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3816Y1 - 분필 협지구 - Google Patents

분필 협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3816Y1
KR900003816Y1 KR2019870010142U KR870010142U KR900003816Y1 KR 900003816 Y1 KR900003816 Y1 KR 900003816Y1 KR 2019870010142 U KR2019870010142 U KR 2019870010142U KR 870010142 U KR870010142 U KR 870010142U KR 900003816 Y1 KR900003816 Y1 KR 90000381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lk
piece
holder body
elastic
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7001014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0545U (ko
Inventor
권병두
Original Assignee
권병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병두 filed Critical 권병두
Priority to KR2019870010142U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3816Y1/ko
Publication of KR89000054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054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381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3816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3/00Holders or connectors for writing implements; Means for protecting the writing-points
    • B43K23/016Holders for crayons or chal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3/00Holders or connectors for writing implements; Means for protecting the writing-points
    • B43K23/06Means for connecting two or more writing imp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4/00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 B43K24/02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locking a single writing unit in only fully projected or retracted positions
    • B43K24/04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locking a single writing unit in only fully projected or retracted positions operated by means sliding in longitudinally-slotted cas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5/00Attaching writing implements to wearing apparel or objects involving constructional changes of the implements
    • B43K25/02Clips
    • B43K25/028Clips combined with means for propelling, projecting or retracting the writing unit

Landscapes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분필 협지구
제1도는 본 고안의 일부를 분해한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A"부에 대한 부분절개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종단면도.
제4도는 제3의 A-A선에 의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분필협지구 2 : 홀더본체
3 : 절결부 4 : 분필삽입공
5, 18 : 걸림단턱 6 : 죔편
7, 15 : 탄성편 7 : 걸림턱
9 : 요부 10 : 돌편
11 : 돌기 12 : 요홈부
13, 20 : 장공 14 : 압지편
16 : 침부 17 : 고정편
18 : 돌환 21 : 눌름쇠
본 고안은 분필을 사용함에 있어 부러진 분필토막까지도 협지구에 사용하여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분필협지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분필협지구는 홀더본체 양단에 단부측으로 확개된 절결부와 분필삽입공을 형성하고 상단 양내측으로 요홈을 갖도록 걸림탄턱이 형성된 홀더본체에 탄성편에 걸림편이 형성된 죔편을 홀더본체의 요홈과 걸림단턱에 계합하여 접동자재토록 한 분필협지구에 있어서 홀더본체의 양단 일측에 형성되어진 침공과 걸림단턱에 침부와 탄성편이 일체로 된 승강편을 삽설하고 죔편 상단에 "~"형 돌조와 클립편을 일체로 형성하여서 된 것이다.
분필의 굵기가 다를경우 분필파지상태가 견고하지 않을 우려가 있고 또한 홀더분체의 요홈을 형성함에 있어 금형의 제작이 곤란하여 고가의 금형비를 필요로 한 것이다.
그래서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제반문제점을 시정하고져 안출된 것으로서 홀더본체의 절결부에는 상하로 테이퍼가 진 눌름쇠를 형성하였으므로 분필의 굵기에 관계없이 확실하게 파지되고, 또한 죔편을 계지토록 하기 위한 돌편을 상단 평면에 설치함으로 금형을 쉽게 제작할 수 있을뿐만 아니라 사용시에는 홀더본체 일측의 압지편의 탄성편을 눌러 분필을 쓰기에 알맞게 전방으로 돌출시켜 사용하고 글씨를 다 쓴다음 분필을 홀더본체내에 삽입시켜 호주머니등에 클립편을 걸어 간편하게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하도록 한 분필협지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한 바와같이 양단에 단부측으로 확개된 절결부(3)와 분필삽입공(4)을 형성하고 상단의 걸림단턱(5)이 일체로 형성된 홀더본체(2)에 탄성편(7)과 걸림턱(8)이 형성된 죔편(6)을 홀더본체(2)의 걸림단턱(5)에 계합되어 접동자재토록 한 분필협지구(1)에 있어서 상기 홀더본체(2) 걸림단턱(5) 내측에는, 상단의 요부(9)에 돌편(10)을 다수개 돌설하여 죔편(6)의 탄성편(7) 돌기(11)가 접동자재토록 설치하여 장공(13)이 천공된 홀더 본체(2)의 요홈부(12)에는 탄성편(15)에 침부(16)를 갖는 압지편(14)이 삽설된 고정편(17)을 부착하여 상기 고정편(17)은 걸림단턱(18)과 돌환(19)를 형성하고 장공(20)을 천공하며 홀더본체(2) 양단의 절결부(3)에는 단부측으로 구배되어 돌설된 눌름쇠(21)를 형성하여서 된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22는 홀더본체(2)의 분필삽입공(4)에 삽입되어진 분필, 23은 죔편(6)의 클립편 24는 죔편(6)의 돌조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분필협지구(1)를 사용할 때에는 홀더 본체(2)의 분필삽입공(4)에 분필(22)을 삽입한 다음 홀더본체(2)의 양단 일측에 부착되어 설치된 고정편(17)에서 유동되는 압지편(14)의 탄성편(15)을 눌러 가압하면 분필(22)에 탄성편(15)의 침부(16)가 박혀지므로 글씨 쓰기에 알맞게 죽 분필(22)을 전방으로 적당하게 돌출시키고 압지편(14)의 탄성편(15)을 눌러 가압했던 힘을 제거하면 압지편(14)의 탄성편(15) 탄성력에 의해 분필(22)과 탄성편(15)의 침부(16)가 이격되는 것이며 재차 분필(22)의 전방으로 돌출시키고져 할 경우에는 압지편(14)만을 뒤로 이동시켜 후퇴시킨 다음 상기와 같이 압지편(14)의 탄성편(15)을 눌러 전진시키면 된다.
상기 분필(22)을 전방으로 적당하게 돌출시킨 다음 홀더 본체(2)의 상단 요부(9)와 걸림단턱(5)에 계합된 죔편(6)을 양단부측으로 밀어 단부측으로 확개된 절결부(3)를 죔편(6)의 걸림턱(8)이 죄어 분필삽입공(4)을 축소시킴과 동시에 홀더본체(2)의 절결부(3)에 일체로 형성된 눌름쇠(21)의 경사지게 돌출된 상단면을 죔편(6)의 저면이 누르므로 더욱 확실하게 파지됨은 물론 불균일한 분필(22)의 굵기에 상관없이 분필(22)을 견고하게 파지하는 것이다.
상기 분필협지구(1)를 사용한 다음 휴대 또는 보관하기 위해 분필(22)을 삽입시키고져 할 경우에는 상기의 방법과 같이 압지편(14)의 탄성편(15)을 눌러 후퇴시켜 분필(22)을 삽입한 후 죔편(6)을 단부측으로 밀어 놓으면 홀더본체(2)의 분필삽입공(4)과 절결부(3)의 눌름쇠(21)로 분필(22)이 나오지 않도록 하여 휴대 또는 보관하면 된다.
그리고 탄성편(7)의 돌기(11)가 죔편(5) 내부의 저면에서 약간 돌출되게 하여 홀더본체(2)의 상단요부(9)에 다수개의 돌편(10)이 접동자재토록 형성한 것이어서 금형제작시 쉽고 간편하므로 저렴한 가격으로 보급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죔편(6)의 상단에는형 돌조(24)와 클립편(23)을 일체로 형성된 것이므로 이동시키기 쉬울뿐만 아니라 호주머니나 책등에 클립편(23)을 걸어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고안의 분필협지구(1)에 의하면 분필(22)을 글씨쓰기에 알맞게 전방으로 손쉽게 돌출시킬 수 있고 분필(22)의 굵기에 무관하에 분필을 견고하게 파지할 수 있을뿐만 아니라 휴대 및 보관도 용이하고 유용한 고안인이다.

Claims (1)

  1. 도시한 바와같이 양단에 단부측으로 확개된 절결부(3)와 분필삽입공(4)을 형성하고 상단의 걸림단턱(5)이 일체로 형성된 홀더본체(2)에 탄성편(7)과 걸림턱(8)이 형성된 죔편(6)을 홀더 본체(2)의 걸림단턱(5)에 계합되어 접동자재토록 한 분필협지구(1)에 있어서 상기 홀더본체(2)의 걸림단턱(5) 내측에는 상단의 요부(9)에 돌편(10)을 다수개 돌설하여 죔편(6)의 탄성편(7) 돌기(11)가 접동자재토록 설치하여 장공(13)이 천공된 홀더본체(2)의 요홈부(12)에는 탄성편(15)에 침부(16)를 갖는 압지편(14)이 삽설된 고정편(17)을 부착하여 상기 고정편(17)을 걸림단턱(18)과 돌환(19)을 형성하고 장공(20)을 천공하며 홀더본체(2) 양단의 절결부(3)에는 단부측으로 구배되어 돌설된 눌름쇠(21)를 형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분필협지구.
KR2019870010142U 1987-06-24 1987-06-24 분필 협지구 KR90000381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10142U KR900003816Y1 (ko) 1987-06-24 1987-06-24 분필 협지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10142U KR900003816Y1 (ko) 1987-06-24 1987-06-24 분필 협지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0545U KR890000545U (ko) 1989-03-10
KR900003816Y1 true KR900003816Y1 (ko) 1990-05-01

Family

ID=192644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70010142U KR900003816Y1 (ko) 1987-06-24 1987-06-24 분필 협지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381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0545U (ko) 1989-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83602A (en) Implement holder for a safety helmet
JPS62271868A (ja) 物品収納容器
ES2145802T3 (es) Dispositivo de sujecion para una pieza inserta cortante.
US5044805A (en) Mechanical pencil
EP0212644A1 (en) A stapler
JP4648818B2 (ja) クリップ
US3911531A (en) Attachable pencil holder for paper retaining clamp
KR930003072Y1 (ko) 클립 드라이버
KR900003816Y1 (ko) 분필 협지구
JPS62113781U (ko)
US2112518A (en) Toilet article
US3590441A (en) Emblem attachment device for pocket clips
US4881676A (en) Thumbtack tool
EP0321581A4 (en) Writing utensil
US4243337A (en) Fountain pen with ink refill carrier
US5823494A (en) Pen holder
US2432012A (en) Writing pen
JPH0133357Y2 (ko)
JPS5882290U (ja) ノツク式筆記具の筆記体出入装置
KR900004450Y1 (ko) 메모대의 필기구 협지장치
JPH0541920Y2 (ko)
JPS5917679Y2 (ja) 筆記具におけるクリツプの定着装置
US6695511B2 (en) Soapstone holder
US2167717A (en) Pencil clip
JPS6350152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