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0442B1 - 차량용 변속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변속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0442B1
KR102470442B1 KR1020150191276A KR20150191276A KR102470442B1 KR 102470442 B1 KR102470442 B1 KR 102470442B1 KR 1020150191276 A KR1020150191276 A KR 1020150191276A KR 20150191276 A KR20150191276 A KR 20150191276A KR 102470442 B1 KR102470442 B1 KR 1024704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
magnetic force
protrusion
knob
coi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912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80081A (ko
Inventor
허춘영
김동재
Original Assignee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912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0442B1/ko
Publication of KR201700800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00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04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04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3/00Gearing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constant gear ratio by friction between rotary members
    • F16H13/10Means for influencing the pressure between the members
    • F16H13/12Means for influencing the pressure between the members by magnetic fo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49/00Other gearings
    • F16H49/005Magnetic gearings with physical contact between gea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8Range selector apparatus
    • F16H59/10Range selector apparatus comprising levers
    • F16H59/105Range selector apparatus comprising levers consisting of electrical switches or sensor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08Controlling members for hand actuation by rotary movement, e.g. hand wheels
    • G05G1/10Details, e.g. of discs, knobs, wheels or han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Change-Speed Gea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변속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변속 장치는 마그넷, 상기 마그넷에 인접하여 대향되는 일측에 다수의 제1 돌기들을 배열하는 제1 스틸 플레이트, 상기 마그넷에 인접하여 대향되는 타측에 다수의 제2 돌기들을 배열하는 제2 스틸 플레이트, 상기 제1 돌기의 자력을 생성하는 제1 코일부, 상기 제2 돌기의 자력을 생성하는 제2 코일부 및 주행단에서 비 주행단으로 복귀 조건이 충족될 때, 상기 제1 코일부 또는 상기 제2 코일부에 순차적으로 공급되는 전류에 따라 회전되는 상기 마그넷을 통해 상기 비 주행단으로 자동으로 이동되는 노브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용 변속 장치 {Transmitter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변속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력 변화 기반의 차량용 변속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변속 장치는 차량의 속도에 따라 엔진의 회전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기어비를 달리하도록 할 수 있으며, 운전자는 변속 레버를 조작하여 변속기(Transmission)의 기어비를 바꾸게 된다.
이러한 변속 장치의 변속 모드로는 운전자가 변속단을 바꿀 수 있는 수동 변속 모드와 운전자가 주행 모드(D)을 선택시에 속도에 따라 자동으로 변속단이 바뀌는 자동 변속 모드가 있다.
이와 함께, 하나의 변속 장치에서 수동 변속과 자동 변속을 수행할 수 있는 스포츠 모드형 변속 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스포츠 모드형 변속 장치는 기본적으로 자동 변속을 수행하면서, 운전자가 기어의 단수를 높이거나 낮추어서 수동 변속을 수행하거나 수동 변속을 하는 변속 장치 옆에 자동 변속을 할 수 있는 변속 장치를 구비하여 수행할 수 있다.
변속 레버는 운전자가 조작 가능하도록 차량 내부로 노출되어 있으며, 대부분의 변속 레버는 차량의 센터페시아와 콘솔 박스 사이에 노출되어 있다.
변속 레버에 의한 변속 조작은 변속 레버의 일정 거리로 이동시켜 변속단을 선택하기 때문에 이동 궤적에 따른 공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주변과의 간섭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설계하는 것이 요구된다.
따라서, 최근에는 다이얼 방식의 변속 조작이 가능하게 하여 필요로 하는 공간을 감소시켜 차량의 공간 활용성을 높이고 변속 조작성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방안이 연구되고 있다.
US2013/0220055(2013.08.29. 공개)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과제는 적어도 둘로 구분된 자력 변화 영역에 순차적으로 전류를 공급함에 따라, 순차적으로 변동되는 자력 변화에 대응되어 회전하는 마그넷을 통해 노브의 자동 회전을 구현하기 위한 차량용 변속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관점에 따른 차량용 변속 장치는 마그넷, 상기 마그넷에 인접하여 대향되는 일측에 다수의 제1 돌기들을 배열하는 제1 스틸 플레이트, 상기 마그넷에 인접하여 대향되는 타측에 다수의 제2 돌기들을 배열하는 제2 스틸 플레이트, 상기 제1 돌기의 자력을 생성하는 제1 코일부, 상기 제2 돌기의 자력을 생성하는 제2 코일부 및 주행단에서 비 주행단으로 복귀 조건이 충족될 때, 상기 제1 코일부 또는 상기 제2 코일부에 순차적으로 공급되는 전류에 따라 회전되는 상기 마그넷을 통해 상기 비 주행단으로 자동으로 이동되는 노브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돌기 및 상기 제2 돌기는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열될 수 있다.
상기 간격은 상기 마그넷의 단위 회전각에 대응될 수 있다.
상기 마그넷은 상기 제1 코일부에 전류가 인가되는 경우, 상기 제1 돌기를 중심으로 이동되어 회전될 수 있다.
상기 마그넷은 상기 제2 코일부에 전류가 인가되는 경우, 상기 제2 돌기를 중심으로 이동되어 회전될 수 있다.
상기 마그넷은 상기 제1 코일부 또는 상기 제2 코일부에 전류 공급되는 패턴에 따라 회전 방향이 변경될 수 있다.
상기 복귀 조건은 상기 주행단에서 차량의 시동이 꺼지는지 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노브의 회전 레벨을 이차원 또는 삼차원 방식으로 센서링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귀 조건의 충족 여부에 따라, 상기 노브의 회전을 차단하는 쉬프트 락 상태를 지속하거나, 상기 노브의 자동 복귀를 실행하기 위한 쉬프트 락 해제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상기 제1 코일부에 전류가 공급되는 경우, 상기 제1 돌기 주변의 전류 흐름에 의하여 상기 제1 돌기에 자력이 생성되고, 자력이 생성된 제1 돌기와 상기 마그넷이 자력 변화를 일으킨 결과로서, 상기 마그넷이 상기 자력이 생성된 제1 돌기의 중심부로 위치 이동되며, 상기 제2 코일에 전류가 공급되는 경우, 상기 제2 돌기 주변의 전류 흐름에 의하여 상기 제2 돌기에 자력이 생성되고, 자력이 생성된 제2 돌기와 상기 마그넷의 자력 변화를 일으킨 결과로서, 상기 마그넷이 상기 자력이 생성된 제2 돌기의 중심부로 위치 이동될 수 있다.
상기 노브의 수동 조작에 따라 단 변속하는 경우, 상기 마그넷이 회전되어 상기 제1 돌기 또는 상기 제2 돌기와 대향되는 관계가 변경됨에 따라 상기 마그넷 주변의 자력 변화가 있으며, 상기 마그넷 주변의 자력 변화를 통해 상기 마그넷과 연결된 상기 노브에 디텐트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마그넷은 상기 노브의 일측과 인서트 사출되어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적어도 둘로 구분된 자력 변화 영역에 순차적으로 전류를 공급함에 따라, 순차적으로 변동되는 자력 변화에 대응되어 회전하는 마그넷을 통해 노브의 자동 회전을 구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변속 장치에서 커버를 제거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변속 장치 중 쉬프트 락 구조물을 분리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변속 장치 중 전자석 구동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전자석 구동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전자석 구동 구성 중 마그넷 회전 원리를 나타내는 일부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마그넷 회전 원리에 코일 구성이 더 추가된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5의 전자석 구동 구성 중 센서부가 추가된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 장치의 동작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소자, 구성요소 및/또는 섹션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소자, 구성요소 및/또는 섹션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을 다른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과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소자, 제1 구성요소 또는 제1 섹션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소자, 제2 구성요소 또는 제2 섹션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변속 장치에서 커버를 제거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변속 장치 중 쉬프트 락 구조물을 분리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로, 차량용 변속 장치(100)는 적어도 둘로 구분된 자력 변화 영역에 순차적으로 전류를 공급함에 따라, 순차적으로 변동되는 자력 변화에 대응되어 회전하는 마그넷(150)을 통해 노브의 자동 회전을 실행하는 구성이다.
차량용 변속장치는 차량의 운행 상태에 따라, 회전형 노브의 안전 제어를 위하여 회전형 노브를 회전되지 않도록 쉬프트 락 상태에 있도록 하거나, 회전형 노브를 회전되게 하여 변속 제어할 수 있는 쉬프트 락 해제 상태에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자력 변화에 기반한 자동 노브 회전이 실행될 때, 차량용 변속 장치(100)는 전술한 쉬프트 락 해제 상태에서 자동 노브 회전을 실행하게 된다.
도 4는 도 3의 변속 장치(100) 중 전자석 구동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전자석 구동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5의 전자석 구동 구성 중 마그넷(150) 회전 원리를 나타내는 일부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마그넷(150) 회전 원리에 코일 구성이 더 추가된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사시도이며, 도 8은 도 5의 전자석 구동 구성 중 센서부(190-1)가 추가된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로, 차량용 변속 장치(100)는 자력 변화에 따라 회전하는 마그넷(150), 마그넷(150)에 인접하여 대향되는 일측에 다수의 제1 돌기(171)들을 배열하는 제1 스틸 플레이트(170), 마그넷(150)에 인접하여 대향되는 타측에 다수의 제2 돌기(181)들을 배열하는 제2 스틸 플레이트(180), 제1 돌기(171)의 자력 변화를 일으키는 제1 코일부(160), 제2 돌기(181)의 자력 변화를 일으키는 제2 코일부(190), 및 주행단에서 비 주행단으로 복귀 조건이 충족될 때, 제1 코일부(160) 또는 제2 코일부(190)에 순차적으로 공급되는 전류에 따라 회전되는 마그넷(150)을 통해 비 주행단으로 자동으로 이동되는 노브(미도시)를 포함한다.
여기서, 주행단이라 함은 차량이 이동되는 변속단으로서, D, R 단이 해당되며, 비 주행단은 차량이 정지된 상태의 변속단으로서, N, P 단이 해당된다.
노브(미도시)는 노브 샤프트(190-2)와 연결되고, 노브 샤프트(190-2)는 마그넷(150)이 일측에 인서트 사출되어 마그넷(150)과 고정 결합된 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스틸 플레이트(170)는 마그넷(150)의 외측에 인접하고, 제1 스틸 플레이트(170)의 다수 제1 돌기(171)들에 외접되어 제1 코일부(160)가 배치되도록 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제1 코일부(160)에 전류가 공급되는 경우, 제1 코일부(160)로 인가된 전류의 흐름에 기초하여 제1 코일부(160)와 외접하는 제1 스틸 플레이트(170)의 각 제1 돌기(171)가 자력 변화를 일으킨다.
자력이 생성된 제1 돌기(171)는 인접되어 대향되는 마그넷(150)의 자력과 반응하고, 반응 결과로서 마그넷(150)은 제1 돌기(171)의 중심에 위치되도록 회전된다.
마찬가지로, 제2 스틸 플레이트(180)는 마그넷(150)의 외측에 인접하고, 제2 스틸 플레이트(180)의 다수 제2 돌기(181)들에 외접되어 제2 코일부(190)가 배치되도록 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제2 코일부(190)에 전류가 공급되는 경우, 제2 코일부(190)로 인가된 전류의 흐름에 기초하여 제2 코일부(190)와 외접하는 제2 스틸 플레이트(180)의 각 제2 돌기(181)가 자력 변화를 일으킨다.
자력이 생성된 제2 돌기(181)는 인접되어 대향되는 마그넷(150)의 자력과 반응하고, 반응결과로서 마그넷(150)은 제2 돌기(181)의 중심에 위치되도록 회전된다.
더 나아가, 제1 스틸 플레이트(170), 제1 코일부(160), 제2 스틸 플레이트(180) 및 제2 코일부(190)는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마그넷(150)에 외측에 배치되어 마그넷(150)의 자력 변화를 생성할 수 있으며, 설계 변경을 통해 마그넷(150)의 내측에 배치되어 마그넷(150)의 자력 변화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차량용 변속 장치(100)의 일 실시 예로서, , 제1 스틸 플레이트(170), 제1 코일부(160), 제2 스틸 플레이트(180) 및 제2 코일부(190)가 마그넷(150)의 외측에 배치되어 마그넷(150)의 자력 변화를 유발시키는 구성을 통해 본 발명을 상술한다.
도 6을 참조로, 제1 스틸 플레이트(170)의 제1 돌기(171)와 제2 스틸 플레이트(180)의 제2 돌기(181)는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돌기(171)와 제2 돌기(181) 간의 간격은 마그넷(150)의 회전 단위각을 의미하기도 한다.
단 변속 시, 운전자가 노브를 ① 위치로부터 ② 위치로 이동시키는 조작을 하게 되면, 이에 대응되어 마그넷(150)이 ① 위치로부터 ② 위치로 이동되면서 고정된 상태인 제1 스틸 플레이트(170)와 자력 변화를 발생시킨다. 이렇게 발생된 자력 변화를 위 노브를 조작하는 운전자로 하여금 조작감(즉, 디텐트)를 느낄 수 있게 한다.
또한, 제1 플레이트의 다수 제1 돌기(171)들을 감싸는 제1 코일부(160)로 전압을 인가하는 경우, ① 위치로부터 ② 위치로 이동되는 마그넷(150)과 제1 스틸 플레이트(170) 간의 자력 변화를 더 향상시켜서 운전자로 하여금 조작감(즉, 디텐트)의 변화를 느낄 수 있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6을 참조로, 제1 돌기(171)의 중심부 또는 제2 돌기(181)의 중심부에 마그넷(150)이 위치될 때, 최대흡입 자력이 발생되고, 제1 돌기(171)와 제2 돌기(181) 사이에 마그넷(150)이 위치될 때는, 최소흡입 자력이 발생된다.
따라서, 마그넷(150)은 제1 돌기(171)의 중심부 또는 제2 돌기(181)의 중심부로 이동하게 된다.
한편, 자동 복귀 시에는, 제1 코일부(160) 또는 제2 코일부(190)에 전류를 순차적으로 공급함에 따라, 마그넷(150)이 회전되어 P단으로 자동 변속을 하게 된다.
제1 코일부(160)에 전류가 공급되는 경우, 제1 코일부(160)로 공급되는 전류로 인해 제1 스틸 플레이트(170)의 각 제1 돌기(171)에 자기장이 형성되고, 이렇게 형성되는 제1 돌기(171)의 자기장에 마그넷(150)이 반응하여, 제1 돌기(171)를 중심으로 마그넷(150)이 위치되는 회전을 한다.
이후, 제1 코일부(160)로 공급되는 전류가 중단되고 제2 코일부(190)에 전류가 공급되는 경우, 제2 코일부(190)로 공급되는 전류로 인해 제2 스틸 플레이트(180)의 각 제2 돌기(181)에 자기장이 형성되고, 이렇게 형성되는 제2 돌기(181)의 자기장에 마그넷(150)이 반응하여, 제2 돌기(181)를 중심으로 마그넷(150)이 위치되는 회전을 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1 코일부(160)에 전류가 공급된 후 제2 코일부(190)에 전류가 공급되는 과정이 반복되거나, 제2 코일부(190)에 전류가 공급된 후 제1 코일부(160)에 전류가 공급되는 과정이 반복되어, 이에 따른 자력 변화로 마그넷(150)이 회전되어, 마그넷(150)에 연결된 노브 또한 자동으로 회전된다.
제1 코일부(160) 또는 제2 코일부(190)로 전류를 공급하는 것은 별도의 제어구성으로부터 생성되는 전류 제어 신호에 의해 차량용 변속 장치(100)로 전원 공급 구성이 동작되어 실행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제1 돌기(171)와 제2 돌기(181) 간의 간격이 크게 하면, 마그넷(150)의 단위 회전각 또한 커짐에 따라, 노브의 디텐트 감도 강하게 구현할 수 있다.
반면, 제1 돌기(171)와 제2 돌기(181) 간의 간격을 작게 하면, 마그넷(150)의 단위 회전각 또한 작아짐에 따라, 노브의 디텐트 감을 보다 부드럽게 구현할 수 있다.
이에, 운전자 취향 또는 기타 필요에 의해, 제1 돌기(171)와 제2 돌기(181) 간의 간격을 가변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차량용 변속 장치(100)는 제1 스틸 플레이트(170) 및 제2 스틸 플레이트(180) 중 적어도 하나를 회전시켜서,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돌기(171)와 제2 돌기(181) 간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용 변속 장치(100)는 제1 스틸 플레이트(170)의 각 제1 돌기(171)와 결합 가능한 홈 부를 포함한 상부 전자석 하우징(141)과, 제2 스틸 플레이트(180)의 각 제2 돌기(181)와 결합 가능한 홈 부를 포함하는 하부 전자석 하우징(14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부 전자석 하우징(141)과, 하부 전자석 하우징(142)을 더 추가하는 구성은, 제1 스틸 플레이트(170)의 제1 돌기(171)와 마그넷(150)이 자력 변화를 일으키는 효율을 향상시키고, 제2 스틸 플레이트(180)의 제2 돌기(181)와 마그넷(150)이 자력 변화를 일으키는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마그넷(150)의 외측 상부에 상기 제1 스틸 플레이트(170)가 위치되고, 상기 마그넷(150)의 외측 하부에 상기 제2 스틸 플레이트(180)가 위치되며, 상기 제1 돌기(171)의 외주연을 상기 제1 코일부(160)를 통해 권선하고, 상기 제2 돌기(181)의 외주연을 상기 제2 코일부(190)를 통해 권선하며, 상기 상부 전자석 하우징(141)의 홈 부에 상기 제1 돌기(171)를 맞춰서 상기 제1 스틸 플레이트(170)를 고정하고, 상기 하부 전자석 하우징(142)의 홈 부에 상기 제2 돌기(181)를 맞춰서 상기 제2 스틸 플레이트(180)를 고정할 수 있다.
제1 스틸 플레이트(170)는 다수의 제1 돌기(171)들을 지지하는 베이스 플레이트부가 상부 전자석 하우징(141)과 체결되는 경우, 제1 코일부(160)로 전류가 인가되어 제1 스틸 플레이트(170)의 제1 돌기(171)에 자기장이 형성될 때, 제1 돌기(171)로부터 형성된 자기장이 제2 스틸 플레이트(180)의 자력 변화 영역에 도달되지 않도록 하는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제1 스틸 플레이트(170)의 베이스 플레이트부가 제1 돌기(171)로부터 형성된 자기장을 차단하여 제2 스틸 플레이트(180)의 자력 변화 영역에 도달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마찬가지로, 제2 스틸 플레이트(180)는 다수의 제2 돌기(181)들을 지지하는 베이스 플레이트부가 하부 전자석 하우징(142)과 체결되는 경우, 제2 코일부(190)로부터 전류가 인가되어 제2 스틸 플레이트(180)의 제2 돌기(181)에 자기장이 형성될 때, 제2 돌기(181)로부터 형성된 자기장이 제1 스틸 플레이트(170)의 자력 변화 영역에 도달되지 않도록 하는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제2 스틸 플레이트(180)의 베이스 플레이트부가 제2 돌기(181)로부터 형성된 자기장을 차단하여 제1 스틸 플레이트(170)의 자력 변화 영역에 도달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차량용 변속 장치(100)는 노브의 회전 레벨을 이차원 또는 삼차원 방식으로 센서(190-1-2)링하는 센서부(190-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부(190-1)는 노브에 연결된 노브 샤프트의 일단에 구비된 센서 기어(190-1-1), 및 센서 기어(190-1-1)에 맞물려 회전됨에 따라 노브의 회전 레벨을 센서링하는 센서(190-1-2)를 포함하는 구성이 가능하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 장치(100)의 동작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9를 참조로, 본 발명의 차량용 변속 장치(100)는 차량의 시동 상태 및 미리 정해진 자동 복귀 조건을 충족하는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노브의 회전을 수동회전 모드 또는 자동회전 모드로 전환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이를 통해 다음과 같이 차량용 변속 장치(100)의 모드 전환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차량용 변속 장치(100)의 모드 전환 방법은, 차량의 시동이 온 상태로 되는 것으로부터 진행된다(S1).
이후, 노브의 변속단이 P단에 위치된 상태인지를 결정한다(S3).
이후, S3 단계에서, 노브의 선택 변속단이 P단에 위치된 상태로서 시동 상태가 지속 중이면 노브를 운전자가 수동 조작할 수 있는 수동회전 모드로 설정한다(S5 및 S7).
S7 단계에서 설정된 수동회전 모드를 기초로, 운전자는 원하는 변속단을 선택할 수 있다(S9).
S9 단계 이후, 미리 정해진 자동복귀 조건이 충족되는지를 판정한다(S11).
S11 단계의 자동복귀 조건은 차속이 미리 정해진 기준 차속 이하이고, 브레이크가 눌려진 상태인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S9 단계에서 변속단이 R단으로 선택된 후 차속이 미리 정해진 기준 차속인 5Km/h 이하이고, 브레이크가 눌려져 브레이킹되는 상황인 경우, 전술된 자동복귀 조건이 충족되는 것으로 판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자동복귀 조건이 충족되면 노브가 P단으로 자동복귀되는 자동회전 모드로 전환된다(S13).
S13 단계의 자동복귀 모드에서, 자력 변화에 따른 마그넷(150)의 회전을 통해 노브가 자동으로 회전되어 P단으로 위치된다(S15).
한편, S13 단계에서, 자동복귀 조건이 충족되지 않으면, S9 단계에서 선택된 변속단이 지속된다(S17).
이후, 변속단을 P단으로 변경하지 않은채 시동 오프되는 경우, 차량용 변속 장치(100)는 S13 단계로 진입되어 자동회전 모드로 동작되는 것도 가능하다(S19).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어도 둘로 구분된 자력 변화 영역에 순차적으로 전류를 공급함에 따라, 순차적으로 변동되는 자력 변화에 대응되어 회전하는 마그넷을 통해 노브의 자동 회전을 구현하기 위한 차량용 변속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임에 따라,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다.
100: 차량용 변속 장치 110: 커버
120: 하우징 130: 쉬프트 락 구조물
140: 전자석 하우징 141: 상부 전자석 하우징
142: 하부 전자석 하우징 150: 마그넷
160: 제1 코일부 170: 제1 스틸 플레이트
171: 제1 돌기 180: 제2 스틸 플레이트
181: 제2 돌기 190: 제2 코일부
190-1: 센서부 190-1-1: 센서 기어
190-1-2: 센서 190-2: 노브 샤프트

Claims (12)

  1. 마그넷;
    상기 마그넷에 인접하여 대향되는 일측에 다수의 제1 돌기들을 배열하는 제1 스틸 플레이트;
    상기 마그넷에 인접하여 대향되는 타측에 다수의 제2 돌기들을 배열하는 제2 스틸 플레이트;
    상기 제1 돌기의 자력을 생성하는 제1 코일부;
    상기 제2 돌기의 자력을 생성하는 제2 코일부; 및
    주행단에서 비 주행단으로 복귀 조건이 충족될 때, 상기 제1 코일부 또는 상기 제2 코일부에 순차적으로 공급되는 전류에 따라 회전되는 상기 마그넷을 통해 상기 비 주행단으로 자동으로 이동되는 노브를 포함하는 차량용 변속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제1 돌기들 및 다수의 제2 돌기들은 상호간에 원주 방향으로 가장 가까운 제1 돌기 및 제2 돌기의 원주 방향 거리가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열되는 차량용 변속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은 상기 마그넷의 단위 회전각에 대응되는 차량용 변속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넷은 상기 제1 코일부에 전류가 인가되는 경우, 상기 제1 돌기를 중심으로 이동되어 회전되는 차량용 변속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넷은 상기 제2 코일부에 전류가 인가되는 경우, 상기 제2 돌기를 중심으로 이동되어 회전되는 차량용 변속 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넷은 상기 제1 코일부 또는 상기 제2 코일부에 전류 공급되는 패턴에 따라 회전 방향이 변경되는 차량용 변속 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귀 조건은 상기 주행단에서 차량의 시동이 꺼지는지 여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변속 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노브의 회전 레벨을 이차원 또는 삼차원 방식으로 센서링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변속 장치.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귀 조건의 충족 여부에 따라, 상기 노브의 회전을 차단하는 쉬프트 락 상태를 지속하거나, 상기 노브의 자동 복귀를 실행하기 위한 쉬프트 락 해제 상태로 전환하는 차량용 변속 장치.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코일부에 전류가 공급되는 경우, 상기 제1 돌기 주변의 전류 흐름에 의하여 상기 제1 돌기에 자력이 생성되고, 자력이 생성된 제1 돌기와 상기 마그넷이 자력 변화를 일으킨 결과로서, 상기 마그넷이 상기 자력이 생성된 제1 돌기의 중심부로 위치 이동되며,
    상기 제2 코일에 전류가 공급되는 경우, 상기 제2 돌기 주변의 전류 흐름에 의하여 상기 제2 돌기에 자력이 생성되고, 자력이 생성된 제2 돌기와 상기 마그넷의 자력 변화를 일으킨 결과로서, 상기 마그넷이 상기 자력이 생성된 제2 돌기의 중심부로 위치 이동되는 차량용 변속 장치.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노브의 수동 조작에 따라 단 변속하는 경우, 상기 마그넷이 회전되어 상기 제1 돌기 또는 상기 제2 돌기와 대향되는 관계가 변경됨에 따라 상기 마그넷 주변의 자력 변화가 있으며, 상기 마그넷 주변의 자력 변화를 통해 상기 마그넷과 연결된 상기 노브에 디텐트가 제공되는 차량용 변속 장치.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넷은 상기 노브의 일측과 인서트 사출되어 구비되는 차량용 변속 장치.
KR1020150191276A 2015-12-31 2015-12-31 차량용 변속 장치 KR1024704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91276A KR102470442B1 (ko) 2015-12-31 2015-12-31 차량용 변속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91276A KR102470442B1 (ko) 2015-12-31 2015-12-31 차량용 변속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0081A KR20170080081A (ko) 2017-07-10
KR102470442B1 true KR102470442B1 (ko) 2022-11-24

Family

ID=593562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91276A KR102470442B1 (ko) 2015-12-31 2015-12-31 차량용 변속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044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2603B1 (ko) * 2017-12-29 2022-05-26 에스엘 주식회사 액츄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변속 장치
CN108662135B (zh) * 2018-07-23 2019-11-05 江西江铃集团新能源汽车有限公司 汽车换挡开关
CN108999960B (zh) * 2018-08-28 2019-12-10 奇瑞汽车股份有限公司 换挡旋钮
CN108933056B (zh) * 2018-08-31 2019-11-05 江西江铃集团新能源汽车有限公司 汽车换挡开关
KR20210030083A (ko) 2019-09-09 2021-03-17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변속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59382A (ja) 2005-07-27 2007-03-08 Tokai Rika Co Ltd スイッチ装置
JP4260223B2 (ja) 1997-03-21 2009-04-30 マンネスマン ファウ デー オー アクチエンゲゼルシャフト 操作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220055A1 (en) 2012-02-28 2013-08-29 Nissan North America, Inc. Multifunctional integrated shifter
KR102152702B1 (ko) * 2014-05-23 2020-09-07 에스엘 주식회사 전자식 변속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60223B2 (ja) 1997-03-21 2009-04-30 マンネスマン ファウ デー オー アクチエンゲゼルシャフト 操作装置
JP2007059382A (ja) 2005-07-27 2007-03-08 Tokai Rika Co Ltd スイッチ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0081A (ko) 2017-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70442B1 (ko) 차량용 변속 장치
CN103574005B (zh) 汽车变速器
EP2218946B1 (en) Vehicular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shift-by-wire device
JP6823209B2 (ja) 入力装置
KR101906444B1 (ko) 다이얼형 변속 장치
KR101755854B1 (ko) 전자식 변속시스템
CN103946593A (zh) 换挡器组件
KR101511561B1 (ko) 슬라이드 조작 방식 전자식 자동변속레버
CN105715780B (zh) 用于车辆的一体式电子换挡杆组件
KR102402603B1 (ko) 액츄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변속 장치
KR102418379B1 (ko) 차량용 변속 장치
KR102360997B1 (ko) 전자식 변속 시스템
EP1770311B1 (en) Integrated start-up, stop, mode selection and gear-shift device for a vehicle
KR20200081764A (ko) 차량용 변속 장치
CN102900840A (zh) 集成控制的换档杆设备
KR101312178B1 (ko) 칼럼 타입 변속 레버 장치
CN107869578A (zh) 用于电子换档系统的杆设备
CN106838297A (zh) 用于控制手动变速器换挡的装置
CN105736687A (zh) 换挡操纵机构及具有该换挡操纵机构的变速器和车辆
KR100939792B1 (ko) 전자식 변속 장치
KR101735641B1 (ko) 차량용 변속 장치
KR101704161B1 (ko) 노브 조작 타입 스포츠 모드 구현 변속 레버
JP2017009106A (ja) スマートキーを用いた車両用電子式変速システム
KR101339174B1 (ko) 차량용 변속 장치
US11555542B2 (en) Transmission for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