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63090U - 자동차 프런트콤비네이션램프 - Google Patents

자동차 프런트콤비네이션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63090U
KR19980063090U KR2019970007536U KR19970007536U KR19980063090U KR 19980063090 U KR19980063090 U KR 19980063090U KR 2019970007536 U KR2019970007536 U KR 2019970007536U KR 19970007536 U KR19970007536 U KR 19970007536U KR 19980063090 U KR19980063090 U KR 1998006309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bination lamp
vehicle
lamp
brake
front combin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0753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호석
Original Assignee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귀
Priority to KR2019970007536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63090U/ko
Publication of KR1998006309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3090U/ko

Links

Landscapes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 프런트콤비네이션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의 전방 양쪽에 설치된 헤드램프의 측면으로 설치되며 비상등 및 방향지시등이 점멸되는 프런트콤비네이션램프에 있어서, 상기 프런트콤비네이션램프(1)의 일측소정부위로 리어콤비네이션램프의 브레이크등(4)과 연결된 브레이크등(2)을 설치하여 리어콤비네이션램프의 브레이크등(4)과 동시에 점멸되도록 한 것으로서, 차량의 프런트콤비네이션램프에서 브레이크등이 점멸되게 됨에 따라 차량의 전방쪽에서도 대향차량이나 보행자가 브레이크의 작동여부를 확인할 수 있어 교차로나 건널목등에서의 충돌사고 및 인사사고가 최소로 줄어들게 됨과 동시에 주행 및 보행안정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자동차 프런트콤비네이션램프
본 고안은 자동차 프런트콤비네이션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차량의 전방 양쪽에 설치되는 프런트콤비네이션램프에 리어콤비네이션램프의 브레이크등과 동시에 점멸되는 브레이크등을 설치하여 대향 차량 및 보행자에게 주의를 요하도록 하므로서 주행 및 보행 안정성을 향상시키도록 한 자동차 프런트콤비네이션램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콤비네이션 램프(Combination Lamp)는 방향지시등이나 비상등 및 브레이크등을 복합시켜놓은 램프를 일컫는 것으로서, 프런트콤비네이션램프와 리어콤비네이션램프로 구분되며, 특히 프런트콤비네이션램프는 차량의 전방 양쪽에 설치된 헤드램프의 측면부에 설치되며 비상등 및 방향지시등이 점멸되게 된다.
이와 같은 프런트콤비네이션램프는 운전자가 상황을 판단하여 차실내에서 브레이크페달 및 콤비네이션스위치를 조작하면 비상등 및 방향지시등이 점멸되게 되어 대향차량 및 보행자에게 신호를 알리게 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자동차 프런트콤비네이션램프는 비상등 및 방향지시등으로 대향차량이나 보행자에게 위험한 상황 및 진로를 인식시킬 수는 있지만 브레이크를 밟았는지의 여부를 알릴 수가 없어 신호등이 없는 교차로나 건널목등에서 대향차량과의 충돌사고 및 인사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여 주행안정성이 크게 저하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차량의 전방 양쪽 헤드램프 측면에 설치된 프런트콤비네이션램프에 리어콤비네이션램프의 브레이크등과 연결되어 동시에 점멸되는 브레이크등을 설치하여 주행차량의 전방쪽 대향차량 및 보행자에게 브레이크를 밟았는지의 여부를 인식시켜 주므로서 주행 및 보행안정성을 향상시키도록한 자동차 프런트콤비네이션램프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적용부위를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개략적인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프런트콤비네이션램프2, 4 ; 브레이크등
3 ; 브레이크페달10 ; 헤드램프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차량의 전방 양쪽에 설치된 헤드램프의 측면으로 설치되며 비상등 및 방향지시등이 점멸되는 프런트콤비네이션램프에 있어서,
상기 프런트콤비네이션램프(1)의 일측 소정부위로 리어콤비네이션램프의 브레이크등(4)과 연결된 브레이크등(2)을 설치하여 리어콤비네이션램프의 브레이크등(4)과 동시에 점멸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프런트콤비네이션램프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적용부위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분리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프런트콤비네이션램프(1)의 일측 소정부위로 설치된 브레이크등(2)은 적색으로 표시되도록하며, 헤드램프(10)의 측면에 위치시킨다.
상기 브레이크등(2)은 리어콤비네이션램프의 브레이크등(4)과 연결시킨후 차실내에서 브레이크페달(3)을 밟으면 리어측 브레이크등(4)과 동시에 점멸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차량의 전방 양쪽 헤드램프(10)의 측면으로 설치된 프런트콤비네이션램프(1)에 적색으로 표시되는 브레이크등(2)을 설치하되, 상기 브레이크등(2)은 리어콤비네이션램프의 브레이크등(4)과 연결되어 차실내에서 브레이크페달(3)을 밟으면 리어측 브레이크등(4)과 동시에 점멸되게 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차량의 주행시 브레이크페달(3)을 밟으면 리어콤비네이션램프의 브레이크등(2)에 연결된 프런트콤비네이션램프(1)의 브레이크등(2)이 리어측 브레이크등과 동시에 점멸되며 대향차량 및 보행자에게 브레이크의 작동여부를 인식시켜 주의를 요하도록 한다.
그러므로 교차로나 건널목등에서 대향차량 및 보행자가 브레이크등의 점멸 표시를 보고 진로를 결정할 수 있게 되어 주행 및 보행시 안정성을 기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자동차 프런트콤비네이션램프는 차량의 프런트콤비네이션램프에서 브레이크등이 점멸되게 됨에 따라 차량의 전방쪽에서도 대향차량이나 보행자가 브레이크의 작동여부를 확인할 수 있어 교차로나 건널목등에서의 충돌사고 및 인사사고가 최소로 줄어들게 됨과 동시에 주행 및 보행안정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차량의 전방 양쪽에 설치된 헤드램프의 측면으로 설치되며 비상등 및 방향지시등이 점멸되는 프런트콤비네이션램프에 있어서,
    상기 프런트콤비네이션램프(1)의 일측 소정부위로 리어콤비네이션램프의 브레이크등(4)과 브레이크등(2)을 설치하여 리어콤비네이션램프의 브레이크등(4)과 동시에 점멸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프런트콤비네이션램프.
KR2019970007536U 1997-04-11 1997-04-11 자동차 프런트콤비네이션램프 KR1998006309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7536U KR19980063090U (ko) 1997-04-11 1997-04-11 자동차 프런트콤비네이션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7536U KR19980063090U (ko) 1997-04-11 1997-04-11 자동차 프런트콤비네이션램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3090U true KR19980063090U (ko) 1998-11-16

Family

ID=696717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07536U KR19980063090U (ko) 1997-04-11 1997-04-11 자동차 프런트콤비네이션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63090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4249A (ko) * 2000-04-04 2001-10-31 서정호 브레이크 제어등 전방 경고장치
KR20040023401A (ko) * 2002-09-11 2004-03-18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의 브레이크 램프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4249A (ko) * 2000-04-04 2001-10-31 서정호 브레이크 제어등 전방 경고장치
KR20040023401A (ko) * 2002-09-11 2004-03-18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의 브레이크 램프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222574A1 (en) Multi vehicle signal ground illumination indicator lamps for turn, hazard and brake signaling to enhance current methods of use
US6710709B1 (en) Motor vehicle safety lights
US6663271B1 (en) Brake light for motor vehicles
KR19980063090U (ko) 자동차 프런트콤비네이션램프
KR200337164Y1 (ko) 신호 장치
JPH06298002A (ja) 車輌及びその制動灯並びに安全確認灯
KR200305407Y1 (ko) 자동차의 유턴표시장치
KR100515096B1 (ko) 보조 후진등이 구비된 자동차용 범퍼가드
KR200411101Y1 (ko) 안전 브레이크등
KR200197209Y1 (ko) 차량의 비상등 점멸장치
KR200273377Y1 (ko) 차량 경적 표시 장치
KR0132132Y1 (ko) 자동차의 안개등 및 브레이크등을 이용한 비상등 구동장치
KR100501243B1 (ko) 자동차의 리어스포일러에 설치된 주차 보조등
JPH068773A (ja) 車輌及びその制動灯並びに照明灯
KR100247889B1 (ko) 자동차의 도어열림 경고방법 및 그 장치
KR0140585B1 (ko) 자동차의 주차등
KR890004393Y1 (ko) 자동차용 안전 표시기
JP3082907U (ja) 横断誘導点滅灯
KR200215143Y1 (ko) 자동차의 실외등 진단표시 시스템
JP3023824U (ja) 車幅指示及び停車時側照装置
JP3009205U (ja) フロントストップランプ
KR20040023015A (ko) 안전등이 구비된 자동차용 범퍼가드
KR19990057952A (ko) 차량 측면표시 램프장치
JP2000118296A (ja) 車両の制動警告装置
KR19980083893A (ko) 자동차의 u턴 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