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7792A - 자동차의 전조등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전조등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9990027792A KR19990027792A KR1019970050322A KR19970050322A KR19990027792A KR 19990027792 A KR19990027792 A KR 19990027792A KR 1019970050322 A KR1019970050322 A KR 1019970050322A KR 19970050322 A KR19970050322 A KR 19970050322A KR 19990027792 A KR19990027792 A KR 1999002779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using
- fixed
- vehicle body
- fixing
- jaw
- Prior art date
Links
Landscapes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전조등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전조등은 차체(1)에 고정되는 하우징(4)과, 이 하우징(4)의 전방에 고정되는 렌즈(5)와, 하우징(4)의 내측에 설치되는 램프 조립체(6)로 이루어진 자동차 전조등에 있어서, 하우징(4)의 상부와 근접한 차체(1)에서 돌출되며, 그 외주면에 고정홈(12)이 형성되는 다수의 고정핀(10)들과; 하우징(4)의 상부에 장착되며, 고정핀(10)의 고정홈(12)에 고정되는 클램핑 수단(20)과; 하우징(4)의 저면에서 길이방향으로 길게 돌출된 가이드편(40)과; 차체(1)에서 연장되며, 가이드편(40)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홈(16)이 형성된 가이드레일(1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클램핑 수단(20)은 하우징(4)에 일체로 형성되는 고정 조(22)와, 고정 조(22)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고정 조(22)와 협동에 의해 형성되는 고정공간(23)을 선택적으로 개방시키는 가동 조(24)로 이루어진다. 또한, 가동 조(24)의 하부에는 일단부가 가동 조(24)의 하단에 연결핀(34)에 의해 연결되고, 타단부는 버튼부(36)가 일체로 형성된 푸쉬로드(32)와, 푸쉬로드(32)의 버튼부(36)와 가동 조(24)의 사이에 개재되는 인장스프링(38)이 장착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차체로부터 용이하게 착탈가능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야간 비상사태의 상황에서 자동차의 주변에 빛을 비추는데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자동차 전조등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체에 용이하게 착탈가능하도록 구성된 자동차의 전조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여러 가지의 등화장치가 제공되어 있다. 예를들면, 이러한 등화장치에는 전조등, 안개등, 브레이크등 및 방향지시등이 있으며, 먼저 전조등은 야간 주행시 운전자가 전방의 시계를 확보하도록 차량의 전방에 설치되고, 안개등은 보조전조등의 일종으로 안개속에서 차량을 식별하도록 전조등의 하부에 설치된다. 또한, 브레이크등은 차량의 후방에 설치되어 운전자의 의사에 따라 브레이크가 작동될 때 점등되어 충돌사고를 예방하게 되고, 한편, 방향지시등은 차량의 전후방에 설치되어 타 차량에게 차량의 진행방향을 알려준다.
이 중에서 전조등은 야간주행시에 전방시계의 확보를 위하여 필수적으로 점등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러한 전조등은 운전자의 필요에 의해 선택적으로 온/오프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됨과 동시에 근거리를 조사할 수 있도록 된 하향위치와 비교적 원거리를 조사하게 되는 상향위치로 조절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향위치는 운전자의 시계 확보가 원거리까지 가능하지만 조사각이 높게 되므로 반대편에서 주행중인 차량의 운전자의 시야를 방해하게 되어 자동차가 서로 교행중일 때에는 사용하지 못하도록 되어있다. 따라서 대부분의 운전자들은 전조등을 하향위치로 한 상태에서 주행을 한다.
도 1에는 이러한 자동차의 전조등의 일례가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고하면, 종래의 전조등은 후드(2)와 프론트범퍼부(3)의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차체(1)에 상부와 하부가 나사(7)에 의해서 고정되는 하우징(4)과, 하우징(4)의 전방에 고정되는 투명한 제질의 렌즈(5)와, 하우징(4)의 내측에 설치되는 램프 조립체(6)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렌즈(5)는 주로 합성수지로 제작되는 것으로 양호한 강도를 보유하여야 하며, 램프 조립체(6)는 주로 높은 광도를 갖는 것으로 2중필라멘트 구조를 갖고 있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조사각이 상향 또는 하향으로 조절된다. 또한, 램프 조립체(6)는 케이블(8)에 의해 배터리 또는 발전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이 케이블(8)에는 수커넥터(9a)와 암커넥터(9b)로 이루어진 커넥터 조립체(9)가 장착되어 케이블(8)이 분리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자동차의 전조등이 다수개의 나사(7)에 의해 차체(1)에 고정되어 항상 일방향으로로만 빛을 비추기 때문에 야간의 비상사태, 예를 들면 교통 사고 발생시 또는 차량 점검시 등의 경우와 같이 자동차 주변을 환하게 할 필요가 있을 때 아무런 도움이 되지 못했으며, 따라서 자가 운전자들은 비상사태를 대비하여 항상 별도의 휴대용 램프를 휴대하고 다녀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야간 비상사태의 상황에서 통상의 휴대용 램프와 같은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차체에 대해 용이하게 착탈가능하도록 구성된 자동차의 전조등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의 자동차의 전조등을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전조등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차체 4: 하우징
5: 렌즈 6: 램프 조립체
10: 고정핀 12: 고정홈
14: 가이드레일 16: 가이드홈
20: 클램핑 수단 22: 고정 조
23: 고정공간 24: 가동 조
26: 힌지핀 30: 로킹수단
32: 푸쉬로드 34: 연결핀
36: 버튼부 38: 인장스프링
40: 가이드편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차체에 고정되는 하우징과, 이 하우징의 전방에 고정되는 렌즈와, 하우징의 내측에 설치되는 램프 조립체로 이루어진 자동차 전조등에 있어서, 하우징의 상부와 근접한 차체에서 돌출되며, 그 외주면에 고정홈이 형성되는 다수의 고정핀들과; 하우징의 상부에 장착되며, 고정핀의 고정홈에 고정되는 클램핑 수단과; 하우징의 저면에서 길이방향으로 길게 돌출된 가이드편과; 차체에서 연장되며, 가이드편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홈이 형성된 가이드레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전조등을 제동한다.
그리고, 클램핑 수단은 하우징에 일체로 형성되는 고정 조와, 고정 조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고정 조와 협동에 의해 형성되는 고정공간을 선택적으로 개방시키는 가동 조로 이루어진다.
또한, 클램핑 수단은 클램핑 상태가 유지되도록 로킹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며, 로킹수단은 일단부는 가동 조의 하단에 연결핀에 의해 연결되고, 타단부는 버튼부가 일체로 형성된 푸시로드와, 푸시로드의 버튼부와 가동 조의 사이에 개재되는 인장스프링으로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전조등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종래와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전조등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전조등은 자동차의 전방 좌우측에 후드(2)와 프론트범퍼부(3)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설치되는 것으로, 차체(1)에 고정되는 하우징(4)과, 하우징(4)의 전방에 고정되는 투명한 제질의 렌즈(5)와, 하우징(4)의 내측에 설치되는 램프 조립체(6)로 구성된다.
하우징(4)의 상부에는 후술하는 고정핀(10)의 고정홈(12)에 고정되는 클램핑 수단(20)이 장착되어 있으며, 후드(2)를 열면 노출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도 3을 참고하면, 클램핑 수단(20)은 하우징(4)에 일체로 형성되는 고정 조(22)와, 이 고정 조(22)에 힌지핀(26)에 의해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고정 조(22)와 협동에 의해 형성되는 고정공간(23)을 힌지핀(26)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선택적으로 개방시키는 가동 조(24)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클램핑 수단(20)은 클램핑 상태가 유지되도록 로킹수단(30)을 추가로 포함하고 있으며, 이 로킹수단(30)은 일단부는 가동 조(24)의 하단에 연결핀(34)에 의해 연결되고, 타단부는 버튼부(36)가 일체로 형성된 푸쉬로드(32)와, 푸쉬로드(32)의 버튼부(36)와 가동 조(24)의 사이에 개재되는 인장스프링(38)으로 이루어져 있다.
다시 도 2를 보면, 하우징(4)의 저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편(40)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하우징(4)의 상부와 근접한 위치의 차체(1)에는 다수의 고정핀(10)이 돌출되어 있으며, 고정핀(10)에는 그 외주면을 따라 고정홈(1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4)의 가이드편(40)이 끼워져 지지됨과 동시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되도록 차체(1)에는 가이드홈(16)이 형성된 가이드레일(14)이 하우징(4)의 가이드편(40)과 동일하게 연장되어 있다.
한편, 램프 조립체(6)는 케이블(8)에 의해 배터리 또는 발전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이 케이블(8)에는 수커넥터(9a)와 암커넥터(9b)로 이루어진 커넥터 조립체(9)가 장착되어 케이블(8)이 분리되도록 구성된다.
지금부터는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전조등의 작동 및 작용관계를 설명한다.
먼저 하우징(4)의 상부에 형성된 클램핑 수단(20)의 작동 원리를 설명하면, 버튼부(36)를 누르면 인장스프링(38)이 압축됨과 동시에 푸쉬로드(32)가 가동 조(24)의 하단부를 밀기 때문에 가동 조(24)는 힌지핀(26)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고정 조(22)와 가동 조(24)의 협동에 의해서 형성되는 고정공간(23)을 개방시키게 된다. 따라서, 고정핀(10)의 고정홈(12)으로부터 분리가 가능하게 된다.
반대로, 누르고 있던 버튼부(36)를 놓게 되면 인장스프링(38)이 버튼부(36)를 밀기 때문에 푸쉬로드(32)는 가동 조(24)의 하단부를 잡아당기게 되고, 이에 의해, 가동 조(24)는 연결핀(34)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고정공간(23)의 개방부분을 닫게 된다. 따라서, 클램핑 수단(20)은 고정핀(10)의 고정홈(12)에 고정된다.
이제부터는 야간 비상사태의 상황에서 통상의 휴대용 램프와 같은 목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자동차의 전조등을 차체로부터 분리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자동차의 후드(2)를 열고 클램핑 수단(20)을 고정핀(10)으로부터 분리시킨다. 그리고, 전조등을 전방으로 잡아당기면 하우징(4)의 저면에 형성된 가이드편(40)이 가이드레일(14)을 따라 슬라이드되면서 전조등이 차체로부터 완전하게 분리된다.
이와 같이 분리되는 전조등은 통상의 휴대용 램프와 같은 목적으로 자동차의 주변을 환하게 비추는데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전조등의 커넥터 조립체(9)를 분리시켜 시중에 판매되는 롤링 케이블 박스(Rolling Cable Box)에 의해 연결하여 사용하면 전조등을 자동차로부터 먼지 떨어져 있는 곳을 비추는데 사용할 수 있다.
반대로 분리되어 있는 전조등을 차체에 고정하고자 하면, 먼저 하우징(4)의 가이드편(40)을 가이드레일(14)의 가이드홈(16)에 끼워져 밀어 넣는다. 그런 다음, 클램핑 수단(20)에 의해 하우징(4)을 차체(1)에 형성된 고정핀(10)의 고정홈(12)에 고정시키면 전조등은 차체(1)에 고정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전조등은 차체로부터 용이하게 착탈가능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야간 비상사태의 상황에서 통상의 휴대용 램프와 같은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따라서 자가 운전자들이 비상사태를 대비하여 항상 별도의 휴대용 램프를 휴대하고 다녀야 하는 불편함을 해결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3)
- 차체(1)에 고정되는 하우징(4)과, 이 하우징(4)의 전방에 고정되는 렌즈(5)와, 상기 하우징(4)의 내측에 설치되는 램프 조립체(6)로 이루어진 자동차 전조등에 있어서,상기 하우징(4)의 상부와 근접한 상기 차체(1)에서 돌출되며, 그 외주면에 고정홈(12)이 형성되는 다수의 고정핀(10)들과;상기 하우징(4)의 상부에 장착되며, 상기 고정핀(10)의 고정홈(12)에 고정되는 클램핑 수단(20)과;상기 하우징(4)의 저면에서 길이방향으로 길게 돌출된 가이드편(40)과;상기 차체(1)에서 연장되며, 상기 가이드편(40)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홈(16)이 형성된 가이드레일(1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전조등.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 수단(20)은 상기 하우징(4)에 일체로 형성되는 고정 조(22)와, 상기 고정 조(22)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고정 조(22)와 협동에 의해 형성되는 고정공간(23)을 선택적으로 개방시키는 가동 조(24)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전조등.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 수단(20)은 클램핑 상태가 유지되도록 로킹수단(30)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로킹수단(30)은 일단부는 상기 가동 조(24)의 하단에 연결핀(34)에 의해 연결되고, 타단부는 버튼부(36)가 일체로 형성된 푸쉬로드(32)와, 푸쉬로드(32)의 버튼부(36)와 가동 조(24)의 사이에 개재되는 인장스프링(38)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전조등.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70050322A KR19990027792A (ko) | 1997-09-30 | 1997-09-30 | 자동차의 전조등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70050322A KR19990027792A (ko) | 1997-09-30 | 1997-09-30 | 자동차의 전조등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90027792A true KR19990027792A (ko) | 1999-04-15 |
Family
ID=660446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70050322A KR19990027792A (ko) | 1997-09-30 | 1997-09-30 | 자동차의 전조등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9990027792A (ko) |
-
1997
- 1997-09-30 KR KR1019970050322A patent/KR19990027792A/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9990027792A (ko) | 자동차의 전조등 | |
JP2576456Y2 (ja) | 自動車の補助ウインカー装置 | |
KR200249373Y1 (ko) | 라이트가 구비된 후방미러조립체 | |
JPH11301348A (ja) | 車両の路面照射装置 | |
US1671024A (en) | Lamp structure | |
KR100501241B1 (ko) | 자동차용 실내조명등 | |
KR0125228Y1 (ko) | 착탈이 가능한 차량용 룸 램프 | |
JP2004182209A (ja) | 自動車用方向指示器 | |
KR0112746Y1 (ko) | 자동차의 정비등겸용 차폭등 | |
KR20070031632A (ko) | 광섬유를 이용한 차량의 조명장치 | |
JPS6088650A (ja) | 自動車用灯具 | |
KR200206284Y1 (ko) | 램프 장치가 부설된 자동차의 도어 손잡이 | |
KR100520362B1 (ko) | 자동차의 패키지트레이에 장착되는 스톱램프용 벌브홀더 | |
JP2006117214A (ja) | 夜間または暗部における後退操作時の自動車用照明装置 | |
KR100264001B1 (ko) | 차량용리어퍼스널램프 | |
KR19990020608U (ko) | 차량용 측후방라이트 | |
KR0122533Y1 (ko) | 자동차의 헤드램프 하우징 설치구조 | |
KR950010164Y1 (ko) | 자동차 독서등 | |
KR0131768Y1 (ko) | 후진시 후방을 조명하는 자동차의 리어필러 램프 | |
JP3118400U (ja) | 自動車サイドミラーの補助灯装置 | |
KR0129693Y1 (ko) | 자동차의 이원화된 램프 | |
KR19980056699A (ko) | 차량용 커티시 램프 | |
JP3119685U (ja) | 自動車用第三後退灯装置 | |
KR19980066202U (ko) | 자동차용 등화 장치 | |
JP2004243793A (ja) | 車両用灯具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SUBM | Submission of document of abandonment before or after decis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