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1103Y1 - 낚싯줄 수납 케이스 - Google Patents

낚싯줄 수납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1103Y1
KR200211103Y1 KR20000011365U KR20000011365U KR200211103Y1 KR 200211103 Y1 KR200211103 Y1 KR 200211103Y1 KR 20000011365 U KR20000011365 U KR 20000011365U KR 20000011365 U KR20000011365 U KR 20000011365U KR 200211103 Y1 KR200211103 Y1 KR 20021110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ing line
take
wheel
unit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0001136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충
Original Assignee
장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충 filed Critical 장충
Priority to KR200000113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110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110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1103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Abstract

본 고안은 낚싯줄 수납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권취휠에 감겨진 낚싯줄을 풀어 사용함에 있어 낚싯줄을 유관으로 확인하면서 용이하게 인출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본 고안은 낚싯줄이 감겨진 권취휠(2)을 수납할 수 있게 케이스(1)의 중앙에 요입 형성된 권취휠 수납부(20)와, 낚싯줄(3)을 노출시켜 유관으로 확인할 수 있게 케이스(1)의 상부에 요입 형성된 낚싯줄 확인부(30)와, 권취휠 수납부(20)에서 낚싯줄 확인부(30)로의 인출을 제한하는 낚싯줄 인출부(20)와, 낚싯줄 확인부(30)에서 낚싯줄(3)의 인출방향측에 사용목적에 따라 낚싯줄(3)을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게 구비된 낚싯줄 절단부(40)로 구성한 것이다.

Description

낚싯줄 수납 케이스{A fishingline case}
본 고안은 낚싯줄 수납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권취휠에 감겨진 낚싯줄을 풀어 사용함에 있어 낚싯줄을 유관으로 확인하면서 용이하게 인출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낚시를 함에 있어서 낚싯줄을 사용하기 위하여는 권취휠에 감겨진 낚싯줄을 사용하고자 하는 길이만큼만 풀어 절단하여 사용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사용목적에 따라 낚싯줄을 풀어서 절단하여 사용함에 있어서 낚싯줄의 굵기가 매우 가늘어 권취휠에 감겨진 낚싯줄의 끝을 찾기가 힘들고 절단도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낚싯줄을 유관으로 확인할 수 있게 함과 더불어 용이하게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낚싯줄 케이스를 구비하여 낚싯줄을 용이하게 인출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를 보인 측면도.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를 보인 낚싯줄 절단부의 상세 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실 실시예를 보인
권취휠 구속구를 보인 상세 사시도.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보인 측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케이스 2 : 권취휠 3 : 낚싯줄
10 : 권취휠 수납부 11 : 음발생편
20 : 낚싯줄 인출부 20a: 인출홈
21 : 권취휠 구속구
21a: 회동제한부 21b: 이탈제한부
21c: 걸림턱 21d: 누름편
22 : 고정구 22a: 걸림편 22b: 누름편
23 : 낚싯줄 탄지구 24 : 가이드판
25 : 회동제한스프링 26 : 이탈제한스프링
30 : 낚싯줄 확인부
40 : 낚싯줄 절단부 40a: 낚싯줄구속홈
41 : 절단구 41a: 절단편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낚싯줄을 용이하게 인출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낚싯줄이 감겨진 권취휠(2)을 수납할 수 있게 케이스(1)의 중앙에 요입 형성된 권취휠 수납부(20)와, 낚싯줄(3)을 노출시켜 유관으로 확인할 수 있게 케이스(1)의 상부에 요입 형성된 낚싯줄 확인부(30)와, 권취휠 수납부(20)에서 낚싯줄 확인부(30)로의 인출을 제한하는 낚싯줄 인출부(20)와, 낚싯줄 확인부(30)에서 낚싯줄(3)의 인출방향측에 사용목적에 따라 낚싯줄(3)을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게 구비된 낚싯줄 절단부(40)로 구성된 것이다.
여기서, 상기 낚싯줄 인출부(20)는 측면에서 요입 형성된 인출홈(20a)과, 낚싯줄(3)이 감겨진 권취휠(2)의 회동과 이탈을 제한할 수 있게 스프링과 같은 탄성수단에 의하여 탄지되어 힌지결합된 권취휠 구속구(21)와, 탄성편으로 이루어져 단부에 권취휠 구속구(21)의 회동을 제한하는 걸림편(22a)을 형성하고 상부에 케이스(1)의 외부로 돌출되는 누름부(22b)를 구비한 고정구(22)와, 스프링과 같은 탄성수단에 의하여 탄지되어 인출되는 낚싯줄(3)을 탄지하는 낚싯줄 탄지구(23)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낚싯줄 인출부(20)의 권취휠 구속구(21)는 후면으로 누름부(21d)를 돌출형성하고, 상부에 고정구(22)의 걸림편(22a)에 걸려지는 걸림턱(21c)을 형성하며, 하부에 낚싯줄 권취휠(2)의 측판과 접촉되어 회동을 제한하는 회동제한부(21a)를 형성하고, 상기 회동제한부(21a)에는 권취휠(2)의 양측판 사이에 요입되어 권취휠(2)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제한부(21b)를 돌출 형성한 것이고, 그리고, 상기 권취휠 구속구(21)를 탄지하는 스프링은 회동제한부(21a)의 동작을 위한 회동제한스프링(25)과 이탈제한부(21b)의 동작을 위하여 회동제한부(21a)의 후면을 탄지하는 이탈제한스프링(26)으로 구성된 것이다.
그리고, 낚지줄(3)을 절단하는 낚싯줄 절단부(40)는 낚싯줄 확인부(30)측에 낚싯줄(3)이 끼워져 구속되게 쐐기형으로 요입 형성된 낚싯줄구속홈(40a)과, 낚싯줄(3) 인출방향측에 끼워 결합되며 상단에 누름부를 일체로 구비한 절단편(41a)이 몸체에 일체로 형성된 절단구(41)로 구성된 것이다.
또한, 낚싯줄 인출부(20)의 낚싯줄 확인부(30)측에는 인출홈(20a)의 요입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요입된 가이드홈을 형성한 가이드판(24)이 구비되어 있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는 낚싯줄(3) 권취휠(2)의 내측표면과 마찰되어 낚싯줄(3)을 풀 때 소리가 나게 권취휠 수납부(20)의 내벽에서 돌출되는 음발생편(11)을 구비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사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한 바와 같이 권취휠 수납부(20)와, 낚싯줄 인출부(20), 낚싯줄 확인부(30) 및 낚싯줄 절단부(40)로 이루어진 본 고안은 케이스(1)의 측면으로 돌출된 권취휠 구속구(21)의 누름부(21d)를 눌러 회동제한스프링(25)이 가압된 후 이탈제한스프링(26)까지 가압되게 누른 후 권취휠(2)을 권취휠 수납부(20)에 수납한다.
그리고, 낚싯줄(3)을 조금 풀어서 인출홈(20a)과 가이드판(24)의 가이드홈에 끼워 낚싯줄 확인부(30)를 통하여 낚싯줄 절단부(40)의 낚싯줄구속홈(40a)에 구속되게 끼워둔다.
상기한 바와 같이 권취휠(2)의 설치가 완료된 상태에서 낚싯줄(3)을 풀어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회동제한스프링(25)만이 압축되게 권취휠 구속구(21)의 누름부(21d)를 누룬후 고정구(22)의 누름부(22b)를 눌러 권취휠 구속구(21)의 회동제한부(21a)가 권취휠(2)로부터 이탈되어 권취휠(2)이 자유로이 회동 가능하게 한다.
그리고, 낚싯줄 절단부(40)의 낚싯줄구속홈(40a)에 구속되어 낚싯줄 확인부(30)에 노출되어 있는 낚싯줄(3)을 사용하고자 하는 길이만큼만 풀어서 낚싯줄 절단부(40)에 집어넣은 후 절단구(41)의 누름부를 눌러주므로서 절단편(41a)이 몸체와 교차되며 낚싯줄(3)을 절단하는 것이다.
이때, 절단된 낚싯줄(3)은 절단과정에 있어 낚싯줄구속홈(40a)에 구속되어 낚싯줄 확인부(30)에서 사용자가 확인하기 용이하게 노출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와 같이 권취휠 수납부(20)의 내면에 권취휠(2)의 측면과 마찰되어 소리를 발생하는 음발생편(11)을 구비하므로서 낚싯줄(3)의 풀림 량과 속도를 용이하게 알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낚싯줄이 권취되어 있는 권취휠을 케이스에 수납하여 사용목적에 따라 용이하게 인출하여 절단하고, 절단된 낚싯줄이 낚싯줄 확인부에서 사용자가 쉽게 찾을 수 있게 노출되므로 낚싯줄의 인출 및 절단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리고, 낚시줄의 인출과 낚시줄이 권취되어 있는 권취휠의 착탈이 이단동작되는 권취휠 구속구에 의하여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낚싯줄을 푸는 과정에 있어 권취휠과의 접촉에 의하여 음을 발생하는 음발생편을 구비하므로서 낚싯줄의 인출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것이다.

Claims (4)

  1. 낚싯줄이 감겨진 권취휠(2)을 수납할 수 있게 케이스(1)의 중앙에 요입 형성된 권취휠 수납부(20)와;
    낚싯줄(3)을 노출시켜 유관으로 확인할 수 있게 케이스(1)의 상부에 요입 형성된 낚싯줄 확인부(30)와;
    권취휠 수납부(20)에서 낚싯줄 확인부(30)로의 인출을 제한하는 낚싯줄 인출부(20)와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줄 수납 케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낚싯줄 확인부(30)에서 낚싯줄(3)의 인출방향측에 사용목적에 따라 낚싯줄(3)을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게 낚싯줄 절단부(40)를 구비하되,
    상기 낚싯줄 절단부(40)는 낚싯줄 확인부(30)측에 낚싯줄(3)이 끼워져 구속되게 쐐기형으로 요입 형성된 낚싯줄구속홈(40a)과, 낚싯줄(3) 인출방향측에 끼워 결합되며 상단에 누름부를 일체로 구비한 절단편(41a)이 몸체에 일체로 형성된 절단구(41)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줄 수납 케이스.
  3. 제 1 항 내지 2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낚싯줄 인출부(20)는 측면에서 요입 형성된 인출홈(20a)과, 낚싯줄(3)이 감겨진 권취휠(2)의 회동과 이탈을 제한할 수 있게 스프링과 같은 탄성수단에 의하여 탄지되어 힌지결합된 권취휠 구속구(21)와, 탄성편으로 이루어져 단부에 권취휠 구속구(21)의 회동을 제한하는 걸림편(22a)을 형성하고 상부에 케이스(1)의 외부로 돌출되는 누름부(22b)를 구비한 고정구(22)와, 스프링과 같은 탄성수단에 의하여 탄지되어 인출되는 낚싯줄(3)을 탄지하는 낚싯줄 탄지구(23)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줄 수납 케이스.
  4. 제 1 항 내지 2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낚싯줄 인출부(20)의 낚싯줄 확인부(30)측에는 인출홈(20a)의 요입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요입된 가이드홈을 형성한 가이드판(24)을 구비하고,
    낚싯줄(3) 권취휠(2)의 내측표면과 마찰되어 낚싯줄(3)을 풀 때 소리가 나게 권취휠 수납부(20)의 내벽에서 돌출되는 음발생편(11)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줄 수납 케이스.
KR20000011365U 2000-04-21 2000-04-21 낚싯줄 수납 케이스 KR20021110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00011365U KR200211103Y1 (ko) 2000-04-21 2000-04-21 낚싯줄 수납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00011365U KR200211103Y1 (ko) 2000-04-21 2000-04-21 낚싯줄 수납 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1103Y1 true KR200211103Y1 (ko) 2001-01-15

Family

ID=610073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00011365U KR200211103Y1 (ko) 2000-04-21 2000-04-21 낚싯줄 수납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110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204423A1 (ko) * 2016-05-25 2017-11-30 이상욱 낚시줄 케이스
KR101829533B1 (ko) * 2016-04-29 2018-02-19 이상욱 낚시줄 케이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9533B1 (ko) * 2016-04-29 2018-02-19 이상욱 낚시줄 케이스
WO2017204423A1 (ko) * 2016-05-25 2017-11-30 이상욱 낚시줄 케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11103Y1 (ko) 낚싯줄 수납 케이스
KR20080065020A (ko) 라벨 스티커 분리 기구
JPH04137354A (ja) 電源ケース及びその着脱装置
JPS5836559Y2 (ja) ヘツド及びサイドノツク式シヤ−プペンシル
KR200339737Y1 (ko) 절단용 슬라이드가 부착된 랩 케이스
RU91925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езки клейкой ленты и предотвращения потери ее окончания
JP2018002471A (ja) テープカッター
KR200345291Y1 (ko) 접착테이프 케이스의 테이프 인출장치
KR200207499Y1 (ko) 이어폰줄 케이스
JP4812698B2 (ja) ロール紙ホルダ
JP6648386B2 (ja) 壁紙糊付機
CN215795098U (zh) 一种标签盒
JP4615767B2 (ja) 光プラグ着脱工具
KR200360174Y1 (ko) 압정 보관함
JPH0636799Y2 (ja) トイレットペ−パ−のペ−パ−ホルダ−
US2673098A (en) Memorandum roll holder
JP2006192625A (ja) 紐付き筆記具
KR200205620Y1 (ko) 압정분리수단이 구비된 압정보관함
KR900003132Y1 (ko) 휴대용 음향기기의 건전지 취출 장치
KR200343701Y1 (ko) 강력클립의 제철용 집게
JPH0631353Y2 (ja) プッシュ式クラッカー
KR100910181B1 (ko) 메모지 모듈
KR880004230Y1 (ko) 카셋트테이프 보관 케이스의 수납장치
JPH048321Y2 (ko)
JPH11305928A (ja) タッチペン収納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10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