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5228Y1 - 착탈이 가능한 차량용 룸 램프 - Google Patents

착탈이 가능한 차량용 룸 램프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5228Y1
KR0125228Y1 KR2019950049382U KR19950049382U KR0125228Y1 KR 0125228 Y1 KR0125228 Y1 KR 0125228Y1 KR 2019950049382 U KR2019950049382 U KR 2019950049382U KR 19950049382 U KR19950049382 U KR 19950049382U KR 0125228 Y1 KR0125228 Y1 KR 012522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p
room lamp
room
car
lamp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4938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33134U (ko
Inventor
김동신
Original Assignee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태구
Priority to KR2019950049382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5228Y1/ko
Publication of KR97003313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3313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522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5228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50Mounting arrangements
    • B60Q3/59Lighting devices mounted in the vehicle interior and adapted for portabil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50Mounting arrangements
    • B60Q3/51Mounting arrangements for mounting lighting devices onto vehicle interior, e.g. onto ceiling or flo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s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Mounting And Supporting Thereof, Circuits Therefore (AREA)

Abstract

[목적]
본 고안은 자동차 실내의 헤드 라이닝에 장착되는 룸 램프에 관한 것으로, 특히, 룸 램프를 착탈이 가능하게 설치하여 야간 운행시 경미한 사고 및 자동차의 점검시 휴대용 비상 램프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운전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는 착탈이 가능한 차량용 룸 램프에 관한 것이다.
[구성]
자동차의 실내 헤드 라이닝으로 단층진 가이드를 대칭되게 볼트 결합함과 동시에 이 가이드에서 슬라이드되며 결합되거나 분리되게 룸 램프에 플랜지를 형성하고, 룸 램프의 케이싱 내면 일측으로 상기 룸 램프가 분리됨과 동시에 전구를 점등시켜주는 배터리를 수납하여서 된 것이다.

Description

착탈이 가능한 차량용 룸 램프(room lamp)
제1도는 본 고안이 적용되는 자동차 실내의 예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룸 램프가 장착되어진 상태의 예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결합 구성을 보인 단면예시도
제4도는 제3도의 A부 상세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룸 램프 12:케이싱
14:플랜지 16:가이드
18:결속볼트 20:케이싱 플랜지
22:걸림턱 24:전구
26:배터리 28:배터리 하우징
30:지지패널 32,42:단자
34:기판 36:홀
38:축 40:접점 스위치
44:스프링
본 고안은 자동차 실내의 헤드 라이닝에 장착되는 룸 램프에 관한 것으로, 특히, 룸 램프를 착탈이 가능하게 설치하여 야간 운행시 경미한 사고 및 자동차의 점검시 휴대용 비상 램프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운전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는 착탈이 가능한 차량용 룸 램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여러 종류의 램프(lamp)가 장착되는데, 대표적인 것으로는 헤드 램프, 테일 램프, 포그 램프, 그리고 비상 램프, 차폭등 및 룸 램프가 있다.
상기 헤드 램프(head lamp)는 자동차의 야간 운행시 전방시야를 확보하기 위한 조명등을 말하고, 전방 100m 이상 앞의 장애물을 확인할 수 있는 밝기를 필요로 하고 있다.
상기 테일 램프(tail lamp)는 차량의 후부에 있는 램프를 말하고, 백기어를 변속했을 때 점등되는 백업 램프, 제동할 때 점등되는 스톱 램프(브레이크 램프), 리어 턴 시그널 램프 등이 있으며, 이것들이 일체가 되어 디자인된 것을 리어 컴비네이션 램프라고 부르고 있다. 그 외에도 주차중에 점등되는 파킹 램프, 번호판을 밝히는 라이트도 앞·뒤에 있다.
상기 포그 램프(fog lamp)는 자동차의 보조 램프중 대표적인 것이고, 안개 등으로 시야가 보이지 않을때 쓰이며, 헤드 램프보다 가까운 곳을 조명하지만 폭넓게 비쳐주고, 대향차량에서의 확인이 우수하다는 점이 있다.
상기 비상 램프는 주행중 노상에서 긴급 정차하고 있을 때 다른 차와의 충돌을 피하기 위하여 전·후 좌·우의 방향 지시등과 보조 방향지시등이 동시에 점멸하는 램프이다.
상기 차폭등은 야간 주행시 앞에서 보았을 때 차의 존재를 알 수 있도록 부착된 램프이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룸 램프는 자동차 실내의 헤드 라이닝 중앙부에 장착되거나 프런트 시트 쪽으로 위치하여 장착되는 실내등으로써, 야간 승차시 운전자가 운전석 계기판을 점검하기 전에 점등하여 사용하거나 리어 시트의 탑승자가 독서등을 하기위해 점등하여 사용하거나 또는 주행중 차 실내를 밝히기 위해 점등시키는 램프를 말한다.
종래에는 상기와 같은 룸 램프가 헤드 라이닝에 고정되게 결합되어 있어, 단순히 자동차 실내를 밝히는 정도의 기능밖에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더욱이 야간 주행시 경미한 사고 및 자동차의 점검시 별도로 구비되는 비상 램프를 찾아서 사용해야 하는 불편함과 함께 비상 램프에 배터리가 방전된 상태이면 비상 램프를 사용치 못하게 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사정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차 실내의 헤드 라이닝에 고정 결합되는 룸 램프를 착탈가능하도록 설치함과 동시에 이 룸 램프의 케이싱 일측으로 분리와 동시에 전구를 점등시킬 수 있는 배터리를 수납하여 야간 운행시 경미한 사고로 인한 자동차의 점검시 휴대용 비상 램프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운전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는 착탈이 가능한 차량용 룸 램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자동차 실내의 헤드 라이닝으로 단층진 가이드를 대칭되게 볼트 결합함과 동시에 이 가이드에서 슬라이드되며 결합되거나 분리되게 룸 램프에 플랜지를 형성하고, 룸 램프의 케이싱 내면 일측으로 상기 룸 램프가 분리됨과 동시에 전구를 점등시켜주는 배터리를 수납하여서 된 착탈이 가능한 차량용 룸 램프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다음 본 고안의 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
제1도 내지 제3도에는 본 고안에 따른 착탈이 가능한 차량용 룸 램프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 착탈이 가능한 차량용 룸 램프는 차 실내의 헤드 라이닝을 통해 루프 패널에 장착되는 단층진 한쌍의 가이드(16)와, 이 가이드(16)에서 결합되거나 분리되는 플랜지(14)가 구비된 룸 램프(10)로 구성된다.
상기 가이드(16)는 대체적으로 ㄴ자 형상을 구비하는 것으로, 수평부에서 직각으로 절곡되어 하향되는 수직부 그리고 이 수직부에서 다시 직각으로 절곡되어 수평부를 갖는다.
상기 가이드(16)는 대칭되게 한쌍으로 구비되고, 상기 최초의 수평부가 헤드 라이닝에 면접됨과 동시에 결속볼트(18)에 의해 루프 패널의 저면에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 룸 램프(10)는 케이싱(12)과 플랜지(14)로 구성되고, 상기 가이드(16)에 이 플랜지(14)가 슬라이드되며 긴밀하게 결합되며, 또한 분리시에는 룸 램프(10) 전체가 상기 가이드(16)에서 이탈되게 된다.
상기 케이싱(12)에는 상단부에 전구(24)가 결속되는 지지패널(30)이 형성되고, 일측으로는 상기 룸 램프(10)가 분리됨과 동시에 전구(24)를 점등시켜주는 배터리(26)가 수납되는 배터리 하우징(28)이 형성되며, 상부로 내향되는 걸림턱(22)이 형성되어 상기 지지패널(30)이 결합된다.
상기 전구(24)가 결속되는 지지패널(30)의 일측면으로는 스위치(40)가 결합되는데, 이 스위치(40)는 제4도에서와 같이 기판(34)에 홀(36)이 형성됨과 동시에 축(38)에 연설된 접점 스위치(40)가 설치되고, 축(38)으로는 탄성 스프링(44)이 설치된다.
상기 기판(34)상에 형성된 홀(36)의 하부로는 단자(42)가 형성되고, 또한 지지패널(30)로도 상기한 단자(42)와 대응하는 위치로 단자(32)가 형성된다.
상기 접점 스위치(40)는 룸 램프(10)가 가이드(16)에 결합되어진 상태에서는 스프링(44)을 누르는 상태로 단자(32,42)를 통하게 해주고, 룸 램프(10)가 가이드(16)에서 이탈될 시에는 전류가 통하는 단자(32,42)를 단락시키게 된다.
그러면 제3도 및 제4도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효과에 관해 설명하겠다.
야간 운행시에는 통상적인 룸 램프로 사용하다가 경미한 접촉사고 및 자동차의 점검이 필요할 시에는 룸 램프(10)를 손으로 잡고 일측으로 밀어서 플랜지(14)가 가이드(16)에서 분리되도록하면 분리동작과 동시에 접점 스위치(40)가 단락되고, 이어서 배터리(26)의 전원이 전구에 인가되어 룸 램프(10)는 지속적으로 점등된 상태를 유지하게 됨과 동시에 휴대용 비상 램프가 되어 필요한 장소로 이동하여 자동차를 점검하던지 접촉사고 부위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룸 램프를 착탈이 가능하게 설치하여 야간 운행시 경미한 사고 및 자동차의 점검시 휴대용 비상 램프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운전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1)

  1. 헤드 라이닝에 면접됨과 동시에 루프 패널에 장착되어 야간 운행시 필요에 따라 점등하여 차 실내를 밝혀주는 룸 램프에 있어서; 상기 헤드 라이닝으로 단층진 가이드를 대칭되게 볼트 결합함과 동시에 이 가이드에서 슬라이드되며 결합되거나 분리되게 룸 램프에 플랜지를 형성하고, 룸 램프의 케이싱 내면 일측으로 상기 룸 램프가 분리됨과 동시에 전구를 점등시켜주는 배터리를 수납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이 가능한 차량용 룸 램프.
KR2019950049382U 1995-12-28 1995-12-28 착탈이 가능한 차량용 룸 램프 KR012522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49382U KR0125228Y1 (ko) 1995-12-28 1995-12-28 착탈이 가능한 차량용 룸 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49382U KR0125228Y1 (ko) 1995-12-28 1995-12-28 착탈이 가능한 차량용 룸 램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3134U KR970033134U (ko) 1997-07-26
KR0125228Y1 true KR0125228Y1 (ko) 1998-08-17

Family

ID=194397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49382U KR0125228Y1 (ko) 1995-12-28 1995-12-28 착탈이 가능한 차량용 룸 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5228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3134U (ko) 1997-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25228Y1 (ko) 착탈이 가능한 차량용 룸 램프
KR200337164Y1 (ko) 신호 장치
KR100501241B1 (ko) 자동차용 실내조명등
KR100500286B1 (ko) 자동차용 램프 스위치 장치
KR100264001B1 (ko) 차량용리어퍼스널램프
KR0112370Y1 (ko) 자동차 백밀러의 자동조명구조
KR960001967Y1 (ko) 백미러 부착용 표시등
KR20150069369A (ko) 차량의 주간 주행등 어셈블리
KR0138075Y1 (ko) 차량의 후방조명장치
KR100264000B1 (ko) 차량용리어퍼스널램프
CN2480232Y (zh) 汽车转向辅助照明装置
JP2006117214A (ja) 夜間または暗部における後退操作時の自動車用照明装置
KR0149628B1 (ko) 자동차의 범퍼 장착형 램프
JPH0356427Y2 (ko)
KR200249373Y1 (ko) 라이트가 구비된 후방미러조립체
KR200253657Y1 (ko) 자동차용 보조경고등
KR950005372Y1 (ko) 차량 전조등의 보조등 장치
KR19980051031U (ko) 자동차용 스톱램프의 장착구조
KR19980066202U (ko) 자동차용 등화 장치
KR19990027792A (ko) 자동차의 전조등
KR980007469U (ko) 자동 점멸가능한 스몰 라이트
KR980007452U (ko) 자동차용 램프 자동점멸장치
KR19990024972U (ko) 대형 차량의 전방 코너 지면 확인용 램프
KR19990017405U (ko) 자동차용 외부후사경에 부착형 전조등과 미등의 보조등ㄱ
KR19980048094U (ko) 전방폭 감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