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2898Y1 - 구이기 - Google Patents

구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2898Y1
KR200212898Y1 KR2019980007761U KR19980007761U KR200212898Y1 KR 200212898 Y1 KR200212898 Y1 KR 200212898Y1 KR 2019980007761 U KR2019980007761 U KR 2019980007761U KR 19980007761 U KR19980007761 U KR 19980007761U KR 200212898 Y1 KR200212898 Y1 KR 20021289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terial carrier
roasting
roaster
burner
h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776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41029U (ko
Inventor
박찬의
Original Assignee
박찬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찬의 filed Critical 박찬의
Priority to KR20199800077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2898Y1/ko
Publication of KR1999004102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102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289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2898Y1/ko

Links

Landscapes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대량 급식소 등에서 사용되는 구이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구이기 재료운반대가 버너의 상부에서 이송되면서 그 저면에만 열을 받게 되는 것이므로 재료운반대의 바닥면에 접해 있는 재료의 밑부분은 구워지지만 재료운반대 바닥면에 접해 있지 않은 윗부분은 구워지지 않게 되어 구이 요리가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등 구이 요리의 풍미를 해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덮개의 내면에 원적외선 방사판을 부착하여 재료운반대의 하부에 설치된 버너의 열에 의하여 구이 요리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재료운반대의 바닥에 접하지 않는 재료의 윗부분이 덮개의 내면에 부착된 윈적외선 방사판에 의하여 대류 및 복사되는 열에 의하여 구워지게 되며 뭔적외선의 작용에 의하여 재료의 깊은 곳까지 열을 전달하게 되므로 구이 요리를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음과 아울러 구이 요리의 풍미를 더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구이기
본 고안은 대단위 급식소, 도시락 공장, 식품공장, 군부대 등에서 많은 양의 구이 요리를 연속적으로 수행하는 구이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하부에 설치된 열원의 열을 이용하여 재료의 상면까지로 구울 수 있도록 한 구이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단위 급식소, 도시락 공장, 식품공장, 군부대 등에서 많은 양의 구이 요리를 수행하기 위하여 트레이 또는 석쇠 등의 재료운반대를 연속적으로 버너의 상부에서 이송시키는 것에 의하여 구이 요리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이기가 사용되고 있다.
종래 이러한 종류의 구이기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면이 개방되고 양측에 각각 재료운반대 공급부(11)와 재료운반대 배출부(12)가 형성된 구이기 본체(10)와, 상기 구이기 본체(10)의 내부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버너(20)와, 상기 구이기 본체(10)의 상면을 개폐하는 덮개(30)와, 상기 구이기 본체(10)의 상면측에서 재료운반대 공급부(11)에서 재료운반대 배출부(12)에 이르는 범위에 재료운반대 이송수단으로 구성된다.
상기 구이기 본체(10)는 대략 상면이 개방된 상자형으로 형성되며, 전후벽, 좌우벽 및 바닥판은 각각 단열판넬로 구성된다.
상기 버너(20)는 가스를 연료로 하는 버너가 사용되며, 도시례에서는 삼각형 단면도로 형싱되어 있으나 반드시 이로서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버너(20)들은 하나의 연료 공급관(도시되지 않음)에 연결관(21)으로 연결된다.
상기 덮개(30)는 버너(20)에 의한 열이 손실되지 않도록 단열판넬로 구성된다.
상기 재료운반대 이송수단은 상기 재료운반대 공급부(11)의 외측단에 위치하는 이송용 스프로킷(41)과, 재료운반대 배출부(12)의 내측단에 위치하는 이송용 스프로킷(42)과, 이들 이송용 스프로킷(41, 32)사이에 걸쳐지는 이송용 체인(43)과, 구동모터(44)와, 이 구동모터(44)의 축에 고정된 구동스프로킷(45)과, 상기 이송용 스프로킷(42)에 동측으로 고정된 종동스프로킷(46) 및 구동스프로킷(36)과 종동스프로킷(37)사이에 걸쳐지는 구동체인(47)으로 구성된다.
상기 이송용 체인(43)에는 재료운반대(T)를 받쳐주는 재료운반대 받침편(도시되지 않음)이 결합되어 이송용 체인(43)의 추행에 따라 재료운반대 받침에 받쳐진 재료운반대(T)가 이송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이송용 체인(43)은 재료운반대 공급부(11)의 외측단에서 재료운반대 배출부(12)의 내측단에 이르는 범위에 설치되어 재료운반대 공급부(11)에서는 재료가 담긴 재료운반대(T)를 곧바로 이송용 체인(43)에 결합된 재료운반대 받침편에 올려놓도록 되어 있으며, 재료운반대 배출부(12)에는 이송용 체인(43)에 의하여 이송된 재료운반대(T)가 이승용 체인(43)을 벗어나 얹혀지는 재료운반대 받침대(13)이 형성되며, 이 재료운반대 받침대(13)의 외측단에는 재료운반대(T)를 정지시키는 정지턱(14)이 형싱되어 있다.
도면에서 미설명 부호 15는 구이기 본체(10)와 덮개(20)에 의하여 한정되는 내부 공간의 습도를 유지하기 위한 물통이고, 16은 물통(15)를 연결하는 배수관이다.
이러한 종래의 구이기에 의하여 덮개(30)를 덮고, 구이 요리를 수행함에 있어서는 버너(20)와 재료운반대 이송수단을 가동시킨 상태에서 재료운반대 공급부(11)에서 구이 요리를 하고자 하는 생선이나 육류 등의 재료가 담긴 재료운반대(T)를 이송용 체인(43)의 재료운반대 받침편에 올려놓으면 재료운반대 이송수단에 의하여 재료운반대(T)가 이송되면서 버너(20)의 열에 의하여 구이 요리가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나 종래의 구이기에서는 재료운반대(T)가 버너(20)의 상부에서 이송되면서 그 저면에만 열을 받게 되는 것이므로 재료운반대(T)의 바닥면에 접해 있는 재료의 밑부분은 구워지지만 재료운반대(T) 바닥면에 접해 있지 않은 윗부분은 구워지지 않게 되어 구이 요리가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등 구이 요리의 풍미를 해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재료가 담긴 재료운반대를 하부에 설치된 버너에 의하여 가열하면서도 재료운반대에 담긴 재료의 윗부분까지도 적당하게 구울 수 있도록 한 구이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구이기의 구성을 종단 정면도.
제2도는 종래 기술에 의한 구이기의 구성을 보인 종단 정면도.
제3도는 제1의 A-A선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구이기 본체 20 : 버너
30 : 덮개 50 : 원적외선 방사판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면이 개방되고 양측에 각각 재료운반대 공급부와 재료운반대 배출부가 형성된 구이기 본체와, 상기 구이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버너와, 상기 구이기 본체의 상면을 개폐하는 덮개와, 상기 구이기 본체의 상면측에서 재료운반대 공급부에서 재료운반대 배출부에 이르는 범위에 재료운반대 이송수단 및, 상기 덮개의 내면에 부착되는 원적외선 방사판을 구비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기가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구이기를 첨부도면에 도시한 실시례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에 의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면이 개방되고 양측에 각각 재료운반대 공급부(11)와 재료운반대 배출부(12)가 형성된 구이기 본체(10)와, 상기 구이기 본체(10)의 내부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버너(20)와, 상기 구이기 본체(10)의 상면을 개폐하는 덮개(30)와, 상기 구이기 본체(10)의 상면측에서 재료운반대 공급부(11)에서 재료운반대 배출부(12)에 이르는 범위에 재료운반대 이송수단으로 구성된다. 이들 구이기 본체(10)와 버너(20)와, 덮개(30) 및 재료운반대 이송수단 등의 구성은 상술한 종래 기술에서와 동일하므로 동일 부분에 대하여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본 고안에 의하여 상기 덮개(30)의 내면에 원적외선 방사판(50)를 부착하여 너버(20)에 의한 열을 대류 및 복사에 의하여 재료운반대(T)에 담긴 재료의 상면에 가함으로써 재료의 밑부분과 윗부분을 고루 가열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원적외선 방사판(50)는 평판상으로 형성할 수도 있으나 파형(波形)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구이기에 의하여 구이 요리를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구이기 본체(10)에 덮개(30)를 덮고, 버너(20)를 가동시킴과 아울러 상기 재료운반대 이송수단의 구동모터(44)를 가동시키면 구동스프로킷(45)와 구동용 체인(47) 및 종동스프로킷(46)을 통하여 일측 이승용 스프로킷(42)이 회전되고 이에 따라 타측 이송용 스프로킷(41)과의 사이에 걸쳐져 있는 이송용 체인(43)이 주행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재료운반대 공급부(11)에서 재료가 담긴 재료운반대(T)를 이송용 체인(43)의 재료운반대 받침편위에 걸쳐놓으면 이송용 체인(43)의 주행에 따라 재료운반대(T)가 구이기 본체(10)와 덮개(30) 사이클 통해 재료운반대 배출부(12) 측으로 이송되면서 버너(20)의 열에 의하여 구워진다.
이때 버너(20)의 열에 의하여 재료운반대(T)의 바닥에 접해 있는 재료의 밑부분이 구워짐과 동시에 덮개(30)의 내면에 부착된 원적외선 방사판(50)에 의한 대류 및 복사되는 열에 의하여 재료의 윗부분이 구워지게 된다.
여기서 원적외선 방사판(50)에 의한 대류 및 복사에 의한 열은 원적외선의 작용에 의하여 재료의 깊은 곳까지 열을 전달하게 되어 구이 요리가 더욱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게 되며, 구이 요리의 풍미를 더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재료운반대의 하부에 설치된 버너의 열에 의하여 구이 요리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재료운반대의 바닥에 접하지 않는 재료의 윗부분이 덮개의 내면에 부착된 원적외선 방사판에 의하여 대류 및 복사되는 열에 의하여 구워지게 되며 원적외선의 작용에 의하여 재료의 깊은 곳까지 열을 전달하게 되므로 구이 요리를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음과 아울러 구이 요리의 풍미를 더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Claims (1)

  1. 상면이 개방되고 양측에 각각 재료운반대 공급부(11)와 재료운반대 배출부(12)가 형성된 구이기 본체(10)와, 상기 구이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버너(20)와, 상기 구이기 본체의 상면을 개폐하는 덮개(30)와, 상기 구이기 본체의 상면측에서 재료운반대 공급부에서 재료운반대 배출부에 이르는 범위에 재료운반대 이송수단 및, 상기 덮개의 내면에 부착되는 원적외선 방사판(50)을 구비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기.
KR2019980007761U 1998-05-13 1998-05-13 구이기 KR20021289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7761U KR200212898Y1 (ko) 1998-05-13 1998-05-13 구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7761U KR200212898Y1 (ko) 1998-05-13 1998-05-13 구이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1029U KR19990041029U (ko) 1999-12-06
KR200212898Y1 true KR200212898Y1 (ko) 2001-02-15

Family

ID=695050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7761U KR200212898Y1 (ko) 1998-05-13 1998-05-13 구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289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2094A (ko) * 2017-09-19 2019-03-27 농업회사법인 햇빛촌 주식회사 터널형 식품 구이 제조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2094A (ko) * 2017-09-19 2019-03-27 농업회사법인 햇빛촌 주식회사 터널형 식품 구이 제조장치
KR101966681B1 (ko) 2017-09-19 2019-04-08 농업회사법인 햇빛촌(주) 터널형 식품 구이 제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1029U (ko) 1999-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47741A (en) Automatic food cooking machine
KR200223262Y1 (ko) 숯불 바베큐 구이장치
FR2665067A1 (fr) Recipient de cuisson pour utilisation avec des fours a micro-ondes.
KR200212898Y1 (ko) 구이기
JP2014234932A (ja) 加熱調理器
JP2007167560A (ja) 食材の焼成装置
JP2004065200A (ja) 食品加熱装置及び食品加熱方法
KR200385674Y1 (ko) 입체식 볶음장치
KR200166371Y1 (ko) 구이기
JP5683248B2 (ja) 加熱調理装置
JP2013188425A (ja) 加熱調理装置
KR102180749B1 (ko) 식재료 가열장치
JP5812667B2 (ja) 加熱調理装置
KR20170098615A (ko) 김 구이장치
JP2000236799A (ja) 焼き物機
JPH07255601A (ja) 加熱調理器
JP2619484B2 (ja) 食品の電気焼成器
JPH09308427A (ja) 赤外放射加熱オーブン
JP2009281705A (ja) 加熱調理機
JPH05317190A (ja) 焼き物機
JP3105702U (ja) 串物焼き装置
JPS6340190Y2 (ko)
JPH114770A (ja) 食物用加熱装置
KR200280340Y1 (ko) 전기 구이기
JPH02211113A (ja) 熱風式焼物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