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0174Y1 - 압정 보관함 - Google Patents

압정 보관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0174Y1
KR200360174Y1 KR20-2004-0016427U KR20040016427U KR200360174Y1 KR 200360174 Y1 KR200360174 Y1 KR 200360174Y1 KR 20040016427 U KR20040016427 U KR 20040016427U KR 200360174 Y1 KR200360174 Y1 KR 20036017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ck
pushpin
main body
pressing
storage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642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진
Original Assignee
김종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진 filed Critical 김종진
Priority to KR20-2004-00164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017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017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0174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2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incompressible or rigid rod-shaped or tubular articles
    • B65D85/2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incompressible or rigid rod-shaped or tubular articles for needles, nails or like elongate small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CHAND-HELD NAILING OR STAPLING TOOLS; MANUALLY OPERATED PORTABLE STAPLING TOOLS
    • B25C1/00Hand-held nailing tools; Nail feeding devices
    • B25C1/02Hand-held nailing tools; Nail feeding devices operated by manual pow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CHAND-HELD NAILING OR STAPLING TOOLS; MANUALLY OPERATED PORTABLE STAPLING TOOLS
    • B25C5/00Manually operated portable stapling tools; Hand-held power-operated stapling tools; Staple feeding devices therefor
    • B25C5/10Driving means
    • B25C5/11Driving means operated by manual or foot power

Abstract

본 고안은 압정 보관함에 관한 것으로서, 본체 내부의 수납홈에 압정을 넣어 보관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본체의 압정 분리수단과 압정 가압수단을 형성함으로서 압정을 기재에 용이하게 박아 각종 부착물을 고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재에 박힌 압정을 손쉽게 뽑아 바로 보관함에 수납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한 압정 보관함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압정 보관함{A tack case}
본 고안은 압정 보관함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게시판이나 책상 또는 벽면 등의 기재에 각종 부착물을 부착시킬 때 사용하는 압정을 수납하여 보관하는 일반적인 기능뿐만 아니라 기재로부터 박힌 압정을 손쉽게 뽑아 바로 보관함에 수납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기재에 압정을 용이하게 박아 부착물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압정 보관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압정은 게시판이나 책상 또는 벽면 등의 기재에 메모지나 게시물을 포함한 각종 부착물을 고정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서, 둥근 원판 형상의 압정머리와, 상기 압정머리의 하부 중앙 하측으로 길게 형성된 고정핀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압정을 사용하여 기재에 부착물을 고정시키는 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부착하고자 하는 기재의 면에 부착물을 놓은 다음 그 위에 압정의 고정핀을 놓고 압정머리에 소정의 압력을 가하여 고정핀이 부착물을 통과하여 기재에 박히게 함으로서 이루어진다.
상기한 압정은 용이하게 보관하고 아울러 압정의 고정핀에 신체의 일부가 찔려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내부에 소정의 수납공간이 구비된 보관함에 수납하여 보관하게 되며, 압정을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보관함에서 압정을 꺼내어 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압정을 사용하는 과정에서 대부분 손가락을 사용하여 압정머리에 소정의 힘을 가하게 되는데, 부착물을 고정시키고자 하는 기재가 단단한 경우 힘을 많이 가해야 함에 따라 손가락에 무리가 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압정을 사용하고 난 후 이를 뽑는 과정에서 손가락 끝을 사용하거나 드라이버와 같이 끝 부분이 날카롭거나 도구를 사용하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기재로부터 뽑은 압정을 보관하는 것이 불편하여 대부분 재사용을 하지 않고 버리게 되어 압정에 찔리는 경우가 많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고안자는 상기한 종래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압정 보관함에 압정을 기재에 용이하게 박을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사용 후 압정을 기재로부터 용이하게 뽑아 보관할 수 있는 기능이 부가된 압정 보관함을 연구한 끝에 본 고안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고안은 게시판이나 책상 또는 벽면 등의 기재에 압정을 용이하게 박아 각종 부착물을 고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재에 박힌 압정을 손쉽게 뽑아 바로 보관함에 수납하여 보관할 수 있는 압정 보관함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있다.
도 1은 본 고안 압정 보관함의 부분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 단면도.
도 3a 내지 도 3c는 본 고안에 따른 압정 보관함의 압정 분리수단의 작동관계를 나타낸 도면.
도 4a와 도 4b는 본 고안에 따른 압정 보관함의 압정 가압수단의 작동관계를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용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본체
11 : 수납홈 12 : 가이드 홈 13 : 라운딩부
14 : 자석판 15 : 방지구
20 : 커버
30 : 압정 분리수단
31 : 삽입홈 32 : 슬릿
40 : 압정 가압수단
41 : 몸체 411 : 안내공 412 : 관통공
42 : 가압부 421 : 가압봉 422 : 자석
423 : 누름판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내부에 소정의 수납홈이 형성되고, 좌우측 상단에 가이드 홈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가이드 홈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커버로 이루어지는 압정 보관함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일 측면 외측으로 만곡되게 형성된 라운딩부와;
상기 라운딩부의 중앙에 형성된 것으로 압정머리가 삽입되는 삽입홈과, 상기 삽입홈의 좌우측에 형성된 슬릿으로 이루어지는 압정 분리수단과;
상기 본체 외부의 좌우측 일면에 형성된 것으로 내부에 안내공이 형성되고, 하단으로 상기 안내공과 연결되어 압정이 통과되게 형성된 관통공을 갖는 몸체와, 상기 안내공을 따라 이동하면서 압정머리를 가압하는 가압봉이 구비되고, 상기 가압봉의 하단에는 자석이 부착되며, 상기 가압봉과 연결되게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몸체의 상단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누름판을 갖는 가압부로 이루어지는 압정 가압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압정 보관함을 제공한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하나, 이는 본 고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제시된 것일 뿐, 본 고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고안 압정 보관함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 단면도로서, 상기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압정 보관함은 본체(10) 내부에 압정을 보관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본체(10)의 압정 분리수단(30)과 압정 가압수단(40)을 형성하여 압정을 기재에 용이하게 박아 각종 부착물을 고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재에 박힌 압정을 손쉽게 뽑아 바로 보관함에 수납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하였다.
좀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본 고안 압정 보관함은 내부에 소정의 수납홈(11)이 형성되고, 좌우측 상단에 가이드 홈(12)이 형성된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가이드 홈(12)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커버(20)를 갖는다. 여기서 수납홈(11)은 압정을 보관하는 곳이며, 본체(10)의 좌우측 상단에 형성된 가이드 홈(12)은 커버(20)가 슬라이딩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으로서 커버(20)의 개폐를 통해 본체(10) 내부에 보관된 압정을 꺼낼 수 있게 된다.
상기 본체(10)의 일 측면 외측으로 라운딩부(13)가 만곡되게 형성되고, 상기 라운딩부(13)의 중앙에는 압정 분리수단(30)이 형성된다. 압정 분리수단(30)은 압정머리가 삽입되는 삽입홈(31)과, 상기 삽입홈(31)의 좌우측에 형성된 슬릿(32)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성의 압정 분리수단(30)은 기재에 박힌 압정을 용이하게 뽑을 수 있도록 도와준다. 압정을 기재로부터 뽑기 위해서는 먼저 압정머리를 삽입홈(31)에 삽입한 후 압정 보관함을 움직여 슬릿(32) 내측에 압정머리가 위치하도록 한 후 압정 보관함을 당기면 기재로부터 압정을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
여기서 기재로부터 압정을 용이하게 뽑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압정 분리수단(30)은 라운딩부(13)의 중앙에 형성되는데, 이렇게 라운딩부(13)의 중앙에 압정 분리수단(30)이 형성되면 지렛대의 원리가 적용되어 적은 힘으로도 용이하게 압정을 뽑을 수 있게 된다.
기재로부터 분리된 압정은 바로 본체(10) 내부의 수납홈(11)으로 들어가 보관됨에 따라 압정을 분리하는 과정에서 분실하거나 떨어뜨릴 위험이 없으며, 그에 따라 압정에 신체가 손상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 분리된 압정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서는 수납홈(11)의 저면에 압정이 부착되는 자석판(14)을 형성하였다. 이와 같이 자석판(14)을 수납홈(11)의 저면에 형성할 경우 분리된 압정은 바로 자석판(14)에 부착되게 되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함께 수납홈(11)의 일측에 라운딩부(13)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압정이 상기 삽입홈(31)을 통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지구(15)를 형성하였다.
상술한 압정 분리수단(30)과 함께 본 고안의 압정 보관함은 본체(10) 외부의 좌우측 일면에 형성된 압정 가압수단(40)을 구비하고 있는데, 상기 압정 가압수단(40)은 크게 몸체(41)와 가압부(42)로 이루어진다. 몸체(41)는 내부에 안내공(411)이 형성되고, 하단으로 상기 안내공(411)과 연결되어 압정이 통과되는 관통공(412)을 갖는다. 또한 가압부(42)는 상기 안내공(411)을 따라 이동하면서 압정머리를 가압하는 가압봉(421)이 구비되고, 상기 가압봉(421)의 하단에는 자석(422)이 부착되며, 상기 가압봉(421)과 연결되게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몸체(41)의 상단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누름판(423)을 갖는다.
이러한 구성의 압정 가압수단(40)은 게시판이나 책상 또는 벽면 등의 기재에 압정을 용이하게 박아 각종 부착물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도와준다. 기재에 압정을 박기 위해서는 케이스에서 꺼낸 압정을 관통공(412)을 통해 가압봉(421)의 하단에 부착된 자석(422)에 압정머리를 부착시킨 다음 누름판(423)을 잡아당긴 상태에서 기재에 몸체(41)의 바닥면을 대고 누름판(423)을 누르면 용이하게 기재에 압정을 박을 수 있게 된다.
즉, 누름판(423)을 누르면 가압봉(421)이 안내공(411)을 따라 하강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가압봉(421)의 저면 자석(422)에 부착된 압정이 기재에 박히게 된다. 따라서 압정을 핀의 휨 없이 곧바로 기재에 박을 수 있게 된다. 여기서 가압봉(421)의 하단에 형성된 자석(422)은 압정머리를 부착시켜 누름판(423)을 잡아당기면 압정이 가압봉(421)과 함께 본체(10) 내부로 들어온 다음 누름판(423)을 누르면 기재에 눌러지도록 하기 위하여 형성된 것이다.
이하 본 고안 압정 보관함의 작동관계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고안에 따른 압정 보관함의 압정 분리수단의 작동관계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1을 함께 참조하여 압정 분리수단의 작동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압정(200)을 기재(100)로부터 뽑기 위해서는 먼저 기재(100)에 박혀 있는 압정(200)의 압정머리에 삽입홈(31)에 삽입한다(도 2a 참조). 그런 다음 압정 보관함을 움직여 슬릿(32) 내측에 압정(200)의 압정머리가 위치하도록 한다(도 2b 참조). 이후 압정 보관함을 측방향으로 당기면 지렛대의 원리에 의해 기재(100)로부터 용이하게 압정(200)이 분리되게 된다(도 2c 참조).
위와 같이 하여 분리된 압정(200)은 바로 본체(10) 내부의 수납홈(11)으로 들어가 보관됨에 따라 압정(200)을 분리하는 과정에서 분실하거나 떨어뜨릴 위험이 없으며, 분리된 압정(200)이 수납홈(11)에 형성된 자석판(14)에 부착됨에 따라 압정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어 분실된 압정(200)에 의해 신체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4a와 도 4b는 본 고안에 따른 압정 보관함의 압정 가압수단의 작동관계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1 및 도 2를 함께 참조하여 압정 가압수단의 작동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압정(200)을 기재(100)에 박기 위해서는 가압봉(421) 하단에 부착된 자석(422)에 압정머리를 부착시킨 후 누름판(423)을 잡아당긴다(도 3a 참조). 이 상태에서 몸체(41)의 바닥면을 기재(100)에 대고 누름판(423)을 누르면 기재(100)에 압정(200)을 박을 수 있게 된다(도 3b 참조).
위와 같이 하면 용이하게 기재(100)에 압정(200)을 박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압정(200)을 기재(100)에 박아 부착물을 고정시키는 과정에서 고정핀의 휨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압정 보관함은 본체 내부의 수납홈에 압정을 넣어 보관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본체의 압정 분리수단과 압정 가압수단을 형성함으로서 압정을 기재에 용이하게 박아 각종 부착물을 고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재에 박힌 압정을 손쉽게 뽑아 바로 보관함에 수납하여 보관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따라서 본 고안은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라면 자명하게 도출가능한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를 포괄하도록 의도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져야 한다.

Claims (2)

  1. 내부에 소정의 수납홈이 형성되고, 좌우측 상단에 가이드 홈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가이드 홈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커버로 이루어지는 압정 보관함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일 측면 외측으로 만곡되게 형성된 라운딩부와;
    상기 라운딩부의 중앙에 형성된 것으로 압정머리가 삽입되는 삽입홈과, 상기 삽입홈의 좌우측에 형성된 슬릿으로 이루어지는 압정 분리수단과;
    상기 본체 외부의 좌우측 일면에 형성된 것으로 내부에 안내공이 형성되고, 하단으로 상기 안내공과 연결되어 압정이 통과되게 형성된 관통공을 갖는 몸체와, 상기 안내공을 따라 이동하면서 압정머리를 가압하는 가압봉이 구비되고, 상기 가압봉의 하단에는 자석이 부착되며, 상기 누름판과 연결되게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몸체의 상단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누름판을 갖는 가압부로 이루어지는 압정 가압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압정 보관함.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납홈의 저면에 압정이 부착되는 자석판이 형성되고, 상기 수납홈의 일측에 라운딩부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압정이 상기 삽입홈을 통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지구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압정 보관함.
KR20-2004-0016427U 2004-06-11 2004-06-11 압정 보관함 KR20036017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6427U KR200360174Y1 (ko) 2004-06-11 2004-06-11 압정 보관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6427U KR200360174Y1 (ko) 2004-06-11 2004-06-11 압정 보관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0174Y1 true KR200360174Y1 (ko) 2004-08-25

Family

ID=494362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6427U KR200360174Y1 (ko) 2004-06-11 2004-06-11 압정 보관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017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72929B2 (ja) 携帯工具用ホルダ
US6321411B1 (en) Doorstop device
JPS62271868A (ja) 物品収納容器
KR890001493Y1 (ko) 호치키스
JP3117814U (ja) Usbレシーバーを収納できる無線マウス
KR200360174Y1 (ko) 압정 보관함
KR102538318B1 (ko) 손가락 끼움식 압정 운반구
KR200452746Y1 (ko) 책의 인출이 편리한 책꽂이
KR200205620Y1 (ko) 압정분리수단이 구비된 압정보관함
KR200274368Y1 (ko) Cd저장부가 형성된 화일
JP2547942B2 (ja) カード引き抜き工具
KR200343701Y1 (ko) 강력클립의 제철용 집게
KR200211103Y1 (ko) 낚싯줄 수납 케이스
KR200274367Y1 (ko) Cd저장부가 형성된 화일
JP3103763B2 (ja) 画 鋲
KR200272044Y1 (ko) Cd저장부가 형성된 책
KR200173230Y1 (ko) 압정 분리도구
US20060131358A1 (en) Stapler
JP3074154U (ja) 画鋲用リムーバ
JP4471530B2 (ja) ファイル用綴じ具の固定装置
KR900003816Y1 (ko) 분필 협지구
KR200284942Y1 (ko) 스테플러
JPS6228178Y2 (ko)
KR930022169A (ko) 휴대용 컴퓨터의 hdd 착탈구조와 그 방법
JP3079427U (ja) Dvdディスク片収納ケー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80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