력 처리 기구
JP2008170003A (ja) * 2006-12-12 2008-07-24 Teleflex Automotive France Sas ギアボックス制御装置
KR20120017541A (ko) * 2010-08-19 2012-02-29 기아자동차주식회사 변속레버 디텐트 장치
JP2012121551A (ja) * 2010-12-09 2012-06-28 Hyundai Motor Co Ltd 車両の変速操作装置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9645Y1 (ko) * 1997-10-17 2001-04-02 이계안 수동변속기의변속조작기구
KR20020038901A (ko) 2000-11-18 2002-05-24 류정열 자동차의 자동변속레버 멈춤구조
KR200401324Y1 (ko) * 2005-09-01 2005-11-15 김종도 자력 처리 기구
JP2008170003A (ja) * 2006-12-12 2008-07-24 Teleflex Automotive France Sas ギアボックス制御装置
KR20120017541A (ko) * 2010-08-19 2012-02-29 기아자동차주식회사 변속레버 디텐트 장치
KR101199043B1 (ko) * 2010-08-19 2012-11-07 에스엘 주식회사 변속레버 디텐트 장치
JP2012121551A (ja) * 2010-12-09 2012-06-28 Hyundai Motor Co Ltd 車両の変速操作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7039A (ko) * 2016-11-29 2019-07-02 알프스 알파인 가부시키가이샤 조작 장치 및 그 조작 장치를 이용한 차량용 시프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1830B1 (ko) 2019-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60319929A1 (en) Vehicle shift control lever device
EP3483479B1 (en) Shifter assembly
JP6605574B2 (ja) 特に自動車用の制御要素
JP2012216113A (ja) シフト操作用スイッチ装置
CN110036354B (zh) 操作装置和使用该操作装置的车辆用换挡装置
KR102470442B1 (ko) 차량용 변속 장치
JP6066207B2 (ja) 多方向操作装置及び該多方向操作装置を用いた車両用シフト装置
KR20140100304A (ko) 변속 레버의 디턴트 장치
US10088041B2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shift of manual transmission
JP2012214163A (ja) シフト操作用スイッチ装置
KR20180062141A (ko) 차량용 변속 장치
KR20170047917A (ko) 하이브리드 변속 레버
CN111927945B (zh) 线缆的位置检测设备以及用于电子手动变速器的换挡线缆的位置检测设备
KR100461377B1 (ko) 자동 변속기의 시프트 록 장치
KR101199043B1 (ko) 변속레버 디텐트 장치
KR101376743B1 (ko) 차량용 변속기의 변속 패턴 제어 장치
JP2016168888A (ja) パーキング装置
KR101303068B1 (ko) 전자석을 이용한 차량의 시프트록 캠을 포함하는 차량용 자동 변속기 레버 조립체
KR20200079951A (ko) 차량용 변속 장치
KR20190064871A (ko) 차량용 변속 장치
US20110314942A1 (en) Range switching device
JP4728118B2 (ja) 自動変速機のシフト位置検出装置
KR20050121795A (ko) 소음 저감형 변속 레버 장치
KR20150009753A (ko) 변속기 컨트롤부의 통합형 포펫 장치
KR20020083791A (ko) 수동변속기의 시프트 레일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