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59669A - 자동차용 룸 램프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룸 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59669A
KR19980059669A KR1019960079012A KR19960079012A KR19980059669A KR 19980059669 A KR19980059669 A KR 19980059669A KR 1019960079012 A KR1019960079012 A KR 1019960079012A KR 19960079012 A KR19960079012 A KR 19960079012A KR 19980059669 A KR19980059669 A KR 199800596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p
room lamp
housing
bulb cove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790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광수
Original Assignee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귀
Priority to KR10199600790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59669A/ko
Publication of KR199800596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9669A/ko

Links

Landscapes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실내의 조명등으로 사용되는 룸 램프에 관한 것으로, 룸 램프의 조립 공수를 절감시키고, 또한 제작비용을 절감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룸 램프의 하우징부에 기존의 전구 커버 형상의 만곡부를 제공하여, 하우징과 전구 커버를 일체화하는 자동차용 룸 램프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자동차용 룸 램프
본 발명은 자동차 실내의 조명등으로 사용되는 룸 램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구 케이스가 일체로 형성된 자동차용 룸 램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등화장치는 그 기능 면에서 2가지로 구분할 수 있으며, 그 첫번째로는 야간의 대상 물체에 대한 선명한 육안실별을 목적으로 하는 조명기능과, 다음으로 다른 차나 기타 도로 이용자에게 자기 차의 주행상태를 알리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신호 기능이 그것이다.
이에 따라, 전조등이나 안개등은 조명을 목적으로 한 것이고, 방향지시등, 후미등, 제동등 따위는 신호를 목적으로 한 것이다.
상기 등화장치 중 일반적인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는 차선 변경시나 좌, 우회전시 진행방향을 표시하기 위한 방향 지시등과, 자동차의 후진시 뒤쪽의 장애물을 확인하고 또 후방에 대해 차가 후진하는 것을 알리기 위한 후진등과, 야간에 주행하거나 정지하고 있을 때 차의 존재를 뒤차에 알리는 등으로서 제동등과 겸용으로 된 적색의 후미등을 포함하고, 또한, 자동차의 전방에 위치되는 프론트 콤비네이션 램프는 야간 운전시에 운전자의 시야를 확보하도록 전방을 조명하는 헤드 램프와 전방 및 측방의 차량에게 앞으로 진행할 방향을 사전에 알려주는 방향 지시등으로 이루어 진다.
또한, 상기 헤드 램프에는 전방부의 좌우 양쪽에 각각 1개의 램프가 장착되는 2등식 램프와 각각 2개의 램프가 부착되어 안쪽의 램프는 상향등으로서의 기능을 하고, 바깥쪽 램프는 하향등으로서의 기능을 하도록 구성된 4등식 램프가 있다.
이 밖에도, 자동차에 사용되고 있는 등화장치로는 차량의 실내를 밝힐 수 있도록 천장부인 탑 실링부에 설치된 룸 램프와, 야간에 도어의 개방시에 후방 차량에 도어가 열렸음을 나타내기 위해 도어 내부에 장착되어, 도어 개방시에 자동적으로 작동되는 커티시 램프가 있다.
이중에서 도 1에는 이러한 종래의 룸 램프(1)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룸 램프(1)는 평판 형상의 하우징(2)과, 하우징(2)의 한쪽 측면부에 형성된 스위치(3)와, 하우징(2)의 중심부상에 위치된 전구 커버(4)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룸 램프 하우징(2)의 양단에는 탑 실링부에의 결합을 위한 나사 고정부(5)가 형성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룸 램프의 구조에 있어서, 하우징(2)의 중심부에 설치되는 전구 커버(4)는 별도의 부품으로서, 하우징(2)상에는 이러한 전구 커버(4)를 장착시키기 위한 별도의 지그를 제작해야 하므로써, 룸 램프의 조립 공수가 증가되고, 또한, 별도의 지그 형성하므로써 단가상승의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이러한 룸 램프의 구조를 개선하여, 룸 램프의 조립 공수를 절감시키고, 또한 제작비용을 절감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자동차용 룸 램프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룸 램프의 구조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룸 램프 2 : 하우징
3 : 스위치 4 : 전구 커버
5 : 나사 고정부 6 : 만곡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자동차용 룸 램프에 있어서, 룸 램프의 하우징부에 기존의 전구 커버 형상의 만곡부를 제공하여, 하우징과 전구 커버를 일체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룸 램프를 제공한다.
* 실시예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종래 기술에서 인용된 부분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있으며,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재차 설명하지 않는다.
먼저,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룸 램프의 구조를 나타내는 측단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룸 램프(1)용 하우징(2)은 전구커버(4)가 하우징(2)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하우징(2)의 일정 부분에 기존의 전구 커버(4)와 같은 형상의 만곡부(6)가 형성되며, 이러한 만곡부(6)를 중심으로 양쪽 측면부에는 나사 고정부(5)가 형성된다.
이상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룸 램프의 구조에 의하면, 룸 램프의 하우징부에 기존의 전구 커버 형상의 만곡부를 제공하므로써, 하우징과 전구 커버를 일체화하여 룸 램프의 조립 공수가 감소되고, 제작 단가가 저하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자동차용 룸 램프에 있어서, 룸 램프의 하우징부에 기존의 전구 커버 형상의 만곡부를 제공하여, 하우징과 전구 커버를 일체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룸 램프.
KR1019960079012A 1996-12-31 1996-12-31 자동차용 룸 램프 KR1998005966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9012A KR19980059669A (ko) 1996-12-31 1996-12-31 자동차용 룸 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9012A KR19980059669A (ko) 1996-12-31 1996-12-31 자동차용 룸 램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9669A true KR19980059669A (ko) 1998-10-07

Family

ID=664237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79012A KR19980059669A (ko) 1996-12-31 1996-12-31 자동차용 룸 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5966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6116B1 (ko) * 2007-07-27 2008-06-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러기지 램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6116B1 (ko) * 2007-07-27 2008-06-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러기지 램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665392A (en) Vehicle driver-actuated safety signal light assembly
US5499169A (en) Rearview mirror lamp circuit assembly
CA2061888C (en) Signal lamps visible to driver
CN112984458B (zh) 带有集成光元件的不透明外透镜
KR19980059669A (ko) 자동차용 룸 램프
KR19980034034U (ko) 자동차용 룸 램프
KR100501241B1 (ko) 자동차용 실내조명등
KR19980059683A (ko) 자동차용 룸 램프
KR19980034035U (ko) 자동차용 룸 램프
KR0136903Y1 (ko) 버스의 사이드 턴 시그널 램프용 커버
KR200146833Y1 (ko) 안개등을 겸용하는 헤드 램프
KR950005372Y1 (ko) 차량 전조등의 보조등 장치
KR0149628B1 (ko) 자동차의 범퍼 장착형 램프
CN2480232Y (zh) 汽车转向辅助照明装置
JPH0356427Y2 (ko)
JPS6316589Y2 (ko)
KR200167534Y1 (ko) 자동차 백 도어 보조제동등
JP3119685U (ja) 自動車用第三後退灯装置
KR20040001149A (ko) 자동차용 센터 스톱램프의 구조
KR19980056699A (ko) 차량용 커티시 램프
KR19980036898A (ko) 4등식 헤드 램프 하우징의 구조
KR19980036680U (ko) 해치 백 차량의 리어 콤비네이션 구조
KR19980049717A (ko) 자동차 조명등의 구조
JP2004243793A (ja) 車両用灯具
KR19980060213U (ko) 자동차 리어 콤비네이션의 장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