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6284Y1 - 램프 장치가 부설된 자동차의 도어 손잡이 - Google Patents

램프 장치가 부설된 자동차의 도어 손잡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6284Y1
KR200206284Y1 KR2020000018949U KR20000018949U KR200206284Y1 KR 200206284 Y1 KR200206284 Y1 KR 200206284Y1 KR 2020000018949 U KR2020000018949 U KR 2020000018949U KR 20000018949 U KR20000018949 U KR 20000018949U KR 200206284 Y1 KR200206284 Y1 KR 20020628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door handle
lamp
ca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894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득상
Original Assignee
한득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득상 filed Critical 한득상
Priority to KR202000001894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628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628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6284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3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vehicle sides, e.g. clearance lights
    • B60Q1/323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vehicle sides, e.g. clearance lights on or for 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088Details of electrical conne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1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3/19Attachment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7/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 F21W2107/1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for land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도어 손잡이에 소형 램프를 다수개 매립하여 일체 형성하고, 이를 자동차의 운전석에 설치되어 있는 램프 조작장치와 연결시킴으로써 자동차의 이동 시의 방향 지시는 물론 차폭등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램프 장치가 부설된 자동차의 도어 손잡이에 관한 것으로, 차량의 측면 대차시 차량 전 후단부의 방향지시등의 미포착의 문제를 차량 중앙부 도어 손잡이에 설치된 소형 램프를 통하여 포착할 수 있도록 하여 해결함으로써 차량의 추돌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여 차량의 안전성을 높임은 물론 차폭등의 역할도 수행하며, 차량의 측면부인 도어 손잡이의 조명 효과에 의한 미감의 제고를 기할 수 있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

Description

램프 장치가 부설된 자동차의 도어 손잡이{DOOR KNOB OF VEHICLES}
본 고안은 자동차의 도어 손잡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도어 손잡이에 소형 램프를 다수개 매립하여 일체 형성하고, 이를 자동차의 운전석에 설치되어 있는 램프 조절 레버와 연결시킴으로써 자동차의 이동 시의 방향 지시는 물론 차폭등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램프 장치가 부설된 자동차의 도어 손잡이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에 의한 자동차의 전방에는 전조등과 상기 전조등의 좌우 양측에 방향지시등이 설치되어 있는 구조였다. 또한 중대형 승용차의 경우에는 차폭등의 개념으로서, 승용차의 전반부 좌우 양측에 작은 램프가 설치되어 있는 구조였다.
이러한 구조에서, 전조등은 야간 운행시 전방을 밝히는 역할을 수행하며, 방향지시등은 좌, 우회전을 하려고 하는 경우에 외부로 방향 전환 행위를 알리는 역할을 담담한다. 또한 상기 방향지시등은 비상시에 점멸에 의하여 비상상황임을 알리는 용도로도 사용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승용차의 램프들은 운전석에 위치된 램프 조절 레버의 동작과 그 신호를 받아 적절한 발광 조작신호를 부가하는 램프 제어부에 의하여 일괄적으로 조작되는 바, 램프의 온 오프 상태와 램프의 점멸상태에 의하여 상기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와 같은 자동차의 램프 구조에 의하면, 2대의 자동차가 측면으로 대차하는 경우에 있어서, 선행되어 있는 자동차의 사이드 밀러와 백 밀러에 의해서 후행 자동차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 즉 사각 지대의 존재로 인하여 차량의 전단부와 후단부에만 설치되어 있는 방향지시등이 측면 대차된 차량에 포착되지 않기 때문에, 차량의 충돌사고 및 인명 충돌 사고 등 안전성에 많은 문제가 있어 왔다.
이러한 차량의 측면 대차시의 안전성 확보는 차량 사고의 과반수가 피해자의 앞 뒤 문짝 부분에서 발생되고 있다는 현실적 원인을 감안한 것으로, 최근 들어 차량 유리에 짙은 선팅지를 입힘으로써 측면 대차시의 타 차량의 램프 식별이 더욱 어려워지고 있음을 고려하면 더욱 절실한 문제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사각 지대의 해소라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많은 노력이 있었는데, 이는 자동차 구조물 중 사이드 밀러나 백 밀러의 형상 및 그 반사 범위를 수정하거나 개량하는 쪽으로 치중되어 왔다. 상기한 바와 같은 노력은 광학 기술을 바탕으로 하는 기술적 진보를 요구하였으며, 이에 대한 경제적 부담과 기술적 한계로 인해 상기 사각지대의 해소는 좀처럼 용이하지 않았으며, 이에 따른 안전성의 문제도 별다른 해결책을 갖지 못하고 있는 상태였다.
또한, 야간 운행의 경우 정면 대차시나 주차시에 차량의 좌우폭을 표현할 수 있는 역할을 수행하는 차폭등에 있어서, 중대형 승용차 등의 일부 차량에만 장착되어 왔으며, 이 구조도 또한 별개의 램프를 차량의 전반부 양측에 장착하는 형식이었으므로, 차폭등의 별도 장착에 따른 경제적 부담의 증가는 물론 자동차 외관의 손상과 미감의 감소라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자동차의 도어 손잡이에 소형 램프를 매립하여 일체 형성하고, 이를 자동차의 운전석에 설치되어 있는 램프 조절 레버와 연결시킴으로써 자동차의 이동 시의 방향 지시는 물론 차폭등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램프 장치가 부설된 자동차의 도어 손잡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자동차의 도어 손잡이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자동차의 도어 손잡이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자동차 도어 20...도어 손잡이
22...외면부 24...열쇠 삽입구
30...소형 램프 32...접지선
34...발광부 40...접지판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램프 장치가 부설된 자동차의 도어 손잡이에 있어서, 아크릴 재질의 외면부와, 상단부에 발광부를 구비하고 하단부에 접지선을 갖는 소형 램프와, 접선되지 않는 음극과 양극의 2개의 띠로 형성되는 접지판으로 구성되되, 상기 소형 램프는 상기 외면부를 관통하여 매립된 상태로서, 발광부가 상기 외면부의 외측으로 돌출하고, 접지선이 상기 외면부의 내측으로 돌출되며, 다수개가 상기 외면부 상에서 일직선으로 배열되며, 상기 접지판은 상기 도어 손잡이의 내측부에 형성 설치되어 상기 소형 램프의 접지선과 접촉되며, 그 일단이 램프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자동차의 도어 손잡이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도면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자동차 도어(10)의 적소에 설치되는 도어 손잡이(20)는 타원형 또는 직사각형 형태의 평판 구조물로서, 일반적으로 금속 재질로 제작되며, 그 상단에 형성되어 있는 힌지에 의하여 고정됨은 물론 일정한 각도까지 상방으로 회전 이동하면서 자동차 도어(10)의 잠금장치를 해제함으로써 자동차 도어(10)를 개방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도어 손잡이(20)를 전면에서 보면, 일부에 자동차 도어(10)의 시건을 위한 열쇠 삽입구(24)를 제외하고는 부착물을 가지지 아니한 평판 형상의 구조이다.
본 고안에서는 상기 도어 손잡이(20)를 그 외면부(22)를 아크릴 재질로 하며, 상기 외면부(22)의 적소에 일직선으로 다수개의 소형 램프(30), 예컨대 발광 다이오드 등이 부설된다. 여기에서 본 고안에 의한 도어 손잡이(20)의 외면부(22)의 아크릴 재질은 유색 아크릴 재질로 함이 바람직하며, 투명 아크릴 재질로 해도 무방하다.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자동차의 도어 손잡이의 단면도로서. 도면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소형 램프(30)는 원통 형상으로서 상단부에는 발광부(34)가 구성되며, 하단부에는 접지선(32)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 소형 램프(30)는 상기 도어 손잡이(20)의 외면부(22)를 관통하여 매립 설치되는데, 상기 접지선(32)은 상기 외면부(20)의 내측으로 돌출되고, 그 반대측인 발광부(34)는 상기 외면부(20)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된다. 이와 같은 매립 설치 구조는 아크릴 재질로 상기 도어 손잡이(20)의 외면부(22)를 제작할 때에 상기 소형 램프(30)가 매립되는 상태로 하여 일체 형성한다.
또한, 상기 도어 손잡이(20)의 내측부로서 상기 소형 램프(30)의 접지선(32)측으로 접지판(40)이 형성 설치되는데, 상기 접지판(40)은 음극과 양극의 2개의 띠가 접선되지 않는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접지판(40)은 자동차의 램프 제어부(도면에 미도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자동차의 램프 제어부는 자동차 운전석에 위치하는 램프 조작장치(도면에 미도시)의 조작에 따른 램프의 점등을 제어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자동차의 도어 손잡이(20)에 다수개가 일직선으로 배열된 소형 램프(30)가 상기 램프 조작장치의 조작과 이 신호를 램프 조작신호로 전환시키도록 제어하는 램프 제어부에 의하여 점등된다.
일반적으로 전조등이 켜지지 않고 차폭등과 브레이크등이 켜지게 되는 1단 램프 온 상태에서는, 본 고안에 의한 도어 손잡이(20)의 소형 램프(30)도 연동되어 켜진 상태가 되어 차폭등의 역할을 수행한다. 물론 전조등 까지도 켜지게 되는 2단 램프 온 상태에서도 본 고안에 의한 도어 손잡이(20)의 소형 램프(30)는 켜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램프 조작장치를 상하로 조작함으로써, 방향 지시등을 점멸하게 하는 경우에는 본 고안에 의한 도어 손잡이(20)의 소형 램프(30)도 상기 방향 지시등과 연동하여 점멸함으로써, 방향지시등과 동일한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소형 램프(30)의 온 오프 상태와 점멸 상태의 조작은 상기 램프 제어부의 제어를 받는 회로에 의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은, 차량의 중앙부에 해당하는 도어의 적소에 형성되어 있는 도어 손잡이에 소형 램프를 부설하고, 이를 램프 조작장치에 의하여 방향지시등과 연동하여 점멸하는 구조에 의하여, 차량의 측면 대차시 차량 전 후단부의 방향지시등의 미포착을 차량 중앙부 도어 손잡이에 설치된 소형 램프를 통하여 포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차량의 추돌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여 차량의 안전성을 높이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에 의해, 차량의 1단 램프 온 상태에서도 도어 손잡이의 소형 램프가 항상 켜져 있게 됨으로써, 차량의 좌우폭을 알리거나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차폭등의 역할을 수행하는 효과도 거둘 수 있다.
또한, 아크릴 재질의 도어 손잡이의 외면부에 상기 소형 램프를 일체 형성하는 구조에 의하여, 제작 공정의 감소와 이에 따른 제작비용의 감소로 기존 도어 손잡이 교체에 따른 경제적 부담을 덜 수 있음은 물론, 야간 운행시 차량의 측면부인 도어 손잡이의 조명 효과에 의한 미감의 제고를 기할 수 있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

Claims (1)

  1. 자동차의 도어 손잡이에 있어서,
    아크릴 재질의 외면부와, 상단부에 발광부를 구비하고 하단부에 접지선을 갖는 소형 램프와, 접선되지 않는 음극과 양극의 2개의 띠로 형성되는 접지판으로 구성되되,
    상기 소형 램프는 상기 외면부를 관통하여 매립된 상태로서, 발광부가 상기 외면부의 외측으로 돌출하고, 접지선이 상기 외면부의 내측으로 돌출되며, 다수개가 상기 외면부 상에서 일직선으로 배열되며,
    상기 접지판은 상기 도어 손잡이의 내측부에 형성 설치되어 상기 소형 램프의 접지선과 접촉되며, 그 일단이 램프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 장치가 부설된 자동차의 도어 손잡이.
KR2020000018949U 2000-07-03 2000-07-03 램프 장치가 부설된 자동차의 도어 손잡이 KR20020628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8949U KR200206284Y1 (ko) 2000-07-03 2000-07-03 램프 장치가 부설된 자동차의 도어 손잡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8949U KR200206284Y1 (ko) 2000-07-03 2000-07-03 램프 장치가 부설된 자동차의 도어 손잡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6284Y1 true KR200206284Y1 (ko) 2000-12-01

Family

ID=196634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8949U KR200206284Y1 (ko) 2000-07-03 2000-07-03 램프 장치가 부설된 자동차의 도어 손잡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628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377874A (zh) * 2020-10-28 2021-02-19 上海师范大学 一种车载风力发电多功能示廓灯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377874A (zh) * 2020-10-28 2021-02-19 上海师范大学 一种车载风力发电多功能示廓灯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99169A (en) Rearview mirror lamp circuit assembly
KR200206284Y1 (ko) 램프 장치가 부설된 자동차의 도어 손잡이
US20030086275A1 (en) Inclement weather lighting system for vehicles
US6043739A (en) HyperVision auxiliary taillight array
JP2576456Y2 (ja) 自動車の補助ウインカー装置
JPH11301348A (ja) 車両の路面照射装置
KR100501241B1 (ko) 자동차용 실내조명등
WO2006062514A2 (en) Multi-function lamp for a motor vehicle
KR100501243B1 (ko) 자동차의 리어스포일러에 설치된 주차 보조등
KR200216006Y1 (ko) 비상신호 알림 및 후방시야 확보용 램프
KR200421686Y1 (ko) 후방등을 겸비한 측면 깜박이
KR200308678Y1 (ko) 차량의 사이드스텝
JP3073541U (ja) 後退灯
JP2000085462A (ja) 自動車のサイドランプユニット
JPH0533404Y2 (ko)
KR100269962B1 (ko) 자동점등되는 절전형 비상등
KR19980063090U (ko) 자동차 프런트콤비네이션램프
KR200200125Y1 (ko) 전면 중앙 수직선상에 브레이크램프를 겸비한 자동차
KR100515096B1 (ko) 보조 후진등이 구비된 자동차용 범퍼가드
KR0122533Y1 (ko) 자동차의 헤드램프 하우징 설치구조
KR200170798Y1 (ko) 브레이크 등을 겸한 차폭등
KR200356557Y1 (ko) 브레이크 램프를 갖는 차량의 룸미러
KR200416887Y1 (ko) 자동차의 사이드 미러
KR20040038290A (ko) 자동차용 실내조명등
KR20040038295A (ko) 자동차용 실내조명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