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27522U - 독서등이 내장된 헤드레스트 - Google Patents

독서등이 내장된 헤드레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27522U
KR19980027522U KR2019960040463U KR19960040463U KR19980027522U KR 19980027522 U KR19980027522 U KR 19980027522U KR 2019960040463 U KR2019960040463 U KR 2019960040463U KR 19960040463 U KR19960040463 U KR 19960040463U KR 19980027522 U KR19980027522 U KR 1998002752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rest
hole
wire
fixing piece
bui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404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명환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600404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27522U/ko
Publication of KR1998002752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7522U/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2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for lighting specific fittings of passenger or driving compartments; mounted on specific fittings of passenger or driving compartments
    • B60Q3/233Seats; Arm rests; Head re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50Mounting arrangements
    • B60Q3/56Lighting devices mounted on elongate supports, e.g. on flexible a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50Mounting arrangements
    • B60Q3/57Retractable or concealable ligh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7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 B60Q3/76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spotlighting, e.g. reading la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80Circuits; Control arrangements
    • B60Q3/85Circuits; Control arrangements for manual control of the light, e.g. of colour, orientation or intens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독서등이 내장된 헤드레스트에 관한 것으로, 시트백 상부에 설치된 헤드레스트(1)의 일측을 파내어 형성한 구멍(2)과, 상기 구멍(2)에 삽입되고 저면에는 통공(20)이 천공되어 있으며 개구부의 일측에는 고정편(5)이 부착된 함체(3)와, 상기 개구부를 막아줄 수 있는 크기를 지니고 상기 개구부의 일측과 핀(17)에 의하여 힌지 결합되며 이 힌지결합된 반대측에는 상기 고정편(5)과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는 후크(15)가 부착된 커버(14)와, 상기 통공(20)을 관통하고 상기 통공(20)을 중심으로 상 하부에 각각 형성된 걸림턱(6)이 하단에 형성되어 있는 중공형의 플랙시블 와이어(9)와, 상기 플랙시블 와이어(9)의 내부를 따라 연장된 전선(7)은 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이 전선(7)의 일단에는 전구(12)를 끼워넣을 수 있는 소켓(19)이 연결되어 있되 이 소켓(19)을 고정시키기 위하여 상기 와이어(9)의 상단에 고정 형성된 하우징(10)이 구비되어, 야간 또는 어두운 곳에서 리어시트에 앉은 승객이 윈하는 방향 및 각도에서 밝은 빛이 제공되게 하였다.

Description

독서등이 내장된 헤드레스트
본 고안은 독서등이 내장된 헤드레스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헤드레스트의 일측면에 구멍이 형성되고 이 구멍에 장착되는 함체 및 독서등을 구비함으로써, 승용차의 리어시트에 앉은 승객에게 조명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독서등이 내장된 헤드레스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실내에는 운전자 및 승객을 위하여 각종의 조명장치가 설치되어 있는바, 그 대표적인 것이 천정트림에 설치된 실내등이다. 승용차의 경우 상기 실내등은 천정트림의 중앙부에 설치되어 프런트시트와 리어시트에 앉은 승객에게 동시에 빛을 비추어 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운전자 및 조수석에 앉은 승객에게 좀더 밝은 빛을 제공하기 위하여 천정트림의 중앙 전방에는 별도의 독서등이 설치되는 경우도 있었다. 이 독서등의 설치로 말미암아 운전자 및 조수석에 앉은 승객은 야간에 시트에 앉은 상태에서도 책자 및 신문 등에 인쇄되어 있는 작은 글씨를 선명히 볼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리어시트에 앉은 승객이 상기와 같은 작은 글씨를 보고자 할 경우에도 상기 천정트림에 설치되어 있는 실내등에만 의존하여야 하였으므로 상기 작은 글씨를 선명히 보는데에는 애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리어시트에 앉아있는 탑승자가 원하는 방향 및 각도에서 독서등을 조명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독서등이 내장된 헤드레스트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독서등이 내장된 헤드레스트의 일측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독서등이 내장된 헤드레스트의 일부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독서등이 내장된 헤드레스트의 사용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헤드레스트 2: 구멍
3: 함체 4: 핀공
5: 고정편 6: 걸림턱
7: 전선 8: 단자
9: 플랙시블와이어 10: 하우징
11: 반사경 12: 전구
13: 스프링 14: 커버
15: 후크 16: 핀공
17: 핀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일면에 따르면, 자동차 시트백 상부에 설치된 헤드레스트의 일측을 파내어 형성한 구멍과, 상기 구멍에 삽입되고 저면에는 통공이 천공되어 있으며 개구부의 일측에는 고정편이 부착된 함체와, 상기 개구부를 막아줄 수 있는 크기를 지니고 상기 개구부의 일측과 힌지 결합되며 이 힌지결합된 반대측에는 상기 고정편과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는 후크가 부착된 커버와, 상기 통공을 관통하고 상기 통공을 중심으로 상 하부에 각각 형성된 걸림턱이 하단에 형성되어 있는 중공형의 플랙시블 와이어와, 상기 플랙시블 와이어의 내부를 따라 연장된 전선은 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이 전선의 일단에는 전구를 끼워넣을 수 있는 소켓이 연결되어 있되 이 소켓을 고정시키기 위한 상기 와이어의 상단에 고정형성된 하우징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독서등이 내장된 헤드레스트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다른면에 따르면, 상기 고정편은 전도체로 이루어지고 이 고정편은 상기 전선의 한 가닥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후크는 전도체로 이루어지고 이 후크는 상기 전선의 다른 한가닥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독서등이 내장된 헤드레스트가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독서등이 내장된 헤드레스트의 분해사시도이다. 시트의 헤드레스트(1)의 일측에는 구멍(2)이 파여져 있다. 이 구멍(2)의 형성방향은 오른쪽 또는 왼쪽 어느방향으로 형성되어도 좋다. 이 구멍(2)에 함체(3)가 삽입설치되는바, 함체(3)의 저면에는 통공(20)이 형성되어 있고 함체(3) 개부부의 양측에는 각각 핀공이 형성된 돌기(4) 및 금속으로 이루어진 고정편(5)이 부착되어 있다.
이 함체(3)는 플랙시블 와이어(9)를 보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플랙시블 와이어(9)의 하단에는 2개의 걸림턱(6)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플랙시블 와이어(9)의 하단부가 상기 함체(3)의 통공(20)에 삽입된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시켜 주게 된다. 즉, 상기 통공(20)을 중심으로 그 상부 및 하부에 각각 걸림턱(6)이 돌설됨으로써, 상기 플랙시블 와이어(9)를 함체(3)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플랙시블 와이어(9)는 중공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플랙시블 와이어(9)내부를 따라 전선(7)이 삽입되어 있다. 이 전선(7)의 하단부에는 단자(8)가 부착되어 있어 전원과 연결된 다른 단자(미도시)와 결합된다. 상기 플랙시블 와이어(9)는 원하는 형태로 구부리거나 펼 수 있으며 외부에서 힘이 가해지지 않는 이상 그 형태는 지속적으로 유지된다. 상기 플랙시블 와이어(9)의 상단에는 전구(12)의 소켓을 고정시키기 위한 하우징(10)이 연결되어 있고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는 반사경(11)이 부착되어 있다.
한편, 상기 함체(3)의 개구부를 막아 줄 수 있는 크기를 지닌 커버(14)는 그 일측변에 상기 함체(3)의 돌기(4)와 유사한 돌기(16)가 상 하부에 각각 형성되어 있고, 그 반대측변에는 상기 고정편(5)에 체결 및 분리될 수 있는 후크(15)가 부착된다. 상기 돌기(4, 16)에는 그 중심을 종방향으로 관통하는 핀공이 각각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 핀공에 핀(17)이 삽입됨으로써, 상기 커버(14)는 상기 함체(3)에 힌지결합된다. 한편, 상기 커버(14)의 힌지결합시 탄성을 주기 위하여 스프링(13)이 상기 핀(17)에 외삽되도록 하였다. 상기 스프링(13)의 제공으로 상기 커버(14)는 열림방향 또는 닫힘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작동될 수 있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독서등이 내장된 헤드레스트의 일측단면도로써, 특히, 플랙시블 와이어(9)가 함체 내에 안치된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함체의 저판에 플랙시블 와이어(9)의 하단부가 고정되어 있다. 이와같이 고정된 상태에서 걸림턱(6)이 상기 함체 저판의 상하면의 일부와 밀착되며 플랙시블 와이어(9)를 함체에 고정시켜주고 있다. 이와 같은 안착상태는 독서등을 사용하지 않는 상태이므로 커버(14)는 닫혀진 상태로 있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독서등이 내장된 헤드레스트의 플랙시블 와이어 및 전구가 설치되어 있는 하우징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플랙시블 와이어(9)의 내부에는 전선(7)이 통과하고 있고 플랙시블 와이어(9)의 일단에는 하우징(10)이 부착되어 있다. 또한, 이 하우징(10)에는 반사경(18)이 연결되어 있다. 이 반사경(18)은 전구(12)의 불빛을 반사시킴으로써 조명도를 높여주기 위하여 설치되었고,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는 상기 전구(12)가 체결되는 소켓(19)이 제공되어 있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독서등이 내장된 헤드레스트의 사용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즉 리어시트(30)에 앉아있는 승객이 신문 또는 작은 글씨로 인쇄되어져 있는 잡지 등을 보기위하여 프런트 시트백의 상부에 설치된 헤드레스트(1)의 일측에 있는 커버(14)를 열고 플랙시블 와이어(9)를 잡아당긴다. 이때 플랙시블 와이어(9)의 일단에 형성된 하우징(10) 내부의 전구(12)는 점등되어 빛을 발하게 된다.
한편, 상기 고정편(5)은 전도체로 이루어지고 이 고정편(5)은 상기 전선(7)의 한 가닥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후크(15) 또한 전도체로 이루어지고 이 후크(15)는 상기 전선(7)의 다른 한가닥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구성됨으로써, 승객이 커버를 열 경우에만 상기 전구(12)가 점등되게 하였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커버(14)의 내측면에 상기 전구(12)를 점등 또는 소등 할 수 있는 별도의 스위치를 설치하여도 좋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을 자동차에 적용하는 경우에, 야간 또는 어두운 곳에서 리어시트에 앉은 승객이 윈하는 방향 및 각도에서 밝은 빛이 제공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예 및 수정예를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

Claims (2)

  1. 자동차 시트백 상부에 설치된 헤드레스트(1)의 일측을 파내어 형성한 구멍(2)과, 상기 구멍(2)에 삽입되고 저면에는 통공(20)이 천공되어 있으며 개구부의 일측에는 고정편(5)이 부착된 함체(3)와, 상기 개구부를 막아줄 수 있는 크기를 지니고 상기 개구부의 일측과 핀(17)에 의하여 힌지 결합되며 이 힌지결합된 반대측에는 상기 고정편(5)과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는 후크(15)가 부착된 커버(14)와, 상기 통공(20)을 관통하고 상기 통공(20)을 중심으로 상 하부에 각각 형성된 걸림턱(6)이 하단에 형성되어 있는 중공형의 플랙시블 와이어(9)와, 상기 플랙시블 와이어(9)의 내부를 따라 연장된 전선(7)은 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이 전선(7)의 일단에는 전구(12)를 끼워넣을 수 있는 소켓(19)이 연결되어 있되 이 소켓(19)을 고정시키기 위하여 상기 와이어(9)의 상단에 고정 형성된 하우징(10)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독서등이 내장된 헤드레스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편(5)은 전도체로 이루어지고 이 고정편(5)은 상기 전선(7)의 한 가닥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후크(15)는 전도체로 이루어지고 이 후크(15)는 상기 전선(7)의 다른 한가닥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독서등이 내장된 헤드레스트.
KR2019960040463U 1996-11-16 1996-11-16 독서등이 내장된 헤드레스트 KR1998002752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0463U KR19980027522U (ko) 1996-11-16 1996-11-16 독서등이 내장된 헤드레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0463U KR19980027522U (ko) 1996-11-16 1996-11-16 독서등이 내장된 헤드레스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7522U true KR19980027522U (ko) 1998-08-05

Family

ID=539836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40463U KR19980027522U (ko) 1996-11-16 1996-11-16 독서등이 내장된 헤드레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27522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49885A (ko) 2022-10-11 2024-04-18 주식회사 휴곤오토모빌 독서등이 구비된 자동차시트 헤드레스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49885A (ko) 2022-10-11 2024-04-18 주식회사 휴곤오토모빌 독서등이 구비된 자동차시트 헤드레스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14611A (en) Portable light
US6264352B1 (en) Sun visor and vanity mirror assembly for motor vehicles
US4803602A (en) Sun visor with illuminated mirror
EP0846594A3 (en) Interior space lightening unit for a vehicle
JP4908673B2 (ja) ルームミラー
ES2329278T3 (es) Unidad de alumbrado para casquillo de pinza de encendedores de cigarrillos.
KR19980027522U (ko) 독서등이 내장된 헤드레스트
JP3967671B2 (ja) 車両用室内灯
JPH0454029Y2 (ko)
CN217495964U (zh) 拉手阅读灯
KR200319467Y1 (ko) 차량용 시그널 램프
CN219360929U (zh) 一种具有阅读灯的座椅及汽车
KR0135775Y1 (ko) 힌지하단 접촉식 램프가 구비된 글러브 박스
US4884179A (en) Lamp with built-in on-off switch
KR970003617Y1 (ko) 자동차용 독서등
KR970008579B1 (ko) 자동차용 램프장치
KR970002501Y1 (ko) 자동차 실내등
EP1361094B1 (en) A sun shade for vehicles
KR100693276B1 (ko) 차량의 승객용 실내등
KR970005367Y1 (ko) 조명등이 구비된 자동차의 인사이드미러
KR950010164Y1 (ko) 자동차 독서등
KR0122910Y1 (ko) 자동차용 실내등
KR19980020365U (ko) 자동차의 보조 룸램프
KR970005218Y1 (ko) 자동차의 실내등
KR0145603B1 (ko) 자동차의 시트 측면에 장착되는 실내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