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38295A - 자동차용 실내조명등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실내조명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38295A
KR20040038295A KR1020020067189A KR20020067189A KR20040038295A KR 20040038295 A KR20040038295 A KR 20040038295A KR 1020020067189 A KR1020020067189 A KR 1020020067189A KR 20020067189 A KR20020067189 A KR 20020067189A KR 20040038295 A KR20040038295 A KR 200400382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p
vehicle
room lamp
housi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71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재
Original Assignee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671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38295A/ko
Publication of KR200400382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8295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50Mounting arrangements
    • B60Q3/59Lighting devices mounted in the vehicle interior and adapted for portabil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3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for compartments other than passenger or driving compartments, e.g. luggage or engine compartments
    • B60Q3/35Portable ligh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50Mounting arrangements
    • B60Q3/51Mounting arrangements for mounting lighting devices onto vehicle interior, e.g. onto ceiling or flo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L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BEING PORTABLE OR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ATION
    • F21L4/00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 F21L4/08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characterised by means for in situ recharging of the batteries or cells
    • F21L4/085Pocket la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500/00Special features or arrangements of vehicle interior lamps
    • B60Q2500/30Arrangements for illuminating different zones in the vehicle, e.g. front/rear, different sea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6/00Interior vehicle ligh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rangements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Mounting And Supporting Thereof, Circuits Therefo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실내 조명등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의 실내 조명등은 자동차의 헤드라이닝에 고정된 상태로 설치됨에 따라 그 조명범위에 한계가 생기면서 자동차 실내의 구석진 부위를 충분히 조명해주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헤드라이닝(520)을 통해 루프패널(510)과 연결되고, 내면에는 제1커넥터(210)와 연결된 제1접지단자(220)가 설치되며, 양측면에는 끼움공 (230)과 설치공(240)이 형성되어 있는 설치브라켓(200)과; 스프링(312)에 의해 탄성력을 가지면서 상기 설치공(240)으로 돌출되는 걸림구(311)와 상기 걸림구(311)를 일측으로 이동시키는 스위치(313)로 이루어진 걸림장치(300)와; 하우징(100)의 상단에는 제2접지단자(120)와 덮개(111)및 수납홈(110)이 설치되며, 양측면에는 각각 끼움구 (130)와 걸림홈(140)이 형성되고, 하단에는 램프(150)와 전원스위치 (160)가 구비된 실내 조명등을 구성하므로서, 헤드라이닝(520)에 고정되어 있는 실내 조명등을 분리시킨 다음 수납홈(110)에 건전지 또는 충전지를 집어넣고 덮개(11)를 닫아 전원이 인가되도록 한 상태에서 자동차 실내의 구석진 부위를 조명하거나 야간에 자동차 외부의 정비 또한 효과적으로 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실내 조명등{Room lamp for automobiles}
본 발명은 자동차 실내에 설치되어 있는 조명등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자동차 헤드라이닝에 고정되어 있는 실내 조명등을 필요에 따라 헤드라이닝으로부터 분리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자동차 내부의 구석진 부분을 조명하거나 야간에 자동차 외부를 정비할 때의 조명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사용자의 편의성을 더욱 향상시킨 자동차용 실내 조명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일정한 규칙에 따라 운행하게 되므로 상대방 자동차나 보행자에 대하여 주행중 자기의 의사를 밝히기 위하여 방향지시등, 제동등, 후진 등 외에 후미등, 차폭등, 번호판등, 비상점멸 신호등이 자동차에 설치되어 있으며, 이들은 안전기준에 의하여 의무적으로 설치하여야 하고 작동과 성능도 기준에 적합하여야 한다.
즉, 방향지시등(Turn signal lamp)은 자동차의 진행방향을 다른 자동차나 보행자에게 알리는 안전등의 하나로 방향지시를 운전석에서 계기판을 통해 확인할 수 있어야 하며, 작동에 이상이 있을 경우에도 계기판을 통해 확인을 할 수 있어야 하고, 점멸 주기에 변화가 없어야 하는 특징이 있다.
그리고 비상 점멸 경고등(Hazard warning signal flasher)은 방향지시등을 비상시의 신호로 사용하는 것이며, 확인방법, 램프의 색, 점멸 횟수 등은 방향지시등의 안전기준과 같다.
또한 안개등(Fog lamp)은 필라멘트가 1개이고 텅스텐 전구를 사용하는 것과 할로겐전구를 사용한 것이 있으며, 황색이나 오렌지색을 내기 위하여 전구의 유리나 렌즈에 착색을 하여 사용하기도 하고, 차체에 설치할 때에는 낮은 위치로 앞범퍼의 윗면이나 아랫면에 설치하며, 이때 빛이 위로 향하면 안개등의 입자에 의해 난반사를 일으켜 운전자의 시계를 방해하기 때문에 주광축이 위로 향하지 않도록 해야 하고, 배광특성은 수평방향으로 확산 각도를 넓히도록 하며 균일하게 배광되어야 한다.
그리고 후진등(Back-up lamp)은 자동차가 후진할 때 뒤쪽의 장애물의 확인과 후방에 대하여 자동차가 후진하고 있다는 것을 알리기 위한 것으로 설치는 뒤범퍼나 미등속에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변속기 시프트레버를 후진 위치에 놓으면 점등되는 구조로 되어 있고, 전구의 밝기는 5∼27W 정도이며 램프색은 백색을 사용한다.
또한 미등(Tail lamp)은 야간에 주행하거나 정지하고 있을 때 자동차가 존재를 알리는 표시등으로 구조는 미등으로만 사용하는 단독식과 제동등과 겸용으로 사용하는 겸용식이 있고, 겸용식의 전구는 하나의 전구속에 2개의 필라멘트가 있으며, 미등은 5∼8W 이고 제동등은 25W 정도이며, 렌즈는 적색으로 안전기준에 규정되어 있다.
그리고 제동등(Stop lamp)은 브레이크 페달을 밟았을 때 뒤차에 제동함을 알리는 램프인데 제동장치의 작동에 따라 점등되며 안전기준에 정하여지고 있고, 미등처럼 단독식과 겸용식이 있으며 렌즈는 적색이고 전구는 15∼30W 정도를 많이사용하여 미등과 겸용식인 경우에는 중심 광도가 미등의 2배 이상이어야 한다.
또한 차폭등(Clearance lamp or position lamp)은 야간에 자동차의 너비를 나타내는 등으로 전면에 양쪽에 설치하며, 등의 색깔은 백색 또는 오렌지색으로 전구는 5∼10W 정도를 사용한다. 그리고 차폭등은 그 구별을 위하여 방향지시등과 겸용을 금지하고 있어 차폭등(백색)과 방향지시등(오렌지색)을 하나의 램프에 조합하여 기계적으로 분리한 컴비네이션 램프를 주로 사용하며, 전조등에 조합한 형식도 있다.
이 밖에 자동차 뒷쪽에 설치된 번호판을 조명하는 번호판등(License plate lamp)이 있으며, 차실내를 조명하는 실내 조명등(Room lamp) 등이 있다.
한편, 자동차 실내의 조명은 상기 실내 조명등에 의존하게 되는데, 통상적으로 실내 조명등은 자동차의 실내 상부인 헤드라이닝에 고정된 상태로 차실내를 조명하게 되므로 그 조명범위에 한계가 생기면서 차실내의 구석구석을 충분히 조명할 수가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자동차의 헤드라이닝에 고정되어 있는 실내 조명등을 헤드라이닝으로부터 간단히 분리 및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고 분리된 실내 조명등을 이용하여 필요한 부위를 효과적으로 조명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사용자의 편의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실내 조명등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헤드라이닝의 내부로 끼워지면서 그 상단이 루프패널과 연결된 연결브라켓에 고정되고, 상기 상단 내면에는 제1커넥터와 연결되어 있는 제1접지단자가 설치되며, 일측면에는 끼움공이 형성되고, 타측면에는 설치공이 형성되어 있는 설치브라켓과; 상기 설치브라켓의 타측면에 설치되는 몸체에는 스프링의 탄성력을 받으면서 상기 설치브라켓의 설치공을 통해 돌출되는 걸림구가 설치되고, 몸체의 하부에는 상기 걸림구를 일측으로 이동시켜 줄 수 있는 스위치가 구비된 걸림장치와; 하우징의 상면 중앙에는 상기 제1접지단자와 연결되는 제2접지단자가 설치되어 있고, 상면 일측에는 덮개(111)및 수납홈(110)이 설치되어 있으며, 일측면에는 상기 설치브라켓의 끼움공에 끼워질 수 있는 끼움구가 형성되어 있고, 타측면에는 상기 걸림장치의 걸림구가 끼워질 수 있는 걸림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저면에는 램프와 전원스위치가 구비된 실내 조명등을 구성하므로서 달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실내 조명등이 평상시에는 헤드라이닝의 설치브라켓에 고정되어 있으며, 필요시에는 상기 설치브라켓으로부터 실내 조명등 분리시킨 다음 하우징의 수납홈에 건전지 또는 충전지를 집어넣고 덮개를 덮은 다음 전원이 인가되도록 한 상태에서 자동차 실내의 구석진 부분 등에 실내 조명등을 가까이 하여 조명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는 것이며, 야간에 자동차의 외부를 정비할 때에도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실내 조명등의 분리 상태를 예시한 요부 단면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실내 조명등의 결합 상태를 예시한 요부 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실내 조명등의 구성을 예시한 분리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하우징110 : 수납홈
111 : 덮개120 : 제2접지단자
130 : 끼움구140 : 걸림홈
150 : 램프160 : 전원스위치
200 : 설치브라켓210 : 제1커넥터
220 : 제1접지단자230 : 끼움공
240 : 설치공300 : 걸림장치
310 : 몸체311 : 걸림구
312 : 스프링313 : 스위치
510 : 루프패널511 : 연결브라켓
520 : 헤드라이닝
이하,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그 기술구성 및 작용효과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도 1 은 본 발명에 따라 루프패널에 설치되어 있는 설치브라켓과 실내 조명등의 하우징이 분리된 상태를 예시한 요부 단면도이고, 도 2 는 도 1 의 결합상태를 예시한 요부 단면도이며,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설치브라켓과 하우징의 분리 상태를 예시한 사시도이다.
이에 예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탈착이 가능한 자동차용 실내 조명등을 구성함에 있어서, 헤드라이닝(520)의 내부로 끼워지면서 그 상부는 루프패널(510)과 연결브라켓(511)에 의해 고정되고, 상부 내면에는 제1커넥터(210)와 연결되어 있는 제1접지단자(220)가 설치되며, 일측면에는 끼움공(230)이 형성되고, 타측면에는 설치공(240)이 형성된 설치브라켓(200)과; 몸체(3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스프링 (312)에 의해 탄성력을 가지면서 몸체(310)의 일측면을 통해 상기 설치브라켓(200)의 설치공(240)으로 돌출되는 걸림구(311)가 형성되고, 몸체(310)의 하부에는 상기 걸림구(311)를 몸체(310) 내부로 이동시켜 줄 수 있는 스위치(313)가 형성된 걸림장치(300)를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하우징(100)의 상면 중앙에는 상기 제1접지단자(220)와 연결되는 제2접지단자(120)가 설치되고, 상면 일측으로는 건전지 또는 충전지가 수납될 수 있는 수납홈(110)과 덮개(111)가 설치되며, 하우징 (100)의 일측면에는 상기 설치브라켓 (200)의 끼움공(230)에 끼워지는 끼움구(130)가 형성되고, 하우징(100)의 타측면에는 상기 걸림장치(300)의 걸림구(311)가 끼워지는 걸림홈(140)이 형성되며, 하우징(100)의 저면에는 램프(150)와 전원스위치 (160)가 구비된 실내 조명등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자동차 실내의 헤드라이닝(520)에 설치되어 있는 실내 조명등이 필요에 따라 헤드라이닝(520)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하고, 분리된 실내 조명등의 전원은 건전지 또는 충전지를 이용하므로서, 자동차의 구석진 부분을 보다 효과적으로 조명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며, 아울러 야간에 자동차의 외부를 점검할 때에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탈착이 가능한 실내 조명등을 예시한 것으로서, 그 구성을 상세히 살펴보면 헤드라이닝(520)을 통해 루프패널(510)에 고정되는 설치브라켓(200)과, 실내 조명등과, 상기 실내 조명등을 설치브라켓(200)에 탈착시킬 수 있는 걸림장치(300)로 구분할 수 있다.
즉, 설치브라켓(200)은 헤드라이닝(520)의 내부로 끼워진 상태에서 그 상부가 루프패널(510)에 설치되어 있던 연결브라켓(511)과 고정되며, 상기 상부의 내면에는 제1접지단자(220)가 설치되어 있는데, 상기 제1접지단자(220)는 설치브라켓 (200)의 외부에 위치하는 제1커넥터(210)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1커넥터(210)는 자동차의 전원부(도면중 미도시)와 연결된 것이다.
또한 상기 설치브라켓(200)의 일측면과 타측면에는 각각 끼움공(230)과 설치공(240)이 형성되어 실내 조명등의 하우징(100)이 탈착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설치공(240)의 바깥쪽에는 걸림장치(300)가 구비되어 있는데,걸림장치(300)의 몸체 내부에는 스프링(312)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스프링(312)에는 걸림구(311)의 일단이 감겨져 있고 걸림구(311)의 타단은 몸체(310)의 외부를 통해 상기 설치브라켓(200)의 설치공(240)에 돌출된 상태로 설치되며, 몸체(310)의 저면에는 스위치(313)가 설치되는데 상기 스위치(313)는 걸림구(311)와 연결되어 있어 스위치(313)를 일측으로 작동시키게 되면 몸체(310)의 외부를 통해 설치공 (240)에 돌출되어 있던 걸림구(311)가 몸체(310) 내부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실내 조명등의 하우징(100) 상면 중앙에는 제2접지단자(120)를 설치하므로서, 상기 하우징(100)을 설치브라켓(200)에 결합시키게 되면 제2접지단자(120)가 제1접지단자(220)에 연결되면서 자동차의 전원이 제1커넥터(210)와 제1접지단자 (220)와 제2접지단자(120)를 통해 인가되면서 실내 조명등이 작동될 수 있는 것이며, 하우징(100)의 상면 일측에는 건전지 또는 충전지가 수납될 수 있는 수납홈(110)과 상기 수납홈(110)을 개폐할 수 있는 덮개(111)가 설치되고, 하우징 (100)의 저면에는 램프(150)와 전원스위치(160)가 형성된 것이다.
한편, 도 2 은 본 발명에 따라 설치브라켓에 실내 조명등이 결합되는 상태를 예시한 것으로서, 설치브라켓(200)이 연결브라켓(511)을 통해 루프패널(510)에 고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실내 조명등의 하우징(100)을 설치브라켓(200)의 내부로 집어넣게 되는데, 이때 하우징(100)의 일측 끼움구(130)를 우선 설치브라켓(200)의 끼움공(230)에 끼워넣은 상태에서 하우징(100)의 타측을 설치브라켓(200)의 내부로 밀어넣게 되면 걸림장치(300)의 걸림구(311)는 하우징(100)의 타단에 의해 눌려 스프링(312)을 압축시키면서 몸체(310)의 내부로 이동되는 것이다.
이후 하우징(100)의 타측이 연결브라켓(511)에 완전히 끼워지게 되면 하우징(100)의 걸림홈(140)에 상기 걸림구(311)가 위치하게 되면서 스프링(312)의 탄성력을 받고 있던 걸림구(311)가 설치공(240)을 통해 하우징(100)의 걸림홈(140)에 끼워지게 되면서 하우징(100) 전체가 설치브라켓(200)에 완전히 고정되는 것이며, 이때 하우징(100)의 상면에 설치된 제2접지단자(120)는 설치브라켓(200)의 상부 내면에 위치한 제1접지단자(220)와 연결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설치브라켓(200)에 하우징(100)이 결합된 후 하우징 (100)의 저면에 위치한 전원스위치(160)를 작동시키면 차량의 전원이 제1커넥터 (210)와 제1접지단자(220)와 제2접지단자(120)를 통해 램프(150)에 인가되면서 램프가 점등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실내 조명등을 헤드라이닝(520)에 고정시킨 상태로 사용할 수도 있지만 이러한 경우 조명의 범위에 한계가 있으므로 자동차 내부의 구석진 부분이나 원하는 부위를 효과적으로 조명하기가 힘든 단점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 실내 조명등을 헤드라이닝(520)으로부터 분리시켜 사용하게 되는데, 그 과정을 살펴보면 우선 걸림장치(300)의 스위치(313)를 일측으로 이동시켜 걸림구(311)를 몸체(310) 내부로 잡아당겨 주게 되면 걸림구(311)가 하우징(100)의 걸림홈(140)에서 빠지게 됨에 따라 하우징(100)의 일측이 설치브라켓 (200)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고, 이어서 하우징(100)의 타측 끼움구(130)를 설치브라켓(200)의 끼움공(230)으로부터 빼내게 되면 하우징(100) 전체를 설치브라켓(200)으로부터 간단히 분리시킬 수 있는 것이며, 이때 하우징(100)의 제2접지단자 (120) 또한 제1접지단자(220)로부터 분리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분리된 하우징(100)의 수납홈(110)에는 건전지 또는 충전지를 집어넣고 덮개(111)를 닫아 상기 건전지 또는 충전지에 의해 실내 조명등의 전원이 인가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하우징(100)의 전원스위치(160)를 작동시켜 램프(150)를 점등 또는 소등시키면서 자동차 실내의 구석진 부분이나 밝은 조명이 필요한 부위에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며, 아울러 야간에 자동차 외부를 점검할 경우에도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자동차의 헤드라이닝에 설치되어 있는 실내 조명등을 헤드라이닝으로부터 탈착이 될수 있도록 구성하므로서, 차내의 구석진 부분을 자세히 살펴보거나 야간에 자동차의 외부를 점검해야 하는 경우 헤드라이닝에서 실내 조명등을 분리시킨 다음 건전지 또는 충전지로 실내 조명등에 전원을 인가시켜 사용하므로서, 사용자의 편의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자동차의 실내에 설치되어 있는 실내 조명등을 탈착이 가능하도록 구성함에 있어서,
    헤드라이닝(520)의 내부로 끼워지면서 그 상부는 연결브라켓(511)에 의해 루프패널(510)에 고정되고, 상부 내면에는 제1커넥터(210)와 연결되어 있는 제1접지단자(220)가 설치되며, 일측면과 타측면에는 각각 끼움공(230)과 설치공(240)이 형성된 설치브라켓(200);
    몸체(3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스프링(312)에 의해 탄성력을 가지면서 몸체(310)의 일측면을 통해 상기 설치브라켓(200)의 설치공(240)으로 돌출되는 걸림구(311)가 형성되고, 몸체(310)의 하부에는 상기 걸림구(311)를 몸체(310) 내부로 이동시켜 줄 수 있는 스위치(313)가 형성된 걸림장치(300);
    하우징(100)의 상면 중앙에는 제2접지단자(120)가 설치되고, 상면 일측으로는 건전지 또는 충전지가 수납될 수 있는 수납홈(110)과 상기 수납홈(110)을 개폐할 수 있는 덮개(111)가 설치되며, 하우징(100)의 일측면과 타측면에는 각각 끼움구(130)와 걸림홈(140)이 형성되고, 하우징(100)의 저면에는 램프(150)와 전원스위치(160)가 구비된 실내 조명등;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실내 조명등.
KR1020020067189A 2002-10-31 2002-10-31 자동차용 실내조명등 KR2004003829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7189A KR20040038295A (ko) 2002-10-31 2002-10-31 자동차용 실내조명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7189A KR20040038295A (ko) 2002-10-31 2002-10-31 자동차용 실내조명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8295A true KR20040038295A (ko) 2004-05-08

Family

ID=373365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7189A KR20040038295A (ko) 2002-10-31 2002-10-31 자동차용 실내조명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3829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155127A1 (en) * 2021-09-24 2023-03-29 ZEEKR Automobile Co., Ltd. Interior lamp for automobile and automobile using the sam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155127A1 (en) * 2021-09-24 2023-03-29 ZEEKR Automobile Co., Ltd. Interior lamp for automobile and automobile using the same
JP2023047295A (ja) * 2021-09-24 2023-04-05 極▲ケ▼汽車(寧波杭州湾新区)有限公司 自動車用室内灯及びこれを応用する自動車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6509768A (ja) 車両ライセンス・プレートの照明装置及びこの装置の使用方法
CA2526784C (en) Vehicle cap power transfer
US6663271B1 (en) Brake light for motor vehicles
KR100966734B1 (ko) 자동차용 도어램프
KR100501241B1 (ko) 자동차용 실내조명등
KR20040038295A (ko) 자동차용 실내조명등
KR100455760B1 (ko) 자동차용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의 포그램프 장착구조
KR20040038290A (ko) 자동차용 실내조명등
KR200337164Y1 (ko) 신호 장치
KR100501243B1 (ko) 자동차의 리어스포일러에 설치된 주차 보조등
CN2480232Y (zh) 汽车转向辅助照明装置
KR200206284Y1 (ko) 램프 장치가 부설된 자동차의 도어 손잡이
KR0137685Y1 (ko) 자동차의 실내등덮개 착탈구조
KR200150554Y1 (ko) 트렁크 램프 겸 안전표지판
TWI596024B (zh) A vehicle tail gate lighting warning control system and its lighting warning device
KR19980074407A (ko) 자동차용 룸램프
KR200356557Y1 (ko) 브레이크 램프를 갖는 차량의 룸미러
KR0122533Y1 (ko) 자동차의 헤드램프 하우징 설치구조
KR200207415Y1 (ko) 경광등용 난반사체 고정장치
KR0125228Y1 (ko) 착탈이 가능한 차량용 룸 램프
KR20000004069U (ko) 자동차용 엔진룸 조명 장치
KR19980059669A (ko) 자동차용 룸 램프
KR19980034034U (ko) 자동차용 룸 램프
KR19980056699A (ko) 차량용 커티시 램프
KR19980040628U (ko) 차량용 커티시 램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