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2501Y1 - 자동차 실내등 - Google Patents

자동차 실내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2501Y1
KR970002501Y1 KR2019940032439U KR19940032439U KR970002501Y1 KR 970002501 Y1 KR970002501 Y1 KR 970002501Y1 KR 2019940032439 U KR2019940032439 U KR 2019940032439U KR 19940032439 U KR19940032439 U KR 19940032439U KR 970002501 Y1 KR970002501 Y1 KR 97000250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p
fixing portion
fixing
rotating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3243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7087U (ko
Inventor
김홍래
Original Assignee
대우자동차주식회사
김태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자동차주식회사, 김태구 filed Critical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40032439U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2501Y1/ko
Publication of KR96001708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708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250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2501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50Mounting arrangements
    • B60Q3/51Mounting arrangements for mounting lighting devices onto vehicle interior, e.g. onto ceiling or flo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s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Mounting And Supporting Thereof, Circuits Therefore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자동차 실내등
제1도는 일반적인 자동차의 개략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실내 등의 소등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제3도는 제2도의 A-A선을 따른 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실내 등의 점등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제5도는 제4도의 B-B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헤드라이닝 어셈블리 30 : 고정부
32 : 장착부 34 : 회전부유지부
36, 46 : 단자 38 : 돌기
40 : 회전부 41 : 구멍
42 : 소켓 44 : 램프
50 : 스프링수용부 52 : 스프링
54 : 볼 56, 58 : 오목홈
본 고안은 자동차 실내 등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보조그립을 고정하는 부위를 이용하여 장착함으로써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된 자동차 실내 등에 관한 것이다.
제1도에 일반적인 자동차(2)를 개략적으로 도시하였다.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2)에는 실내의 조명을 위하여 루프(4)에 실내등(6)이 장착되어 있다. 이러한 실내등(6)은 루프(4)의 중앙부 또는 전방부에 장착되며, 자동차 뒷좌석 부위를 조명하기 위하여 보조그릴(8) 부위에 추가로 장착되는 경우도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실내등(6)은 헤드라이닝 어셈블리(10)에 실내등(6)을 장착하기 위한 구멍(12)을 형성하고 브라켓(도시하지 않음)을 이용하여 루프(4)에 장착한다.
그런데, 상기 실내등(6)은 전술한 바와같이 장착이 용이하지 않고, 더욱이 자동차 좌석 부위를 조명하기 위하여 보조그릴(8) 부위에 추가로 장착되는 경우에는 장착 구조가 더욱 복잡해져서 장착 위치 공차가 커져 장착이 더욱 곤란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보조그릴을 고정하는 부위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는 자동차 실내 등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실내등은 헤드라이닝 어셈블리에 고정되는 장착부와, 전원공급부와 연결된 제1단자가 구비된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유지되며, 램프와, 상기 램프가 고정되는 소켓과, 상기 소켓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단자를 구비한 회전부로 구성되되, 상기 회전부가 수평으로 유지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제1 및 제2단자가 서로 분리되어 램프가 소등 상태가 되고, 상기 회전부가 수직으로 유지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제1 및 제2단자가 서로 접촉하여 점등 상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모든 도면에서 동일한 기능을 가지는 부분에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실내 등의 소등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제3도는 제2도의 A-A선을 따른 단면도이고,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실내 등의 점등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며, 제5도는 제4도의 B-B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본 고안에 따른 실내등(20)은 고정부(30)와 회전부(40)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부(30)에는 장착부(32)가 형성되어 이 장착부(32)를 보조그립(8)의 보조그립고정부(8a)와 함께 헤드라이닝 어셈블리(10)에 고정시킴으로써 장착된다. 한편 상기 고정부(30)의 양측에는 회전부유지부(34)가 연장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부(30)의 양 회전부유지부(34)에 형성된 돌기(38)는 회전부(40)에 형성된 구멍(41)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부(40)가 상기 고정부(30)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유지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30)에는 전원공급부(도시하지 않음)와 연결된 제1단자(36)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회전부(40)에는 제2단자(46)가 구비되어 있어 상기 고정부(40)가 수평으로 유지되어 있는 경우에(제2도 참조)는 상기 제1 및 제2 단자(36, 46)가 서로 분리되고 상기 회전부(40)가 수직으로 유지되어 있는 경우(제4도 참조)에는 상기 제1 및 제2 단자(36, 46)가 서로 접촉하게 된다. 그리고 회전부(40)에는 소켓(42)이 구비되어 램프(44)가 상기 소켓(42)에 끼워지게 된다.
한편 상기 고정부(30)에는 스프링수용부(50)가 형성되어 상기 스프링 수용부(50)에 압축스프링(52)이 구비되고, 이 압축스프링(52)에 의하여 볼(54)이 탄지되게 되며, 상기 고정부(40)에는 상기 볼(54)에 대응하는 90°각도로 이격형성된 제1 및 제2 오목홈(56, 58)을 형성하여 상기 회전부(40)의 회전이 상기 제1 및 제2 오목홈(56, 58)에서 정지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실내등은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고정부(30)에 형성된 장착부(32)를 보조그립고정부(8a)와 함께 헤드라이닝 어셈블리(10)에 고정시킴으로써 장착된다.
다음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실내 등의 점등 및 소등을 설명한다. 먼저 제2도에 도시된 상태부터 설명한다. 이 상태는 볼(54)이 제1 오목홈(56)에 끼워져 회전부(40)가 대략 수평으로 유지되고 있는 상태이다. 이때에는 상기 고정부(30)에 구비된 제1 단자(36)와 상기 고정부(40)에 구비된 제2 단자(46)가 서로 분리되어 있어 램프(44)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실내등은 회전부(40)가 수평으로 유지되어 콤팩트하게 되며 램프(44)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소등 상태로 실내등이 소등되어 있다.
다음 제2도에 도시된 상태로부터 제4도에 도시된 상태로 회전부(40)를 회전시킨다. 그러면 볼(54)이 제1 오목홈(56)으로부터 이탈하여 스프링(52)에 의해 압압되다가 그 탄발력에 의해 제2 오목홈(58)에 끼워지면서 정지하여 회전부(40)가 대략 수직으로 유지된다. 이때 상기 고정부(30)에 구비된 제1 단자(36)와 상기 회전부(40)에 구비된 제2 단자(46)가 서로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자동차의 전원공급부로부터의 전기가 제1 단자 및 제2 단자(36, 46) 그리고 램프 소켓(42)을 통해 램프(44)에 공급되어 점등 상태가 되어 램프(44)가 점등된다. 따라서 실내등은 실내를 조명하게 된다.
다시 제4도에 도시된 상태로부터 제2도에 도시된 상태로 회전부(40)를 회전시키면, 볼(54)이 제2 오목홈(58)으로부터 이탈하여 스프링(52)에 의해 압압되다가 그 탄발력에 의해 다시 제1 오목홈(56)에 끼워지면서 정지하여 전술한 바와 같은 상태가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실내 등에 의하면, 상기한 바와 같이 점등 및 소등되는 구성을 갖추므로 실내를 조명하는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면서, 고정부(30)에 형성된 실내등장착부(32)를 보조그립고정부(8a)와 함께 헤드라이닝 어셈블리(10)에 고정시킴으로써 장착되어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헤드라이닝 어셈블리(10)에 고정되는 장착부(32)와, 전원공급부와 연결된 제1 단자(36)가 구비된 고정부(30)와, 상기 고정부(30)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유지되며, 램프(44)와, 상기 램프(44)가 고정되는 소켓(42)과, 상기 소켓(42)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 단자(46)를 구비한 회전부(40)로 구성되되, 상기 고정부(40)가 수평으로 유지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제1 및 제2 단자(36, 46)가 서로 접촉하여 점등 상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실내등.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30)에는 상기 고정부(30)의 양측이 연장되어 형성되며, 안쪽을 향하여 연장하는 돌기(38)가 형성된 회전부유지부(34)가 구비되고, 상기 회전부(40)에는 상기 회전부유지부(34)에 형성된 돌기(38)가 삽입되는 구멍(41)이 구비되어, 상기 구멍(41)에 상기 돌기(38)가 삽입됨으로써 상기 회전부(40)가 상기 고정부(30)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실내등.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30)에는 스프링수용부(50)와, 상기 스프링 수용부(50)에 구비된 압축스프링(52)과, 상기 압축스프링(52)에 의하여 탄지된 볼(54)이 구비되고, 상기 회전 부재(40)에는 90° 각도로 이격형성되며, 상기 볼(54)에 대응하는 제1 및 제2 오목홈(56, 58)이 구비되어 상기 고정부(30)에 대한 상기 고정부(40)의 회전이 상기 제1 및 제2 오목홈(56, 58)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실내등.
KR2019940032439U 1994-11-30 1994-11-30 자동차 실내등 KR97000250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32439U KR970002501Y1 (ko) 1994-11-30 1994-11-30 자동차 실내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32439U KR970002501Y1 (ko) 1994-11-30 1994-11-30 자동차 실내등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7087U KR960017087U (ko) 1996-06-17
KR970002501Y1 true KR970002501Y1 (ko) 1997-03-26

Family

ID=194000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32439U KR970002501Y1 (ko) 1994-11-30 1994-11-30 자동차 실내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250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7087U (ko) 1996-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002501Y1 (ko) 자동차 실내등
JP4373019B2 (ja) 車両用サンバイザ
JPH0454029Y2 (ko)
AU7042991A (en) Removable mirror device mounted inside motor vehicles
KR0131656Y1 (ko) 자동차용 맵 램프
KR970005367Y1 (ko) 조명등이 구비된 자동차의 인사이드미러
KR0145603B1 (ko) 자동차의 시트 측면에 장착되는 실내등
KR100220123B1 (ko) 자동차의 실내등 스위치노브
KR0134245B1 (ko) 자동차용 엔진룸램프
JPH0129145Y2 (ko)
KR0132809Y1 (ko) 자동차의 엔진룸 램프
JPH11151971A (ja) 車輌用灯具の照射角度調整機構
KR0137478Y1 (ko) 승용차 실내등
KR0119179Y1 (ko) 자동차용 실내등
JPH0512886Y2 (ko)
KR200142971Y1 (ko) 자동차의 회전룸램프
KR0125280Y1 (ko) 자동차용 실내전등
KR0181240B1 (ko) 백 미러 일체식 실내등
KR970005211Y1 (ko) 자동차용 룸램프
KR0120309Y1 (ko) 차량용 실내등 조립체
KR200155442Y1 (ko) 자동차용 방향 전환용 실내등 구조
KR0137491Y1 (ko) 차량 실내등
KR200190127Y1 (ko) 미러 일체형 룸램프
KR0126101Y1 (ko) 드링크 홀더 조명장치
KR0126879Y1 (ko) 룸램프의 취부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