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10164Y1 - 자동차 독서등 - Google Patents

자동차 독서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10164Y1
KR950010164Y1 KR2019930016939U KR930016939U KR950010164Y1 KR 950010164 Y1 KR950010164 Y1 KR 950010164Y1 KR 2019930016939 U KR2019930016939 U KR 2019930016939U KR 930016939 U KR930016939 U KR 930016939U KR 950010164 Y1 KR950010164 Y1 KR 95001016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ding
light
case
switch
instrument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1693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6121U (ko
Inventor
현익환
Original Assignee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김태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김태구 filed Critical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30016939U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10164Y1/ko
Publication of KR95000612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612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1016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0164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2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for lighting specific fittings of passenger or driving compartments; mounted on specific fittings of passenger or driving compartments
    • B60Q3/225Small compartments, e.g. glove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50Mounting arrangements
    • B60Q3/57Retractable or concealable ligh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7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 B60Q3/72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preventing the driver from being dazzl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7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 B60Q3/76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spotlighting, e.g. reading la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80Circuits; Control arrangements
    • B60Q3/82Switch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 lighting, e.g. switching by tilting the l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500/00Special features or arrangements of vehicle interior la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tary Switch, Piano Key Switch, And Lever Switch (AREA)
  • Arrangements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Mounting And Supporting Thereof, Circuits Therefor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동차 독서등
제1도는 본 고안의 독서등을 보이는 자동차 조수석측의 정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요부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 요부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인스트루먼트 패널 2 : 글로브 박스
10 : 독서등 11 : 케이스
15 : 핀 16 : 전구
18 : 스위치
본 고안은 자동차의 조수석을 조명하는 자동차 독서등에 관한 것이다.
통상, 자동차의 실내등은 루프에 설치되어 있어 설치위치에 따라 앞좌석 부분이나 뒷좌석부분 또는 차내를 전체적으로 조명해준다. 그리고 실내등은 차문을 열었을때 자동적으로 실내를 조명하여 탑승시나 하차시 편리함을 도모하기도 한다.
그러나 야간운행시 신문이나 책을 읽기 위하여 실내등을 점등시켰을 경우 운전자의 시야에 장애를 주어 운전에 방해가 된다. 또한 실내등의 위치가 자동차의 루프에 있으므로, 즉 거리가 멀어 상대적으로 독서를 하기에는 밝기가 약하고, 밝기를 높일 경우 운전자의 운행에 크게 지장을 주게된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운전자의 시야를 방해하지 않도록 조명을 설치하며, 독서하기에 적당하도록 필요부분을 밝게 조명하는데 있다.
이에따라, 조수석의 탑승자가 독서하기에 적당하도록 조수석측의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독서등을 설치하여 조수석 부분을 조명하도록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조수석측의 인스트루먼트패널(1)에 독서등(10)을 설치하여 조수석에 앉은 탑승자가 신문이나 책등을 볼때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바람직하기로는 이 독서등(10)은 글로브박스(2) 상측 중앙에 설치한다. 그리고 이 독서등(10)은 대략 삼각형상의 케이스(11)와, 이 케이스(11)를 회전가능하게 인스트루먼트 패널(1)에 고정시키는 핀(15)과, 케이스(11)에 내장되는 전구(16)와, 이 전구(16)와 접속되어 전류를 공급하고 케이스(11)를 회동되게 하는 스위치(18)로 구성된다. 케이스(11)는 대략 삼각형 단면을 연장한 형상으로 형성하고, 글로브 박스(2) 상측 중앙의 인스트루먼트 패널(1)을 일부 할애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한다. 케이스(11)를 인스트루먼트 패널(1)의 장착부에 설치하였을 경우, 케이스(11)의 전면이 인스트루먼트 패널(1)의 전면과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형상으로 형성한다.
그리고 케이스(11)의 저면은 빛이 통과될 수 있도록 투명체(12)를 부착하며 그 양단부에는 각각 돌기(13)(14)를 형성한다. 투명체(12)를 제외한 다른 면은 인스트루먼트 패널(1)같은 재질 즉 빛이 통과되지 않는 재질로 제조한다. 또한 케이스(11)의 상측 및 내부에는 추후에 설명될 핀(15)과 전구(16)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핀(15)은 케이스(11)를 회전되게 그 상단을 통과하여 인스트루먼트 패널(1)에 고정한다. 전구(16)은 케이스(11) 내부에 설치하되, 교체가능하도록 접속단자(17)를 고정시키고 이 접속단자(17)에 전구(16)를 끼워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독서등 조립체는 원터치 댐퍼를 이용하여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스위치(18)는 통상의 푸쉬버튼 스위치를 마련하여 이 스위치(18)의 버튼(19)이 케이스(11)의 하측 배면에 접촉되도록 인스트루먼트 패널(1)에 고정한다.
그리고 이 스위치(18)는 전구(16)에 전류를 공급할 수 있도록 전선으로 접속한다.
이 스위치(18)는 선단에 있는 버튼(19)이 눌려지면 오프(off) 상태가 되고 버튼(19)이 튀어나오면 온(ON) 상태가 되도록 한다.
그리고, 이 스위치(18)는 다기능 스위치(도시하지 않음)와 연결하고, 먼저 다기능 스위치의 작동에 따라 통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들어, 다기능 스위치는 보통 핸들 좌측에 있는 것으로 차량에 마련된 조명이 1단계와 2단계로 점등된다. 다기능 스위치가 1단계로 점등되면 차폭등, 미등, 번호등, 계기판이 조명되는데, 이때 본 고안의 스위치(18)에 통전되도록 하여 스위치(18)가 온(ON)되면 전구(16)가 발광하도록 한다.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된 본 고안의 작동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야간 운행시는 항상 핸들 좌측의 다기능 스위치를 1단계 또는 2단계로 점등시킨다. 그러므로 독서등(10)에 전류가 공급되고 있는 상태이다. 주간 운행에서와 같이 다기능 스위치가 오프(off) 상태일때는 독서등(10)에 전류가 공급되지 않는다.
상술한 바와같이 다기능 스위치가 온(ON)상태에서, 조수석에 있는 탑승자가 케이스(11)의 전면하단을 손가락으로 누르면 제3도와 같이 케이스(11)가 전방으로 회전되어 나온다. 이것은 스위치(18)의 버튼(19)이 튀어나와 케이스(11) 배면하단을 밀어주게 된다. 그리하여 인스트루먼트 패널(10)에 형성된 돌기(13)부터 투명체(12)의 돌기(14)가 해제되며, 버튼(19)의 탄발력을 받은 케이스(11)은 핀(15)을 중심으로 회전되게 된다. 동시에 스위치(18)는 온(ON) 상태가 되어 전구(16)가 발광하게 된다.
그러므로, 전구(16)의 빛은 투명체(12)를 투과하여 조수석측을 자향하여 조명하게 된다. 이때, 전구(16)가 단락됐을 경우 투명체(12)를 탄성을 이용하여 분리시키고 새것으로 교체하면 된다.
독서등(10)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사용시와 마찬가지로 케이스(11)의 하단부를 손가락으로 누르면 초기상태로 원복된다. 그리고 버튼(19)은 원상태로 눌려져서 스위치(18)가 오프(off)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가까운 거리에서 필요부분만 비추고 상대적으로 밝게 조명하여 독서하기 좋은 환경이 되며, 운전자의 운전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는 유용한 것이다.

Claims (1)

  1. 인스트루먼트의 글로브박스 상단에 원터치 댐퍼의 푸시작동에 의해 인출되면서 전구가 ON되는 독서등 조립체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독서등.
KR2019930016939U 1993-08-30 1993-08-30 자동차 독서등 KR95001016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16939U KR950010164Y1 (ko) 1993-08-30 1993-08-30 자동차 독서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16939U KR950010164Y1 (ko) 1993-08-30 1993-08-30 자동차 독서등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6121U KR950006121U (ko) 1995-03-20
KR950010164Y1 true KR950010164Y1 (ko) 1995-11-29

Family

ID=193622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16939U KR950010164Y1 (ko) 1993-08-30 1993-08-30 자동차 독서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1016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6121U (ko) 1995-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31734B1 (en) Motor vehicle seat having extendable light
US6257745B1 (en) Flexible arm light for automobile overhead console
EP0846594A3 (en) Interior space lightening unit for a vehicle
KR950010164Y1 (ko) 자동차 독서등
US4656563A (en) Automotive vehicle stoplight arrangement
WO2003101779A2 (en) Vehicle auxiliary light
US4761718A (en) Signal light for automotive vehicle
EP1361094B1 (en) A sun shade for vehicles
KR0154516B1 (ko) 차량용 프론트 시트의 대시보드 조명장치
KR100693276B1 (ko) 차량의 승객용 실내등
KR0125517Y1 (ko) 자동차의 선셰이드용 조명등
KR0122910Y1 (ko) 자동차용 실내등
KR0137363Y1 (ko) 자동차 뒷좌석 독서등
KR0125228Y1 (ko) 착탈이 가능한 차량용 룸 램프
KR19990005035A (ko) 차량의 독서등
KR0126174Y1 (ko) 자동차의 조명기구
KR19980049944U (ko) 차량의 실내등
KR970003617Y1 (ko) 자동차용 독서등
KR20060024270A (ko) 자동차용 선바이저
KR19980011328U (ko) 선바이저용 거울조립체의 점등구조
KR19980027522U (ko) 독서등이 내장된 헤드레스트
KR19990039920U (ko) 자동차의 야간조명스위치어셈블리
JPH1081169A (ja) 安全バックミラー
KR970037781A (ko) 차량용 실내등
KR19990027792A (ko) 자동차의 전조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102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