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2833Y1 - 컨테이너의 적재 및 반출장치 - Google Patents

컨테이너의 적재 및 반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2833Y1
KR200212833Y1 KR2020000026028U KR20000026028U KR200212833Y1 KR 200212833 Y1 KR200212833 Y1 KR 200212833Y1 KR 2020000026028 U KR2020000026028 U KR 2020000026028U KR 20000026028 U KR20000026028 U KR 20000026028U KR 200212833 Y1 KR200212833 Y1 KR 20021283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ist
loading
container
plate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602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대규
Original Assignee
박대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대규 filed Critical 박대규
Priority to KR202000002602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283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283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2833Y1/ko

Links

Landscapes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컨테이너의 적재 및 반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적재창고(10)상에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며, 수직통로(14)상에서 승강되는 권상기(30)에 평형유지수단(60)과, 안내수단(70,80)을 구비하여 주므로써 권상기(30)의 승강시, 평형유지수단(60)에 의해서 항상 평형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며, 권상윈치의 오작동시에는 권상기(30)가 승강되지 않도록 하여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안내수단(70,80)에 의해서 권상기(30)의 승강부가 안정적으로 안내되어 승강됨과 아울러 이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컨테이너의 적재 및 반출장치{Loading And Unloading Apparatus Of Container}
본 고안은 컨테이너의 적재 및 반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컨테이너를 파지한 상태로 들어올려 적재창고의 적재실에 적재 및 반출시키는 권상기의 승강시, 이의 평형을 유지할 수 있고, 또한 안정적으로 승강되도록 안내함과 아울러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컨테이너의 적재 및 반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고안은 본 출원인이 출원한 실용신안등록출원 제 2000-24960호(명칭: 컨테이너의 적재 및 반출장치)에 개시된 권상기를 개량한 것이다.
한편, 상기한 권상기는 적재창고상에서 이동 및 승강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있어 컨테이너를 파지한 상태로 들어올려 해당 적재실에 적재 또는 반출시키도록 된 것이다.
또한, 상기한 권상기는 이의 승강시, 상부권상판의 상면에 구비된 통상적인 권상윈치의 작동에 의해서 케이블이 감김되거나 풀림되면서 상부권상판의 하단에 구비된 하부권상판과, 선회륜부재, 회전부재, 안내부재, 주행클리퍼로 이루어진 승강부를 승강시키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케이블은 그 일단이 권상윈치의 양편에 복수개로 구비된 드럼상에 권취되고, 타단은 안내롤러를 통해 상부권상판의 롤러와, 하부권상판의 롤러에 순차적으로 권취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승강되는 권상기는 컨테이너를 적재창고의 적재실에 적재 및 반출하고자 할 때에는 권상기의 승강부가 반드시 평형상태를 유지하여야 하나, 권상윈치의 오작동으로 인해서 케이블이 일측의 드럼으로부터는 풀리는 반면에, 타측의 드럼으로부터는 풀리지 않게 되는 경우에는 권상기의 승강부가 일측으로 기울어져 평형을 유지할 수 없게 되고, 또한 컨테이너를 파지한 상태에서는 이의 하중이 권상기의 승강부 일측으로 편중되어 권상기의 주행클리퍼에 구비된 일측의 파지수단이 파손되므로 인해 컨테이너가 권상기로부터 이탈되어 떨어지는 등의 대형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한 권상기의 승강부에는 이를 안내할 수 있는 안내수단이 구비되어 있지 않아 이의 승강시 승강부가 흔들리게 되므로써 컨테이너를 파지함에 있어 그 작업이 매우 불편하게 이루어지고, 컨테이너를 파지한 상태에서 승강될 시에는 불안정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진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권상기의 승강부가 항상 평형을 유지한 상태로만 승강되도록 함과 아울러 권상윈치의 오작동시에는 권상기의 승강부가 승강되지 않도록 하여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또한 권상기의 승강부가 안정적으로 승강됨과 아울러 이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컨테이너의 적재 및 반출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컨테이너의 적재 및 반출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권상기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권상기의 하부권상판을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하부권상판과 회전부재에 구비된 안내수단을 평면에서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차량 4: 컨테이너
10: 적재창고 12: 수평활강레일
14: 수직통로 16: 수직활강레일
20: 적재실 22: 천정레일
30: 권상기 32: 상부권상판
34: 케이블 36: 하부권상판
38: 롤러 40: 연결축
42: 구동기어 44: 회전수단
46: 선회륜부재 48: 회전부재
50: 안내부재 52: 주행클리퍼
54: 파지수단 60: 평형유지수단
62: 구동축 64: 피동기어
66: 기어박스 70,80: 안내수단
72,82: 유압실린더 74,84: 슬라이드부재
76,86: 수직활강롤러 78,88: 안내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상부권상판, 하부권상판, 선회륜부재, 회전부재, 안내부재, 주행클리퍼로 이루어진 권상기가 적재창고상에서 이동 및 승강가능하도록 구비된 컨테이너의 적재 및 반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권상기의 하부권상판 상면의 양 롤러를 연결하는 연결축상에 동기되도록 형성된 구동기어와; 상기 구동기어에 각각 치합되어 구동축으로서 동기되도록 형성된 피동기어와; 상기 피동기어와 구동기어가 내장됨과 아울러 이를 윤활시키도록 구비된 기어박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평형유지수단을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부권상판 및 회전부재의 양측단에는 승강되는 권상기를 안내하도록 된 안내수단이 구비되되, 상기 안내수단은 하부권상판 및 회전부재의 양내측단에 구비된 유압실린더와; 상기 유입실린더의 선단에 구비되어 유압실린더에 의해 하부권상판 및 회전부재로부터 입출가능하도록 된 슬라이드부재와; 상기 슬라이드 부재의 선단에 회전가능하게 힌지되어 그 중앙부에 함몰된 안내부가 형성된 수직활강롤러와; 상기 수직활강롤러의 안내부에 대응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수직통로를 이루는 적재창고의 양측면에 구비된 수직활강레일;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컨테이너의 적재 및 반출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권상기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권상기의 하부권상판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하부권상판과 회전부재에 구비된 안내수단을 평면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컨테이너(4)의 적재 및 반출장치는 승강되는 권상기(30)에 평형유지수단(60)과, 안내수단(70,80)이 구비된다.
상기한 평형유지수단(60)은 상부권상판(32), 하부권상판(36), 선회륜부재(46), 회전부재(48), 안내부재(50); 주행클리퍼(52)로 이루어진 권상기(30)가 적재창고(10)상에서 이동 및 승강가능하도록 구비된 컨테이너(4)의 적재 및 반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권상기(30)의 하부권상판(36) 상면의 양편에 각각 전후로 구비된 롤러(38)를 연결하는 연결측(40)상에 롤러(38)와 같이 연동되어 동기되도록 된 구동기어(42)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한 구동기어(42)의 일측에는 이에 각각 치합된 피동기어(64)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한 앙편의 피동기어(64)는 상기한 연결축(40)에 수직하게 구비된 하나의 구동축(62) 양단에 각각 형성되어 양편의 피동기어(64)가 구동축(62)과 같이 동기되도록 구비된다.
또한, 상기한 피동기어(64)와 구동기어(42)는 기어박스(66)내에 내장되어 외부로의 노출이 방지되도록 구비되되, 이 기어박스(66)내에는 윤활오일이 구비되어 있어 구동기어(42)와 피동기어(64)의 구동을 원활하게 한다.
한편, 상기한 구동기어(42)와 피동기어(64)는 본 실시예에서 그 일례로 베벨기어를 도시하였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동력이 전달될 수 있는 구조의 동력전달수단은 모두 적용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평형유지수단(60)을 하부권상판(36)에 수평하게만 구비하였으나, 이와 더불어서 하부권상판(36)에 수직한 별도의 평형유지수단을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한 평형유지수단은 후술되는 안내수단과 더불어서 권상기의 승강부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바, 이는 작용효과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한 권상기(30)의 하부권상판(36)좌 회전부재(48)의 양측단에는 첨부도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권상기(30)의 승강시, 이를 안내함과 아울러 이의 흔들림을 방지하도록 된 안내수단(70,80)이 구비된다.
상기한 안내수단(70,80)은 하부권상판(36)과 회전부재(48)의 양내측단에 유압실린더(72,82)가 구비되고, 이 유압실린더(72,82)의 선단에는 유압실린더(72,82)의 작동에 따라 하부권상판(36) 및 회전부재(48)로부터 입출가능하도록 된 슬라이드부재(74,84)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한 슬라이드부재(74,84)의 선단에는 그 중앙부에 대략 삼각형상으로 함몰형성된 안내부(78,88)가 있는 수직활강롤러(76,86)가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한 수직활강롤러(76,86)의 안내부(78,88)에 대응한 형상의 수직활강레일(16)이 수직통로(14)를 이루는 적재창고(10)의 양측면에 형성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하부권상판(36)과 회전부재(48)의 안내수단(70,80)은 권상기(30)의 전,후 이동시에는 작동되지 않고, 더우기 상기한 회전부재(48)의 안내수단(80)은 회전부재(48)의 회전시에도 작동되지 않는다.
한편, 상기한 컨테이너(4)의 적재 및 반출장치에 구비된 권상기(30)의 승강작동을 첨부도면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적재창고(10)의 수직통로(14)상으로 컨테이너(4)를 실은 차량(2)이 진입하여 정차되면, 그에 따라 적재창고(10) 상의 수평활강레일(12)상에서 권상기(30)가 이동하여 차량(2)의 상부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한 권상기(30)의 상부권상판(32)상에 구비된 권상윈치(미도시)가 작동하여 케이블(34)을 풀게 되고, 그에 따라 상부권상판(32)의 하단부에 구비된 하부권상판(36), 선회륜부재(46), 회전부재(48), 안내부재(50), 주행클리퍼(52)로 이루어진 승강부가 하강하게 된다.
상기한 권상윈치의 작동에 의해서 케이블(34)이 풀릴시에는 이 케이블(34)이 권취된 하부권상판(36)의 롤러(38)가 일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는 바, 상기한 롤러(38)가 케이블(34)에 의해서 회전될 시에는 일단 양측의 롤러(38)가 연결축(40)에 의해서 동기되어 회전된다.
또한, 상기한 연결축(40)상에 일체로 형성된 구동기어(42)가 상기한 롤러(38)와 같이 동기되어 회전되며, 양편의 구동기어(42)에 각각 치합된 피동기어(64)는 구동축(62)에 의해서 동기되어 회전되는 바, 상기한 승강부의 승강시는 하부권상판(36)상의 모든 롤러(38)가 일체로 동기되어 회전되므로 상기한 하부권상판(36), 선회륜부재(46), 회전부재(48), 안내부재(50), 주행클리퍼(52)로 이루어진 승강부가 항상 평형상태를 유지하게 되면서 승강하게 된다.
또한, 상기한 구동기어(42)와 피동기어(64)는 기어박스(66)내에 내장되어 외부로의 노출이 방지되어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고, 기어박스(66)내에 윤활오일이 구비되어 있어 이의 구동이 원활히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상기한 권상윈치의 작동시 일측의 케이블(34)은 풀리는 반면에, 타측의 케이블(34)은 풀리지 않는 등의 오작동시에는 전술한 평형유지수단(60)의 구동기어(42)와 피동기어(64)에 의해서 하부권상판(36)의 하강은 이루어지지 않게 되고, 그로 인해 조정자는 이를 손쉽게 인지할 수 있어 신속한 정비를 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때 상기한 승강부의 하강시에는 하부권상판(36)과 회전부재(48)의 양측단내에 구비된 안내수단(70,80)이 작동하게 되는 바, 이는 상기한 안내수단(70,80)의 유압실린더(72,82)가 작동하여 그 선단에 구비된 슬라이드부재(74,84)를 하부권상판(36)과 회전부재(48)로부터 인출시키게 되고, 이와 같이 인출되는 슬라이드부재(74,84)의 선단에 회전가능하게 힌지된 수직활강롤러(76,86)의 안내부(78,88)가 적재창고(10)의 수직활강레일(16)상에 접촉되어 상기한 승강부의 승강시, 이를 안정적으로 안내함과 아울러 승강시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하강되는 승강부는 하부권상판(36)에 구비된 회전수단(44)이 작동하여 선회륜부재(46)를 회전시키게 되고, 이와 같이 회전되는 선회륜부재(46)에 의해서 회전부재(48), 안내부재(50), 주행클리퍼(52)가 차량(2)에 대응한 상태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한 회전부재(48)내에 구비된 안내수단(80)은 유압실린더(82)의 역작동에 의해서 슬라이드부재(84) 및 수직활강롤러(86)의 안내부(88)가 수직활강레일(16)로부터 분리되어 회전부재(48)내로 인입되어 이의 회전시 주변장치와의 간섭을 피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차량(2)에 대응한 상태로 회전되어 하강하는 권상기(30)의 승강부는 차랑(2)의 컨테이너(4)에 소정거리로 이격된 위치까지 하강하여 정지된다.
상기와 같이 정지된 권상기(30)는 그 하단에 구비된 주행클리퍼(52)의 파지수단(54)이 작동하여 컨테이너(4)를 파지하게 되고, 컨테이너(4)를 파지한 상태에서 상승하게 됨과 아울러 하부권상판(36)에 구비된 회전수단(44)이 역방향으로 작동되어 선회륜부재(46)를 역회전시키면서 회전부재(48), 안내부재(50), 주행클리퍼(52)를 적재실(20)에 평행한 상태로 위치되게 한다.
이후, 상기한 회전부재(48)내에 구비된 안내수단(80)이 전술한 바와 같이 작동하여 수직활강롤러(86)의 안내부(88)가 적재창고(10)의 수직활강레일(16)상에 접한 상태로 안내되면서 상승하게 된다.
한편, 상기한 컨테이너(4)를 파지한 상태로 상승되는 권상기(30)의 승강부는 컨테이너(4)를 적재하기 위한 해당 적재실(20)에 위치하게 되면, 이의 상승이 정지된다.
상기와 같이 해당 적재실(20)에 정지된 승강부의 안내부재(50)는 적재실(20)의 천정레일(22)에 평행하게 위치된 상태가 되고, 이 안내부재(50)가 회전부재(48) 상에서 소정의 구동수단에 의해 적재실(20)의 천정레일(22)측으로 이동되어 접하면서 이의 작동이 정지되게 된다.
이후, 상기한 안내부재(50)상에서 이동가능하게 구비된 주행클리퍼(52)가 구동되어 적재실(20)이 천정레일(22)상으로 이동하게 되고, 주행클리퍼(52)와 컨테이너(4)가 적재실(20)내로 완전히 인입된 후에는 이의 구동이 정지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적재실(20)내로 인입된 주행클리퍼(52)는 그 양측단의 파지수단(54)이 재차 작동하여 컨테이너(4)를 적재실(20)의 바닥면에 안착시키게 되고, 이후 상기한 파지수단(54)이 컨테이너(4)로부터 해제되어 분리된 후에는 주행클리퍼(52)가 전술한 방향의 역방향으로 구동되어 적재실(20)로부터 빠져나와 안내부재(50)상으로 완전하게 이동되어 정지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적재창고(10)의 적재실(20)에 적재된 컨테이너(4)를 반출할 시에는 권상기(30)가 전술한 역순으로 작동하여 컨테이너(4)를 적재실(20)로부터 반출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한 권상기(30)의 이동시 승강부의 흔들림은 평형유지수단(60)에 의해서 방지되는 바, 이는 하나의 케이블(34)이 권상윈치 일측의 드럼으로부터 상부권상판(32)의 롤러와, 하부권상판(36)의 롤러(38) 및 하부권상판(36)의 하단 중앙부에 걸림되어 타측의 하부권상판(36)의 롤러(38)와, 상부권상판(32)의 롤러를 순차적으로 지나 권상윈치 타측의 드럼에 권취된 상태로서, 이의 케이블(34)은 승강부의 중량에 의해서 하부권상판(36)의 롤러(38)에 팽팽하게 긴장되어 걸림된 상태가 되므로 상기한 승강부가 좌,우로 흔들릴 시에는, 첨부도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에서 하부권상판(36) 양편의 롤러(38)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케이블(34)을 타고 이동되어야 하는데, 이때 양편의 롤러(38)는 연결축(40)상의 구동기어(42)와, 이에 치합된 피동기어(64) 및 구동축(62)으로 이루어진 평형유지수단(60)에 의해서 이의 회전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므로 이의 흔들림은 방지된다.
또한, 상기한 승강부의 전,후 흔들림은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하부권상판(36) 상면에 수직하게 구비되어 전술한 평형유지수단(60)과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진 별도의 평형유지수단에 의해서 전술한 바와 같은 작용으로 인해 방지된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컨테이너의 적재 및 반출장치는 권상기의 승강시, 평형유지수단에 의해서 항상 평형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며, 권상윈치의 오작동시에는 권상기가 승강되지 않도록 하여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안내수단에 의해서 권상기의 승강부가 안정적으로 안내되어 승강됨과 아울러 이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상부권상판(32), 하부권상판(36), 선회륜부재(46), 회전부재(48), 안내부재(50), 주행클리퍼(52)로 이루어진 권상기(30)가 적재창고(10)상에서 이동 및 승강가능하도록 구비된 컨테이너(4)의 적재 및 반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권상기(30)의 하부권상판(36) 상면의 양 롤러(38)를 연결하는 연결축(40)상에 동기되도록 형성된 구동기어(42)와;
    상기 구동기어(42)에 각각 치합되어 구동축(62)으로서 동기되도록 형성된 피동기어(64)와;
    상기 피동기어(64)와 구동기어(42)가 내장됨과 아울러 이를 윤활시키도록 구비된 기어박스(6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평형유지수단(60)을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의 적재 및 반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권상판(36) 및 회전부재(48)의 양측단에는 승강되는 권상기(30)를 안내하도록 된 안내수단(70,80)이 구비되되, 상기 안내수단(70,80)은 하부권상판(36) 및 회전부재(48)의 양내측단에 구비된 유압실린더(72,82)와;
    상기 유압실린더(72,82)의 선단에 구비되어 유압실린더(72,82)에 의해 하부권상판(36) 및 회전부재(48)로부터 입출가능하도록 된 슬라이드부재(74,84)와;
    상기 슬라이드부재(74,84)의 선단에 회전가능하게 힌지되어 그 중앙부에 함몰된 안내부(78,88)가 형성된 수지활강롤러(76,86)와;
    상기 수직활강롤러(76,86)의 안내부(78,88)에 대응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수직통로(14)를 이루는 적재창고(10)의 양측면에 구비된 수직활강레일(16);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의 적재 및 반출장치.
KR2020000026028U 2000-09-15 2000-09-15 컨테이너의 적재 및 반출장치 KR20021283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6028U KR200212833Y1 (ko) 2000-09-15 2000-09-15 컨테이너의 적재 및 반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6028U KR200212833Y1 (ko) 2000-09-15 2000-09-15 컨테이너의 적재 및 반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2833Y1 true KR200212833Y1 (ko) 2001-02-15

Family

ID=730887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6028U KR200212833Y1 (ko) 2000-09-15 2000-09-15 컨테이너의 적재 및 반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283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2202B1 (ko) 2008-07-31 2010-09-14 주식회사 남전상공 케이블 권치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83507A (ja) * 1982-04-14 1983-10-26 Kawasaki Steel Corp スラブの搬送方法
JPH0543172A (ja) * 1991-08-13 1993-02-23 Yoshitada Etsuhara 建設工事用リフト
JPH05338988A (ja) * 1992-06-12 1993-12-21 Mitsubishi Heavy Ind Ltd コンテナー用吊具
JPH0797182A (ja) * 1993-09-27 1995-04-11 Ohbayashi Corp ホイスト型タワークレーン
JPH1087010A (ja) * 1996-09-11 1998-04-07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コンテナターミナル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83507A (ja) * 1982-04-14 1983-10-26 Kawasaki Steel Corp スラブの搬送方法
JPH0543172A (ja) * 1991-08-13 1993-02-23 Yoshitada Etsuhara 建設工事用リフト
JPH05338988A (ja) * 1992-06-12 1993-12-21 Mitsubishi Heavy Ind Ltd コンテナー用吊具
JPH0797182A (ja) * 1993-09-27 1995-04-11 Ohbayashi Corp ホイスト型タワークレーン
JPH1087010A (ja) * 1996-09-11 1998-04-07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コンテナターミナル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2202B1 (ko) 2008-07-31 2010-09-14 주식회사 남전상공 케이블 권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53147B1 (ko) 이동식 발을 이용한 주차차량 자동 이송장치 및 방법
JP4708955B2 (ja) 機械式駐車装置のリフト
KR0152874B1 (ko) 자동창고용 입출고장치
KR100421087B1 (ko) 주차차량 자동 이송장치 및 방법
JP5049636B2 (ja) 機械式駐車装置
KR200212833Y1 (ko) 컨테이너의 적재 및 반출장치
KR102471610B1 (ko) 엘리베이터의 화물 운반 보조장치
KR100524663B1 (ko) 타워식 컨테이너 적재설비
JP2005022863A (ja) 駐車場における昇降装置
JP3561819B2 (ja) スタッカクレーンにおける保守用昇降機の落下防止装置
JP3759836B2 (ja) エレベータ式立体駐車装置
JP2000026081A (ja) 移動リフト装置のピットカバー装置
KR200212814Y1 (ko) 컨테이너의 적재 및 반출장치
JPH042823Y2 (ko)
JP3901386B2 (ja) 駐車設備の昇降装置
JP2009270252A (ja) エレベータ式駐車装置
JP2003301622A (ja) フラット面を形成するターン装置
JP3556042B2 (ja) 昇降式駐車装置
JP2727130B2 (ja) 立体機械式駐車設備
JPH0682317U (ja) 機械式駐車装置のデッキ構造
JPH0740033Y2 (ja) 立体駐車装置
JP3606344B2 (ja) 昇降式駐車装置
JPS6137601A (ja) 立体格納庫
JP2551340Y2 (ja) 機械式駐車設備
KR920008230Y1 (ko) 엘리베이터식 입체주차장치의 입.출력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utility model]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42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